KR100755913B1 -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13B1
KR100755913B1 KR1020010018618A KR20010018618A KR100755913B1 KR 100755913 B1 KR100755913 B1 KR 100755913B1 KR 1020010018618 A KR1020010018618 A KR 1020010018618A KR 20010018618 A KR20010018618 A KR 20010018618A KR 100755913 B1 KR100755913 B1 KR 10075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ressor
refrigerant
compressor hous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302A (ko
Inventor
장길상
김인갑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는, 냉매흡입구 및 냉매배출구를 갖춘 압축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소정의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압축기 하우징의 토출실과 연통하는 유입구 및 압축기 하우징의 냉매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출구가 마련된 오일저장실; 오일저장실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 중에 함유된 오일을 흡수하도록 오일저장실에 내장되는 것으로써 윤활오일을 흡수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는 오일분리수단으로서의 위킹부재; 및 위킹부재에 의해 오일저장실의 하부로 집유된 윤활오일을 압축기 하우징의 냉매흡입구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오일저장실의 하부 일측과 냉매흡입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오일유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냉매 중에 함유된 윤활오일이 위킹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분리되므로, 오일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위킹부재가 냉매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불순물을 포함하는 각종 이물질을 흡수하여 완전하게 걸러주므로 불순물 및 이물질에 의해 오일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기, 오일분리, 오일분리기, 윤활, 오일세퍼레이터

Description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OIL SEPARATOR EMBEDDED IN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오일분리기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의 압축기 하우징측에 형성되는 오일저장실 및 위킹부재 지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의 커버측에 형성되는 오일저장실 및 위킹부재 지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압축기 하우징 11;토출실
12;냉매흡입구 13;냉매배출구
20;커버 30;개스킷
40;오일저장실 40a,40b;제 1 및 제 2 요입부
42;유입구 43;유출구
50;위킹부재 51,51';제 1 및 제 2 가로리브
52,52';제 1 및 제 2 곡선리브 53,53';제 1 및 제 2 십자리브
54;지지리브 55;돌기부
60;오일유로 61;오일공급로
62;오일회수로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의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 중에 포함된 윤활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윤활오일이 열교환기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에 일체로 내장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공조시스템을 구성하는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증발이 용이한 저온저압의 습포화 증기상태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 그리고, 팽창과정을 거쳐 유입되는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기체(과열증기)상태로 변화시키는 증발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다. 증발기에서의 냉매증발에 의해 열을 빼앗긴 공기는 저온 저습 상태로 변화되어 실내로 송풍되며, 이 과정에서 과열증기 상태의 기체로 변화된 냉매는 압축기로 보내져 압축된다.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되어 토출되는 냉매가스를 액화되기 쉬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 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토출시키는 바, 이에 의해 냉매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는 압축방식 및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알려지고 있으며,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에서는 사판식 압축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판식 압축기는 전,후방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 및 후방 하우징에 설치되는 전,후방 실린더; 상기 전,후방 실린더의 보어들에 걸쳐 왕복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양두 피스톤; 상기 전,후방 하우징 및 전,후방 실린더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들을 전후진시키는 사판; 그리고, 상기 전,후방 실린더와 전,후방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밸브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는 구동축에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면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사판에 의하여 피스톤들이 전후진함으로써 밸브 유니트를 통한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 작용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압축기를 채용한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에서는, 압축기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윤활목적의 오일을 냉매에 함유시켜 순환시킴으로써 압축기 구동파트의 기계적 마찰면들의 윤활을 수행하고 있다. 이 때, 냉매에 함유된 윤활오일이 응축기 및/또는 증발기나 팽창장치 등으로 유입되면, 윤활오일이 열교환기 등의 냉매유로 내벽에 코팅되거나 열교환기의 냉매유로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냉매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이 저하된다. 또 한, 윤활오일이 공조시스템 전체를 순환하게 되면 압축기에 공급되는 오일량에 심한 변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압축기의 윤활이 안정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압축기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압축기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로 윤활오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오일분리기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에 포함된 윤활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윤활오일이 열교환기측으로 유출되어 발생하는 열교환기의 효율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압축기의 윤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오일분리기는 크게 외장형과 압축기 내장형으로 분류된다. 외장형 오일분리기는, 그 입구포트가 압축기의 토출라인에 연결되고, 그 출구포트가 응축기의 입구단에 연결되며, 내부의 오일저장실과 압축기 흡입라인이 캐필러리 튜브(모세관)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윤활오일을 함유한 냉매는 오일분리기의 입구포트를 통하여 오일분리기 내부로 유입되고, 여기서 냉매와 윤활오일이 서로 분리된다. 냉매는 오일분리기의 출구포트를 통하여 응축기로 공급되고, 윤활오일은 오일분리기의 오일저장실에 일단 저장된 후 캐필러리 튜브를 통하여 압축기 흡입라인으로 공급되어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와 함께 압축기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윤활오일이 냉매에 혼합된 상태로 응축기나 증발기 등의 열교환기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외장형 오일분리기는 제작 및 설계가 비교적 쉽고 오일 분리 효율이 좋다고 하는 장점은 있으나, 압축기와 별개로 설치되고, 또 별도의 바이패스회로가 요구되는 등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외장형 오일분리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이 압축기에 일체로 구성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이다. 이러한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의 대표적인 것으로, 일본 특개평 제 11-93880 호, 일본 특개평 제 11-82338 호 등이 있다. 이들 공지된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는, 원심력에 의해 윤활오일을 냉매로부터 분리하고 이와 같이 분리되어 오일저장실에 집유된 윤활오일을 개스킷에 형성된 오일유로 및 압축기 하우징의 후부에 형성된 미세 홀을 통하여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는, 두께가 얇은 개스킷에 오일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오일유로의 단면적이 작아 불순물 등에 의해 오일유로가 막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일분리기 내의 불순물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기도 하지만, 압축기를 장기간 작동하게 되면 불순물이 증가하여 필터가 막히는 문제가 있으며, 또 필터를 통과한 미세한 불순물이 슬러지와 같이 뭉쳐 오일유로, 특히 개스킷의 오일유로를 막는 문제가 있다. 즉, 개스킷의 두께는 얇고 오일유로의 폭은 개스킷의 두께보다 넓기 때문에 개스킷의 두께보다 큰 직경을 가진 불순물이 개스킷에 형성된 오일유로의 시작점에 걸려 오일유로를 막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냉매와 함께 오일저장실로 유입되는 불순물에 대한 여과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미세 불순물에 의한 오일유로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 중에 함유된 오일을 흡수 분리함으로써 오일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는, 냉매흡입구 및 냉매배출구를 갖춘 압축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소정의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압축기 하우징의 토출실과 연통하는 유입구 및 압축기 하우징의 냉매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출구가 마련된 오일저장실; 오일저장실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 중에 함유된 오일을 흡수하도록 오일저장실에 내장되는 것으로써, 윤활오일을 흡수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는 오일분리수단으로서의 위킹부재; 및 위킹부재에 의해 오일저장실의 하부로 집유된 윤활오일을 압축기 하우징의 냉매흡입구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오일저장실의 하부 일측과 냉매흡입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오일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 하우징과 커버와의 결합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개스킷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저장실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후벽면에 대략 U자형 유로를 가지도록 요입형성되는 제 1 요입부와 이 제 1 요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커버에 요입형성되는 제 2 요입부가 합쳐져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에는 이들 요입부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오일저장실에 내장되는 상기 위킹부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가 각각 구비된다. 이 다수의 리브는 제 1 및 제 2 요입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로리브와, 제 1 및 제 2 요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1 및 제 2 곡선리브와, 각 하부공간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십자리브와, 제 1 요입부의 유입구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배치된 지지리브이다. 그리고, 제 1 요입부의 유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 요입부에는 위킹부재를 상기 유입구측으로 눌러주기 위한 원추형 돌기부가 형성된다.
위킹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의 형상과 같은 외곽 프로파일을 가지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오일유로는 상기 냉매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압축기 하우징의 상부벽에 일측에 형성된 오일공급로와, 상기 오일저장실과 상기 오일공급로를 연통시키는 오일회수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오일회수로는 압축기 하우징의 후방벽면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 형성될 수도 있고, 개스킷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로 절취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오일분리기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의 압축기 하우징측에 형성되는 오일저장실 및 위킹부재 지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의 커버측에 형성되는 오일저장실 및 위킹부재 지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압축기 하우징, 20은 커버, 30은 개스킷, 40은 오일저장실, 50은 위킹부재, 그리고, 60은 오일유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 하우징(10)은 그의 전면에 토출실(11)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냉매흡입구(12) 및 냉매배출구(13)가 전후로 나란히 구획형성된다.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냉매흡입구(12)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 흡입실로 유입되어 압축된 후 상기 토출실(11)로 배출된다.
상기 커버(20)는 압축기 하우징(10)의 후면에 소정의 밀폐된 공간[즉, 오일저장실(40)]을 한정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스킷(30)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10)과 상기 커버(20)와의 결합면의 기밀 유지를 위하여 이들 사이에 개재된다. 이들 압축기 하우징(10), 커버(20) 및 개스킷(30)은 이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개의 고정공(15)(25)(35)들을 관통하여 각각 체결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 오일저장실(40)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10)의 후면에 대략 U자형 유로를 가지도록 일정깊이로 요입형성되는 제 1 요입부(40a)와, 상기 커버(20)에 상기 제 1 요입부(4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형성되는 제 2 요입부(4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20)가 압축기 하우징(10)의 후면에 개스킷(30)의 개재하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밀폐된 공간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 1 요입부(40a)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제 1 요입부(40a)의 U자형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된 분리벽(41)을 기준으로 한 쪽에는 상기 압축기 하우징(10)의 토출실(11)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42)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상기 압축기 하우징(10)의 냉매배출구(13)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유출구(4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43)는 유입구(42)의 높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제 2 요입부(40b)의 일측에도 상기 제 1 요입부(40a)의 분리벽(41)에 대응하는 분리벽(41')이 형성되며, 이들 분리벽(41)(41')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10) 및 커버(20)의 상측으로부터 구동축선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위킹부재(50)는 상기 유입구(42)를 통하여 오일저장실(40)로 유입되는 냉매 중에 함유된 윤활오일을 흡수 분리하도록 오일저장실(40)에 내장된다. 이러한 위킹부재(50)는 윅(wick)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이 윅 소재는 액체 등을 흡수하여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위킹부재(50)에 흡수된 오일은 모세관력에 의해 소재 전체로 급속도로 흡수되고 중력에 의해 이동하여 오일저장실(40)의 하부로 집유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위킹부재(50)는 상기한 제 1 요입부(40a) 및 제 2 요입부(40b)의 형상과 같은 외곽 프로파일을 가지고 오일저장실(40)에 내장되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40a)(40b)에 이 요입부의 깊이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고 각각 돌설되는 다수의 리브에 의해 그의 전후면과 요입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리브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40a)(40b)를 상부공간(S1)과 하부공간(S2)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40a)(40b)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로리브(51)(51')와, 상 기 제 1 및 제 2 요입부(40a)(40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1 및 제 2 곡선리브(52)(52')와, 상기 각 하부공간(S2)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십자리브(53)(53')와, 상기 제 1 요입부(40a)의 유입구(42)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배치된 지지리브(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각각의 리브들은 요입부의 깊이보다 약 2∼4mm정도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요입부로부터 돌설된다.
또한, 상기 제 1 요입부(40a)의 유입구(42)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 요입부(40b)에는 위킹부재(50)를 상기 유입구(42)측으로 눌러주기 위한 원추형 돌기부(55)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유입구(42)를 통하여 오일저장실(40)로 유입되는 냉매는 위킹부재(50)의 해당부분에 부딪치면서 유동하게 되고, 따라서, 냉매 중의 윤활오일이 효과적으로 위킹부재(50)에 흡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위킹부재(50)는 냉매 중에 포함되어 함께 유입되는 각종 불순물들을 흡수하여 여과시키는 기능도 하는 바, 이에 따라 각종 불순물이 윤활오일에 혼합됨으로써 오일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킹부재(50)는 그의 양측면 하부측가 일부 절취 형성된다. 이 절취부는 위킹부재(50)가 오일저장실(40)에 수용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요입부(40a)(40b)의 내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공간은 오일유동통로로서, 이 통로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요입부(40a)(40b)의 하부에 집유된 오일이 원활하게 유동하면서 양측의 오일유면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위킹부재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위킹부재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일유로(60)는 상기 오일저장실(40)의 하부에 집유된 윤활오일을 압축기 하우징(10)의 냉매흡입구(12)로 복귀시키기 위한 유로로써, 상기 냉매흡입구(12)와 연통하도록 압축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오일공급로(61)와, 이 오일공급로(61)와 상기 오일저장실(40)의 하부를 연통시키는 오일회수로(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일회수로(62)는 개스킷(3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로 절취 형성되며, 커버(20)에 의해 그 유로가 밀폐 한정된다. 압축기의 구동시 상기 오일저장실(40)에 집유된 윤활오일은 이 오일저장실(40)과 냉매흡입구측의 압력차에 의해 오일회수로(62) 및 오일공급로(61)를 통하여 냉매흡입구(12)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오일회수로(62)가 개스킷(30)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오일회수로(62)는 압축기 하우징(10)의 후벽면 가장자리를 따라 위로 요입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압축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개스킷(30) 및 커버(20)에 의해 그 유로가 밀폐 한정된다. 이와 같은 오일회수로는 개스킷에 형성되는 유로보다 그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조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냉매의 순환 중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압축기의 흡입실로 유입되어 압축된 후 토출실(1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냉매의 압축 과정에서 오일저장실(40)의 하부에 집유된 윤활오일은 냉매흡입구측과 오일저장실(40)과의 압력차에 의하여 오일회수로(62) 및 오일공급로(61)를 거쳐 냉매흡입구(12)의 저부로 유동하여 증발기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함께 다시 압축기의 흡입실로 유입된다.
한편, 토출실(11)로 배출된 윤활오일을 함유하고 있는 압축혼합냉매는 유입구(42)를 통하여 오일저장실(40)로 유입되며, 여기서, 오일저장실(40)에 내장된 위킹부재(50)에 강하게 부딪치면서 유동하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냉매 중에 함유된 윤활오일은 위킹부재(50)에 흡수되고, 냉매가스는 위킹부재(50)를 통과하여 유출구(43)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위킹부재(50)에 흡수된 오일은 모세관력에 의해 위킹부재(50) 전체로 급속도로 흡수되고, 중력에 의해 오일저장실의 하부로 이동하여 집유된다. 이 때, 오일을 흡수하는 위킹부재(50)의 면은 오일 이동에 따라 마르게 되어 계속적으로 오일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또한, 위킹부재(50)가 윤활오일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냉매에 포함되어 함께 유입되는 금속칩 등과 같은 각종 불순물을 흡수하여 여과시키므로 불순물에 의해 오일유로가 막히는 일이 없다. 더욱이, 위킹부재(50)는 아주 미세한 불순물까지도 완벽하게 흡수하여 걸러주므로 압축기를 장기간 작동하는 경우에도 불순물에 의해 오일유로가 막히는 일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 중에 함유된 윤활오일이 오일저장실에 설치된 위킹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분리되므로, 기존의 원심력을 이용한 오일분리기에 비하여 오일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저장실에 설치된 위킹부재에서 냉매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및 불순물을 완벽하게 흡수하여 걸러주므로, 불순물에 의해 오일유로가 막히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압축기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며,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냉매흡입구 및 냉매배출구를 갖춘 압축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소정의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토출실과 연통하는 유입구 및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냉매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출구가 마련된 오일저장실;
    상기 오일저장실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 중에 함유된 오일을 흡수하도록 상기 오일저장실에 내장되는 것으로써, 윤활오일을 흡수하여 오일저장실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오일분리수단으로서의 위킹부재; 및
    상기 위킹부재에 의해 오일저장실의 하부로 집유된 윤활오일을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냉매흡입구측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일저장실의 하부 일측과 상기 냉매흡입구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오일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저장실은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후벽면에 요입형성되는 제 1 요입부 및 이 제 1 요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커버에 요입형성되는 제 2 요입부가 합쳐져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기 하우징 및 커버는 상기 오일저장실에 U자형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으로부터 구동축선을 향해 돌출 형성된 분리벽을 구비하여, 냉매가 상기 오일저장실 내부에서 상기 구동축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위킹부재를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후벽면 및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십자리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하우징과 커버와의 결합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개스킷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에는 이들 요입부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고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오일저장실에 내장되는 상기 위킹부재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브는,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를 상기 유입구측의 상부공간과 상기 제 1 및 제 2 십자리브가 중앙 부근에 형성된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로리브와,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1 및 제 2 곡선리브와, 상기 제 1 요입부의 유입구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배치된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입부의 유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 요입부에는 위킹부재를 상기 유입구측으로 눌러주기 위한 원추형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킹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요입부의 형상과 같은 외곽 프로파일을 가지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로는 상기 냉매흡입구와 연통하도록 압축기 하우징의 상부벽에 일측에 형성된 오일공급로와, 상기 오일저장실과 상기 오일공급로를 연통시키는 오일회수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회수로는 압축기 하우징의 후방벽면 가장자리를 따라 요입 형성되며, 압축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개스킷 및 커버에 의해 그 유로가 밀폐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회수로는 상기 개스킷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로 절취 형성되며, 압축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그 유로가 밀폐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KR1020010018618A 2001-04-09 2001-04-09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KR10075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618A KR100755913B1 (ko) 2001-04-09 2001-04-09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618A KR100755913B1 (ko) 2001-04-09 2001-04-09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302A KR20020078302A (ko) 2002-10-18
KR100755913B1 true KR100755913B1 (ko) 2007-09-06

Family

ID=2770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18A KR100755913B1 (ko) 2001-04-09 2001-04-09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27B1 (ko) * 2019-04-04 202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 분리 효율이 향상된 전동식 압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3716A (en) * 1978-03-17 1979-09-26 Sanden Corp Lubricating device for cooling compressor
JPH1182338A (ja) * 1997-08-29 1999-03-26 Denso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1193880A (ja) * 1997-09-16 1999-04-06 Denso Corp 圧縮機
KR19990080933A (ko) * 1998-04-23 1999-11-15 신영주 왕복피스톤형의 냉매압축기
KR20020050776A (ko) * 2000-12-21 2002-06-27 신영주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3716A (en) * 1978-03-17 1979-09-26 Sanden Corp Lubricating device for cooling compressor
JPH1182338A (ja) * 1997-08-29 1999-03-26 Denso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1193880A (ja) * 1997-09-16 1999-04-06 Denso Corp 圧縮機
KR19990080933A (ko) * 1998-04-23 1999-11-15 신영주 왕복피스톤형의 냉매압축기
KR20020050776A (ko) * 2000-12-21 2002-06-27 신영주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302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362B1 (en) Internal oil separator for compressors of refrigeration systems
KR100551924B1 (ko) 냉매 압축기용 오일 분리 구조
US7181926B2 (en) Oil separator and muffler structure
KR100723811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0755913B1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KR100312780B1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US7060122B2 (en) Oil separator for a compressor
KR100819015B1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 분리기
KR100759791B1 (ko) 오일 분리기를 갖는 압축기
KR100697674B1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KR100719935B1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KR100776075B1 (ko) 오일분리기 일체형 응축기
KR100691460B1 (ko) 압축기 내장형 오일분리기
JP4354839B2 (ja) 気体圧縮機
KR19990080933A (ko) 왕복피스톤형의 냉매압축기
KR100542150B1 (ko) 오일분리기
JPH02308986A (ja) 圧縮機
EP2017555A1 (en) Internal heat exchanger
KR101041948B1 (ko) 압축기
JPH10141229A (ja) 圧縮機
KR100741681B1 (ko)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JPH0744767Y2 (ja) 圧縮機のオイルセパレータ
KR100753920B1 (ko) 압축기의 액 압축 방지구조
KR20000032413A (ko) 오일분리기
KR20020087178A (ko) 오일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