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643B1 -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643B1
KR100749643B1 KR1020060090484A KR20060090484A KR100749643B1 KR 100749643 B1 KR100749643 B1 KR 100749643B1 KR 1020060090484 A KR1020060090484 A KR 1020060090484A KR 20060090484 A KR20060090484 A KR 20060090484A KR 100749643 B1 KR100749643 B1 KR 10074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rod
moving
shaft
wast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표
Original Assignee
홍석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표 filed Critical 홍석표
Priority to KR102006009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E01H1/1206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for picking up excr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E01H2001/122Details
    • E01H2001/1293Walking cane or the like, i.e. implements allowing handling while in an upright posi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애완동물 배설물을 간편하면서도 완벽하게 끌어 모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견고하면서도 고장이 없고 수명 증대가 도모되어 제품신뢰성이 양호한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로드부재(11) 상단부에 있는 고정손잡이(13) 및 조작손잡이(20)를 한 손으로 잡고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조작손잡이(20)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로드부재(11) 상단부에 있는 가이드로드부(14)에 안내되어 하강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21)와, 상기 이동부재(21)와 연결핀(23)으로 연결되고 로드가이드공(12)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가압샤프트(22)와, 상기 가압샤프트(22)의 가압력이 전달되어 하강되게 이동되도록 로드가이드공(12)에 설치되고 탄력부재(26)의 탄력에 의해 상승되게 이동되는 작동샤프트(24)와, 상기 작동샤프트(24) 하단부에 고정되어 집게부재(36)의 누름접촉면부(38)를 가압하여 집게부재(36)가 벌어지도록 회동운동되게 하는 벌림용 누름부재(27)와, 상기 누름부재((27) 하측의 작동샤프트(24)에 고정되고 외주면이 집게부재(36)의 가압접촉면부(39)를 가압하여 오무려 들도록 회동운동되게 하는 오무림용 가압부재(28)를 가진 조작수단(10)과; 상기 로드부재(11) 하단부에 연결되게 고정되고 누름부재(27)를 안내하는 바디가이드공(32)을 가진 바디부재(31)와, 상기 바디부재(31) 외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고 힌지홈부(34)를 갖는 지지돌륜부(35)와, 상기 힌지홈부(34)에서 죠인트핀(40)으로 연결되어 회동운동되고 상측에는 누름접촉면부(38)가 있고 하측에는 가압접촉면부(39)가 있는 힌지부(37)를 가진 다수 의 집게부재(36)가 벌어지고 오무려지도록 회동운동되는 집게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애완동물, 애완동물 배설물, 배설물 수거장치,

Description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PET HUMAN WASTE COLLEC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의 전체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X-X'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Y-Y'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수단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수단이 오무려진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수단이 벌어진 상태의 전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배설물이 수거된 상태의 집게수단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작수단 11 : 로드부재
12 : 로드가이드공 13 : 고정손잡이
14 : 가이드로드부 20 : 조작손잡이
21 : 이동부재 22 : 가압샤프트
24 : 작동샤프트 26 : 탄력부재
27 : 누름부재 28 : 가압부재
30 : 집게수단 31 ; 바디부재
34 : 힌지홈부 35 : 지지돌륜부
36 : 집게부재 37 : 힌지부
38 : 누름접촉면부 39 : 가압접촉면부
40 : 죠인트핀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 배설물을 위생적이면서도 손쉽게 수거하여 버릴 수 있도록 개선된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견과 같은 동물들을 동반하고 거리나 공원 산책 등을 하고 있으나 야외에서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배설물을 그대로 방치함으로써 생활 환경 오염이 초래되는 등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 배설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도구나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1666호(제1선행기술) 및 동 등록실용신안 20-0340491호(제2선행기술)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1선행기술은 작동손잡이를 당기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수거봉지를 상부로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배설물이 부양되어 봉지에 배설물이 담아지도록 된 것이나, 작동손잡이를 위쪽으로 힘차게 잡아 당겨야 하므로 조작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동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속도가 느릴 경우 내부가 진공상태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배설물 수거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제2선행기술은 레버를 잡아 당기면 그 힘에 의해 스프링이 늘어나서 줄을 잡아 당기게 되고 그 줄은 도르래를 회전시켜서 배설물 수거집게가 벌어지게 되어 있는 한편, 레버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력으로 수거집게가 닫혀지게 함으로써 배설물이 수거집게 내에 담기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도르래와 줄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수거집게를 구비하기가 곤란하므로 그 수거집게의 측면이 막혀지는 "ㄷ"자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수거장치의 부피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2개의 수거집게 만을 구비하므로 배설물을 집어 올리데 있어 완전하게 집어 들어 올리지 못하고 일부가 옆으로 빠져 나가는 경우가 야기되는 문제점과 더불어서 줄과 도르래를 이용하는 구조는 아무래도 견고하지 않아 취급 부주의나 휴대 도중 떨어 뜨렸을 경우 파손이나 고장 발생율이 높기 때문에 제품신뢰성이 낮고 대외 경쟁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설물을 간편하면서도 완벽하게 끌어 모을 수 있도록 개선된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고하면서도 고장이 없고 수명 증대가 도모되어 제품신뢰성이 양호한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드부재 상단부에 있는 고정손잡이 및 조작손잡이를 한 손으로 잡고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조작손잡이가 하강되 게 이동하여 로드부재 상단부에 있는 가이드로드부에 안내되어 하강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핀으로 연결되고 로드가이드공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가압샤프트와, 상기 가압샤프트의 가압력이 전달되어 하강되게 이동되도록 로드가이드공에 설치되고 탄력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승되게 이동되는 작동샤프트와, 상기 작동샤프트 하단부에 고정되어 집게부재의 누름접촉면부를 가압하여 집게부재가 벌어지도록 회동운동되게 하는 벌림용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 하측의 작동샤프트에 고정되고 외주면이 집게부재의 가압접촉면부를 가압하여 오무려 들도록 회동운동되게 하는 오무림용 가압부재를 가진 조작수단과; 상기 로드부재 하단부에 연결되게 고정되고 누름부재를 안내하는 바디가이드공을 가진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 외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고 힌지홈부를 갖는 지지돌륜부와, 상기 힌지홈부에서 죠인트핀으로 연결되어 회동운동되고 상측에는 누름접촉면부가 있고 하측에는 가압접촉면부가 있는 힌지부를 가진 다수의 집게부재가 벌어지고 오무려지도록 회동운동되는 집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와 가압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핀은 가이드로드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구비하는 장공과 가압샤프트를 관통하여 이동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손잡이와 조작손잡이는 이동간격을 갖도록 상단부가 떨어져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력부재는 작동샤프트 상단부에 체결된 스프링걸림너트와 로드가이드 공 하단부에 있는 스프링걸림턱부에 받쳐지도록 설치되어 스프링걸림너트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재 외주연부에 다수 구비하는 집게부재는 오무려지는 회동운동이 완료되면 집게부재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양측면끼리 상호 밀접되게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재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집게부재가 6개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전체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손을 들고서 휴대 가능하게 하면서도 에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P) 수거를 위해 조작하게 되는 조작수단(10)과, 상기 조작수단(10)의 하측부에 구비하여 배설물(P)를 집어서 수거하게 되는 집게수단(30)으로 크게 구분되게 이루어져 있다.
조작수단(10)은 길다란 로드부재(11)와, 상기 로드부재(11) 상단부에 고정되게 구비하는 고정손잡이(13) 및 조작손잡이(20)를 한 손으로 잡고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조작손잡이(20)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로드부재(11) 상단부에 있는 가이드로드부(14)에 안내되어 하강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21)와, 상기 이동부재(21)와 연결핀(23)으로 연결되고 로드가이드공(12)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가압샤프트(2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길다란 로드부재(11) 내부에는 로드가이드공(12)이 있고, 상단부에는 고정손잡이(13)가 있다.
로드부재(11) 상단부에는 가이드로드부(14)가 있고, 이 가이드로드부(14)에는 이동부재(21)가 승,하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재(21)에는 고정손잡이(13)가 관통공(20a)으로 삽입되는 조작손잡이(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손잡이(13)와 조작손잡이(20)는 이동간격(K)을 갖도록 상단부가 떨어져 있다.
로드부재(11)의 로드가이드공(12)에는 길다란 가압샤프트(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압샤프트(22)의 상단부는 연결핀(23)에 의해 이동부재(2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핀(23)은 가이드로드부(14)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구비하는 장공(15)과 가압샤프트(22)를 관통하여 이동부재(21)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로드부재(11) 상단부에 고정된 고정손잡이(13) 및 조작손잡이(20)를 한 손으로 잡고 손을 꽉 쥐는 형태로 힘을 주어서 가압하면 그 가압력에 의해 조작손잡이(20)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이동부재(21)가 하강되게 이동함으로써 연결핀(23)으로 연결된 가압샤프트(22)가 하강되게 이동하게 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작동샤프트(24)를 가압하게 된다.(도 7 참조)
로드부재(11)는 도 2 및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양쪽으로 양분된 분할부 재(11a,11b)로 형성되어 다수의 나사(11c)에 의해 고정되고 중앙부에 로드가이드공(12)을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양호한 조립이 도모되도록 하였다.
또한, 로드가이드공(12)에는 수개의 가이드돌기(11d)가 돌출되게 하여 가압샤프트(22)가 측면방향으로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가압샤프트(22) 하측에는 작동샤프트(24)가 로드가이드공(12)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스프링걸림너트(25)가 체결되어 있다.
스프링걸림너트(25) 하측의 작동샤프트(24)에는 탄력부재(26)가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탄력부재(26) 하단부는 로드가이드공(12) 하단부에 있는 스프링걸림턱부(16)에 받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탄력부재(26)는 작동샤프트(24) 상단부에 체결된 스프링걸림너트(25)와 로드가이드공(12) 하단부에 있는 스프링걸림턱부(16)에 받쳐지도록 설치되어 스프링걸림너트(25)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작동샤프트(24) 하단부는 집게수단(30)의 바디부재(31) 중앙에 뚫려 있는 바디가이드공(32)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고, 바디가이드공(32)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벌림용 누름부재(27)가 작동샤프트(24)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18은 벌림용 누름부재(27) 고정용 상측 체결너트이다.
작동샤프트(24) 끝단부에는 외주면이 둥근 만곡면을 이루는 오무림용 가압부재(28)가 하측 체결너트(1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수단(10)은 손 힘으로 조작손잡이(20)가 가압되어 이동부재(21) 가 하강되게 이동하면 가압샤프트(22)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작동샤프트(24)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작동샤프트(24)를 포함하여 벌림용 누름부재(27) 및 오무림용 가압부재(28)가 하강되게 이동된다.
이때, 탄력부재(26)는 압축되게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0)를 가압하던 손 힘을 풀면 압축되어 있던 탄력부재(26)의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샤프트(24)가 상승되게 이동하고, 그로 인해 가압샤프트(22) 및 이동부재(21)를 포함한 조작손잡이(20)가 상승되게 이동하여 원래 상태(도 2 상태)로 복귀되게 작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압샤프트(22)는 작동샤프트(24)와 일직선 상태에서 직선운동을 전달하는 것이므로 이들을 하나의 샤프트로 구성하여도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게수단(30)은 바디가이드공(32)을 가진 바디부재(31)와 다수의 집게부재(36)를 구비한다.
바디부재(31)는 상단부에 있는 나사공(33)에는 로드부재(11)의 체결부(17)가 체결되어 연결된다. 상기 바디부재(31)와 로드부재(11)는 반드시 체결하여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바디부재(31)의 외주면부에는 힌지홈부(34)를 가진 다수의 지지돌륜부(35)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집게부재(36)는 뾰족한 끝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힌지부(37)를 구비한다.
힌지부(37)는 상부에 누름접촉면부(38)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가압경사면부(39)를 형성하고 있다.
힌지부(37)는 지지돌륜부(35)의 힌지홈부(34)에 삽입되어 죠인트핀(40)으로 연결되게 조립되어 죠인트핀(40)을 중심으로 힌지부(37)를 포함한 집게부재(36)가 회동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힌지부(37)의 누름접촉면부(38)는 벌림용 누름부재(27)에, 그리고 가압경사면부(39)는 오무림용 가압부재(28)에 접촉되게 조립된다.
상기 다수의 집게부재(36)는 오무려 졌을 때 집게부재(36)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양측면끼리 상호 밀접되게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집게부재(36)가 오무려 졌을 때 집게부재(36)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양측면끼리 상호 밀접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6개의 집게부재(36)를 구비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설물 수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탄력부재(26)의 탄력에 의해서 작동샤프트(24)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 2와 같이 가압샤프트(22)와 이동부재(21) 및 조작손잡이(20)가 상승된 위치에 머물러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오무림용 가압부재(28)가 가압접촉면부(29)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집게부재(36)는 오무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보관하거나 또는 휴대하게 되는 것이고, 애완동물, 특히 애완견이 배설하게 되면 이때 조작수단(10)을 조작하여 집게수단(30)의 집게부재(36)가 벌어지도록 하여 배설물(P)을 수거하게 된다.
이때는, 고정손잡이(13)와 조작손잡이(2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움켜 쥐는 상태로 힘을 주게 되면 조작손잡이(20)가 이동간격(K) 만큼 하강되게 이동된다.
따라서,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1)와 가압샤프트(22) 및 작동샤프트(24)가 하강되게 이동되고, 그로 인해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벌림용 누름부재(27)가 힌지부(37)의 누름접촉면부(38)를 누르게 됨에 따라 죠인트핀(40)을 중심으로 집게부재(36)는 실선 도시와 같이 외곽방향으로 회동운동하여 벌어지는 상태가 된다.
다음, 배설물(P)에 휴지를 덮은 상태에서 다수의 집게부재(36) 중앙부에 배설물(P)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 손 힘을 풀어서 누르고 있던 조작손잡이(20)의 가압력이 상실되게 하면 탄력부재(26)의 탄력에 의해서 작동샤프트(24)와 가압샤프트(220 및 이동부재(21)와 조작손잡이(20)가 상승되게 이동한다.
따라서, 작동샤프트(24)가 상승되게 이동하면 벌림용 누름부재(27) 및 오무림용 가압부재(28)가 상승되게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오무림용 가압부재(28)가 힌지부(37)의 가압접촉면부(39)를 위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집게부재(36)는 죠인트핀(40)을 중심으로 회동운동하여 중심부쪽으로 오무려 들게 작동되고, 이때 도 7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날카로운 집게부재(36)가 배설물(P) 밑부분을 파고 들면서 오무려드는 회동운동을 함에 따라 집게부재(36)가 완전히 오무려 들었을 때 배설물(P)은 도 8과 같이 오무려 든 다수의 집 게부재(36) 내측에 담겨져 있는 상태로 수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거된 배설물(P)은 화장실 변기로 옮겨져서 다시 집게부재(36)를 벌어지게 조작하여 버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설물(P) 수거시에 조작손잡이(20)를 가압하여 벌어진 다수의 집게부재(36)를 다시 오무려들게 하여 배설물(P)을 수거하여 화장실에 버리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배설물(P)을 수거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집게부재(36)가 오무려 들었을 때 배설물(P)이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으므로 가령 애완견을 데리고 공원 산책시에 배설물 수거를 하는 경우 다수의 집게부재(36)내에 배설물(P)이 담긴 상태에서 배설물(P)을 흘리지 않고 집이나 공원화장실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가지므로 휴대중 떨어 뜨려도 파손이나 고장 발생이 거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설물을 완벽하게 끌어 모을 수 있게 수거 가능하고 수거 후 이동중에 옆으로 배설물을 흘리지 않고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 간편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견고하면서도 고장이 없고 수명 증대가 도모되므로 제품신 뢰성이 향상된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로드부재(11) 상단부에 있는 고정손잡이(13) 및 조작손잡이(20)를 한 손으로 잡고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조작손잡이(20)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로드부재(11) 상단부에 있는 가이드로드부(14)에 안내되어 하강되도록 이동되는 이동부재(21)와, 상기 이동부재(21)와 연결핀(23)으로 연결되고 로드가이드공(12)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가압샤프트(22)와, 상기 가압샤프트(22)의 가압력이 전달되어 하강되게 이동되도록 로드가이드공(12)에 설치되고 탄력부재(26)의 탄력에 의해 상승되게 이동되는 작동샤프트(24)와, 상기 작동샤프트(24) 하단부에 고정되어 집게부재(36)의 누름접촉면부(38)를 가압하여 집게부재(36)가 벌어지도록 회동운동되게 하는 벌림용 누름부재(27)와, 상기 누름부재((27) 하측의 작동샤프트(24)에 고정되고 외주면이 집게부재(36)의 가압접촉면부(39)를 가압하여 오무려 들도록 회동운동되게 하는 오무림용 가압부재(28)를 가진 조작수단(10)과;
    상기 로드부재(11) 하단부에 연결되게 고정되고 누름부재(27)를 안내하는 바디가이드공(32)을 가진 바디부재(31)와, 상기 바디부재(31) 외주연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고 힌지홈부(34)를 갖는 지지돌륜부(35)와, 상기 힌지홈부(34)에서 죠인트핀(40)으로 연결되어 회동운동되고 상측에는 누름접촉면부(38)가 있고 하측에는 가압접촉면부(39)가 있는 힌지부(37)를 가진 다수의 집게부재(36)가 벌어지고 오무려지도록 회동운동되는 집게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1)와 가압샤프트(22)를 연결하는 연결핀(23)은 가이드로드부(14)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구비하는 장공(15)과 가압샤프트(22)를 관통하여 이동부재(21)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손잡이(13)와 조작손잡이(20)는 이동간격(K)을 갖도록 상단부가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26)는 작동샤프트(24) 상단부에 체결된 스프링걸림너트(25)와 로드가이드공(12) 하단부에 있는 스프링걸림턱부(16)에 받쳐지도록 설치되어 스프링걸림너트(25)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31) 외주연부에 다수 구비하는 집게부재(36)는 오무려지는 회동운동이 완료되면 집게부재(36)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양측면끼리 상호 밀접되게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31)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으로 설치되는 집게부재(36)가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KR1020060090484A 2006-09-19 2006-09-19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KR10074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484A KR100749643B1 (ko) 2006-09-19 2006-09-19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484A KR100749643B1 (ko) 2006-09-19 2006-09-19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643B1 true KR100749643B1 (ko) 2007-08-14

Family

ID=3860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484A KR100749643B1 (ko) 2006-09-19 2006-09-19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6229A2 (en) * 2007-10-02 2009-04-09 Michael O'hare Animal waste removal device
CN105850770A (zh) * 2016-05-16 2016-08-17 贾文龙 一种宠物接便器
CN114991057A (zh) * 2022-01-25 2022-09-02 青岛潮小树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宠物拾便器
KR102591653B1 (ko) * 2023-01-18 2023-10-19 재단법인 한국환경측정분석원 지표면 포장재의 코어 집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6229A2 (en) * 2007-10-02 2009-04-09 Michael O'hare Animal waste removal device
WO2009046229A3 (en) * 2007-10-02 2009-07-02 Michael O'hare Animal waste removal device
CN105850770A (zh) * 2016-05-16 2016-08-17 贾文龙 一种宠物接便器
CN114991057A (zh) * 2022-01-25 2022-09-02 青岛潮小树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宠物拾便器
KR102591653B1 (ko) * 2023-01-18 2023-10-19 재단법인 한국환경측정분석원 지표면 포장재의 코어 집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850B2 (en) Scooping device
US6942264B1 (en) Disposable pet waste receptacle
US6983966B2 (en) Animal waste scooper
US5628537A (en) Pet waste pickup and disposal apparatus
US7431361B2 (en) Waste collection device
KR100749643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수거장치
US20100072765A1 (en) Portable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pet feces
US20080136201A1 (en) Portable pet litter and refuse picking device
US7080863B2 (en) Apparatus for picking up and bagging pet waste
CN100585083C (zh) 便携式动物拾便器
US9139970B1 (en) Animal waste collection device
CN209508905U (zh) 一种宠物拾便器
CN108914858B (zh) 一种户外用便于收集宠物排泄物的拾屎器
CN208933894U (zh) 动物排泄物的拾屎装置
GB2032831A (en) A sanitary device for picking up animal excrement
CN203320466U (zh) 一种宠物粪便清理装置
KR20210001540U (ko) 애완견 배설물 수거기
TWM609151U (zh) 拾取裝置
CN201605556U (zh) 宠物伸缩拾粪器
EP4170092A1 (en) Extendable arm
JP3096110U (ja) 犬糞の始末具
CN212014007U (zh) 一种螺旋夹取式捡屎器
JP3082895U (ja) 犬の糞取り器
CN219108454U (zh) 一种宠物用牵引拾便一体装置
KR200340491Y1 (ko) 휴대용 애완견 배설물 수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