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705B1 -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705B1
KR100751705B1 KR1020040038707A KR20040038707A KR100751705B1 KR 100751705 B1 KR100751705 B1 KR 100751705B1 KR 1020040038707 A KR1020040038707 A KR 1020040038707A KR 20040038707 A KR20040038707 A KR 20040038707A KR 100751705 B1 KR100751705 B1 KR 10075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coupling
connection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023A (ko
Inventor
황광진
Original Assignee
박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진 filed Critical 박환진
Priority to KR102004003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7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및 배관을 위한 가스관, 하수도관 등의 매설 시, 효율적인 파이프 이음을 위해 파이프 양단에 형성된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함에 있어서, 시공되는 총 매설 구간 길이와 연결 조립된 단위 파이프의 총 접속 길이의 불일치에 따라 발생하는 쪽관과 단위파이프와의 효과적인 접속을 위해 커플링과 링그리퍼 및 조임링으로 구성한 접속 구조를 형성하여, 누수 및 누유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커플링(10), 링그리퍼(20), 조임링(30)으로 구성되며, 그 각 구성품의 형상을 보면, 커플링(10)은 몸통부(10)와 슬리브(12) 및 연결부(13)가 형성되어 있고, 링그리퍼(20)는 평면(21)과 사면(22)을 가진 링형태이며, 조임링(30)은 슬리브(12)와 링그리퍼(20)를 감싸듯 죄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조립 방법은 연결이 필요한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에 패킹(54)을 삽입하고,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와 커플링(10)의 연결부(13)를 결합·고정시키며, 쪽관(50)을 슬리브(12)에서 몸통부(11)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링그리퍼(20)를 쪽관(60)에 조립하되, 링그리퍼(20)의 평면(21)이 슬리브(12) 쪽으로 향하도록 조립하고, 슬리브(12)와 링그리퍼(20)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조임링(30)을 가압·결합하여 볼트체결부(34)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본 발명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접속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와 쪽관을 접속 함에 있어, 본 발명의 접속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용접이 필요 없어지고, 패킹의 삽입으로 인해서 기밀이 유지되며, 상기 세 가지의 구성품이 단위 파이프와 쪽관을 잘 고정·연결하여 주므로 모든 범용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접속장치, 접속 구조, 쪽관, 패킹, 파이프, 커플링

Description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 the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cutted pipe with unit pipe }
도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 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3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커플링 11 : 몸통부 12 : 슬리브
13 : 연결부 20 : 링그리퍼 21, 31 : 평면
22, 32 : 사면 23, 33 : 힌지부 24 : S자 절개부
30 : 조임링 34 : 볼트체결부 50, 50 : 파이프
51 : 접속장치 54, 63 : 패킹 60 : 쪽관
본 발명은 각종 파이프의 매설 시, 효율적인 파이프 이음을 위해 파이프 양단에 형성된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시공되는 총 매설 구간 길이와 연결 조립된 단위 파이프의 총 접속 길이의 불일치에 따라 발생하는 쪽관과 단위 파이프와의 효과적인 접속을 위해 커플링, 링그리퍼, 조임링을 구성하여, 접속이 필요한 파이프의 접속장치에 패킹을 삽입하고, 파이프의 접속장치와 커플링의 연결부를 결합·고정시키며, 쪽관을 슬리브에서 몸통부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링그리퍼를 쪽관에 조립하되, 링그리퍼의 평면이 슬리브 쪽으로 향하도록 조립하고, 슬리브와 링그리퍼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조임링을 가압·결합하여 볼트체결부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접속 구조가 완성되는데, 이 접속 구조는 패킹의 삽입으로 인해서 기밀이 유지되고, 상기 세 가지의 구성품이 파이프의 접속장치와 쪽관을 잘 고정·연결하여 주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모든 범용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파이프는 수도관·가스관 등 일상 생활 외에도 각종 공업용 시설이나 석유운송로도 많이 쓰이고 있으며, 특히 파이프가 유체나 분체 수송 또는 전선·케이블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면, 미관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매설하게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매설 구간은 긴 반면 파이프의 길이는 유한하기 때문에 영 구결합법과 분해식 결합법 등의 방법으로 파이프 이음을 하게 되는데, 영구적 결합법은 유지비나 설비비가 절약되지만, 관로에 파손이 생기면 분해할 수 없으므로 분해식 결합법을 많이 쓰이고 있고, 통상 파이프에는 분해 조립이 쉽도록 양 끝단에 접속장치를 형성한 파이프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파이프를 매설하면서 파이프 양끝단의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하다 보면, 시공되는 총 매설 구간과 단위 파이프의 총 접속 길이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쪽관이 발생하게 되는데, 현재는 이를 제대로 접속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전기 융착을 이용한 영구적 결합법을 쓰거나, 마지막 파이프의 접속장치를 절단해내고, 쪽관의 끝단과 맞댄 후에 고무 밴드를 두 관의 경계 둘레를 두르고 조임링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연결하는데, 전기융착을 이용한 영구적인 결합 방법은 파이프 파손으로 인한 파이프 교체 시 분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무 밴드와 조임링을 이용한 연결 구조는 간단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반이 지하수 등에 의해 침하되면, 하중 등으로 인해 이음부가 어긋나게 되어 누수 및 누유가 발생하게 되어 부실을 초래할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쪽관과 단위 파이프와의 효과적인 접속을 위해, 커플링, 링그리퍼, 조임링을 구성하여, 접속이 필요한 파이프의 접속장치에 패킹을 삽입하고, 파이프의 접속장치와 커플링의 연결부를 결합·고정시키며, 쪽관을 슬리브에서 몸통 부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링그리퍼를 쪽관에 조립하되, 링그리퍼의 평면이 슬리브 쪽으로 향하도록 조립하고, 슬리브와 링그리퍼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조임링을 가압·결합하여 볼트체결부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접속 구조가 완성되는데, 이는 용접이 필요 없고, 상기 세 가지 구성품으로 효과적인 관이음을 하여 안정성이 유지 되도록 하며, 관 파손 시에도 각 구성품을 용이하게 해체하여 파이프를 교체할 수 있어, 효율성이 향상된 접속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단위 파이프에 형성된 접속장치가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해야하는 플랜지 방식이거나 서로 내·외경에 단차를 두어 끼워 접속하는 방식 등 그 접속장치의 구조에 따라 커플링의 연결부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어떠한 접속장치의 형상에도 적용이 가능한 접속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삽입되는 패킹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며, 특히, 지반이 침하되어도 커플링의 연결부 및 몸통부가 단위파이프와 쪽관을 단단히 잡아주어 이음부분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누수 및 누유의 우려가 없으며, 커플링의 내경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PE 이중관 외에도 금속관이나 합성수지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접속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종 파이프의 매설 시, 효율적인 파이프 이음을 위해 파이프 양단에 형성된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시공되는 총 매설 구 간 길이와 연결된 단위 파이프의 총 접속 길이의 불일치에 따라 발생하는 쪽관과 단위 파이프와의 효과적인 접속을 위해 커플링, 링그리퍼, 조임링을 구성하여, 접속이 필요한 파이프의 접속장치에 패킹을 삽입하고, 파이프의 접속장치와 커플링의 연결부를 결합·고정시키며, 쪽관을 슬리브에서 몸통부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링그리퍼를 쪽관에 조립하되, 링그리퍼의 평면이 슬리브 쪽으로 향하도록 조립하고, 슬리브와 링그리퍼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조임링을 가압·결합하여 볼트체결부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접속 구조가 완성되는데, 이 접속 구조는 패킹의 삽입으로 인해서 기밀이 유지되고, 상기 세 가지의 구성품이 파이프의 접속장치와 쪽관을 잘 고정·연결하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모든 범용관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품과 조립 방법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플랜지형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도1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하는 단위 파이프(50)의 절단된 쪽관(60)을 커플링(10)과 링그리퍼(20) 및 조임링(30)을 이용하여 접속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3의 분해 사시도를 참고하여 각 구성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커플링(10)은 끝단에 접속장치(51)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50)와 쪽관(6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면이 ‘ㅍ’형상을 가지는데, 파이프(50)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진 직관 형태의 몸통부(11)를 형성하고, 몸통부(11)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중앙부가 몸통부 (11) 내경과 일치하도록 뚫린 디스크 형태의 턱을 형성하여, 한측단은 내경에 패킹자리(15)를 형성한 연결부(13)를 형성하되, 연결부(13) 면에는 단위 파이프의 접속장치(51)에 천공되어 있는 구멍(52)과 크기 및 위치가 맞도록 다수개의 구멍(14)을 형성하고, 타측단은 슬리브(12)를 형성하여 후설 할 링그리퍼(20)와 조임링(20)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링그리퍼(20)는 쪽관(60)을 커플링(10)에 구속되도록 하는 구성품으로써, 링형상의 링그리퍼(20) 단면은 ‘
Figure 112004023117181-pat00001
’형상으로, 가장자리부는 두께가 얇고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이 되어, 한측면은 평면(21)이 되고 타측면은 사면(22)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링그리퍼(20)가 커플링(10)의 몸통부(11)에 삽입된 쪽관(60)의 중간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절개부를 두되, 한쪽 절개부는 힌지부(23)를 형성하고, 타절개부는 누운 ‘S ’자 형상으로 절개한 S자절개부(24)가지고 있어, 링그리퍼(20) 조립 후에는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조임링(30)은 커플링(10)의 슬리브(12)와 링그리퍼(20)를 감싸면서 고정하여 주는 것으로써, 판을 이용하여 단면이 ‘
Figure 112004023117181-pat00002
’ 의 형상을 이루며 둥글게 절곡한 것으로, 링그리퍼(20)와 마찬가지로 평면(31)과 사면(32)을 형성하는데, 도2의 확대부와 같이 사면(32)의 경사가 링그리퍼(20)의 사면(22) 보다는 완만하여, 조립 시 가압하여 결합하는데, 조임링(30)의 사면(32)이 링그리퍼(20)의 사면(22)을 눌러 주면서 구속력을 가지게 되어 쪽관(60)을 커플링(1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조임링(30)도 링그리퍼(20)와 마찬가지로 두개의 절개부를 가져 두 부재로 분리되어 있는데, 한쪽 절개부에는 힌지부(33)를 형성하고, 타절개부에는 볼트체결부(34)를 형성하여 연결 부재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품으로 더 자세한 조립 방법을 도2와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접속장치(51)가 형성된 파이프(50)의 패킹자리(53)에 패킹(54)을 삽입하고,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와 커플링(10)의 연결부(13)와 서로 맞대어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조립하며, 쪽관(60)을 슬리브(12)에서 몸통부(11)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링그리퍼(20)를 쪽관(60)에 조립하되, 링그리퍼(20)의 평면(21)이 슬리브(12)를 향하도록 하여, 슬리브(12)와 링그리퍼(20)를 최대한 밀착시켜 조임링(30)을 이용하여 감싸 듯 가압·결합한 뒤, 조임링(20)의 볼트체결부(34)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본 발명의 조립이 완성된다.
또한, 도4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 주는데, 접속장치(51)의 내·외경에 단차를 내고, 끼워 접속하는 방식을 가진 파이프(50)일 경우에 적용한 예를 보여 주는 것으로, 이는 상기 구성품 중 커플링(10)의 연결부(13)의 형상이 달라지는데, 그 형상을 도5와 도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커플링(10)이 몸통부(11)와 슬리부(12)로 구성되어, 몸통부(11) 내경에 턱을 내어 연결부(13)와 단턱부(16)를 형성하되, 연결부(13)는 접속장치(51)와 맞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단턱부(16)는 접속장치(51) 보다 내경이 작도록 하여, 쪽관(60)이 삽입되는 부분과 접속장치(51)의 경계를 만들어 준다.
이와 같이 형성한 커플링(10)을 이용한 제 2 실시예에 대한 조립 방법을 도5와 도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패킹(54)이 삽입되어 있는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에 커플링(10)의 연결부(13)를 끼워 결합하고, 쪽관(60)을 슬리브(12)에서 몸통부(11)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링그리퍼(20)를 링그리퍼(20)의 평면(21)이 커플링(10)의 슬리브(12)에 서로 맞대어지도록 쪽관(60)에 결합하여, 슬리브(12)와 링그리퍼(20)를 최대한 밀착시키고 조임링(30)을 이용하여 감싸 듯 가압·결합한 후, 조임링(20)의 볼트체결부(34)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타실시예에 대한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자세한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원하는 유체·기체 및 분체 등의 연속적인 수송을 위해서, 파이프(50)의 양단 끝에 형성된 접속장치(51)를 이용하여 파이프(50)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총 매설 구간과 파이프의 총 접속 길이가 같지 않음으로 인해 쪽관이 발생함에 따라, 마지막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의 형상과 남은 연결 구간을 고려하여 연결할 새파이프의 한단을 절단해서 쪽관(60)을 만들고,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를 고려하여 알맞은 커플링(10)을 구비하여,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른 조립 방법에 따라 고정·접속하면 설치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쪽관과 단위 파이프와의 효과적인 접속을 위해, 커플링, 링그 리퍼, 조임링을 구성하여, 접속이 필요한 파이프의 접속장치에 패킹을 삽입하고, 파이프의 접속장치와 커플링의 연결부를 결합·고정시키며, 쪽관을 슬리브에서 몸통부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링그리퍼를 쪽관에 조립하되, 링그리퍼의 평면이 슬리브 쪽으로 향하도록 조립하고, 슬리브와 링그리퍼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조임링을 가압·결합하여 볼트체결부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여 접속 구조가 완성되는데, 이는 용접이 필요 없고, 상기 세 가지 구성품으로 효과적인 관이음을 하여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하며, 관 파손 시에도 각 구성품을 용이하게 해체하여 파이프를 교체할 수 있어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단위 파이프에 형성된 접속장치가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해야하는 플랜지 방식이거나 서로 내·외경에 단차를 두어 끼워 접속하는 방식 등 그 접속장치의 구조에 따라 커플링의 연결부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어떠한 접속장치의 형상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삽입되는 패킹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며, 특히, 지반이 침하되어도 커플링의 연결부 및 몸통부가 단위파이프와 쪽관을 단단히 잡아주어 이음부분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 누수 및 누유의 우려가 없으며, 커플링의 내경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PE 이중관 외에도 금속관이나 합성수지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4)

  1. 파이프(50)의 외경과 일치하는 내경을 가진 직관 형태의 몸통부(11)를 형성하여, 한측단은 가장자리 외측부에 디스크 형태의 턱을 형성하여 슬리브(12)를 형성하고, 타측단은 턱을 내어 연결부(13)를 형성한 커플링(10)과,
    단면은 ‘
    Figure 112004023117181-pat00003
    ’을 가진 링형상으로, 가장자리부는 얇고 중앙부로 가면서 두꺼워지도록 하여 한측면은 평면(21), 타측면은 사면(22)을 형성한 링그리퍼(20)와,
    단면은 ‘
    Figure 112004023117181-pat00004
    ’ 모양을 이루어 둥글게 판을 절곡한 형상으로, 한측면은 평면(31), 타측면은 사면(32)을 형성하고, 두개의 절개부를 가져 한쪽 절개부는 힌지부(33)를 형성하며, 타절개부는 볼트체결부(34)를 형성한 조임링(30)을 구비하여,
    연결이 필요한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에 패킹(54)을 삽입하여, 파이프(50)의 접속장치(51)와 커플링(10)의 연결부(13)를 연결·고정하고, 링그리퍼(20)를 쪽관(60)에 끼우되, 링그리퍼(20)의 평면(21)이 슬리브(12)를 향하도록 조립하며, 쪽관(60)을 슬리브(12)에서 몸통부(11)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은 뒤, 슬리브(12)와 링그리퍼(20)가 최대한 밀착한 상태에서 조임링(30)을 가압·결합하고, 볼트체결부(34)에 연결 부재를 이용·고정하여 조립이 완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링그리퍼(20)는 두 개의 절개부를 가지되, 한쪽 절개부에는 힌지부(24)를 형성하고, 타절개부는 S자 절개부(24)를 형성하여, 쪽관(60)이 몸통부(11) 삽입 후에 링그리퍼(20)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KR1020040038707A 2004-05-29 2004-05-29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KR10075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07A KR100751705B1 (ko) 2004-05-29 2004-05-29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707A KR100751705B1 (ko) 2004-05-29 2004-05-29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023A KR20040053023A (ko) 2004-06-23
KR100751705B1 true KR100751705B1 (ko) 2007-08-23

Family

ID=3734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707A KR100751705B1 (ko) 2004-05-29 2004-05-29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34B1 (ko) * 2011-09-01 2012-04-06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937A (ja) 1998-04-30 1999-11-16 Tomoe Tech Res Co ウエハ形バタフライ弁の配管継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937A (ja) 1998-04-30 1999-11-16 Tomoe Tech Res Co ウエハ形バタフライ弁の配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023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US9127795B2 (en) Conduit joining apparatus
EP1832793A2 (en) Pipe coupling with a grip washer
WO2003001873A3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ally tight joints thereof
WO2005043022A1 (en) Rain tight compression fitting coupling device
US20080224464A1 (en) Pipe coupling
JP2005528568A (ja) 管継手
WO2002077507A3 (en) Method of laying pipe-in-pipe structures and device for use therein
WO2003002306A3 (en) Clamp for joining tubular bodies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0751705B1 (ko) 단위 파이프와 절단된 쪽관의 관 접속 구조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US6994381B1 (en) Stab joint coupling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US4936609A (en) Connector for pipe joint
KR101085404B1 (ko) 관 연결장치 및 그 체결방법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EP1359358A3 (de) Rohreinheit
KR200157562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101144004B1 (ko) 파형관 이음재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101422267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1010414B1 (ko) 강관 연결장치
JP2002005353A (ja) 導管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