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640B1 -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640B1
KR100754640B1 KR1020060100832A KR20060100832A KR100754640B1 KR 100754640 B1 KR100754640 B1 KR 100754640B1 KR 1020060100832 A KR1020060100832 A KR 1020060100832A KR 20060100832 A KR20060100832 A KR 20060100832A KR 100754640 B1 KR100754640 B1 KR 10075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watch
call
stopwatch operation
display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탑와치 동작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호가 발생하면,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발생 된 호 수행을 위한 통화키 입력이 감지되면 동작 중인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발생 된 호를 연결하여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통화 수행 모드 전환 시 표시부에 스탑와치 동작 정보와 통화 수행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를 오프한다. 그리고 호 연결로 인한 통화 수행이 종료되면 동작 중인 스탑와치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스탑와치 동작 모드, 호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APPARATUS FOR MOVING STOPWATCH IN A WIRELESS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호 발생시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 발생시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탑와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추후의 휴대단말기는 점점 소형화, 다기능 및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한편, 휴대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러한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을 위한 메모리 기능, 잠금기능, 경보기능, 배경화면 설정기능, 지역번호 확인기능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만보기 기능, 스탑와치기능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통해 휴대단말기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용자들에게 있어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상기 부가적인 기능 중 스탑와치 기능은 사용자가 흔히 접할 수 없는 기능으로 휴대 단말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시계 사용이 적어지면서 사용자들에게 있어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휴대단말기에서는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 되면 동작 중인 스탑와치 동작 모드가 중지되고 상기 발생 된 호가 수행되었다. 때문에 사용자가 중요하게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호가 발생 되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스탑와치 동작 모드가 중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스탑와치 동작 모드가 동작하고 있는 중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종료하고 메시지 확인 후 스탑와치 동작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생된 호를 수행하는 동안 스탑와치 동작 모드가 유지될 경우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 유지로 인하여 표시부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호 수행에 따른 수신감도가 저하되며 이로 인해 통화의 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중에 호 발생시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호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호를 수행하는 동안 화면을 업데이트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상기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장치에 있어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통화 수행 정보와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에 따라 상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화 수행 정보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 수행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장치에 있어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스탑와치 동작 정보 표시 중에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통화 수행 정보만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에 따라 상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통화 수행 정보만을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장치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장치에 있어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메시지 수신을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수신된 메시지 확인이 선택되 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의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무선송수신부(110), 모뎀(120), 오디오처리부(130), 표시부(140), 키입력부(150) 및 메모리부(16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에 따라 상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표시부(140)에 상기 통화 수행 정보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화 수행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표시부(140)의 화면을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에 따라 상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부(140)에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통화수행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통화 수행이 종료되면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선택되면 표시부(140)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메시지 확인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무선송수신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1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무선송수신부(11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 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상기 통화 수행 정보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통화 수행 정보만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선택되면,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만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수신된 메시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으로 편지 봉투모양의 아이콘이나 전화 모양의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키입력부(15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메모리부(16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100)를 통해 엑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10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호 발생시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스탑와치 동작 모드인 200단계에서 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00)는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휴대단말기에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 알림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휴대단말기에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 알림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00)는 22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을 알리는 23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230단계에서 호 발생을 알리는 표시부(140)의 소정의 영역에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스탑와치 동작을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로 동작시키면서 호 발생만을 알릴 수 있다. 이는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휴대단말기에 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00)는 스탑와치 동 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을 알릴 것인지 선택받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을 알리는 것으로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이를 판단하고 230단계와 같이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을 알린다. 이때 제어부(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호 발생을 알리는 표시부(140)의 소정의 영역에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스탑와치 동작을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로 동작시키면서 호 발생만을 알릴 수 있다.
230단계에서 호 발생을 알리는 동안 24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호 연결을 위한 통화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250단계에서 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호 연결이 수행되어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표시부(140)에 상기 통화 수행 정보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한다. 또는 제어부(100)는 호 연결이 수행되어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스탑와치 동작을 백그라운드로 동작시키면서 표시부(140)에 통화 수행 정보만을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250단계에서 호 연결로 인한 통화 수행 모드가 수행되는 동안 일정 시간이 경과 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260단계에서 화면을 오프 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스탑와치 동작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인하여 표시부(140)의 화면이 지속적으로 켜져 있어야함에도 불구하고,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호 연결이 종료될 때까지 화면을 오프 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호 연결 중에 화면이 온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수신감도의 저하를 줄일 수 있 어 통화의 질이 향상된다. 또한, 스탑와치 동작 모드가 표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260단계에서 화면이 오프된 상태로 호 수행이 유지되는 중에 호 종료가 발생하면 제어부(100)는 27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스탑와치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280단계를 진행한다.
한편, 휴대단말기의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 될 때 제어부(100)는 220단계에서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호 발생을 알리는 것이 미리 설정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스탑와치의 동작을 중지하고 호 발생을 알리는 290단계를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 발생시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스탑와치 동작 모드인 300단계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표시부(140)에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320단계를 진행한다.
320단계에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40)에 메시지 수신 표시 후 33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키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휴대단말기에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00)는 34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35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350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40)의 소정의 영역에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스탑와치 동작을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로 동작시키면서 수신된 메시지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330단계에서 메시지 확인을 위한 소정의 키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것인지를 선택받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350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40)의 소정의 영역에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스탑와치 동작을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도록 백그라운드로 동작시키면서 수신된 메시지만을 표시할 수 있다.
350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메시지 확인을 종료하는 키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00)는 36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70단계에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 실행 중에 호 또는 메시지가 발생 되더라도 실행 중인 스탑와치의 동작을 계속 유지하면서 호 또는 메시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호 연결로 인한 통화 수행 모드에서 통화 수행 정보와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부(140)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일정시간 경과 후 표시부(14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 실행 중에 호 또는 메시지가 발생할 경우 실행 중인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계속 유지하면서 발생된 호 수행 또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중요하게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호 또는 메시지가 발생되어도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호 또는 메시지를 연결할 수 있다. 때문에 호 수행 또는 메시지 확인 후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다시 실행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탑와치 동작 모드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면서 표시부에 스탑와치 동작 정보와 통화 수행 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때에 지속적으로 화면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을 오프시킨다. 때문에 상기 화면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경우 발생하는 수신감도의 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통화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2)

  1.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장치에 있어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통화 수행 정보와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에 따라 상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화 수행 정보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화 수행모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되면, 스탑와치 동작 유지 설정 또는 스탑와치 동작유지를 알리는 메시지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스탑와치 동작정보를 표시하면서 호 발생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스탑와치 동작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호 발생만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5.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장치에 있어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스탑와치 동작 정보 표시 중에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통화 수행 정보만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 발생에 따라 상기 통화 수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통화 수행 정보만을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수행이 종료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되면, 스탑와치 동작 유지 설정 또는 스탑 와치 동작유지를 알리는 메시지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스탑와치 동작정보를 표시하면서 호 발생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호가 발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스탑와치 동작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호 발생만을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수행 모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오프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10.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 장치에 있어서,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메시지 수신을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수신된 메시지 확인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스탑와치 동작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면서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의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스탑와치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선택되면, 스탑와치 동작 유지 설정 또는 스탑와치 동작 유지를 알리는 메시지의 선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스탑와치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탑와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이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스탑와치 동작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탑와치 동작 장치.
KR1020060100832A 2006-10-17 2006-10-17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 KR10075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32A KR100754640B1 (ko) 2006-10-17 2006-10-17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32A KR100754640B1 (ko) 2006-10-17 2006-10-17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640B1 true KR100754640B1 (ko) 2007-09-05

Family

ID=3873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832A KR100754640B1 (ko) 2006-10-17 2006-10-17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6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746A (ko) * 1997-09-26 1999-04-15 정태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톱워치 구현방법
KR20020065030A (ko) * 2001-02-05 2002-08-13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타이머 기능 설정 방법
KR20020093264A (ko) * 2001-06-07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톱워치 기능 설정방법
KR20060057366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톱워치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746A (ko) * 1997-09-26 1999-04-15 정태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톱워치 구현방법
KR20020065030A (ko) * 2001-02-05 2002-08-13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타이머 기능 설정 방법
KR20020093264A (ko) * 2001-06-07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톱워치 기능 설정방법
KR20060057366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톱워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642B1 (ko) 와치 폰 및 상기 와치 폰에서 통화수행 방법
KR10074430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JP5133001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同機器における表示方法
KR20060110502A (ko)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KR20040041766A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EP1942396A1 (en) Method of controlling touch pa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007243275A (ja) 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画面表示方法および画面表示プログラム
KR101297776B1 (ko) 통신모드를 변경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JP2007288296A (ja) 携帯端末
WO2003021570A1 (en) Multi-icon display
KR200300495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754640B1 (ko) 휴대단말기에서 스탑와치 동작장치
JP4140844B2 (ja) 情報端末機器の電源オンオフシステムと記録媒体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JP4411352B2 (ja) 通信端末
KR100605820B1 (ko) 피디에이 기능과 폰 기능을 구비한 피디에이폰에서사용자데이터 보호방법
KR100618426B1 (ko) 모드 다이얼이 구비된 개인 휴대단말기 및 이의 키패드설정방법
KR100860685B1 (ko)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기능을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626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JP4240567B2 (ja) 電子機器、及び、点灯制御方法
JP5365539B2 (ja) 電子機器
KR2007006059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100800816B1 (ko) 휴대단말기에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