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043B1 -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043B1
KR100750043B1 KR1020047020452A KR20047020452A KR100750043B1 KR 100750043 B1 KR100750043 B1 KR 100750043B1 KR 1020047020452 A KR1020047020452 A KR 1020047020452A KR 20047020452 A KR20047020452 A KR 20047020452A KR 100750043 B1 KR100750043 B1 KR 10075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069A (ko
Inventor
유이찌로 하마노
마모루 히구찌
유끼히로 노다
리쯔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702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0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당해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이며,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로를 확보하면서 소정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통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 또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통신 방법,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휴대 단말, 이동 통신망, 무선 리소스

Description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폿적으로 발생하는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의 고속 전송을 통상의 통신에 영향을 끼치는 일 없이 실시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분야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의 보급 등에 수반하여 휴대 단말에 관계되는 트래픽은 증대하는 경향에 있다. 특히 오퍼레이터(사업자)에 의한 서비스·콘텐츠의 확충, 특히 웹·베이스·콘텐츠의 확충 등에 의해, 결과적으로 웹·사이트로의 억세스, 콘텐츠의 다운로드 등에 의한 트래픽의 증대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에 필요한 무선 리소스는 유한하기 때문에, 어느 휴대 단말이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처리를 실시시에는 같은 기지국 에어리어 내의 다른 휴대 단말에 의한 통신에 지장을 초래하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어느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휴대 전화 단말에 대해서는, 당해 기지국 및 그에 인접하는 기지국을 경유한 통신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동일 기지국이 커 버하는 범위 내에서는 통상의 통신 신호도, 그 이외의 상기 웹 콘텐츠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신호도 공통의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있다. 따라서, 동일 기지국의 커버 범위 내에 수많은 휴대 전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그 중의 어떤 단말이 웹·콘텐츠의 다운로드 등의 고속 데이터 전송 처리를 행한 경우, 그것이 종료할 때까지는 다른 단말에 의한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기지국 에어리어 내의 다른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동시에 고속으로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현존하는 이동 통신 기술의 틀을 변경하지 않고, 본래 이동 통신과는 독립하여 실시되고 있는 고속 통신 기능을 심리스한 형태로 이동 IP 통신망에 융합시킴으로써, 이동 IP 통신망에서의 스폿적인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 내에 종래의 이동 통신망 경로의 통신과 비교하여 훨씬 고속의 통신이 가능한 무선 LAN 등을 적용할 수 있는 에어리어를 설치하고, 그 이용 요구와 같은 신호 정보를 종래의 이동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통상의 통화 신호의 전송에 제공되는 경로와 그 이외의 고속 전송 사용자 데이터 전송에 제공되는 경로의 분리를 행하여, 통상의 신호 통신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당해 적용 에어리어 내에서의 스폿적인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의 고속 통신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당해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이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당해 이동 단말은 당해 통신 서비스용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당해 취득 어드레스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신호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당해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에 통지하며, 당해 어드레스의 통지를 계기로 상기 이동 단말과 제어 수단의 소정 데이터 수수를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현하기 위한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존의 이동 통신망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수법으로, 상이한 소정의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스폿적으로 실시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의 이동 통신망 서비스의 운용 중, 통상의 통화 신호 전송, 소용량 데이터 통신 등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동시에 고속 대용량 전송 무선 통신 서비스를 수시로 실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존의 이동 통신망 서비스 운용 중에서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무선 통신 서비스를 도입하는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과제로서의, 당해 다른 2종류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한 휴대 이동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배터리 소모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당해 과제의 해결을 위해, 소정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이와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의 전환을 적절히 행하며, 동시 에 그 동안에 당해 휴대 이동 단말이 구비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적절히 비활성화하는 구성을 구비하였다.
그 결과, 특히 비교적 전력 소비율이 클 것으로 예측되는, 휴대 이동 단말 장치 내의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 무선 통신 서비스에 관계되는 부분을 적절히 비활성화, 즉 당해 부분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당해 휴대 이동 단말 장치의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휴대 이동 단말 장치의 대기 시간을 유지하며, 동시에 스폿적으로 발생하는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구성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제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경로의 확립 및 그것이 UTRAN 경로에서 무선 LAN 경로로 바뀔 때까지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시퀀스에서의 PDP 컨텍스트 처리 절차의 상세를 나타내며, 그 중에서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가 RNC에 도달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시퀀스에 있어서의, 무선 LAN 에어 스테이션의 DHCP 기능에 의한 MS로의 무선 LAN 환경하에서만 사용 가능한 IP 어드레스의 부여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시퀀스에 있어서의, MS에서 RNC로의 종래의 UTRAN 경로를 사용한 『무선 LAN 사용 가능』 통지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6A는 도 2에 나타내는 시퀀스에 있어서의, MS에서 RNC로의 통신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통신 동작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에 의해 RNC가 작성·보유하는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시퀀스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 참조에 의한 패스 단위에서의 경로 전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시퀀스에 있어서의, 무선 LAN 경로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 전송시의 패킷 포맷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제2)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의 확립 및 그것이 UTRAN 경로에서 무선 LAN 경로로 바뀔 때까지의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동 단말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동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의 확립 및 그 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데이터 경로의 확립 및 그 후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소위 제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IMT2000」의 사양 작성에 관여하는 프로젝트 그룹인 3GPP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당해 통신 시스템은 대별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와 위치 제어·호제어·서비스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CN; 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UTRAN은 기지국 제어 장치(RNC; 30)와 무선 기지국으로서의 노드B(20)로 이루어진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40)와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소위 Iu(인터커넥션·포인트)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며,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무선 리소스의 관리, 각 노드B(20)의 제어 등을 행한다. 각 노드B(20)는 하나 혹은 복수의 셀을 커버하며, 도 1의 예에서는 범위 R1의 지역을 커버하고 있다.
한편,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이더넷(등록 상표) 등의 통신망에 의해 라우터(60) 경유로 소정의 무선 LAN에 의한 스폿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어 스테이션(50)과 접속되어 있다. 이 에어 스테이션(50)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70)를 구비하며, 종속되어 있는 단말(10)에 대하여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부여하는 DHCP 기능을 갖는다. 당해 에어 스테이션(50)의 통지 전파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는 도 1의 예에서는 범위 R2의 지역이다.
사용자가 갖는 각 이동 단말(10)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이며, 노드B(20)가 커버하는 범위 R1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노드B(20)와의 사이가 소정의 무선 통신로에 의해 연결되며, 한편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50)이 커버하는 범위 R2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에어 스테이션(50)과의 사이가 마찬가지로 소정의 무선 통신로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노드B(20)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에서는, 통상적으로 일반의 통화 통신, 전송 데이터량이 적은 패킷 통신을 행하는 한편,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50)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에서는 비교적 전송 데이터량이 큰 고속 대용량 패킷 통신을 행한다.
본 구성에서 실행되는 통신 제어 동작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즉, 이동 단말(10)에서는 무선 LAN측의 전파를 받은 경우 IP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있는 DHCP 서버(70)에 대하여 IP 어드레스를 요구하고, 단말(10)이 이와 같이 하여 무선 LAN측으로부터 얻은 IP 어드레스를 템퍼러리 IP 어드레스·파라미터라는 새로운 보고 정보로서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부가하여 무선 기지국(30)으로 보낸다. 또한, 당해 단말(10)의 사용자는 통신 기동시의 단말 조작에 의해 『무선 LAN-희망 파라미터』를 컨텍스트 정보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액티브 PDP 컨텍스트·리퀘스트 신호 정보를 수신한 코어측 장치(40)는 그 중에 포함되는 상기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RAB 어사인먼트·리퀘스트 신호의 새로운 정보 요소로서 해당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통지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소정의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상에 「단말 식별자 정보-템퍼 러리 IP 어드레스-통신 패스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10)로부터의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수신을 트리거로서 상기 표 중의 대응하는 개소를 참조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30)가 그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의 참조 결과에 기초하여 통신 경로의 변경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당해 경로를 무선 LAN 경유로 전환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IP 오버 IP의 형태로 하고, 그 외측의 헤더에 무선 LAN 환경에서 취득한 IP 어드레스를 삽입하여 송출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자신의 IP 어드레스를 IP 어드레스·파라미터라는 새로운 정보로서 『측정 정지 명령(Measurement complete)』에 포함하여 단말(10)로 보낸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단말(10)이 무선 LAN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 있어서 DHCP 서버(70)로부터 새로운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그것을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통지하고, 기지국 제어 장치(30)가 본 IP 어드레스를 수신측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무선 LAN 경로라는 새로운 통신 경로를 통한 단말(10)과의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단말(10)이 무선 LAN 환경에서 취득한 IP 어드레스를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의 새로운 파라미터 정보로서 부가함으로써, 본 정보를 기존의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 기동시의 단말 조작에 의하여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지정함으로써, 단말 이용자는 무선 LAN 경로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사를 통신 컨텐츠 마다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그 파라미터를 새로운 컨텍스트 정보로서 부가함으로써, 본 정보를 기존의 신호(액티브 PDP 컨텍스트·리퀘스트)를 통하여 망측으로 전달 가능해진다.
또한, 이 액티브 PDP 컨텍스트·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 코어측 장치(40)가 거기에 포함되는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기존의 신호(RAB 어사인먼트·리퀘스트)의 새로운 정보 요소로서 부가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보냄으로써, 단말(10)로부터 입력된 가입자의 요구가 기지국 제어 장치(30)에서 컨텍스트 정보로서 보유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 장치(30)가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를 갖고, 단말(10)에 대하여 뻗어있는 데이터 패스에 관한 모든 정보를 그곳에서 일괄 관리함으로써, 기지국 제어 장치(30) 자체가 경로의 전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의 수신을 상기 대응표 참조의 계기로 함으로써, 수시로 적절한 경로에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작을 기동할 수 있다.
또, 단말(10)이 무선 LAN 환경에서 취득한 IP 어드레스를 IP 오버 IP 형태로 캡슐화한 패킷의 외측 헤더 정보로서 송신하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무선 LAN을 통신 경로로 한 기지국 제어 장치(30)와 단말(10) 사이의 섹션을 확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단말(10)이 사용할 수 있는 무선 LAN 환경을 이동 IP 통신망에 있는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알리고, 이에 의해 소정의 패스를 통하여 공급 된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LAN 경로의 데이터 전송으로 변경하기 위한 판단을 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시로 기지국 제어 장치(30)와 단말(10)간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 경로를 무선 LAN 경유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무선 LAN이라는 본래 이동 통신과는 독립하여 실현되고 있는 고속 통신 기능을 심리스한 형태로 이동체 IP 통신망에 융합시켜, 이동 통신망 서비스의 운용의 틀 내에서 스폿적인 고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통상은 이동체 통신망 본래의 액세스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LAN을 이용 가능한 에어리어(S2)로 사용자가 이동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무선 LAN에 의한 데이터 통신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무선 LAN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희망하는 사용자는 무선 LAN의 서비스 제공 에어리어(S2) 내에 있는지, 에어리어 밖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이동 단말(10)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 LAN 장치를 활성화하여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 당해 무선 LAN 장치는 상기 에어리어(S2)에 있는 한, 자신에게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되는 모든 무선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때마다 수신 프레임의 수신처 MAC 어드레스를 조사하는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당해 이동 단말(10)에서의 소비 전력량이 커진다.
또, 사용자가 무선 LAN의 서비스 제공 에어리어(S2) 내에 있고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때 데이터량이 비교적 적어,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 미리 준비되어 있는 회선 용량으로는 과잉이며 본래의 이동체 통신망의 액세스 수단의 회선 용량으로 충분한 경우라도, 항상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시스템을 경유한 데이터 송수신이 행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LAN 장치의 소비 전력은 본래의 이동체 통신망에 의한 통신 동작의 경우에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이동 단말(10)의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서 사용되는 이동 단말(10)은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로 가동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량의 증가에 따라 대기 시간이 짧아지면 사용 편리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때문에, 상기 3GPP에서는 미리 각각의 이동 단말을 몇개의 착신군으로 나누어 두고, PICH(Page Indication Channel: 물리 채널의 일종)를 이용하여 특정한 착신군에 대하여 착신 있음의 통지를 행한다. 이 PICH에서 착신 있음의 통지를 받은 이동 단말(복수)에서는 S-CCPCH(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물리 채널의 일종)에 맵핑된 PCH(Paging Channel: 트랜스포트 채널의 일종)를 수신한다. 그 때, 대기중인 이동 단말은 자신이 소속하는 착신군용의 PI(Paging Indicator)만을 수신하고, 착신 있음이라는 통지를 받은 경우에만 S-CCPCH/PCH를 수신한다. 따라서 수신시의 소비 전류가 효과적으로 저감되어,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에서의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당해 시스템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W-CDMA 이동 통신 방식」, 立川 敬二 감수, 九善주식회사 발행, 제4판, 222 내지 223페이지, 「(ii) 간혈 수신 제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PICH의 1무선 프레임마다 10ms 정도 동안, 전류가 소비된다.
한편,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어떤 액세스 포인트와 그에 종속된 송수신 단말과의 사이에서는 한 종류의 채널에서 모든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전파 경합(프레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기술로서, CSMA/CA+ACK(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with Acknowledgement)나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 등의 수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 CSMA/CA+ACK 방식에서는 어떠한 예고도 없이 송신측이 수신측으로 전파를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RTS/CTS 방식에서는 송신측이 RTS(송신 예고)를 행하여 CTS(수신 승인)를 받은 후에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만, 이들 RTS나 CTS는 모든 단말이 수신한다. 따라서, 어떤 수법이라도 송수신 단말은 항상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상황에 있을 필요가 있고, 때문에 당해 단말에서의 전력 소비량이 증대하게 된다. 또, 상기 전파 경합의 기술로서, 예를 들면 「日經 NETWORK 2000년 9월호」의 66 내지 67페이지에 기재된 「전파 경합은 어떻게 회피하는가?」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으나, 한편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아직 이와 같은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시스템을 그대로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 조합하여 적용한 경우, 상기 전력 소비량의 언밸런스에 기인하여 결과적으로 개개의 이동 단말의 소비 전력량이 증대하여 한회의 배터리 충전에 의한 이동 단말의 대기 시간이 대폭 감소함으로써 사용자에 있어서의 사용상 편리성이 악화될 우려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동 통신 액세스 수단 이용의 형태에서 무선 LAN 이용의 형태로의 데이터 통신의 전환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음으로써 소비 전력을 삭감하고, 사용자가 배터리 급전으로 이동 단말을 이용하고 있을 때의 가동 시간을 길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을 적용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LAN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에서는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 단말에 무선 프레임이 도달하고, 전파를 수신한 이동 단말은 모든 무선 프레임의 수신처 MAC 어드레스와 자신의 MAC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그 비교의 결과 자신 앞으로가 아닌 경우는 그 무선 프레임을 파기하고, 자신 앞으로인 경우에만 그 무선 프레임의 취득을 행한다. 이와 같이 자신 앞으로가 아닌 무선 프레임에 대해서도 항상 수신·비교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무선 LAN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는 그 이외의 상태에 비하여 이동 단말에서의 소비 전력량이 현저히 증대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무선 LAN 장치를 활성화하는 방식을 적용한 경우, 전력의 소비량이 증대하여 버린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이 무선 LAN 사용 가능 에어리어로 이동했을 때에 항상 무선 LAN 서비스 이용 가능 상태로 이행하는 방식을 그만두고, 이동 통신 액세스 수단에 의한 서비스에서 무선 LAN에 의한 서비스로의 데이터 통신 전환을 선택적으로 행함으로써 각 단말에서의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배터리 급전으로 이동 단말을 이용하고 있을 때의 가동 시간을 연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10)이 무선 LAN 서비스 사용 가능한 에어리어(S2)에 있어도, 실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을 때는 당해 이동 단말(10)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 LAN 장치를 비활성화인 상태로, 즉 무급전 상태로 하여 두는 한편, 사용자, 이동 단말 자체 혹은 당해 이동 통신망에 무선 LAN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마련한다.
그리고 당해 판단을 위한 기준으로는 데이터 송수신량, 배터리 잔량, 이동 통신망·무선 LAN의 무선 링크의 빈 대역 상황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한다. 그리고 사용자, 이동 단말 또는 이동 통신망에 의해 무선 LAN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고 판단되고, 실제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때에만 무선 LAN 장치를 활성화하여, 즉 급전하여, 전파의 송수신과 수신한 MAC 프레임의 수신처 확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이 끝난 시점에서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당해 무선 LAN 장치를 다시 비활성화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필요한 때에만 무선 LAN 장치를 활성화하고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비활성화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의 전력 소비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의 배터리에 의한 가동 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 무선 LAN 시스템의 내장에 의해서도 종래의 이동 통신 방식에서의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10), 기지국 제어 장치(30), 무선 기지국(20), 무선 LA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어 스테이션(50)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이들 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 는 제1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10)에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의 통신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UTRAN 경유, 즉 종래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무선 LAN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전환한다.
먼저, 이동 단말(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 단말(10)은 UTRAN 경로에서의 IP 통신 기능 및 무선 LAN 경유에서의 IP 통신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10)에는 엔드·투·엔드로의 통신을 위한 IP 어드레스가 미리 할당되어 있다. 이 IP 어드레스는 UTRAN 경로, 무선 LAN 경유 각각에서의 IP 통신에 사용된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사용자가 무선 LAN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희망하는 것을 PDP 컨텍스트 정보에 부가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통지에 사용하는 정보를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라 부른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UTRAN 경유의 통신 상태에서 무선 LAN에 의한 통신 상태로 전환할 때의 「임계치」를 상기 PDP 컨텍스트 정보에 부가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로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 상기 임계치는 기지국 제어 장치(30)에서 그것의 종속된 전 이동 단말(10) 공통의 값으로 하여 고정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지 기능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기지국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해, 자신이 탑재하는 무선 LAN 장치 전원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이동 단말(10)은 기지국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온으로 했을 때에 에어 스테이션(50)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무선 LAN 경유에서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10)은 무선 LAN에 의한 통신에 앞서, 에어 스테이션에 설치된 DHCP 서버(70)의 DHCP 기능에 의해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 경유로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이 IP 어드레스는 상기 엔드·투·엔드 통신용으로 미리 할당되어 있는 IP 어드레스와는 달리, 기지국 제어 장치(30)와 이동 단말(10) 사이에 트랜스포트층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 IP 어드레스를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라 부른다.
이동 단말은 취득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무선 기지국(20)(종래의 UTRAN 경로) 경유로, UTRAN에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를 사용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10)이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S2) 밖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공백」으로 한 상태에서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를 사용하여, 당해 상황을 기지국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동 단말(10)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이 OFF된 경우에도,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공백」으로 한 상태로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를 사용하여 당해 상황을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기지국 제어 장치(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UTRAN 경로에서의 IP 통신 능력을 갖는다. 즉,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이동 단말(10)로부터 상기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10)이 송수신 가능한 무선 환경을 파악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이것은 종래의 3GPP에 의한 기지국 제어 장치가 갖는 기능이다.
기지국 제어 장치(30)에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을 위한 I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이 IP 어드레스는 상기 이동 단말(10)측의 템퍼러리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이동 단말(10)로부터의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포함되는 템퍼러러 IP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CN(40)으로부터의 액티브 PDP 컨텍스트·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임계치」를 상기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의 일부로서 이동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그 값을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임계치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 제어 장치(30)측에 미리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임계치가 가입자 데이터로서 미리 코어 네트워크 장치(CN; 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어, 기지국 제어 장치(30)가 당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운로드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소정의 『이동 단말 식별자(MS의 ID)』,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 『GTP』, 『컨텍스트(무선 LAN 희망)』, 『임계치』 사이의 대응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대응표는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라 불린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제어부와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UTRAN과 무선 LAN 중 어느 경로로 송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에 대하여 경로 전환을 지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 장치(30)의 제어부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10) 앞으로의 데이터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초과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당해 이동 단말(10)에 대해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ON으로 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반대로 상기 데이터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당해 이동 단말(10)에 대해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 LAN 장치 전원 ON을 지시한 이동 단말(10)로부터의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에 의해 무선 LAN 경유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은 경우, 그 이동 단말(10)로의 사용자 데이터 송신이 무선 LAN 경유로 행해지도록 지시하는 통신 경로 전환 지시를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에 보낸다. 한편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무선 LAN 장치 전원 ON을 지시한 후 일정 시간 경과하여도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서 무선 LAN 경유로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당해 이동 단말(10)이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S2)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당해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 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한다. 또, 이동 단말(10)로부터의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서 무선 LAN 경유로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통지를 받을 때까지는 종래처럼 무선 기지국(20) 경유, 즉 UTRAN 경유로 MS(10)에 대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 장치(30)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는 CN(40)용의 통신로인 GTP와, MS(10)용의 UTRAN 경유와 무선 LAN 경유의 통신로를 종단하고,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기초하여 CN(4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MS(10)에 전송할 때, 그 전송 경로를 UTRAN 경유와 무선 LAN 경유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의하지 않고, 이동 단말(10)과의 사이의 제어 신호는 종래의 무선 기지국(20) 경유(UTRAN 경유)로 송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무선 기지국(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기지국(20)은 UTRAN 경유에서의 IP 통신 기능을 갖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10)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전달하며,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 제어 신호를 이동 단말(1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이것은 종래의 3GPP에 의한 UTRAN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이 갖는 기능이다.
다음으로,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50)은 기지국 제어 장치(30)와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며, 기지국 제어 장치(30)로부터 보내 온 사용자 데이터를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중 계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스테이션(50)의 기지국 제어 장치(30)와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갖고, 이동 단말(10)과 기지국 제어 장치(30) 간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의 중개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유선 인터페이스(이더넷(등록 상표) 등)상의 프레임 포맷과 무선 통신(무선 LAN)상의 프레임 포맷 사이의 변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에어 스테이션(50)은 DHCP 서버(70)에 접속하고 있으며, 종속되어 있는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IP 어드레스(상기 템퍼러리 IP 어드레스에 상당)를 요구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코어 네트워크 장치(40)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3GPP에 의한 이동 통신 방법에서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과 같아도 되며, 종래의 가입자 관리·이동 관리 등의 기능을 그대로 살린 구성으로 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통신 시퀀스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8을 함께 설명한다. 또, 도 2에 있어서 실선은 종래의 UTRAN 경유에서의 신호 전송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무선 LAN 경유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3GPP에서 규정되어 있는 장치 명칭에 따라, 전술한 이동 단말(10)을 『MS』, 기지국 제어 장치(30)를 『RNC』, 무선 기지국(20)을 『노드B』,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접속되는 코어 네트워크측 장치(40)의 총칭을 『CN』이라 한다.
도 2에 있어서, 단계 S1에서 MS(10)에서의 데이터 수신의 경우 RNC(30)와 MS(10)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로 확립을 위한 RRC 커넥션 설정 절차가 실행된다. 또, 이는 종래의 UMTS, 즉 유럽 전기 통신 표준화 협회가 정하는 제3세대 이동 통 신 시스템 「IMT2000」의 유럽 규격에서 정의되어 있는 처리이며, 본 절차는 3GPP 사양서 TS 25.331에 규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단계 S2에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로 설정을 위한 PDP 컨텍스트 처리 절차가 실행된다. 본 처리 절차의 상세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고 이 또한 상기 UMTS에 정의된 처리이며, 본 절차는 3GPP 사양서 TS 23.060에 규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당해 절차에서 규정되어 있는 컨텍스트 정보로서 새롭게 상기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부가한다(도 3의 단계 S31). 이 PDP 컨텍스트 처리 절차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RNC(30)-CN(40)간에 GTP라 불리는 파이프가 확립된다.
또, 그 처리 절차 중에서 CN(40)에서 RNC(30)로 보내지는 것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RAB 어사인먼트·리퀘스트(단계 S32)의 정보 요소의 하나로서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그 파라미터 정보가 RNC(30)로 보내지고, 거기에서 컨텍스트 정보 요소의 하나로서 저장됨(단계 S33)과 동시에, RNC(30)와 MS(10) 사이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로로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가 확립된다(단계 S34).
다음으로 단계 S3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확립된 GTP와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를 사용하여 종래의 UTRAN 경로(노드BG(20) 경유)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이 때, RNC(30)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가 CN(4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UTRAN 경로에 송출함으로써, MS(10)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실현된다.
단계 S4에서 RNC(30)는 MS(10)가 수신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트래픽)의 감시를 행한다. 이 처리는 종래의 3GPP 사양에 따른 처리로서의, 데이터량에 따라서 사용되는 전송로의 할당을 공통 채널과 개별 채널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RNC(30)에 의한 트래픽 감시 처리의 결과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단계 S5에서는, RNC(30)는 상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량(트래픽)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이 임계치는 미리 RNC(30)에서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또는 단계 S2에서 PDP 컨텍스트 처리 절차 중에서, MS(10)로부터 CN 경유로 RNC(30)에 통지되는 정보 중에 포함되여 전송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단계 S6에서 RNC(30)는 단계 S5에서 데이터량(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한 것을 검출한 경우, UTRAN 경로(노드B(20) 경유)의 제어 신호 루트에서 MS(10)에 대하여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 ON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종래부터 있는 개별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즉 DCCH)의 사양에 본 신호를 추가함으로써 가능하다.
단계 S7에서 MS(10)는 단계 S6의 지시를 수신한 경우,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ON으로 하고 에어 스테이션(50)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S8에서 당해 MS(10)는 본 에어 스테이션(50)의 DHCP 서버(70)에 대해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요구한다(도 4 참조).
단계 S9에서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50)은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MS(10)에 부여한다. 이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는 RNC(30)와 MS(10) 사이에서 무선 LAN 경유로 사용자 데이터를 통신할 때에 사용되는 트랜스포트층을 실현하기 위한, MS(10)측의 IP 어드레스가 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MS(10)가 엔드·투·엔드 통신에서 사용 IP 어드레스와는 다른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10에서는, RNC(30)는 상기 수신 전파 상황 요구(Measurement Request) 신호를 MS(10)로 보낸다. 또 이는 3GPP에 의한 RNC에 종래부터 구비되어 있는 기능이며, 실제로는 MS(10)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이다.
단계 S11에서 MS(10)는 단계 S9에서 취득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상기 수신 전파 상황 요구(Measurement Request) 신호로의 응답인 수신 전파 상태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포함하여 RNC(30)에 송신한다. 그 결과, RNC(30)는 본 MS(10)가 무선 LAN 사용 가능한 환경에 있는 것을 인식한다(도 5 참조).
한편 MS(10)가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R2) 밖에 있는 경우, 단계 S9에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RNC(30)에 대하여 반송하는 수신 전파 상태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있어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부가하여 통지할 수 없다(단계 S11A).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RNC(30)는 단계 S6에서 MS(10)에 무선 LAN의 전원 ON을 지시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MS(10)로부터의 수신 전파 상태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템퍼러리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MS(10)가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R2)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MS(10)에 대하여 무선 LAN의 전원 OFF를 지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MS(10)는 단계 S12에서 RNC(30)로부터 무선 LAN의 전원 OFF 지시를 수신한 경우,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고 UTRAN 경유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속행한다.
또한, RNC(30)는 상기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를 작성하여 관리한다(단계 S14). 이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는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고, 『이동 단말 식별자(MS의 ID)』,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 『GTP』, 『컨텍스트(무선 LAN 희망)』 및『임계치』가 포함된다.
단계 S15에서 RNC(30)는 상기 단계 S14에서 작성된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무선 LAN 경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에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와 『템퍼러리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이동 단말 앞으로의 데이터 통신량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 당해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상기 RNC(30)의 제어부가 경로 전환 필요로 판단하여, RNC(30)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에 대하여 무선 LAN 경로로의 전환을 지시한다.
이 경우 단계 S16에서 RNC(30)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는 사용자 데이터를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앞으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LAN 경유로의 사용자 데이터 송신이 실현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50)에 의한 데이터 전송로를 사용한 경로로 사용자 데이터 전송 경로가 전환된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는 무선 LAN 경로로 당해 MS(10)에 전송된다.
한편, 종래의 3GPP 사양에서는 개별 채널의 데이터 통신량이 감소한 경우에, 당해 이동 단말의 통신 경로가 자동적으로 공통 채널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사양에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로가 무선 LAN 경유로 전환된 후에도, 단계 S3에서 설정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는 보존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 3GPP 사양 그 대로에서는, 무선 LAN으로의 통신 경로 전환 후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의 개별 채널에서 공통 채널로의 전환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무선 LAN으로의 통신 경로 전환 직후에 강제적으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를 개별 채널에서 공통 채널로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S17에서, RNC(30)는 단계 S4에서 개시한 데이터량(트래픽)의 감시를 계속하고 있으며, 데이터량(트래픽)이 단계 S5에 기재된 임계치를 하회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18에서 RNC(30)는 데이터량이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 사용자 데이터 통신 경로를 단계 S16에서 보존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 경유의 경로로 되돌린다. 이 경우, 단계 S19에서 RNC(30)는 단계 S18에서의 경로 전환이 완료한 시점에서, UTRAN 경로(노드B 경유)의 제어 신호 루트에서 MS(10)에 대해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 OFF를 지시한다. 그리고 이 경우 단계 S20에서 RNC(30)는 단계 S14에서 작성한 이동 단말 관리표를 갱신하고,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란의 값을 삭제한다. 그러면 단계 S21에서 MS(10)는 단계 S19에 의한 지시를 수신한 경우,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종래의 UTRAN 경로(노드B 경유)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불충분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서만, 무선 LAN 경유의 데이터 전송 경로로 전환하여 사용자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또 아울러, 무선 LAN을 사용하는 때에만 당해하는 이동 단말(10)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온으로 하기 때문에 당해 단말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RNC(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MS(10)가 자동적으로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 ON/오프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MS(10)가 그 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에서 표시함으로써, 당해 MS(1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고, 그 결과로서 통신 경로를 전환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수동으로 조작하여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로가 무선 LAN 경유로 전환된 후에도 단계 S3에서 설정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는 보존되는 구성이었으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로가 무선 LAN 경유로 전환될 때에 상기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를 절단하고, 무선 LAN 경유에서의 통신이 완료했을 때에 다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를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스테이션(50)에 부속인 DHCP 서버(70)로부터 이동 단말에 대하여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구성이었으나, 그 밖에도 독립한 DHCP 서버가 에어 스테이션(50)과 라우터(60) 사이의 이더넷(등록 상표) 등의 망 위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구성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에어 스테이션(50)에서 무선 LAN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었으나, 이 밖에도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 스테이션(51, 52, 53)을 이용하여 하나의 에어리어(R2)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리적으로 떨어진 지역에 대해서는 도 1 또는 도 9에 도시된 라우터(60)에서 세그먼트를 나누어, 각 세그먼트마다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번호를 바꿈으로써, 이들 지역에 대하여 무선 LAN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이동 단말(10)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 LAN 장치의 전원 ON 방법의 일례로서, Windows 9x·ME 등(모두 등록 상표)에 표준으로 실장되어 있는 「컨트롤 패널」 내의 「하드웨어 추가」 기능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킴으로써, 무선 LAN 장치를 검출하여 이를 기동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PC 카드의 「하드웨어 제거」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당해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1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당해 이동 단말(10)에 표시되는 데이터량(트래픽)에 기초하여 수동 조작으로 필요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UTRAN 경유와 무선 LAN 경유의 사이에서 전환한다. 즉, 이동 단말(10)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하는 데이터량을 기초로 UTRAN과 무선 LAN의 어느 경로에서의 통신으로 당해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행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적절히 통신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을 당해 MS(10)에 대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10)은 무선 LAN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할 때의 임계치를 PDP 컨텍스트 정보에 부가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통지하는 기능은 불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LAN 경유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그 수신을 종료한다고 판단하여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필요한 조작을 행한 경우, 이 조작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당해 이동 단말(10)에 탑재된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이 ON/OFF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이동 단말(10)은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무선 LAN 장치가 전원 ON이 된 경우, 에어 스테이션(50)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무선 LAN 경유로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판단한다. 한편 에어 스테이션(50)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R2)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당해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구성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제어 장치(30)에는 상기 무선 LAN에 의한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임계치를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포함한 형태로 이동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이 값을 보존하는 기능은 불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UTRAN과 무선 LAN의 어느 경로로 송출할지를 판단하는 기능도 불필요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제어 장치(30)의 제어부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10) 앞으로의 데이터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 를 초과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당해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그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온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도 불필요하다. 또 데이터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이동 단말에 대하여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도 불필요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이동 단말(10)로부터의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포함되는 형태로 무선 LAN 경유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통지를 받은 경우, 이 이동 단말(10)로의 사용자 데이터 송신을 무선 LAN 경유로 행하기 위한 통신 경로 전환을 그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에 지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퀀스에 대하여 도 10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제1 실시예와 같이 단계 S1에서, MS(10)에서의 데이터 발착신시에, RNC(30)와 MS(10) 사이에서 제어 신호로 확립을 위한 RRC 커넥션 설정 절차가 실행된다. 계속해서, 단계 S2에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로 설정을 위한 PDP 컨텍스트 처리 절차가 실행된다. 컨텍스트 정보로서 새롭게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추가하고 PDP 컨텍스트 처리 절차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하여 RNC(30)-CN(40)간에 GTP라 불리는 파이프가 확립된다. 이 처리 절차중에서 CN(40)에서 RNC(30)로 보내지는 RAB 어사인먼트·리퀘스트의 정보 요소의 하나로서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를 추가함으로써, 본 파라미터 정보가 RNC(30)에 컨텍스트 정보 요소의 하나로서 저장됨과 동시에 RNC(30)와 MS(10) 사이의 사용자 데이터 전 송로로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가 확립된다.
이와 같이 확립된 GTP와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를 사용하여 종래의 UTRAN 경로(노드B 경유)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이 때, RNC(30)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가 CN(4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UTRAN 경로에 송출함으로써 MS(10)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실현된다.
이 시점에서, 당해 이동 단말(10)의 사용자는 FTP 서버로의 액세스 등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단계 S41에서 MS(10)는 통상의 웹·브라우저 등의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단계 S42에서, 이와 같이 하여 MS(10)상에 표시된 다운로드하는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그를 위한 데이터 통신 경로를 무선 LAN으로 전환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 경로를 전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MS(10)상에서 그 전환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MS(10)에서는 그와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계 S43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LAN 장치가 전원이 ON됨으로써, 에어 스테이션(50)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8에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MS(10)는 본 에어 스테이션(50)의 DHCP 서버(70)에 대하여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요구하고, 무선 LAN의 에어 스테이션(50)은 그에 응하여 단계 S9에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당해 MS(10)에 부여한다.
다음으로 MS(10)는 상기 단계 S8에서의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요구로부터 일 정 시간 경과하여도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부여받지 못했을 경우, 자신이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R2)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단계 S44에서 당해 MS(10)는 사용자에 대하여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 밖에 있다는 것을 통지하고, 자신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고, 단계 S3에서 설정된 UTRAN 경로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속행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계 S10에서 RNC(30)는 정기적으로 수신 전파 상황 요구(Measurement Request) 신호를 MS(10)에 보내고, MS(10)는 단계 S45에서 상기 단계에서 취득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위의 수신 전파 상황 요구 신호의 반신으로서의 신호인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포함하여 RNC(30)에 송신한다. 그 결과 RNC(30)는 본 MS(10)가 무선 LAN 사용 가능한 환경에 있는 것을 인식한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RNC(30)는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이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에는 『이동 단말 식별자(MS의 ID)』,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 『GTP』, 『컨텍스트(무선 LAN 희망)』 및『임계치』의 각각의 정보가 포함된다. RNC(30)는 단계 S15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작성한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에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와 『템퍼러리 IP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당해하는 이동 단말(10)로의 데이터 송신을 무선 LAN 경유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에 『무선 LAN 희망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이동 단말(10)로부터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수신한 경우 에, RNC(30)의 제어부가 당해 RNC(30)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에 대하여 무선 LAN 경로로의 전환을 지시한다.
단계 S16에서 RNC(30)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부는 사용자 데이터를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앞으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LAN 경유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송신을 실현한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는 무선 LAN 경로로 당해 MS(10)에 대하여 전송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종래의 FTP에 의한 데이터 다운로드의 기능 등에 의해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종료한 것을 알 수 있다(단계 S46). 그리고 사용자는 이와 같이 하여 다운로드 종료를 인식한 경우, 무선 LAN 경유에서의 데이터 수신 종료를 결정하고 MS(10)의 무선 LAN 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조작을 행한다(단계 S47).
MS(10)는 그 무선 LAN 장치의 전원 OFF를 검출한 경우,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란을 공백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를 RNC(30)로 송신함으로써, 무선 LAN에서의 데이터 전송 종료를 통지한다(단계 S48).
RNC(30)는 그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 정보 대응표 중의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란을 공백으로 한다(단계 S49). 이와 같이 하여 RNC(30)는 본 MS(10)가 무선 LAN 사용 가능한 환경에 있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단계 S2에서 설정된 종래의 UTRAN 경로(노드B 경유)로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으로 전환한다(단계 S50).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단계 S50 의 절차에 의한 종래의 UTRAN 경로(노드B 경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으로의 전환을 검출한 후에, 단계 S47의 절차에 의한 무선 LAN 장치의 전원 OFF를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데이터량을 인식하여 무선 LAN 경로에서의 통신으로의 전환 판단을 행하였으나, 이와는 별개로 이동 단말(10)에 사용자 데이터량 감시부를 설치하여 데이터 송수신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웃돌거나 또는 밑도는 것을 이동 단말(10) 자신이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이동 통신망 경로와 무선 LAN 경로의 전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의 구성 이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하나의 에어리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리적으로 떨어진 지역에 대해서는 도 1 또는 도 9의 라우터(60)에서 세그먼트를 나누어, 각 세그먼트마다 IP 어드레스의 네트워크 번호를 바꿈으로써 무선 LAN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모두 이동 단말(10)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이동 단말(10)로부터 RNC(3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도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들 실시예 모두 이동 단말(10)에 마련된 무선 LAN 장치 전체의 전원 ON·오프에 의한 소비 전력 삭감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 무선 LAN 장치 중 전파 송신 기능 부분이나 MAC 어드레스 해석 기능 부분 등 일부의 기능만을 활 성화·비활성화, 즉 급전, 비급전으로 하도록 구성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이동 단말(10)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하드웨어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은 이동 통신 방식 본래의 무선 송수신 기능, 즉 UTRAN 경유의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부(10c, 10d)와, 새로운 무선 LAN에 의한 무선 송수신 기능을 갖는 무선 송수신부(10b), 즉 무선 LAN 장치(10b)를 갖고, 또 당해 이동 단말(10)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푸쉬버튼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입력부(10k) 및 사용자에 대한 표시를 행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부(10l)를 포함한다. 또한 각 송수신부(10c, 10d, 10b)용으로 안테나(10a, 10b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당해 이동 단말(10)은 상술의 통신 시퀀스에서의 동작을 포함하는 여러 동작·제어 전반을 담당하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이들은 이하에 설명하는 도 11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10e, 10h, 10i, 10j)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당해 단말(10)의 동작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h), 그 배터리(10h)에 의한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온·오프하기 위한 급전부(10f)를 구비한다.
이하에 도 11과 함께 이동 단말(10)의 구체적 기능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데이터 통신 경로의 전환을 기지국 제어 장치(30)가 판단하기 때문에, 이 경우 이동 단말 장치(10)는 도 11 중 사용자 데이터량 감시부(10e)와 배터리 잔량 감시부(10g)는 불필요해진다.
당해 이동 단말(10)은 통상적으로, 종래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 경로, 즉 UTRAN 경유로 통상의 신호 및 웹·콘텐츠 등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이동 단말(10) 앞으로의 데이터 통신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초과한 것을 검출한 경우, 이동 단말(10)에 대하여 무선 LAN 장치(10b)를 활성화하여 무선 LAN 경로에서 통신하도록 신호로 지시한다. 이동 단말(10)은 이 신호를 종래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부(10c) 경유로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에서 수신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에 의해 상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송수신부(10d)는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를 구동하여 배터리(10h)로부터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행하게 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는 위의 동작과 병행하여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요구·수신부(10j)에 대해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이 행해진 것을 통지하고, 이를 받은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요구·수신부(10j)는 무선 LAN 장치(10b) 경유로 에어 스테이션(50)에 대하여 상기 템퍼러리 IP 어드레스의 요구·수신을 행한다. 또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 요구·수신부(10j)는 이와 같이 하여 에어 스테이션(50)으로부터 수신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에 통지하고, 당해 송수신부(10d)는 상기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포함하여 이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송신한다. 그 결과 이동 단말 장치(10)는 무선 LAN에 의한 통신이 실시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무선 LAN 경로로 통신 중인 이동 단말(10)로의 데이터 통신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 이동 단말(10)에 대해 무선 LAN 장치(10b)를 비활성화하고 이동 통신망 경로(UTRAN 경유)에서의 통신으로 전환하도록 신호로 지시한다. 이동 단말(10)은 이 지시 신호를 이동 통신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부(10c) 경유로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에서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는 당해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를 구동하여 배터리(10h)로부터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구성의 결과, 이동 단말 장치(10)에서는 기지국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무선 LAN 경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에만, 무선 LAN 장치(10b)에 급전되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이동 단말(10)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제2 실시예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 경우 사용자 데이터 통신 경로의 전환 동작은 이동 단말 장치(10)의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도 11 중 배터리 잔량 감시부(10g)는 불필요하다.
이동 단말(10)이 이동 통신망 경로(UTRAN 경유)에서 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FTP 등을 사용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10l)에 표시되어 있는 웹·브라우저의 화면에 당해 파일의 데이터량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것을 봄으로써 당해 데이터를 무선 LAN 경로로 전환 하여 다운로드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무선 LAN 경로로 전환한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0k)를 조작하여 무선 LAN 경로로의 전환을 당해 단말(10)에 지시한다. 그 입력 조작에 의해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가 구동되고 배터리(10h)로부터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이 개시되어, 제1실시에의 경우와 같은 절차에서 당해 이동 단말 장치(10)는 무선 LAN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FTP에 의한 파일 다운로드의 경우, 데이터 수신이 완료된 것이 표시부(10l)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통지되기 때문에, 이를 받은 사용자는 입력부(10k)를 조작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 및 이동 통신용 송수신부(10c)를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대하여 이동 통신망 경로에서 통신을 행하도록 신호로 요구한다.
또한,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부(10k)의 조작에 의해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를 구동하여 배터리(10h)로부터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정지시킨다. 혹은,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량 감시부(10e)가 상기 데이터 수신 완료를 데이터 수신량의 감소에 의해 검지하여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를 구동하여 배터리(10h)로부터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결과, 이동 단말 장치(10)는 무선 LAN 경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에만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행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이동 단말(10)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제2 실시예의 변형예로서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이동 단말(10) 자체의 기능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량이 감시되어, 그 결과 상기 경로 전환이 이동 단말(10)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동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도 배터리 잔량 감시부(10g)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먼저, 이동 단말(10)이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 경로에서 신호 및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량 감시부(10e)는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 경로에서의 데이터 통신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초과한 것을 검출한 경우, 기지국 제어 장치용 신호 송수신부(10d) 및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부(10c)를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대해 무선 LAN 경유로의 통신으로 전환하도록 신호로 지시한다.
또한 상기 처리와 병행하여 사용자 데이터량 감시부(10e)는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를 구동하여 배터리(10h)로부터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절차에 의해 이동 단말 장치(10)는 무선 LAN에서의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동 단말(10)의 사용자 데이터량 감시부(10e)는 무선 LAN 경로에서의 데이터 통신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던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 및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부(10c)를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대해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로의 통신으로 되돌리도록 신호로 지시한다. 사용자 데이터량 감시부(10e)는 이와 병행하여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 (10f)를 구동하여 배터리(10h)로부터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멈춘다.
이상의 결과,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 장치는 무선 LAN 경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통신을 행할 때에만 무선 LAN 장치에 급전할 수 있게 되어, 이동 단말의 소비 전력을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무선 LAN 경로로 통신 중인 이동 단말 장치(10)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에,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의 통신으로 전환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제어 신호의 통신을 실시하여 무선 LAN 경로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동 단말(10)의 배터리 잔량 감시부(10g)는 배터리(10h)의 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 및 이동 통신망용 송수신부(10c)를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 장치(30)에 대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의 전송으로 전환하도록 신호로 지시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이동 단말(10)에서 이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로 전송하도록 지시를 받은 경우, 당해 통신 경로의 전환을 행한다. 기지국 제어 장치(30)는 이 경로 전환이 완료된 경우 당해 이동 단말(10)에 대해 무선 LAN 장치(10b)를 비활성화하여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통신하도록 신호로 지시한다.
이동 단말(10)은 이 신호를 이동체 통신망용 송수신부(10c) 경유로 기지국 제어 장치용 송수신부(10d)에서 수신하고, 그 결과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를 구동하여 배터리(10h)에서 무선 LAN 장치(10b)로의 급전을 멈추게 한다.
이상의 결과, 이동 단말 장치는 배터리 잔량이 적을 때에 무선 LAN 경로로의 통신을 멈춤으로써 다운로드 등의 통신 처리 중에 배터리가 다되어 그 처리가 중단되는 사태의 발생을 예방 가능하다.
도 13은 상기 제4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퀀스에 대해 나타낸다. 이 경우, 단계 S1 내지 S16의 절차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LAN 경로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전환 절차이기 때문에, 단계 S11A, S12, S13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단계 S16에 이어서, 단계 S61에서 MS(10)는 자신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 단계 S62에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무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를 RNC(30)에 송신함으로써 무선 LAN에서의 통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음을 통지한다.
RNC(30)는 이 통지를 수신한 경우, 단계 S63에서 사용자 데이터 통신 경로를 단계 S16에서 보존한 할당 무선 전송로(Radio Bearer)에 의한 것으로 전환한다. RNC(30)는 이 경로 전환이 완료된 시점에서, 단계 S64에서 UTRAN 경로(노드B 경유)의 제어 신호 루트에서 MS(10)에 대해 무선 LAN 장치(10b)의 전원 OFF를 지시한다. 또한 RNC(30)는 단계 S14에서 작성한 이동 단말 관리표를 갱신하고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삭제한다(단계 S65). 그리고 MS(10)는 단계 S64에 의한 지시를 수신한 경우, 무선 LAN 장치(10b)의 전원을 오프한다(단계 S66).
이상의 절차에 따라, 배터리 잔량 저하시에 무선 LAN 경로에서 이동 통신망 경로로의 전환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무선 LAN 경로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 장치(10)가 이동 통신망 경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는 상태(제1 실시예의 시퀀스에서의 단계 S3의 상태)에 있어서, 자신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 만일 무선 LAN 장치(10b)의 전원 ON 지시를 RNC(30)로부터 수신하여도(제1 실시예의 시퀀스에서의 단계 S6), 무선 LAN 장치(10b)의 전원 ON 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동 통신망 경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속행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이 경우 이동 단말(10)은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신호의 통신을 행하고 동시에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도 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동 단말(10)의 배터리 잔량 감시부(10g)는 배터리(10h)의 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경우, 무선 LAN 장치용 급전부(10f)에 대해 기지국 제어 장치(30)로부터의 「무선 LAN 장치 전원 ON 지시」를 받아도, 급전을 개시하지 않도록 신호로 지시한다.
이상의 결과, 이동 단말 장치(10)는 배터리 잔량이 적을 때에 이동 통신망 통신 경로에서 무선 LAN 통신 경로로의 전환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LAN 통신 중에 배터리가 다되어 그 통신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5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퀀스에 대하여 도 14와 함께 설명한다. 이 경우, 단계 S1 내지 S5의 절차는 도 2와 함께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시퀀스에서의 절차와 동일하다. 단계 S5에 이어서, 단계 S73에 있어서 MS(10)는 자신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하회한 것을 검출한 후에 RNC(30)가 단계 S6에서 데이터량( 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한 것을 검출한 경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UTRAN 경로(노드B 경유)의 제어 신호 루트에서 MS(10)에 대해 무선 LAN 장치(10b)의 전원 ON을 지시하지만(단계 S74), 이 경우에는 MS(10)는 자신의 무선 LAN 장치(10b)를 전원 ON하지 않는다(단계 S75). 그 결과, 에어 스테이션(50)에서의 전파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시퀀스 중 단계 S8, S9에 의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없다.
계속하여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단계 S76에서 RNC(30)는 수신 전파 상황 요구(Measurement Request) 신호를 MS(10)에 보낸다. 이 때, MS(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없었기 때문에, RNC(30)에 대해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로 템퍼러리 IP 어드레스를 통지할 수 없다(단계 S77). 그 결과, RNC(30)는 단계 S77에서 MS(10)에 대해 무선 LAN 장치(10b)의 전원 ON을 지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여전히 MS(10)로부터의 수신 전파 상황 보고(Measurement Report) 신호에 템퍼러리 IP 어드레스가 포함된 것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RNC(30)는 MS(10)에서는 무선 LAN 장치(10b)가 전원 ON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MS(10)에 대해 전원 OFF를 지시한다(단계 S78). 또 여기에서, 이와 같은 경우 제1 실시예에서는 MS(10)가 서비스 에어리어(R2)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이동 통신망에 있어서는 서비스 에어리어(R2) 밖에 있는 MS와 무선 LAN 장치 전원이 OFF되어 있는 MS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이 경우 MS(10)는 원래 무선 LAN 장치(10b)의 전원이 OFF인 상태이기 때문에, 단계 S78에 의한 RNC(30)에서의 오프 지시를 무시한다(단계 S79).
이상의 절차에 의해 이동 통신망 경로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이 속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선 LAN의 서비스 에어리어 내로 이동하여도 반드시 무선 LAN을 이용할 필요는 없어져, 데이터 송수신의 유무 또는 데이터량, 배터리 잔량, 이동 통신망·무선 LAN의 무선 링크의 빈 대역 상황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적절히 이동 통신망의 UTRAN에 의한 통신 경로와 무선 LAN에 의한 통신 경로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동 단말의 무선 LAN 장치를 실제로 사용할 때에만 활성화되기 때문에 이동 단말에서의 소비 전력량을 효과적으로 경감 가능하며, 이동 단말의 배터리에 의한 가동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적절히 고속 IP 통신에 의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기본 사상에 따르는 한 다른 다양한 실시예/변형예를 도출 가능하다.

Claims (3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중에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으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삭제
  11.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으로의 전환을 지시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이동 단말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에서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에 따라,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서의 데이터 통신량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감시 수단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으로부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 용량인 통신 데이터량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통신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으로부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15. 삭제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중에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으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된 부분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행하는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구성의 통신 장치.
  18. 이동 단말과는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을 실시하는 수단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량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데이터 통신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을 실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과의 통신 데이터량을 감시하는 수단과,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통신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을 실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빈 대역 상황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을 실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의 결과에 따라 통신 경로의 전환을 실시하는 수단은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의 통신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이 갖는 구성의 통신 시스템.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은 이동 단말이 갖고,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감시의 결과에 따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환의 요구 신호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의 통신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에 대해 송출하는 구성의 통신 시스템.
  24.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하여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이고, 상기 전환의 요구 신호가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에 대해 송출되는 구성의 통신 시스템.
  25. 삭제
  26.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자신의 배터리 잔량을 감시하는 수단은 이동 단말이 갖고,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있고,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으로의 전환 요구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의 통신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에 송출하는 구성의 통신 시스템.
  27. 삭제
  28.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의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이 실시 불가능이라는 보고를 수신한 때에는,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지시를 송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9.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으로 전환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0.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이 활성화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으로 전환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3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의 활성화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출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으로 전환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지시를 송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2.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 경유로 이동 단말의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지시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 경유로 어드레스를 요구하고, 이에 대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 경유로 어드레스가 얻어지고, 상기 어드레스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의 보고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환경에 있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3.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단말의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 경유로 어드레스를 요구하고, 이에 대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 경유로 어드레스가 얻어지고, 상기 어드레스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의 보고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 가능 환경에 있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4.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의 패킷 통신료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패킷 통신료가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5. 이동 단말에 의한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과는 다른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으로서,
    소정의 패킷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과,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과의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을 감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을 통한 통신 중에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하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하는 지시를 수신하여도, 활성화를 행하지 않는 구성의 통신 장치.
  37.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계되는 부분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지시를 수신한 것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행하는 구성의 통신 장치.
  38. 제8항, 제9항, 제11항, 제29항, 제32항, 제33항 또는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송수신하는 단위 시간당의 데이터 흐름량인 데이터 통신량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데이터 통신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9. 제8항, 제9항, 제11항, 제29항, 제32항, 제33항 또는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송수신하는 데이터 용량인 통신 데이터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이동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 소정의 무선 통신망에 의한 통신과의 전환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KR1020047020452A 2004-12-16 2002-08-30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075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0452A KR100750043B1 (ko) 2004-12-16 2002-08-30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0452A KR100750043B1 (ko) 2004-12-16 2002-08-30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227A Division KR100845695B1 (ko) 2007-06-22 2002-08-30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69A KR20050031069A (ko) 2005-04-01
KR100750043B1 true KR100750043B1 (ko) 2007-08-16

Family

ID=3723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452A KR100750043B1 (ko) 2004-12-16 2002-08-30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0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631A (ja) * 1998-04-14 1999-10-29 Sharp Corp 通信回線選択装置および通信回線選択方法
JP2002209276A (ja) * 2000-11-20 2002-07-26 Hewlett Packard Co <Hp> 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631A (ja) * 1998-04-14 1999-10-29 Sharp Corp 通信回線選択装置および通信回線選択方法
JP2002209276A (ja) * 2000-11-20 2002-07-26 Hewlett Packard Co <Hp> 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69A (ko)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4275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4805361B2 (ja) モニタ状態からデュプレックス接続状態に遷移する遷移状態を有する無線送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4673537B2 (ja) 移動局によるパケット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KR100921458B1 (ko)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US81497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operation modes of a GPRS network
JP3875489B2 (ja) パケット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性管理
KR100698568B1 (ko) 제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JP2003530018A (ja) 移動局の回線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JP3926799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CN111757357B (zh) 重定向方法、网络及终端设备、通信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20080014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127515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構成装置
CN104994549A (zh) 一种通信方法、接入网网元以及用户设备
KR1007266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셀 재선택시 rrc연결해제 방법
KR100845695B1 (ko) 통신 방법
KR100750043B1 (ko)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JP367186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0184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 페이징 수신을 큐잉 동작 안에 도입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
JPH11205387A (ja) 移動パケット通信網、移動通信端末およびパケット交換方法
KR1007365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rlc 복구불능 에러의취급방법
JP2004096144A (ja) Phsネットワークに於ける端末機器接続制御システム及び接続制御方法
JP2005252619A (ja) 切替先情報通知方法、切替先情報送信装置、切替先情報受信装置、切替先情報通知プログラム及び切替先情報通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900838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RU2000130305A (ru) Персональный радиовызов в области множества сотовых ячеек для сотовой системы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