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403B1 -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 Google Patents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403B1
KR100749403B1 KR1020060088312A KR20060088312A KR100749403B1 KR 100749403 B1 KR100749403 B1 KR 100749403B1 KR 1020060088312 A KR1020060088312 A KR 1020060088312A KR 20060088312 A KR20060088312 A KR 20060088312A KR 100749403 B1 KR100749403 B1 KR 10074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nector
main body
couple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성
Original Assignee
최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029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4940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성 filed Critical 최인성
Priority to KR102006008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대가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용 마개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의 구조와 형태를 달리하여 인출을 편리하게 도모할 수 있고, 마개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먼지가 쌓이거나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원활한 진공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는 커넥터에 삽입되면서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끼워지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면상에 힌지결합되어 선회가능하면서 몸체와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는 두가지 형태로 형성되는데, 첫째, 서로 지름이 다른 원의 접선을 따라 형성된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더 큰 지름을 갖는 원부가 몸체의 상부면상 중앙부측으로 핀결합되고,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손잡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중앙부에는 손잡이의 큰 원부가 선회되도록 움푹 패인 선회공간이 형성된다. 둘째, 양단부가 몸체에 핀결합되어 선회되는 반원 형태의 링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양단부를 잇는 연결링이 형성되면서 연결링의 중앙부에 반원 형태의 눌름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손잡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중앙부에는 눌름판이 선회되도록 움푹 패인 선회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A cover for connector of center concentration type vacuum cleaner connecter}
도 1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마감하는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마개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마개 110, 210 : 몸체
112, 212 : 안착홈 112, 213 : 선회공간
120, 220 : 핀 130, 230 : 손잡이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 시스템의 흡입대가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은 많은 먼지가 발생되는 곳으로, 특히나 반도체를 제조하는 현장에서는 작은 먼지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먼지 제거에 많은 관심을 갖는 곳이다.
이러한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청소방식은 그 청소 면적이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대의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본체(10)를 구비하고, 본체(10)에서 현장의 바닥(1)면으로 메인흡입관(11)을 연결한 후, 이 메인흡입관(11)에 여러 갈래의 서브흡입관(12)을 분기시키고, 이 서브흡입관(12)을 현장의 바닥(1)면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커넥터(13)와 연결시켜 설치한다.
따라서, 한명 또는 여러 명의 청소인들이 각소의 커넥터(13)에 진공청소기용 흡입대(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여 바닥면의 쓰레기나 먼지 등을 본체(10)측으로 보내게 된다.
한편, 배관 내에는 압력이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사용한 후에는 이 커넥터를 막아두어야 한다. 그리고 진공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도 이 커넥터를 막아 두어야 동선에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각소의 커넥터에는 마개가 사용된다.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마개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종래의 커넥터 마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의 홈에 끼워지도록 커넥터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몸체(21)와, 몸체(21)의 상부면상에 선택적으로 선회하는 손잡이(25)가 결합된다. 이때, 몸체(21)는 현장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시켜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손잡이(25)도 몸체(21)의 상부면상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시키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의 커넥터 마개(20)는 몸체(21)의 상부면상에 원형의 골(22)을 형성하고, 그 골(22)에 안착되도록 손잡이(25)를 설계하되, 손잡이(25)는 반원형태의 링으로 형성하고, 손잡이(25)의 양끝단부가 골(22)의 안에서 선회되도록 힌지(26)결합시킨다.
그리고 손잡이(25)와 힌지(26)결합되는 골(22)에는 하측으로 선회공간(23)을 형성하여 손잡이(25)가 좌, 우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마개(21)는 평상시에 커넥터(13)에 끼워져 마감되어져 있다가 사용할때에는 손가락이나 작은 도구로 손잡이(25)의 어느 양끝단부를 눌러 손잡이(25)가 살짝 올라오면은 이를 손가락으로 잡고 들어올려 인출시킨다. 그리고 커넥터(13)를 사용후에는 그냥 닫아두면 손잡이(25)가 자중에 의해 어느 일측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안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개는 몇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먼지나 쓰레기가 마개(20)위로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마개(20)에는 손잡이(25)가 좌우로 선회되도록 원형의 골(22)과, 선회공간(23)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바, 이 골(22)과 선회공간(23)으로 다시 먼지가 쌓이게 되어 작업조건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둘째, 손잡이(25)를 들어올리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25)는 선회공간(23)으로 끝단을 밀어 넣어야만 일부 선회되기 때문에 웬만한 성인의 손가락으로 이를 눌러 사용하기에는 손잡이(25)의 크기나 골(22) 및 선회공간(23)이 협소하여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더구나 대부분은 청소를 할때 손에 장갑을 끼고 작업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손가락이 더욱 두꺼워져 손잡이(25)의 끝단을 선회공간(23)안으로 밀어 넣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의 구조와 형태를 달리하여 인출을 편리하게 도모할 수 있고, 마개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먼지가 쌓이거나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원활한 진공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늬 커넥터용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상에 진공청소용 흡입대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커넥터가 형성된 중 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에서 커넥터를 마감하는 것에 있어서,
커넥터에 삽입되면서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끼워지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면상에 힌지결합되어 선회가능하면서 몸체와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를 제공한다.
이때, 손잡이는 서로 지름이 다른 원의 접선을 따라 형성된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더 큰 지름을 갖는 원부가 몸체의 상부면상 중앙부측으로 핀결합되고,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손잡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중앙부에는 손잡이의 큰 원부가 선회되도록 움푹 패인 선회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손잡이는 양단부가 몸체에 핀결합되어 선회되는 반원 형태의 링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양단부를 잇는 연결링이 형성되면서 연결링의 중앙부에 반원 형태의 눌름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손잡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중앙부에는 눌름판이 선회되도록 움푹 패인 선회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개(100)는 커넥터(도 1참조)에 끼워지도록 커넥터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상부면상에서 선회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110)의 상부면상에는 손잡이(130)가 결합되도록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안착홈(112)은 손잡이(1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손잡이(13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홈(112)은 몸체(110)의 중앙부에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연장부는 외주면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또한, 몸체(110)의 상부면상 중앙부의 안착홈(112)에는 하측으로 더 깊이 파인 선회공간(113)이 형성된다. 이 선회공간(113)은 안착홈(112)이 안착된 손잡이(130)의 일측 끝부분이 돌아 들어가는 공간이다. 그리고 선회공간(113)의 양측면상에는 손잡이(130)가 선회되도록 결합되는 힌지공(113)이 형성된다.
손잡이(130)는 안착홈(112)에 일치하도록 결합되며, 손잡이(130)의 양측면상으로는 힌지공(113)으로 삽입된 핀(120)이 관통하면서 몸체(110)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130)의 바람직한 형상은 일측, 즉, 선회공간(113)측과 대응되는 부분은 손잡이(130)의 타측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132)으로 형성되며, 타측의 작은 지름을 갖는 원(133)과 접선으로 연결된 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핀(120)이 결합되어 선회되는 기준 부분은 큰 지름을 갖는 원부(132)의 양옆으로 결합되어 작은 지름을 갖는 원부(133)가 상대적으로 무겁게 되어 항상 작은 지름을 갖는 원부(133)측으로 내려가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은 지름을 갖는 원부(133)의 하부면상에는 미끄러움 방지를 위한 걸림턱(134)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개가 설치되어 손가락으로 눌렀을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100)는 평상시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터(113)에 끼워져 배관 내에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마감된다. 또는, 마개(100)의 높이와 바닥면(1)의 높이가 일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하게 보여짐과 아울러, 작업장의 동선에 지장이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113)에 진공청소기의 삽입대(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기 위해 마개(100)를 열기 위해서는, 손가락(F)으로 큰 지름을 갖는 원부(132)를 눌러준다.
손가락(F)으로 눌러주면 손잡이(130)는 큰 지름을 갖는 원부(132)가 선회공간(113)내부로 들어가면서 핀(12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처럼 선회된 손잡이(130)의 작은 지름을 갖는 원부(133)를 다시 손으로 잡고 당기면 몸체(110)가 외부로 인출되어 커넥터(113)가 노출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200)는 몸체(210)와 손잡이(230) 를 포함한다.
몸체(210)의 상부면상에는 손잡이(230)와 동일한 형상이며 손잡이(23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패인 안착홈(212)이 형성된다.
안착홈(212)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손잡이(230)는 반원형상을 갖는 링 형태에서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232)의 중앙부에 반원형상의 눌름판(233)이 몸체(210)의 상부면상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눌름판(233)은 몸체(210)의 상부면상 중앙에서 상기 손잡이(230)의 반대편측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손잡이(230)의 양단부에는 각각 핀(220)이 삽입되어 손잡이(230)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손잡이(230)의 눌름판(233)의 하측에 선회공간(213)이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는 손잡이의 선회를 위해 손가락으로 누르는 부분이 크고 그 선회공간이 크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바닥면상에 진공청소용 흡입대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커넥터가 형성된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에서 상기 커넥터를 마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면서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끼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상 중앙부에 힌지결합되어 선회가능하면서 상기 몸체와 동일한 높이로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서로 지름이 다른 원의 접선을 따라 형성된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더 큰 지름을 갖는 원부가 상기 몸체의 상부면상 중앙부측으로 핀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상기 손잡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손잡이의 큰 원부가 선회되도록 움푹 패인 선회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작은 지름을 갖는 원부의 하부면상에는 미끄럼방지용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양단부가 상기 몸체에 핀결합되어 선회되는 반원 형태의 링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양단부를 잇는 연결링이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링의 중앙부에 반원 형태의 눌름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상기 손잡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눌름판이 선회되도록 움푹 패인 선회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 커넥터용 마개.
KR1020060088312A 2006-09-13 2006-09-13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KR10074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312A KR100749403B1 (ko) 2006-09-13 2006-09-13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312A KR100749403B1 (ko) 2006-09-13 2006-09-13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403B1 true KR100749403B1 (ko) 2007-08-14

Family

ID=3860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312A KR100749403B1 (ko) 2006-09-13 2006-09-13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4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262A (ja) * 1991-03-28 1992-10-23 Shin Etsu Chem Co Ltd 炭化珪素質治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262A (ja) * 1991-03-28 1992-10-23 Shin Etsu Chem Co Ltd 炭化珪素質治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 4300262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1772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N103714866A (zh) 具快拆结构的壳体
KR100749403B1 (ko) 중앙집중식 진공청소 시스템의 커넥터용 마개
KR20110080111A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USD607025S1 (en) Cutting insert for chip removal
US6957984B1 (en) Errorproof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modular socket
JP5653989B2 (ja) テーブル
US6887088B2 (en) Built-in device and system for masking an accessory, in particular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related electrical equipment
US5692542A (en) Apparatus for capping an air vacuum outlet
CN207051543U (zh) 一种用于光模块解锁的结构和解锁装置
KR20070004364A (ko) 전원인가부 및 통신인가부를 구비한 책상
CN208220396U (zh) 一种指纹锁的滑盖组件
WO2019179156A1 (zh) 一种多用途的脚踏凳工具箱
CN208522138U (zh) 具有收纳功能的插座
KR101091220B1 (ko)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용 흡입밸브
USD569292S1 (en) Smoke detector cover
CN217097726U (zh) 一种五翻斗工具箱
KR102667138B1 (ko) 플러그 록킹 장치
CN217907303U (zh) 一种烹饪器具
KR20110005609U (ko) 전원선 인출복스
CN210137064U (zh) 一种单手插拔的带锁卡农插座机构
CN214589366U (zh) 一种新型防误触欧标插座
CN201452821U (zh) 锅具
US10680218B2 (en) Battery fold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CN212848978U (zh) 一种安全可靠的插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023

Effective date: 201003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