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055B1 -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055B1
KR100751055B1 KR1020000004792A KR20000004792A KR100751055B1 KR 100751055 B1 KR100751055 B1 KR 100751055B1 KR 1020000004792 A KR1020000004792 A KR 1020000004792A KR 20000004792 A KR20000004792 A KR 20000004792A KR 100751055 B1 KR100751055 B1 KR 10075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ffic light
ground
at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179A (ko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택 filed Critical 김봉택
Priority to KR102000000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055B1/ko
Priority to KR2020000004602U priority patent/KR200192250Y1/ko
Publication of KR2001007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61L5/18Light signals; Mechanisms associated therewith, e.g. b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선로에 설치된 신호등의 신호를 열차자동정지장치(ATS)의 지상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검출하는 신호등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ATS의 해당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지상자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신호등신호검출부를 통해 신호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지상자신호발생부를 통해 ATS용 신호로 알맞게 변환하여 지상자를 통해 ATS의 차상장치로 전송함으로써, ATS의 지상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도 ATS의 제어에 의한 열차 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112000001872721-pat00001
열차자동정지장치, ATS, ATS의 지상장치, 지상자

Description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AUTOMATIC SIGNAL TRANSFORMER FOR AUTOMATIC TRAIN STOPPER}
도 1 은 열차자동정치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열차자동제어장치 지상자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 은 3현시로 동작하는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운전곡선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a 는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중 신호등신호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b 는 도5a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6 은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중 신호등신호검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7 은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중 지상자신호발생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8 는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9 는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신호등신호검출부 111: 감지코일
112: 증폭기 113: 비교기
120: 지상자신호발생부 121: 제어부
122: 지상자제어계전기 123: 지상자
본 발명은 열차 선로에 설치된 신호등의 신호를 열차자동정지장치(AUTOMATIC TRAIN STOPPER: 이하 ATS라 한다.)의 지상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신호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ATS용 신호로 알맞게 변환하여 지상자를 통해 ATS의 차상장치로 전송함으로써, ATS의 지상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도 ATS의 제어에 의한 열차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ATS는, 도1과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C)와 코일(L)로 이루어져 LC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지상자(11)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계전기(RL1,RL2,,,,RLn-1,RLn)와 콘덴서(C 1,C2,,,,Cn-1,Cn)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상자(11)의 콘덴서(C)에 다수개 병렬로 접속되어,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지상자(11)의 정전용량을 가변시켜 공진주파수를 변경하는 지상자 제어계전기(12)와; 상기 지상자제어계전기(12)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속도지령신호인 소정의 계전기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지상자제어계전기(12)의 계전기(RL1,RL2,,,,RLn-1,RLn)를 제어함과 동시에 신호등(미도시) 등을 제어하는 신호기(14)로 구성된 지상장치(10)와;
1차코일과 2차코일이 소정의 결합도로 유도결합되어 있어 상기 지상자(11)의 공진주파수를 주파수 인입현상에 의해 감지하는 차상자(21)와; 증폭회로부와 발진회로부 등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주파수(예:78kHz)로 상시발진을 행하여 상기 차상자(21)의 코일을 통해 궤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차상자(21)의 코일에 응동된 주파수를 발진, 증폭하는 발진기(22)와; 다수개의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진기(22)에 접속되어, 상기 발진기(22)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주파수검출기(24)와; 열차의 차륜 측에 부착되어 열차의 운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23)와; 상기 주파수검출기(24)와 속도검출기(23)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비교판단하여 열차의 실제속도가 상기 지상장치부(10)에서 지령된 속도(구간제한속도)를 초과할 시 소정의 경보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논리판단제어장치(26)와; 상기 논리판단제어장치(26)에 접속되어, 상기 논리판단제어장치(26)에서 경보제어신호가 발생되었을 시, 소정의 시간동안 경보음 및 표시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이 소정의 시간동안 열차의 실제속도가 운행지시속도보다 작아지지 않을 경우에는 소정의 제동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장치(27)와; 상기 경보장치(27)에 접속되어, 상기 경보장치에서 제동신호가 발생되었을 시 열차를 급제 동 시키는 제동기(28)와; 상기 경보장치(27)와 논리판단제어장치(26)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경보장치(27)에서 표시제어신호가 발생되었을 시에는 시각적인 경보표시를 해주며, 운전자에 의해 복구명령이 지령될 때에는 그 신호를 상기 논리판단제어장치(26)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논리판단제어장치(26)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신호를 표시해주는 표시제어장치(25)로 이루어진 차상장치(20)로 구성되어, 선행열차의 선로점유상태 즉, 선행하는 열차와 후행하는 열차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후행하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상기 지상자(11)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켜 차상자에 전달함므로써 열차의 운행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3개의 신호형태(G신호, Y신호, R신호)를 갖는 ATS의 경우에는, [표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차의 운행 속도를 선행하는 열차의 선로점유 상태에 따라 각각의 선로구간에 대한 구간별 운행 최고 속도(구간제한속도)를 "자유운전(G신호)", "주의운전(Y신호)", "정지(R신호)"로 나누어 이를 지상장치(10)의 지상자(11)를 통해 차상장치(20)의 차상자(21)로 전송함으로써 열차의 운행 속도를 자동 제한하였다.
신 호 형 태 지상자의 공진주파수 구간별 운행 최고 속도
G 98±3KHz 150Km/h 이하에서 자유운전
Y 114±3KHz 65Km/h
R 130±3KHz 절대정지
즉, 선행하는 열차가 후행하는 열차의 바로 앞 구간에 있을 경우에는 "R신호"를 나타내는 130kHz의 공진주파수를 지상자(11)를 통해 차상자(21)로 전송하여 열차의 운행을 정지시키도록 하며, 한 구간을 건너 선행하는 열차가 있을 경우에는 "Y신호"를 나타내는 114kHz의 공진주파수를, 두 구간 이상을 건너 선행하는 열차가 있을 경우에는 "G신호"를 나타내는 98kHz의 공진주파수를 지상자(11)를 통해 발생하여 열차의 운행을 자동제어 하였다. 도3은 상기 3개의 신호형태를 갖는 ATS 운전곡선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선행하는 열차라 함은 현행 열차의 바로 앞에서 운행되고 있는 열차를 말하며, 후행하는 열차라함은 상기 선행하는 열차의 바로 뒤에 후속하여 운행되고 있는 현행 열차를 의미한다. 이하 같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ATS는, 선로에 설치되어 선행하는 열차의 선로점유상태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지상장치(10)와, 열차에 설치되어 상기 지상장치(10)에서 전송되는 구간제한속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차상장치(20)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는 것으로, 상기 지상자(11)와 지상자제어계전기(12) 및 신호기(13)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상자(11)를 연동시켜 작동시키는 지상장치(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간에서는 ATS에 의한 제어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상기 지상장치(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선로구간에서는 신호원(信號員)에 의한 열차의 확인, 또는 열차검지장치를 통한 열차의 확인을 기반으로 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지상자를 통해 ATS의 차상자로 전송함으로써 ATS의 지상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간에서도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ATS 제어에 의한 열차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선로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검출하여 ATS용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신호에 따라 지상자제어계전기를 제어하여 신호등에 상응하는 지상자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신호등을 통해 ATS 제어에 의한 열차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는, 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검출하는 신호등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ATS의 해당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지상자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는, 도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호등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전선 외주면에 감겨 상기 전선 밖으로 누설되는 자계(電界), 또는 자계(磁界)를 감지하는 감지코일(111)과; 상기 감지코일(111)에서 검출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112)와; 상기 증폭기(112)에서 검출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출력하는 비교기(1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5b는 이러한 신호등신호검출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신호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자함에서 신호등까지 연결된 전선의 일부분에 감지코일(L)을 감 아 상기 감지코일(L)에 유기되는 전계, 또는 자계를 증폭기(OP1)를 통해 증폭한 후, 이를 비교기(CP1)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어느 신호등이 점등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자함의 각 전선에 그 일측 단자가 접속되고, 타측단자에 기준값이 설정되어, 상기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신호등의 점등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6은 이러한 신호등신호검출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비교기(CP2)의 일측단자를 신호등 제어 단자함의 해당 전선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타측단자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인가하여, 상기 출력값의 유무를 통해 신호등의 어느 램프(LAMP)가 점등되었는지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상자신호발생부는, 콘덴서와 코일로 이루어져 LC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지상자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계전기와 콘덴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상자의 콘덴서에 하나 이상 병렬로 접속되어,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지상자의 정전용량을 가변시켜 공진주파수를 변경하는 지상자제어계전기와; 신호등신호검출부와 지상자제어계전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상자제어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는, 신호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신호등신호검출부를 통해 검출하여 ATS 지상장치의 신호로 변환한 후 ATS 차상장치로 전달함으로 인해, ATS 지상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선로구간에서도 신호등 제어신호를 통해 ATS 제어에 의한 열차 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가지의 색(녹색, 노란색, 적색)으로 3가지의 운전형태(자유운전, 주의운전, 정지)를 나타내는 신호등의 신호를 3현시의 ATS 신호[G신호(자유운전), Y신호(주의운전), R신호(정지)]로 변환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이는, ATS의 제어에 의하지 않는 신호등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상기 3색, 3가지 운전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상기 실시예를 통해 기타 4현시나, 5현시의 ATS 신호로의 변환이 용이하게 유추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는 신호등 단자함에 접속되는 비교기로 구성하고, 지상자신호발생부는 제어부와, 지상자제어계전기 및 지상자로 구성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온(ON)/오프(OFF)되어 지상자제어계전기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신호등신호검출부와, 지상자제어계전기는, 도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녹색과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신호등의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비교기(CP2, CP3) 및, 2개의 계전기(RL1, RL2)와 2개의 콘덴서(C1, C2)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어부 역시 2개의 스위칭트랜지스터(TR1, TR2)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와 도6 내지 도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C3)와 코일(L1)로 이루어진 지상자(123)를 선로상에 설치하고, 제1콘덴서(C1), 제2콘덴서(C2) 및 제1계전기(RL1), 제2계전기(RL2)로 이루어진 지상자제어계전기(122)를 선로 일측에 설치한다.
또한, 제1스위칭트랜지스터(TR1) 및 제2스위칭트랜지스터(TR2)로 제어부(121)를 구성하고, 제1분압저항(R3, R4), 제2분압저항(R5, R6) 및 제1비교기(CP2), 제2비교기(CP3)로 신호등신호검출부(110)를 구성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계전기(RL1, RL2)는 상시 개방되는 계전기로, 상기 제1,2계전기(RL1, RL2)가 모두 개방되어 있을 때는 "R신호(정지)"를 나타내는 130kHz의 공진주파수를, 제2계전기(RL2)가 단락되었을 시에는 "Y신호(주의운전)"를 나타내는 114kHz의 공진주파수를, 제1계전기(RL1)와 제2계전기(RL2) 모두 단락되었을 시에는 "G신호(자유운전)"를 나타내는 98kHz의 공진주파수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비교기(CP2, CP3)는, 제1,2분압저항(R3, R4 또는, R5,R6)을 통해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신호등의 녹색, 또는 노란색에서 (+)전압이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신호등 제어 단자함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호등의 색깔이 "주의운전"을 나타내는 노란색이었을 경우에는 제2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분압저항(R5, R6)에 의해 설정된 전압보다 높아져 상기 제2비교기(CP3)가 (+)전압을 나타내게 되고, 이로인해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TR2)가 온 되어 제2계전기 코일(RLC2)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인해 제2계전기 스위치(RLS2)가 온(ON) 되게 된다.
그러면, 제2콘덴서(C2)가 지상자(122)의 콘텐서(C3)에 병렬접속되어 공진주파수 114kHz를 출력하여 "주의운전"을 나타내는 "Y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신호등의 색깔이 "자유운전"을 나타내는 녹색이었을 경우에는 제1비교기(C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1분압저항(R3, R4)에 의해 설정된 전압보다 높아져 상기 제1비교기(CP2)가 (+)전압을 나타내게 되고, 이로인해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TR1)가 온 되어 제2계전기 코일(RLC1)과 제1계전기 코일(RLC1)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2계전기 스위치(RLS2)와 제1계전기 스위치(RLS1)가 온 되게 된다.
그러면, 제2콘덴서(C2)와 제1콘덴서(C1)가 지상자(122)의 콘텐서(C3)에 병렬접속되어 공진주파수 98kHz를 출력하여 "자유운전"을 나타내는 "G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반면, 신호등의 색깔이 "정지"를 나타내는 적색이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1,2계전기 모두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지상자(122)를 이루는 콘덴서(C3)와 코일(L1)에 의해 설정된 130kHz의 공진주파수를 출력하여 "정지"를 나타내는 "R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열차에 탑재된 차상장치의 차상자에서 상기 공진주파수를 검출하여 열차의 운행 속도를 자동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신호등에 현시되는 신호를 신호등신호검출부(110)를 통해 검출하여 이를 지상자신호발생부를 통해 ATS용 신호로 변환하여 ATS의 차상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신호등이 설치된 선로 어느곳이던지 간에 새로운 지상장치의 설비없이도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ATS의 차상장치에 의한 자동운전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를 신호등 제어 단자함의 신호등 제어신호 출력단에 접속된 비교기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나, 도5a와 도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호등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선 밖으로 누설되는 전계, 또는 자계를 감지하는 감지코일(111)과, 증폭기(112) 및, 비교기(113)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구성의 신호등신호검출부는, 신호등 제어신호가 흐르는 전선 어느곳에서이든지 신호등 제어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상자신호발생부의 제어부(121)를 스위칭트랜지스터(TR1, TR2)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 지 않는 범위내에서 기타의 스위칭 소자나, 또는 마이컴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상자신호발생부의 지상자신호 출력 수단으로 공지의 지상자(123)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지상자(123)에서 발생하는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기타의 수단, 예를 들어 주파수 발진기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3개의 신호 형태를 갖는 신호등을 3현시로 동작하는 ATS에 적용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즉, 4현시나, 5현시로 동작하는 ATS 모두에 적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기타의 신호형태를 갖는 ATS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는, 특히, 신호등신호검출부를 통해 신호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지상자신호발생부를 통해 ATS용 신호로 알맞게 변환하여 지상자를 통해 ATS의 차상장치로 전송함으로써, ATS의 지상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도 ATS의 제어에 의한 열차 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등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전선 외주면에 감겨 상기 전선밖으로 누설되는 전계(電界) 또는 자계(磁界)를 감지하는 감지코일과, 상기 감지코일에서 검출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신호등신호검출부; 및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ATS의 해당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지상자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2. 삭제
  3. 신호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자함의 각 전선에 그 일측 단자가 접속되고 타측 단자에 기준값이 설정되어 상기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신호등의 점등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신호등신호검출부; 및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등 제어신호를 ATS의 해당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지상자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자신호발생부는, 콘덴서와 코일로 이루어져 LC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지상자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계전기와 콘덴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상자의 콘덴서에 하나 이상 병렬로 접속되어,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지상자의 정전용량을 가변시켜 공진주파수를 변경하는 지상자제어계전기와; 신호등신호검출부와 지상자제어계전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등신호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지상자제어계전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KR1020000004792A 2000-02-01 2000-02-01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KR10075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792A KR100751055B1 (ko) 2000-02-01 2000-02-01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KR2020000004602U KR200192250Y1 (ko) 2000-02-01 2000-02-19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792A KR100751055B1 (ko) 2000-02-01 2000-02-01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02U Division KR200192250Y1 (ko) 2000-02-01 2000-02-19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179A KR20010077179A (ko) 2001-08-17
KR100751055B1 true KR100751055B1 (ko) 2007-08-23

Family

ID=1964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792A KR100751055B1 (ko) 2000-02-01 2000-02-01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55B1 (ko) * 2009-09-01 2011-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열차용 무접촉 지상 열차위치 및 속도검출장치 및 그 방법
CN114275006B (zh) * 2021-11-16 2024-05-17 昆明铁路局集团科学技术研究所 一种机车信号译码设备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933A (ja) * 1994-11-30 1996-06-11 Railway Technical Res Inst 高速対応信号システム
JPH08183454A (ja) * 1994-12-28 1996-07-16 East Japan Railway Co 自動列車停止制御装置
JPH09193805A (ja) * 1996-01-12 1997-07-29 Toshiba Corp 高密度列車運転システム装置
KR19980044324A (ko) * 1996-12-06 1998-09-05 김봉택 열차자동제어장치 및 열차자동정지장치겸용 지상신호 발생장치
KR20000056814A (ko) * 1999-02-26 2000-09-15 이종수 철도용 무선 신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933A (ja) * 1994-11-30 1996-06-11 Railway Technical Res Inst 高速対応信号システム
JPH08183454A (ja) * 1994-12-28 1996-07-16 East Japan Railway Co 自動列車停止制御装置
JPH09193805A (ja) * 1996-01-12 1997-07-29 Toshiba Corp 高密度列車運転システム装置
KR19980044324A (ko) * 1996-12-06 1998-09-05 김봉택 열차자동제어장치 및 열차자동정지장치겸용 지상신호 발생장치
KR20000056814A (ko) * 1999-02-26 2000-09-15 이종수 철도용 무선 신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업게 고등학교 신호보안 교제 198쪽에서 211쪽, 222쪽에서 227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179A (ko)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1666B1 (en) Crossing predictor with authorized track speed input
US20150294572A1 (en) Warning and guidance system to assist the parking of a vehicle
US4432517A (en) Circuit for detecting unbalance of the traction current in a track circuit
KR100751055B1 (ko)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KR200192250Y1 (ko)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지상신호 자동발생장치
ITVR940042A1 (it) Sistema anti-collisione per veicoli.
US1328865A (en) And train-control system
KR100415840B1 (ko) 3, 4, 5현시 겸용 열차자동 정지장치
KR100255709B1 (ko) 열차자동제어장치용 지상설비를 이용한 열차자동정지장치용 지상신호 발생장치
US3955785A (en) Electrical protective circuits
KR100598002B1 (ko) 열차자동정지장치 및 그 운행 자동제어방법
JP3441942B2 (ja) 列車検知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列車運行システム並びに列車検知装置
JPH0717627Y2 (ja) 列車選別装置
JP3515179B2 (ja) 列車制御装置
JP2009040251A (ja) 車軸検知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KR0175097B1 (ko) 무응동 상태를 방지한 ats 지상자 및 무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ats 차상장치
KR200176547Y1 (ko) 열차자동정지장치
JPH081172Y2 (ja) Ats装置
JP2023054898A (ja) 絶縁車輪の絶縁・短絡切替え装置と、保線車両と、絶縁車輪の絶縁・短絡切替え方法
JP2001301620A (ja) 信号冒進警報装置
KR19980039192A (ko) 열차자동정지장치 및 열차자동제어장치 겸용 지상장치
US1710498A (en) lewis
JPH10304516A (ja) 車上用変周式ats受信装置
KR200208161Y1 (ko) 열차자동정지장치
KR100798136B1 (ko) 특정구간으로 열차의 진입을 방지하는 에이티에스의 지상자 제어장치 및 에이티에스 지상자 제어장치를 이용한 이선진입 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