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278B1 -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278B1
KR100752278B1 KR1020060103286A KR20060103286A KR100752278B1 KR 100752278 B1 KR100752278 B1 KR 100752278B1 KR 1020060103286 A KR1020060103286 A KR 1020060103286A KR 20060103286 A KR20060103286 A KR 20060103286A KR 100752278 B1 KR100752278 B1 KR 10075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uel filter
plug
rai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호
Original Assignee
삼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정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연통하는 연결통로(1b) 및 상기 공급홀(1c)을 통해 연결통로(1b)와 연결되는 관통구멍(1f)을 구비하도록 사출성형된 다수의 연료필터커버(1)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커버공급기(10)와, 상기 관통구멍(1f)을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로서 사출성형된 다수의 커버플러그(2)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러그공급기(20)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로부터 공급받은 커버플러그(2)가 상기 커버공급기(1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연료필터커버(1)와 커버플러그(2)를 일체로 조립시키는 조립장비(30)와, 상기 커버플러그(2)가 결합된 연료필터커버(1)를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동시에 막고 어느 한쪽으로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커버플러그(2)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검사장비(40)와, 상기 커버공급기(10)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 및 상기 조립장비(30)와 상기 검사장비(4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커버플러그(2)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러(50)로 구성되어져, 성능이 우수한 완전한 제품을 빠른 시간안에 생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and checking of fuel filter cover and cover plug}
도 1과 도 2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분리상태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저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커버공급기와 제1커버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2커버이동수단과 조립장비 및 플러그공급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3커버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검사장비와 제품배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1 내지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배출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료필터커버 1a - 유입홀
1b - 연결통로 1c - 공급홀
1f - 관통구멍 2 - 커버플러그
10 - 커버공급기 20 - 플러그공급기
30 - 조립장비 40 - 검사장비
50 - 메인콘트롤러 60 - 제1커버이동수단
70 - 제2커버이동수단 80 - 제3커버이동수단
90 - 제품배출수단 110 - 배출가이드
본 발명은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를 조립하고 동시에 올바르게 조립되었는가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모든 운전조건에서 엔진에 필요한 연료를 가장 청정된 상태로 공급하는 장치인 연료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 장치의 주요부는 연료 여과장치 및 펌핑장치이며 이곳에서 연료와 이물질을 적절히 여과시켜 엔진에 공급한다.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연료속의 수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연료필터,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펌프 등이 있다.
상기 연료필터(fuel filter)에는 필터케이스를 밀폐시키기 위한 연료필터커버(fuel filter cover)가 결합되는 바, 상기 연료필터커버(1)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로부터 연료펌프를 통해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홀(1a)과, 상기 유입홀(1a)과 연결통로(1b)를 통해 연통되는 한편 상기 필터케이스내의 엘리먼트로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홀(1c) 및, 상기 엘리먼트를 통과한 연료를 엔진의 공급파이프로 배출하는 배출홀(1d) 등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1a)과 공급홀(1c) 및 배출홀(1d)은 상기 연료필터커버(1)의 바닥면(1e)으로 개구되는 형상이다.
한편, 상기 연료필터커버(1)는 통상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며, 이로 인해 상기 유입홀(1a)과 상기 공급홀(1c)사이에 연결통로(1b)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통로(1b)와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급홀(1c)을 지나 외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f)을 함께 형성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관통구멍(1f)은 연료필터커버(1)가 필터케이스를 밀폐시키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개방된 구멍이므로, 이후 별도로 사출성형된 커버플러그(2)를 통해 밀폐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커버플러그를 연료필터커버의 관통구멍으로 삽입시켜 연료필터커버와 일체로 조립하고, 조립후에는 상기 관통구멍이 완전히 밀폐되었는가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유입홀과 공급홀을 연통하는 연결통로 및 상기 공급홀을 통해 연결통로와 연결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도 록 사출성형된 다수의 연료필터커버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커버공급기와; 상기 관통구멍을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로서 사출성형된 다수의 커버플러그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러그공급기와; 상기 플러그공급기로부터 공급받은 커버플러그가 상기 커버공급기로부터 공급받은 연료필터커버의 관통구멍을 밀폐시키도록 열융착을 통해 상기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를 일체로 조립시키는 조립장비와; 상기 커버플러그가 결합된 연료필터커버를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유입홀과 공급홀을 동시에 막고 어느 한쪽으로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커버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검사장비와; 상기 커버공급기와 상기 플러그공급기 및 상기 조립장비와 상기 검사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커버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유입홀(1a)과 연결통로(1b)와 공급홀(1c)과 배출홀(1d)과 바닥면(1e) 및 관통구멍(1f)을 구비하도록 사출성형한 연료필터커버(1)에 별도로 사출성형한 커버플러그(2)를 일체로 조립시키고, 동시에 조립상태를 검사하여 제품수거박스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1a)과 공급홀(1c) 을 연통하는 연결통로(1b) 및 상기 공급홀(1c)을 통해 연결통로(1b)와 연결되는 관통구멍(1f)을 구비하도록 사출성형된 다수의 연료필터커버(1)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커버공급기(10)와, 상기 관통구멍(1f)을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로서 사출성형된 다수의 커버플러그(2)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러그공급기(20)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로부터 공급받은 커버플러그(2)가 상기 커버공급기(1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을 밀폐시키도록 열융착을 통해 상기 연료필터커버(1)와 커버플러그(2)를 일체로 조립시키는 조립장비(30)와, 상기 커버플러그(2)가 결합된 연료필터커버(1)를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동시에 막고 어느 한쪽으로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커버플러그(2)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검사장비(40)와, 상기 커버공급기(10)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 및 상기 조립장비(30)와 상기 검사장비(4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커버플러그(2)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러(5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공급기(1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된 다수의 연료필터커버(1)를 보관함과 더불어 진동에 의한 떨림현상을 이용해 스크루형상의 수납함레일(11a)을 따라 연료필터커버(1)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커버수납함(11)과, 상기 수납함레일(11a)과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버수납함(11)의 떨림현상을 이용해 연료필터커버(1)를 이동시키는 커버공급레일(12)과, 상기 커버공급레일(12)과는 서로의 끝단이 이격되어 상기 커버수납함(11)의 떨림현상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조립다이(31)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버공급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가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정지블록(1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수납함(11)은 그 내부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액추에이터(도시않됨)를 통해 초당 수십 내지 수백 번의 진동 떨림현상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떨림현상에 의해 커버수납함(11)속에 보관된 다수의 연료필터커버(1)는 수납함레일(11a)을 따라 한 개씩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다음 공정으로 공급되어 진다.
또한, 상기 커버공급레일(12)과 상기 정지블록(13)은 바닥면(12a,13a)이 수직하게 위치하여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료필터커버(1)는 그 바닥면(1e)이 상기 커버공급레일(12) 및 정지블록(13)의 바닥면(12a,13a)과 면접한 상태이면서 관통구멍(1f)이 이동방향(정지블록이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정지블록(13)과 인접한 조립다이(31)에 설치되어 상기 정지블록(13)에 일시적으로 고정된 연료필터커버(1)를 정지블록(13)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조립장비(3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커버이동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커버이동수단(60)은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공급레일(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조립다이(3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레일(61)과, 상기 제1고정레일(6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단이 상기 정지블록(13)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제1고정레일(61)에 결합되는 한편 에어실린더(62a) 의 힘으로 상기 제1고정레일(61)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이동레일(62)과, 상기 제1이동레일(62)상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63a)의 힘으로 상기 제1이동레일(62)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이동블록(63)과, 상기 정지블록(13)과 마주 대하는 제1이동블록(63)의 전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이동블록(63)을 관통하는 중심축(64a)을 통해 에어실린더(64b)의 힘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정지블록(13)에 위치한 연료필터커버(1)를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제1클램프(6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클램프(64)는 상기 제1클램프(64)에 의해 잡혀져서 정지블록(13)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이 일측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방향을 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90°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클램프(64)는 도 13의 상태에서 중심축(64a)을 기준으로 도시된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90°회전하여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립장비(30)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다이(31)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커버이동수단(60)으로부터 연료필터커버(1)를 전달받아 조립장비(30)로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조립장비(30)를 통해 커버플러그(2)가 조립된 연료필터커버(1)를 검사장비(40)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커버이동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커버이동수단(70)은 도 1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장비(30)의 전방측에서 상기 제1고정레일(61)과 평행하도록 조립다이(31)상 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레일(71)과, 상기 제2고정레일(71)상에 직교되는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에어실린더(72a)의 힘으로 제2고정레일(71)을 따라 조립장비(30)의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제2이동레일(72)과, 상기 제2이동레일(72)상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73a)의 힘으로 제2이동레일(72)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제3이동레일(73)과, 상기 제3이동레일(73)의 전면에 상기 제2고정레일(71)과 평행하도록 일체로 결합된 막대형상의 제1고정블록(74)과, 상기 제1고정블록(74)의 양단 전면에서 제1고정블록(74)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공압의 힘으로 연료필터커버(1)를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게 동작하는 제2클램프(75) 및 제3클램프(76)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5 내지 도 27에는 본 발명의 조립장비(30)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상기 제2고정레일(71)의 길이방향 중간부위에서 상기 제2고정레일(71)보다 후방쪽에 위치하도록 조립다이(31)상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2클램프(75)를 통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가 그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게 연료필터커버(1)와 동일한 모양으로 삽입홈(32a)이 음각되어 형성된 커버블록(32)과, 상기 제2고정레일(71)보다 전방측에 위치하여 조립다이(31)상에 고정 설치된 다이프레임(33)과, 상기 다이프레임(33)에 고정 설치된 에어실린더(34a)를 통해 전후진 작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삽입홈(32a)으로 삽입된 연료필터커버(1)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뭉치(34)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를 통해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으로 공급된 커버플러그(2)를 가압하면서 레이저 열융착을 이용해 상기 연료필터커버(1)와 일체로 결합시키는 가압봉(35)과, 상기 메인콘트롤 러(50)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압봉(3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서포트콘트롤러(36;도3 내지 도5 도시)로 구성된다.
또한, 도 6과 도 15 내지 도 27에는 본 발명의 플러그공급기(20)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상기 조립장비(3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사출성형된 다수의 커버플러그(2)를 보관함과 더불어 진동에 의한 떨림현상을 이용해 스크루형상의 수납함레일(21a)을 따라 커버플러그(2)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러그수납함(21)과, 상기 수납함레일(21a)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그 선단이 상기 커버블록(3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수납함(21)의 떨림현상을 이용해 커버플러그(2)를 이동시키는 플러그공급레일(22)과, 상기 커버블록(32)으로부터 이격된 조립다이(31)상에 전후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공급레일(22)을 통해 이동되어 온 커버플러그(2)가 일시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블록(32)과 인접한 선단에 안착부(23a)를 구비한 제3고정레일(23)과, 상기 제3고정레일(23)상에 결합되면서 에어실린더(24a)에 의해 제3고정레일(23)을 따라 전후방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23a)에 놓여진 커버플러그(2)를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뭉치(24b)를 전면에 구비한 제2이동블록(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수납함(21)은 커버수납함(11)과 같이 그 내부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액추에이터(도시않됨)를 통해 초당 수십 내지 수백 번의 진동 떨림현상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떨림현상에 의해 플러그수납함(21)속에 보관된 다수의 커버플러그(2)는 수납함레일(21a)을 따라 한 개씩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플러그공급레일(22)로 공급되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커버블록(32)을 중심으로 제1클램프(64)에 대향하는 조립다이(31)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립장비(30)를 통해 커버플러그(2)의 조립이 완료된 연료필터커버(1)를 제2커버이동수단(70)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검사장비(40)로 이동시키는 제3커버이동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3커버이동수단(80)은 도 28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블록(32)의 일측부에서 제2고정레일(71)과 평행하도록 조립다이(31)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4고정레일(81)과, 상기 제4고정레일(81)상에 결합되면서 에어실린더(82a)에 의해 제4고정레일(81)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제3이동블록(82)과, 상기 제3이동블록(82)의 전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3이동블록(82)을 관통하는 중심축(83a)을 통해 에어실린더(83b)의 힘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3클램프(76)를 통해 커버블록(32)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를 공압의 힘으로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게 동작하는 제4클램프(8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클램프(83)는 제4클램프(83)에 의해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의 바닥면(1e)이 조립다이(31)의 전방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방향을 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90°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4클램프(83)는 도 29의 상태에서 중심축(83a)을 기준으로 도시된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90°회전하여 도 30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사장비(40)는 도 34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 조립다이(31)의 일측에 위치하고 바깥 둘레의 일부분이 상기 제4고정레일(81)보다 높은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어 중심축(41a)을 매개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중심축(41a)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일직선상마다 다수개의 커버안착홀(41b)이 형성된 원형회전판(41)과, 상기 제4고정레일(81)로부터 인접한 원형회전판(41)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레일(42a)을 구비하도록 상기 원형회전판(41)의 주위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42)과, 상기 상부레일(42a)의 하측에서 상부레일(42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레일(42a)과 결합되는 한편 에어실린더(43a)를 통해 상기 상부레일(42a)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제4이동레일(43)과, 상기 제4이동레일(43)의 하측에서 에어실린더(44a)를 통해 상기 제4이동레일(43)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동작하는 제1실린더뭉치(44)와, 상기 제1실린더뭉치(44)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4클램프(83)를 통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를 공압의 힘으로 선택적으로 잡아서 상기 커버안착홀(41b)로 삽입시킬 수 있게 동작하는 제5클램프(45)와, 상기 원형회전판(41)의 동작에 간섭됨이 없도록 후방측에 설치된 본체(46a)의 전면에 제4이동레일(43)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버안착홀(41b)로 삽입된 각각의 연료필터커버(1)마다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동시에 막은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에어를 불어넣을 수 있게 동작하는 테스트실린더뭉치(46)와, 상기 메인콘트롤러(50)의 제어를 통해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서포트콘트롤러(4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형회전판(41)은 상기 제5클램프(45)의 수직 하방에 위치한 커버안착홀(41b)이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의 수직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중심축(41a)을 기준으로 90°의 각도로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원형회전판(41)은 도 39와 같은 상태에서 중심축(41a)을 기준으로 도시된 화살표 R3의 방향으로 90°씩 순차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원형회전판(41)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은 상기 메인콘트롤러(50)의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것으로서, 에어실린더나 또는 모터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커버안착홀(41b)로 삽입된 연료필터커버(1)는 그 바닥면(1e)이 상측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와 대향하는 전방측의 베이스프레임(42)에 설치되어 테스트실린더뭉치(46)에 의한 검사종료 후 원형회전판(41)을 통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를 원형회전판(41)으로부터 취출하여 배출가이드(110)로 배출시키는 제품배출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품배출수단(90)의 구성은 도 34 내지 도 4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 상기 원형회전판(41)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42)과 일체화 된 서포트프레임(91a)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레일(42a)과 평행한 전후방향으로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동작하는 배출용실린더(91)와, 상기 배출용실린더(91)의 전면에 결합되어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동작하는 제2실린더뭉치(92)와, 상기 제2실린더뭉치(92)의 하단에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의 배열과 동일한 좌우방향으로 결합된 막대형상의 제2고정블록(93)과, 상기 원형회전판(41)의 커버안착홀(41b)과 수직 상방으로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제2고정블록(93)의 밑면에 장착되어 공압의 힘으로 상기 커버안착홀(41b)로부터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취출한 후 제품수거박스(121,123)와 연결된 배출가이드(110)로 배출시키는 다수개의 배출용클램프(9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가이드(110)에는 도 41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가이드통로를 이중 분할하여 그 중 한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칸막이(111)가 메인콘트롤러(50)의 제어신호를 받는 칸막이실린더(113)의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칸막이(111)에 의해 분할되는 어느 한 개의 가이드통로는 검사장비(40)를 통한 제품의 검사종료 후 이상이 없는 완제품배출통로(115)로서 완제품을 수거하는 제품수거박스(121)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한 개의 가이드통로는 불량품배출통로(117)로서 서포트가이드(119)를 통해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품수거박스(123)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과 같이 커버수납함(11)속에 위치한 연료필터커버(1)는 커버수납함(11)의 진동 떨림현상에 의해 스크루형상의 수납함레일(11a)을 따라 도 8과 같이 커버공급레일(12)로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커버공급레일(12)에 위치한 연료필터커버(1)는 커버수납함(11)의 진동 떨림현상을 전달받은 커버공급레일(12)의 움직임에 의해 정지블록(13)으로 이동하여 도 9와 같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한 개의 연료필터커버(1)가 정지블록(13)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커버수납함(11)의 진동 떨림현상은 일시적으로 멈춰지게 되고, 이에 따라 커버공급레일(12)에 위치한 그 다음의 연료필터커버(1)들은 정지블록(13)을 향하여 움직이는 것이 멈춰지게 된다.
일시적으로 진동 떨림현상이 멈춰진 상기 커버수납함(11)은 정지블록(13)속에 삽입된 연료필터커버(1)가 도 13과 같이 제1커버이동수단(60)에 의해 이탈되었을 때 다시 진행되며, 이후 그 다음번의 새로운 연료필터커버(1)가 커버공급레일(12)을 따라 이동하여 정지블록(13)속으로 삽입된다.
한편, 커버공급레일(12)을 따라 이동하여 온 연료필터커버(1)가 정지블록(13)속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면, 제1이동블록(63)은 에어실린더(63a)의 동작으로 도 9의 상태에서 제1이동레일(62)을 따라 정지블록(13)이 있는 전방쪽으로 이동을 하여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의 상태에서 공압이 공급되면 제1클램프(64)는 도 12와 같이 정지블록(13)속에 위치한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고정하게 된다.
연료필터커버(1)가 제1클램프(64)에 잡혀지고 나면, 제1이동레일(62)은 에어실린더(62a)의 동작으로 도 13과 같이 제1고정레일(61)을 따라 커버블록(32)이 있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동 후 상기 제1클램프(64)는 에어실린더(64b)의 동작에 의해 도 13의 상태에서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90°회전을 하여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제1클램프(64)가 회전하기 전에는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이 커 버블록(32)이 있는 우측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고, 회전후 상기 관통구멍(1f)은 도 14와 같이 위쪽을 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에어실린더(73a)의 작동으로 제3이동레일(73)이 제2이동레일(72)을 따라 도 17과 같이 커버블록(32)이 있는 후방을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되면 제2클램프(75)가 제1클램프(64)에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와 대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공압이 공급되면 제2클램프(75)는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고정하게 된다.
동시에 제1클램프(64)는 공압이 해제됨으로 인해 연료필터커버(1)를 놓아주게 되며, 이후 상기 제1클램프(64)는 제1커버이동수단(60)이 도 9와 같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함으로 인해 다음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클램프(75)가 연료필터커버(1)를 잡게되면 에어실린더(73a)의 작동으로 제3이동레일(73)이 제2이동레일(72)을 따라 도 18과 같이 전방쪽으로 후퇴이동을 하게 되며, 또 다른 에어실린더(72a)의 작동으로 상기 제2이동레일(72)은 제2고정레일(71)을 따라 도 19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2클램프(75)에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는 커버블록(32)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실린더(73a)의 작동으로 제3이동레일(73)이 제2이동레일(72)을 따라 커버블록(32)이 있는 후방을 향해 전진 이동하게 되면 제2클램프(75)에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는 도 20과 같이 커버블록(32)의 삽입홈(32a)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고, 계속해서 또 다른 에어실린더(34a)의 작동으로 고정뭉치(34)가 도 21과 같이 후방을 향해 전진 이동하여 그 선단이 삽입홈(32a)으로 삽입된 연 료필터커버(1)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료필터커버(1)는 커버블록(32)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필터커버(1)가 커버블록(32)속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안착부(23a)에 위치한 커버플러그(2)를 도 22와 같이 흡착뭉치(24)가 진공 흡착하게 되고, 도 23과 같이 제2이동블록(24)이 에어실린더(24a)의 동작으로 커버블록(32)을 향해 전방 쪽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면 상기 흡착뭉치(24)에 흡착된 커버플러그(2)는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흡착뭉치(24)의 진공 흡입력이 제거되면 상기 커버플러그(2)는 도 24와 같이 흡착뭉치(24)로부터 이탈되어 관통구멍(1f)속으로 삽입되며, 이후 도 25와 같이 가압봉(35)이 하강하여 그 선단을 통해 커버플러그(2)를 가압하면서 레이저를 이용해 열융착시켜 연료필터커버(1)와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연료필터커버(1)와 커버플러그(2)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도 26과 같이 고정뭉치(34)가 전방을 향해 후퇴이동하고, 제2이동레일(72)이 제2고정레일(71)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우측의 제3클램프(76)가 커버블록(32)속에 위치한 연료필터커버(1)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3클램프(76)는 후방을 향한 전진이동 및 전방을 향한 후퇴이동을 하여 상기 연료필터커버(1)를 커버블록(32)으로부터 취출하게 되고, 계속해서 원형회전판(41)이 있는 우측으로 이동을 하여 도 27과 같이 제4클램프(83)의 전면에서 정지한 다음, 도 28과 같이 재차 후방을 향한 전진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4클램프(83)는 공압을 이용해 상기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고정하 게 되고, 동시에 제3클램프(76)는 공압이 해제됨으로 인해 연료필터커버(1)를 놓아주게 되며, 이후 상기 제3클램프(76)는 제2커버이동수단(70)이 도 15와 같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함으로 인해 다음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료필터커버(1)가 제4클램프(83)에 잡혀지고 나면, 상기 제4클램프(83)는 에어실린더(83b)의 동작에 의해 도 29의 상태에서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90°회전을 하여 도 3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제4클램프(83)가 회전하기 전에는 연료필터커버(1)의 바닥면(1e)이 도29와 같이 전방을 향한 상태이고, 회전후 상기 연료필터커버(1)의 바닥면(1e)은 도 30과 같이 위쪽을 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4클램프(83)가 회전하고 나면 에어실린더(82a)의 작동으로 제3이동블록(82)은 제4고정레일(81)을 따라 도 31과 같이 원형회전판(41)이 있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검사장비(40)를 구성하는 실린더뭉치(44)의 작동으로 제5클램프(45)가 도 34와 같이 하강하여 제4클램프(83)에 있는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주게 된다.
상기 제5클램프(45)가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고정하면 상기 제4클램프(83)는 공압이 해제됨으로 인해 연료필터커버(1)를 놓아주게 되며, 이후 상기 제4클램프(83)는 제3커버이동수단(80)이 도 27과 같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함으로 인해 다음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5클램프(45)가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고정하고 나면 상기 제5클램프(45)는 실린더뭉치(44)의 작동으로 도 35와 같이 재차 상승하게 되며, 상승된 상기 실린더뭉치(44)는 에어실린더(43a,44a)의 작동으로 상부레일(42a) 및 제4이동레일(43)을 따라 이동하여 원형회전판(41)에 형성된 커버안착홀(41b)중 비어있는 커버안착홀(41b)로 도 36과 같이 상기 연료필터커버(1)를 삽입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5클램프(45)는 제3커버이동수단(80)과 가장 근접한 위치의 원형회전판(41)에서 동일 일직선상에 형성된 커버안착홀(41b)로 연료필터커버(1)를 순차적으로 한 개씩 삽입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 일직선상에 형성된 모든 커버안착홀(41b)로 연료필터커버(1)가 삽입되어 채워지고 나면, 상기 원형회전판(41)은 도 37과 같이 중심축(41a)을 기준으로 도시된 화살표 R3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원형회전판(41)은 중심축(41a)을 기준으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R3의 방향으로 90°씩 순차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5클램프(45)에 의해 커버안착홀(41b)로 채워진 연료필터커버(1)는 도 38과 같이 테스트실린더뭉치(46)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한 후 일시 고정되며, 계속해서 테스트실린더뭉치(46)가 하강하여 연료필터커버(1)에 커버플러그(2)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즉, 테스트실린더뭉치(46)가 하강하게 되면 그 선단은 연료필터커버(1)의 바닥면(1e)으로 관통된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동시에 막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유입홀(1a)과 공급홀(1c) 중 어느 한쪽의 구멍으로 에어를 불어넣었을 때 상기 커버플러그(2)가 조립된 관통구멍(1f)으로 에어의 누출이 없으면 정상적으로 조립이 완료된 상태라 판단하고, 에어의 누출이 발생하면 조립 이 불량상태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사장비(40)를 통한 연료필터커버(1)의 검사가 종료되고 나면, 상기 원형회전판(41)은 도시된 화살표 R3의 방향으로 90°씩 순차적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 결과 검사 완료된 연료필터커버(1)는 도 40과 같이 배출가이드(110)가 있는 전방측에 위치한 후 일시 정지하게 된다.
이후, 제2실린더뭉치(92)의 작동으로 제2고정블록(93)이 하강하고 배출용클램프(94)가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고정시키고 나면, 상기 제2고정블록(93)이 재차 상승함에 따라 검사 완료된 상기 연료필터커버(1)는 배출용클램프(94)에 의해 원형회전판(41)으로부터 취출된 상태가 된다.
연료필터커버(1)가 원형회전판(41)으로부터 취출되고 나면, 배출용실린더(91)의 작동으로 제2실린더뭉치(92)가 도 40 및 도 41과 같이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배출용클램프(94)에 의해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는 배출가이드(110)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출용클램프(94)로 공급된 공압이 해제되면 상기 연료필터커버(1)는 배출용클램프(94)로부터 자유 낙하되어 배출가이드(110)를 통해 제품수거박스(121,123)로 적재되어 진다.
한편, 상기 배출용클램프(94)에서 배출가이드(110)로 낙하되기 전 상기 배출용클램프(94)에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가 모두 정상적인 제품에 해당하면 도 42와 같이 내부칸막이(111)에 의해 완제품배출통로(115)만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배출용클램프(94)에서 낙하되는 모든 연료필터커버(1)들은 완제품배출통로(115)를 통해 완제품을 수거하는 제품수거박스(121)로 적재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 배출용클램프(94)에서 배출가이드(110)로 낙하되기 전 상기 배출용클램프(94)에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 중 어느 한 개라도 불량인 제품이 있으면 칸막이실린더(113)의 작동에 의해 도 43과 같이 내부칸막이(111)가 회전을 하여 불량품배출통로(117)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배출용클램프(94)에서 낙하되는 모든 연료필터커버(1)들은 불량품배출통로(117) 및 서포트가이드(119)를 통해 불량품을 수거하는 별도의 제품수거박스(123)로 적재되어 완제품과 분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필터커버(1)와 커버플러그(2)의 조립 및 검사장치를 통해 불량품이 없는 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별도 사출성형된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를 자동 조립하고 동시에 조립상태를 검사하여 불량제품만을 별도 수거하게 됨으로써, 성능이 우수한 완전한 제품을 빠른 시간안에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5)

  1.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연통하는 연결통로(1b) 및 상기 공급홀(1c)을 통해 연결통로(1b)와 연결되는 관통구멍(1f)을 구비하도록 사출성형된 다수의 연료필터커버(1)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커버공급기(10)와;
    상기 관통구멍(1f)을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로서 사출성형된 다수의 커버플러그(2)를 보관함과 더불어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러그공급기(20)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로부터 공급받은 커버플러그(2)가 상기 커버공급기(1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을 밀폐시키도록 열융착을 통해 상기 연료필터커버(1)와 커버플러그(2)를 일체로 조립시키는 조립장비(30)와;
    상기 커버플러그(2)가 결합된 연료필터커버(1)를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동시에 막고 어느 한쪽으로 에어를 불어넣어 상기 커버플러그(2)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검사장비(40)와;
    상기 커버공급기(10)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 및 상기 조립장비(30)와 상기 검사장비(4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커버플러그(2)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가를 판별하는 메인콘트롤러(5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공급기(10)는,
    사출성형된 다수의 연료필터커버(1)를 보관함과 더불어 진동에 의한 떨림현 상을 이용해 스크루형상의 수납함레일(11a)을 따라 연료필터커버(1)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커버수납함(11)과;
    상기 수납함레일(11a)과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버수납함(11)의 떨림현상을 이용해 연료필터커버(1)를 이동시키는 커버공급레일(12)과;
    상기 커버공급레일(12)과는 서로의 끝단이 이격되어 상기 커버수납함(11)의 떨림현상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조립다이(31)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버공급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가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정지블록(13);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공급레일(12)과 상기 정지블록(13)은 바닥면(12a,13a)이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료필터커버(1)는 그 바닥면(1e)이 상기 커버공급레일(12) 및 정지블록(13)의 바닥면(12a,13a)과 면접한 상태이면서 관통구멍(1f)이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지블록(13)과 인접한 조립다이(31)에 설치되어 상기 정지블록(13)에 일시적으로 고정된 연료필터커버(1)를 정지블록(13)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조립장비(3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커버이동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커버이동수단(60)은, 상기 커버공급레일(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조립다이(3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고정레일(61)과;
    상기 제1고정레일(6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일단이 상기 정지블록(13)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제1고정레일(61)에 결합되는 한편 에어실린더(62a)의 힘으로 상기 제1고정레일(61)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이동레일(62)과;
    상기 제1이동레일(62)상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63a)의 힘으로 상기 제1이동레일(62)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된 제1이동블록(63)과;
    상기 정지블록(13)과 마주 대하는 제1이동블록(63)의 전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이동블록(63)을 관통하는 중심축(64a)을 통해 에어실린더(64b)의 힘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정지블록(13)에 위치한 연료필터커버(1)를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하는 제1클램프(64);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64)는,
    상기 제1클램프(64)에 의해 잡혀져서 정지블록(13)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이 일측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방향을 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90°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비(30)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다이(31)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커버이동수단(60)으로부터 연료필터커버(1)를 전달받아 조립장비(30)로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조립장비(30)를 통해 커버플러그(2)가 조립된 연료필터커버(1)를 검사장비(40)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커버이동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커버이동수단(70)은, 상기 조립장비(30)의 전방측에서 상기 제1고정레일(61)과 평행하도록 조립다이(31)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2고정레일(71)과;
    상기 제2고정레일(71)상에 직교되는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에어실린더(72a)의 힘으로 제2고정레일(71)을 따라 조립장비(30)의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제2이동레일(72)과;
    상기 제2이동레일(72)상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73a)의 힘으로 제2이동레일(72)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제3이동레일(73)과;
    상기 제3이동레일(73)의 전면에 상기 제2고정레일(71)과 평행하도록 일체로 결합된 막대형상의 제1고정블록(74)과;
    상기 제1고정블록(74)의 양단 전면에서 제1고정블록(74)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공압의 힘으로 연료필터커버(1)를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게 동작하는 제2클램프(75) 및 제3클램프(76);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립장비(30)는,
    상기 제2고정레일(71)의 길이방향 중간부위에서 상기 제2고정레일(71)보다 후방쪽에 위치하도록 조립다이(31)상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2클램프(75)를 통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가 그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게 연료필터커버(1)와 동일한 모양으로 삽입홈(32a)이 음각되어 형성된 커버블록(32)과;
    상기 제2고정레일(71)보다 전방측에 위치하여 조립다이(31)상에 고정 설치된 다이프레임(33)과;
    상기 다이프레임(33)에 고정 설치된 에어실린더(34a)를 통해 전후진 작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삽입홈(32a)으로 삽입된 연료필터커버(1)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뭉치(34)와;
    상기 플러그공급기(20)를 통해 연료필터커버(1)의 관통구멍(1f)으로 공급된 커버플러그(2)를 가압하면서 레이저 열융착을 이용해 상기 연료필터커버(1)와 일체로 결합시키는 가압봉(35)과;
    상기 메인콘트롤러(50)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압봉(3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서포트콘트롤러(36);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공급기(20)는,
    상기 조립장비(3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사출성형된 다수의 커버플러그(2)를 보관함과 더불어 진동에 의한 떨림현상을 이용해 스크루형상의 수납함레 일(21a)을 따라 커버플러그(2)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러그수납함(21)과;
    상기 수납함레일(21a)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그 선단이 상기 커버블록(3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수납함(21)의 떨림현상을 이용해 커버플러그(2)를 이동시키는 플러그공급레일(22)과;
    상기 커버블록(32)으로부터 이격된 조립다이(31)상에 전후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플러그공급레일(22)을 통해 이동되어 온 커버플러그(2)가 일시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블록(32)과 인접한 선단에 안착부(23a)를 구비한 제3고정레일(23)과;
    상기 제3고정레일(23)상에 결합되면서 에어실린더(24a)에 의해 제3고정레일(23)을 따라 전후방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23a)에 놓여진 커버플러그(2)를 선택적으로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뭉치(24b)를 전면에 구비한 제2이동블록(24);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블록(32)을 중심으로 제1클램프(64)에 대향하는 조립다이(31)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립장비(30)를 통해 커버플러그(2)의 조립이 완료된 연료필터커버(1)를 제2커버이동수단(70)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검사장비(40)로 이동시키는 제3커버이동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3커버이동수단(80)은, 상기 커버블록(32)의 일측부에서 제2고정레일(71)과 평행하도록 조립다이(31)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4고정레일(81)과;
    상기 제4고정레일(81)상에 결합되면서 에어실린더(82a)에 의해 제4고정레일(81)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제3이동블록(82)과;
    상기 제3이동블록(82)의 전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3이동블록(82)을 관통하는 중심축(83a)을 통해 에어실린더(83b)의 힘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3클램프(76)를 통해 커버블록(32)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를 공압의 힘으로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게 동작하는 제4클램프(83);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클램프(83)는,
    상기 제4클램프(83)에 의해 잡혀진 연료필터커버(1)의 바닥면(1e)이 조립다이(31)의 전방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방향을 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90°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비(40)는,
    상기 조립다이(31)의 일측에 위치하고 바깥 둘레의 일부분이 상기 제4고정레일(81)보다 높은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중첩을 이루어 중심축(41a)을 매개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중심축(41a)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일직선상마다 다수개의 커버안착홀(41b)이 형성된 원형회전판(41)과;
    상기 제4고정레일(81)로부터 인접한 원형회전판(41)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레일(42a)을 구비하도록 상기 원형회전판(41)의 주위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42)과;
    상기 상부레일(42a)의 하측에서 상부레일(42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레일(42a)과 결합되는 한편 에어실린더(43a)를 통해 상기 상부레일(42a)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제4이동레일(43)과;
    상기 제4이동레일(43)의 하측에서 에어실린더(44a)를 통해 상기 제4이동레일(43)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한편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동작하는 제1실린더뭉치(44)와;
    상기 제1실린더뭉치(44)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4클램프(83)를 통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를 공압의 힘으로 선택적으로 잡아서 상기 커버안착홀(41b)로 삽입시킬 수 있게 동작하는 제5클램프(45)와;
    상기 원형회전판(41)의 동작에 간섭됨이 없도록 후방측에 설치된 본체(46a)의 전면에 제4이동레일(43)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버안착홀(41b)로 삽입된 각각의 연료필터커버(1)마다 유입홀(1a)과 공급홀(1c)을 동시에 막은 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에어를 불어넣을 수 있게 동작하는 테스트실린더뭉치(46)와;
    상기 메인콘트롤러(50)의 제어를 통해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서포트콘트롤러(4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원형회전판(41)은,
    상기 제5클램프(45)의 수직 하방에 위치한 커버안착홀(41b)이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의 수직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중심축(41a)을 기준으로 90°의 각도로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안착홀(41b)로 삽입된 연료필터커버(1)는 그 바닥면(1e)이 상측을 향하도록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와 대향하는 전방측의 베이스프레임(42)에 설치되어 테스트실린더뭉치(46)에 의한 검사종료 후 원형회전판(41)을 통해 이동되어 온 연료필터커버(1)를 원형회전판(41)으로부터 취출하여 배출가이드(110)로 배출시키는 제품배출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품배출수단(90)은, 상기 원형회전판(41)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42)과 일체화 된 서포트프레임(91a)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레일(42a)과 평행한 전후방향으로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동작하는 배출용실린더(91)와;
    상기 배출용실린더(91)의 전면에 결합되어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길이변화가 가능하게 동작하는 제2실린더뭉치(92)와;
    상기 제2실린더뭉치(92)의 하단에 상기 테스트실린더뭉치(46)의 배열과 동일한 좌우방향으로 결합된 막대형상의 제2고정블록(93)과;
    상기 원형회전판(41)의 커버안착홀(41b)과 수직 상방으로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제2고정블록(93)의 밑면에 장착되어 공압의 힘으로 상기 커버안착홀(41b)로부터 연료필터커버(1)를 잡아서 취출한 후 제품수거박스(121,123)와 연결된 배출가이드(110)로 배출시키는 다수개의 배출용클램프(9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110)에는 내부의 가이드통로를 이중 분할하여 그 중 한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내부칸막이(111)가 메인콘트롤러(50)의 제어신호를 받는 칸막이실린더(113)의 동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상기 내부칸막이(111)에 의해 분할되는 어느 한 개의 가이드통로는 검사장비(40)를 통한 제품의 검사종료 후 이상이 없는 완제품배출통로(115)로서 완제품을 수거하는 제품수거박스(121)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한 개의 가이드통로는 불량품배출통로(117)로서 서포트가이드(119)를 통해 불량품을 수거하는 제품수거박스(123)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KR1020060103286A 2006-10-24 2006-10-24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KR10075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86A KR100752278B1 (ko) 2006-10-24 2006-10-24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86A KR100752278B1 (ko) 2006-10-24 2006-10-24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278B1 true KR100752278B1 (ko) 2007-08-29

Family

ID=3861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86A KR100752278B1 (ko) 2006-10-24 2006-10-24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2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111A (ja) 1982-10-07 1983-05-04 Tsuchiya Mfg Co Ltd 燃料フイルタの製造方法
KR980009857A (ko) * 1996-07-02 1998-04-30 이토 히로미 횡단면 형상이 디자형인 연료 필터
KR20020016956A (ko) * 2000-08-28 2002-03-07 함상식 필터의 융착방법
KR20050054674A (ko) * 2003-12-05 2005-06-10 조국환 연료필터용 용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4111A (ja) 1982-10-07 1983-05-04 Tsuchiya Mfg Co Ltd 燃料フイルタの製造方法
KR980009857A (ko) * 1996-07-02 1998-04-30 이토 히로미 횡단면 형상이 디자형인 연료 필터
KR20020016956A (ko) * 2000-08-28 2002-03-07 함상식 필터의 융착방법
KR20050054674A (ko) * 2003-12-05 2005-06-10 조국환 연료필터용 용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35838B (zh) 一种电池电芯盖帽极耳焊接设备及其工作方法
KR101845261B1 (ko)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1649508B1 (ko)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CN105043690B (zh) 阀门自动检测设备
DE69728332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eckageprüfung von Hohlkörpern
CN106058611B (zh) 电连接器冠簧自动组装设备
JP5080188B2 (ja) 工作機械
US20100236578A1 (en) Cylinder head cleaning method and cylinder head cleaning device
JP2556516B2 (ja) 不完全煙草排除装置
CN111822414A (zh) 一种自动喷嘴清洗及检查管理系统
KR100752278B1 (ko) 연료필터커버와 커버플러그의 조립 및 검사장치
AU2014329869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KR101279864B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홀더 자동 검사 장치
CN211205682U (zh) 插装阀的检测装置
CN115106775B (zh) 阀体单元及其对应的截止阀组装机
CN101054132B (zh) 气体打火机的自动装配和自动充气系统
KR101334241B1 (ko) 잉크콘 자동 제조장치
CN105058046B (zh) 一种锁具自动装配机
CN111922678B (zh) 一种全自动发动机气门油封压装设备
KR100823634B1 (ko) 커넥터용 점검 장치
KR200381638Y1 (ko)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누유검사장치
KR20200095023A (ko) 필터 성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코어 제조 시스템
KR101012104B1 (ko) 진단키트 검사장치
CN211303886U (zh) 电磁铁锁芯缺陷检测装置
CN114858359A (zh) 真空氦检方法及其氦检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