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52B1 -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52B1
KR100752852B1 KR1020050095602A KR20050095602A KR100752852B1 KR 100752852 B1 KR100752852 B1 KR 100752852B1 KR 1020050095602 A KR1020050095602 A KR 1020050095602A KR 20050095602 A KR20050095602 A KR 20050095602A KR 100752852 B1 KR100752852 B1 KR 10075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transmission
transmission protocol
protocol information
iec61883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179A (ko
Inventor
김순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852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EEE 1394 표준에 따르는 디바이스 내부의 컨피거레이션 롬(configuration ROM)에서 특정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필드에 해당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으로서, IEEE1394를 통하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을 경우, 상대기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스트림)을 지원하는지 쉽게 알아낼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 티브이, IEEE1394, IEC61883

Description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Method for generationg/displaying of audio/video transmission protocol information}
도 1은 일반적인 IEEE1394 기기들이 갖추고 있는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IEEE1394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이용한 소스 디바이스와 티브이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EC61883 스팩 정보가 등록된 configuration ROM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unit_sw_version 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unit_sw_version 필드의 값에 따른 IEC61883 스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EC 61883 스팩 정보가 등록된 configuration ROM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소스 디바이스 21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발명은 IEEE1394를 통하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을 경우, 상대 디바이스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스트림)을 지원하는지 알게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셋탑 박스 등과 같이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입력받아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고, 스피커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 기술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의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로서는 IEEE1394 위원회에서 승인한 IEEE1394 인터페이스가 있다. 상기 IEEE1394 인터페이스는 초기에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접속하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를 대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설계되었으나 고속 시리얼 버스뿐만 아니라 핫 플러깅, 유연한 토폴로지, 수많은 디지털 영상/음성 디바이스의 접속 및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 통신 모듈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컴퓨터나 정보 가전기기들을 접속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IEEE1394는 소비 전자 부분에서 데이터 전송용 고속 인터페이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특히 DTV에서도 스트림 전송 규격으로도 정해져 있다. 디티브이의 시장이 점점 확대되어 감에 따라 IEEE1394의 마켓 시장도 점점 넓어지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 또한 점점 빨라지고 있다.
현재 시중에 IEEE1394를 채용한 가전 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점점 시장에 나온 기기 상호간의 호환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제품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까지 알수가 없는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IEEE1394가 채용된 기기들 상호간에는 어떤 식으로든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면서 임의의 두 기기를 연결해보지만 실제적으로 제품들이 지원하는 스펙이나 기능이 제한되어 있어 소비자가 기대했던 동작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심지어는 기기들 자체에서 상대방 기기에 대한 어떤 정보도 소비자들에게 피드백 해주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여 소비자들을 당황케 하기도 한다.
이런 문제는 기술적으로는 상대방 기기는 어떤 형태의 데이터를 지원하는지 쉽게 알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각자 자기가 지원하는 데이터 이외에는 무시해버리는 동작을 취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프로토콜 스펙적으로 말하면, IEEE1394 프로토콜 스택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IEC61883중 상대방이 실제적으로 어느 파트를 구현하였고, 어느 파트를 구현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해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IEEE1394 기기들이 갖추고 있는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최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은 송신시 상위층인 링크 계층으로부터 비트열을 전달받고, 시리얼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비트열을 부호화하고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버스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시에는 상기 송신시의 역과정을 따른다.
링크계층(Link Layer)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취급하며, 패킷의구성 및 분해, 에러의 검출, 버스 사이클의 관리 등의 역할을 한다.
트랜잭션 계층(Transaction Layer)은 read/write/lock과 같은 트랜잭션을 제공하며, 하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1394 버스상의 다른 노드와 비동기 통신을 수행한다.
IEEE1394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바이스들을 연결하였을 경우, 실질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기기간에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IEEE1394 규격만으로는 다소 부족하다. 즉, A/V 데이터를 주고 받을 기기간의 연결을 확립하는 과정이나 A/V 데이터를 전송할 Isochronous 채널 등에 관한 약속이 기기 상호간에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IEC61883 규격이다.
IEC61883에서는 크게 기능 제어 프로토콜(FCP, Function Control Protocol)과 연결관리 프로토콜(CMP, Connection Management Protocol)을 정의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CMP는 기기간의 Isochronous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구조 를 정의하고, FCP는 AV/C CTS와 같은 커맨드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웍을 제공한다.
IEC61883의 또 다른 특징은 CIP헤더 구조를 정의하는데 있다. CIP 헤더에는 Isochronous 패킷 속에 담긴 소스 스트림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IEEE1394규격과 IEC61883규격에서는 기기간의 제어를 위해서 제어 명령을 사용한다. 가장 대표적인 제어 명령으로서 AV/C CTS가 있다. 이방식은 기기의 기능마다 16진수의 코드를 정의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VCR에 대한 play 명령은 16진수로 '0*C8'이라고 정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IEC 61883 FCP 계층의 상위 계층인 최상위 계층에는 IEEE1394 인터페이스 기술을 채택한 디바이스의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계층이 위치된다.
이러한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는 IEEE1394 인터페이스 기술로 셋탑 박스등의 디바이스와 디지털 티브이 수상기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연결한 경우에 그 소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호간에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가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화면상에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 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상에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된 디바이스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소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을 맺게 되고, 소스 디바이스와 현재 수신하고 있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IEEE1394를 통해서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가 IEC61883 스펙중 어떤 스펙을 구현하였는지 알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상대방이 어떤 형태의 데이터를 지원하는지 직접적으로 알수가 없었다. 그래서 많은 티브이들은 AV/C 스펙상의 제품 카테고리와 기기가 지원하는 미디어의 형태에 따라서 제품을 구분한 후, 그 정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각 기기가 어떤 데이터를 지원하는지 알아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를들면, 테이프 디바이스이고, 지원하는 미디어가 DVHS 테이프이면, DVHS Player, 테이프 디바이스이고, 지원하는 미디어가 MicroMW이면, Micro MV 캠코더, 테이프 디바이스이고, 지원하는 미디어가 DV이면, DV 캠코더이다. 여기서, DVHS Player와 Micro MV 캠코더는 출력을 엠펙2-TS로 하므로, 디지털 티브이와 연결하면 동작하고, DV 캠코더는 출력을 DV로 하므로 티브이와 연결시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 제품군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기들도 많이 있다. DV 캠코더와 HDV 캠코더는 둘다 DV 캠코더이지만, 서로 다른 출력을 내준다. 또한, DV 전송 DVD Player와 Audio 전송 DVD Player는 둘다 DVD 플레이어 이지만, 서로 다른 스트림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기존 방법으로는 기기들간의 구분을 해줄 수가 없다. 또한,단일 기기에서 두 가지 출력 포맷을 동시에 지원하는 제품이 등장한다면 이 역시 마찬가지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EEE 1394를 지원하는 기기에서 IEC61883 스펙중 어느 파트를 구현하였는지를 쉽게 알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EEE 1394 표준에 따르는 디바이스 내부의 컨피거레이션 롬(configuration ROM)에서 특정 필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필드에 해당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특정 필드는 IEC61883 unit_directory내에 unit_sw_version 필드이고, 상기 IEC61883 unit_directory는 상기 디바이스가 IEC 61883 스팩을 지원하면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는 상기 unit_sw_version의 제2 옥텟의 하위 4비트와 제3 옥텟의 상위 4비트에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IEEE 1394 표준에 따르는 디바이스 내부의 컨피거레이션 롬(configuration ROM)의 특정 영역에 필드를 추가하고, 상기 추가된 필드에 해당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IEEE 1394 표준에 따르는 디바이스 내부의 컨피거레이션 롬(configuration ROM)의 특정 영역에 필드를 추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필드는 IEC61883 unit_directory내에 추가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IEEE1394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상대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데이터 형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가 삽입된 필드를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필드 정보를 디코딩하여 해당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트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형태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형태를 지원하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IEEE1394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캠코더, DVD 플레이어 등의 소스 디바이스(200)는 디지털 티브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와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2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가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는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는 소스 디바이스(200)가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화면상에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의 화면상에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된 디바이스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소스 디바이스(200)를 선택하면, 소스 디바이스(2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을 맺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0, 이하에서는 디지털 티브이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인 디지털 티브이(210)는 리모콘 신호가 입력될때 IEEE 1394 직렬 버스의 초기화시에 취합된 명령어 테이블과 디바이스 정보를 근거로 현재 하달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 중에서 목적한 기기 를 선택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200)는 상기 IEEE 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티브이(210)와 연결되면, 상기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영상/음성 신호와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지털 티브이(210)에 전송한다. 즉, 상기 디지털 티브이(210)는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200)와 연결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200)에서 디바이스 정보를 읽어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모델명, 프로토콜 정보,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티브이(210)는 상기 프로토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소스 디바이스(200)의 IEC 61883 스팩의 지원 범위를 알 수 있다.
즉, 상기 티브이(210)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200)가 지원하는 IEC61883 스펙 정보가 등록된 필드를 읽고, 그 읽어진 IEC61883 스펙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IEC 61883 스팩을 확인한다. 그런다음 상기 티브이(210)는 상기 확인된 IEC 61883 스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200)가 어떤 형태의 데이터를 지원하는지 판단한다. 그런다음 상기 티브이(210)는 상기 판단된 데이터 종류가 지원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EEE 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이용한 소스 디바이스와 티브이간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티브이는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되면(S300),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S302). 즉, 상기 티브이는 IEEE1394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영역을 읽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모델명, 프로토콜 정보,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티브이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정보를 원하면, 상기 티브이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configuration ROM에 등록된 IEC61883 Unit_directory내 Unit_Sw_version 필드의 정보를 읽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정보와 IEC61883 스팩 정보를 확인한다.
단계 302가 수행되면, 상기 티브이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IEC 61883 스팩을 판단한다(S304). 즉, 상기 티브이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내 프로토콜 정보를 이용하여 지원되는 IEC 61883 스팩을 판단한다.
단계 304가 수행되면, 상기 티브이는 상기 판단된 IEC61883 스팩에 해당하는 데이터 형태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한다(S306).
단계 306의 판단결과 상기 IEC61883 스팩에 해당하는 데이터 형태를 지원하면, 상기 티브이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한다(S308).
만약, 단계 306의 판단결과 상기 판단된 IEC61883 스팩에 해당하는 데이터 형태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티브이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영상/음성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S310).
상기와 같이 티브이가 소스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의 정보를 읽어서 IEC61883 스팩을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에 IEC61883 스팩 정보가 특정 영역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디바이스의 특정 영역은 예를 들면, configuration ROM의 IEC61883 unit_directory내 일수 있다.
각 디바이스에 IEC61883 스팩 정보가 등록된 형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IEC61883 스팩 정보가 등록된 configuration ROM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unit_sw_version 필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unit_sw_version 필드의 값에 따른 IEC61883 스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onfiguration ROM에는 bus info block(400), root_directory(410), unit_directory(420), node_unique_id leaf(4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unit_directory(420)에 등록되어 있다. 상기 unit_directory(420)에는 unit_directory_length, unit_spec_id, unit_sw_version(425)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unit_directory(420)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여러개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해당 디바이스에 IEC 61883 스펙이 구현되면, unit_directory(420)부분에 IEC 61883 unit_directory가 생성된다. 상기 IEC61883 unit_directory의 unit_sw_version에는 소스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정보, IEC 61883 스팩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티브이는 IEC61883 unit_directory내 unit_sw_version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IEC61883 스팩을 알 수 있다.
상기 IEC61883 unit_directory내 unit_sw_version에 대하여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IEC61883 unit_directory내 unit_sw_version에는 버전 정보에 따라 명령/트랜잭션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unit_sw_version의 버전 정보
Figure 112005057445396-pat00001
이면, AV/C 프로토콜을 지원,
Figure 112005057445396-pat00002
이면, HAVi 프로토콜 지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티브이는 상기 IEC61883 unit_directory내 unit_sw_version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소스 디바이스가 어떤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어떤 IEC61883 스팩을 지원하는지를 알 수 있다.
종래의 unit_sw_version은 제2 옥텟의 하위 4비트(500)와 제3 옥텟의 상위 4비트(510)는 모두 '0'으로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 옥텟의 하위 4비트(500)와 제3 옥텟의 상위 4비트(510)에 의미를 부여하여 IEC61883 스팩 구현 범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unit_sw_version에는
Figure 112005057445396-pat00003
이면, AV/C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Figure 112005057445396-pat00004
이면, HAVi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여기서, IEC61883 스팩 구현 범위를 알기 위하여 제2 옥텟의 하위 4비트(500)와 제3 옥텟의 상위 4비트(510)에 도 6과 같이 의미를 부여한다.
즉, 지원되는 프로토콜 정의 영역의 Second octet 하위 4bit(500)와 third octet 상위 4bit(510)에 도 6과 같은 의미를 부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Figure 112005057445396-pat00005
에 해당하는 AV/C 프로토콜의 Second octet 하위 4bit(500)와 third octet 상위 4bit(510)에 0x01을 할당하면, IEC61883 Part1 구현, 0x02를 할당하면 IEC61883 Part2 구현, 0x04를 할당하면, IEC61883 Part3 구현, 0x08을 할당하면, IEC61883 Part4 구현, 0x10을 할당하면 IEC61883 Part5 구현, 0x20을 할당하면 IEC61883 Part6 구현, 0x40을 할당하면 IEC61883 Part7 구현, 0x80을 할당하면, Reserved등과 같이 부여한다.
즉, 각 bit가 각 Part를 나타내도록 한다.
예를 들어, IEC61883 Part1&4 를 구현하고 AV/C protocol을 지원하는 device의 Unit_Sw_Version 값은 010091 가 된다. 이런 식으로, Unit_Sw_Version을 이용하면 소스 디바이스의 Protocol Stack의 구현을 손쉽게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EC 61883 스팩 정보가 등록된 configuration ROM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와 같은 포맷의 IEC61883 unit_directory(620)내부의 특정 field를 별도로 지정해서, 소스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스택(IEC61883 스팩)을 구현한다.
즉, IEC61883 Unit_Directory(620)내에 IEC61883_Implement(625)라는 field 를 1Byte 정도로 새롭게 추가한다. 상기 IEC61883_Implement필드(625)에는 도 6과 같은 값이 부여되어 IEC 61883 구현 스펙을 알 수 있다.
즉, 0x00 : Reserved, 0x01 : IEC61883 Part1 구현, 0x02 : IEC61883 Part2 구현, 0x04 : IEC61883 Part3 구현, 0x08 : IEC61883 Part4 구현, 0x10 : IEC61883 Part5 구현, 0x20 : IEC61883 Part6 구현, 0x40 : IEC61883 Part7 구현, 0x80 : Reserved등과 같이 부여한다.
따라서, 티브이는 소스 디바이스의 configuration ROM의 IEC61883 Unit_Directory(620)내 unit_sw_version 필드(622)를 읽어서 지원되는 프로토콜을 확인하고, IEC61883_Implement field(625)를 읽어서 그 기기의 IEC61883 스팩을 확인한다.
예를 들면, IEC61883_Implement field(625)값이 0x12 라면, IEC61883 Part 2와5가 구현되었다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EEE1394를 통하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을 경우, 상대기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스트림)을 지원하는지 쉽게 알아낼 수 있는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Category는 같지만 서로 다른 형태의 스트림을 출력해주는 기기들에 대한 구분을 보다 명확하게 해 줄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기기에서 두 가지 출력 포맷을 지원하는 기기들에 대해서, flexible하게 대응할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V/C Command를 사용하여 복잡하게 이루어지던, 상대기기 판별에 한층 더 쉽고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의 형태(AV/C 스펙상의 Category)나 기기가 지니고 있던 Medium의 형태에 따라서 제품을 구분하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기기가 지원하는 데이터(혹은 스트림)의 종류에 따라서 제품을 구분하도록 하여 Application 개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EEE1394 기기들 간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IEEE 1394 표준에 따르는 디바이스 내부의 컨피거레이션 롬(configuration ROM)에서 IEC 61883 unit_directory 내에 unit_sw_version 필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필드에 해당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EC61883 unit_directory는 상기 디바이스가 IEC 61883 스팩을 지원하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는 IEC61883 스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필드에 해당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는 상기 unit_sw_version의 제2 옥텟의 하위 4비트와 제3 옥텟의 상위 4비트에 의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
  6. IEEE 1394 표준에 따르는 디바이스 내부의 컨피거레이션 롬(configuration ROM)의 IEC 61883 unit_directory 내에 필드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추가된 필드에 해당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는 IEC61883 스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방법.
  9. IEEE1394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상대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데이터 형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가 삽입된 필드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읽어온 필드 정보를 디코딩하여 해당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트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형태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형태를 지원하면,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표시 방법.
KR1020050095602A 2005-10-11 2005-10-11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 KR10075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02A KR100752852B1 (ko) 2005-10-11 2005-10-11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02A KR100752852B1 (ko) 2005-10-11 2005-10-11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179A KR20070040179A (ko) 2007-04-16
KR100752852B1 true KR100752852B1 (ko) 2007-08-29

Family

ID=3817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602A KR100752852B1 (ko) 2005-10-11 2005-10-11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8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453A (ko) * 1998-06-19 2000-01-15 윤종용 프로그램 스트림을 재생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및 그를 구비한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453A (ko) * 1998-06-19 2000-01-15 윤종용 프로그램 스트림을 재생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및 그를 구비한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179A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0491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5240492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N100469023C (zh) 数字电视装置和用于在数字总线中建立通信信道的方法
JP5391911B2 (ja) 電子機器
KR20080046858A (ko) 미디어 싱크 기기, 미이어 소스 기기 및 미디어 싱크기기의 제어 방법
US6639914B1 (en) Analog translator for IEEE 1394 and translating method thereof
EP2262252A1 (en) HDMI switch with analogue inputs
KR100752852B1 (ko)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 정보의 생성 및 표시 방법
KR20010071861A (ko) 네트워크 접속 인식 방법 및 네트워크 접속 단말 장치
JP5238468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1061692A2 (en) Controll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JPH11205313A (ja)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表示方法
KR100677235B1 (ko) DTVLink 기반의 캡션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0617B1 (ko) DTVLink기반의 OSD 데이터 처리 방법
EP1098475A1 (en) Network connection recognition method, network system and network connection terminal device
JP2002544721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情報をデジタル情報モードのアナログコネクション手段へ供給する再生装置
KR20000025438A (ko)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방법
JP2000278282A (ja) 表示データ出力装置及び表示方法
MXPA01000940A (es) Metodo para la transmision de datos a un dispositivo para la transmision de datos y sistema de transm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