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078B1 -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078B1
KR100749078B1 KR1020060041230A KR20060041230A KR100749078B1 KR 100749078 B1 KR100749078 B1 KR 100749078B1 KR 1020060041230 A KR1020060041230 A KR 1020060041230A KR 20060041230 A KR20060041230 A KR 20060041230A KR 100749078 B1 KR100749078 B1 KR 10074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ridge
former unit
former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기
최진국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윤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윤석기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06004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8Coherent linings made on the spot, e.g. cast in situ, extruded on the 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은 장방형의 받침판에 등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관형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이들 융기부 사이의 받침판 일단에 조립구멍이 구비되는 포머유닛과, 상기 융기부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되는 분리몰드와, 상기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의 공간에 배근되는 격자 형태를 갖는 와이어 메쉬와, 상기 결합구멍에 하단이 끼움결합되고 상단은 상향 돌출되면서 일측으로 와이어 메쉬의 일단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작업하중을 받는 분리몰드가 포머유닛의 융기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에 의해 포머유닛의 전체적인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별도의 작업발판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 개선과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분리몰드를 제거하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식생공간이 형성되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분리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식생공법의 실현이 가능하며, 특히 작업자는 시공 대상 지역에 적합하게 와이어 메쉬를 다층으로 배근 가능하므로 시공품질을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산업상 대단히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식생, 포장, 포머, 타설, 성토사면

Description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Cast-in-Site Plant Pavement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생블럭을 이용한 포장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에서 와이어 메쉬를 복층으로 배근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 실시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머유닛
11 : 융기부
15 : 받침판
20 : 분리몰드
25 : 분리고리
30 : 와이어 메쉬
40 : 스페이서
41 : 후크부
c : 콘크리트
s : 타설공간
본 발명은 차량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식생이 조성되는 도로포장이나 하천의 호안·법면의 절개지 등에 시공되어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물이 자라도록 시공되는 포머를 이용한 식생포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의 자유도를 높여 비용절감과 공기단축을 꾀하면서 높은 시공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지속적인 고도성장을 통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그동안 방치되었던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생태적 요소들 가운데 강이나 하천은 생명체 부양능력을 가지므로 인간의 생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점진적으로 악화되어 가고 있는 하천환경으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악영향을 받게 되어 하천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관해 인식을 새롭게 하면서 하천의 개활지가 갖고 있는 다양한 이점과 하천 생태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사라져 가는 하천의 자연스런 모습을 되살리려는 복원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복원운동의 일환으로 궁극적으로는 치수 및 이수 목적상 하천정비가 필요한 하천에 가급적 하천 환경을 크게 훼손시키지 않고 자연상태의 하천형태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는 자연형 하천 복원안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단순한 치수기능만을 수행했던 콘크리트 블럭이 급격히 퇴조하고, 현재는 초목의 생장과 미생물, 곤충 및 조류 등의 서식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다양한 종류의 식생블럭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또한, 급격하게 이루어진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의 생활환경과 자연환경이 악화되었으며,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도시녹지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많은 녹지축이 단절되었다. 도시녹지의 훼손은 결과적으로 야생동식물의 서식공간을 빼앗아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자연생태계를 훼손하여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자연생태계를 보전하여 인간과 자연이 조화되는 도시를 건설하기 위하여 도시녹지의 보전과 창출이 도시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일상 생활권에 녹지를 조성하고 훼손된 녹지축을 복원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주차장이나 공원 및 아파트 단지내의 기존의 아스팔트 또는 블럭형태의 포장을 식생포장을 대체하는 추세에 있다.
종래의 식생블럭은 기존 콘크리트 블럭에 단순히 구멍을 뚫어서 빈 공간을 형성하고, 이 빈 공간에서 식물이 생장할 수 있게 한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생블럭을 이용한 포장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의 식생포장은 초목을 심기 위한 식생구멍(110)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블럭(100)을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하여 현장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현장에 설치된 프리캐스트 블럭(100)은 식생구멍에 흙을 채우고 풀씨를 뿌리거나 초목을 식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블럭(100)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각 블럭 개체 사이의 결속력이 취약하여 측방유동 및 부등침하, 탈락, 파손 등의 현상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 시공초기시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미관이 크게 저해될 뿐만 아니라 호안의 토사가 유실되는 원인을 제공하므로 결과적으로 본래의 시공목적 달성이 곤란하고 잦은 보수공사를 필요로 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74661호를 통해 포머와 RC를 이용한 친환경적 현장타설식 호안 및 포장공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여기서 상기 포머(Former)는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등에서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 등으로 성형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거푸집과 같은 개념이다.
상기 종래의 포장공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속이 비어 있는 상자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포머(Former)를 정렬 설치하고, 이들 포머와 포머 사이의 공간인 타설공간에 철근을 배근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상기 포머의 상부면을 가스토치를 이용하여 태워서 제거하고 그 내부공간에 흙을 충진하고 초본 류 또는 교본류를 식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포머를 이용한 현장 타설식 호안 및 포장공법은, 1회용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포머가 실제로는 얇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작업자의 이동시 작업하중을 견고하기 지지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다수 배열된 포머의 위치를 결정하는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는 작업을 위해서 별도의 작업발판의 설치 및 해체작업를 반복적으로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작업발판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대단히 불량하여 공사비용의 상승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후에는 포머의 상면을 가스토치 등과 같은 화염장비를 이용하여 태워서 제거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매연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각 포머의 상면을 일일이 태워야 하므로 작업의 표준화가 어려워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여 결과적으로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면에 설치시에는 지면과 포머와의 특별한 고정방법이 없으므로 포머 설치시에나 콘크리트 타설시에 이동 및 이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면이 개방된 포머 및 이 포머의 상부면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작업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분리몰드를 부가 구성하며, 와이어 메쉬와 포머와 분리 몰드를 기조립하여 현장에서 일시에 설치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이면서 작업의 표준화에 따른 작업성 개선과 공기단축 및 높은 시공품질을 일시에 제공할 수 있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머와 포머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와이어 메쉬의 높낮이 설치 위치를 스페이서를 통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대상 지역에 적합한 배근작업에 의한 시공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특징은, 장방형의 받침판에 등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관형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이들 융기부 사이의 받침판 일단에 조립구멍이 구비되는 포머유닛과; 상기 융기부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되는 분리몰드와; 상기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의 공간에 배근되는 격자 형태를 갖는 와이어 메쉬와; 상기 결합구멍에 하단이 끼움결합되고 상단은 상향 돌출되면서 일측으로 와이어 메쉬의 일단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다른 특징은, 상기 분리몰드의 상측면은 포머의 개방된 상면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돌출 구비되면서 중앙부분에는 분리고리가 구비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포머유닛은 압축종이, 기름종이,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되고, 분리몰드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페이서는 하단부에 삼각편상의 후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페이서는 끼움홈을 중심으로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융기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시공방법의 특징은, 시공 대상지역에 대한 지반정리·벌개제근·모래포설·평탄성 고르기를 실시하는 준비단계, 포머유닛의 각 융기부에 분리몰드를 조립하고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여 포머유닛을 완성하는 단계, 철근과 분리몰드가 일체화된 포머유닛을 시공 대상지역에 정렬 배치하는 포머유닛 설치단계, 포머유닛의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에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콘크리트 양생중 분리몰드를 융기부로부터 분리시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흙을 충진하고 초목을 식생하는 식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시공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철근 설치단계에서 스페이서의 하단부에 형성된 후크부를 포머유닛의 받침판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끼움결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상단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끼움홈에 철근의 일단을 조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 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에서 와이어 메쉬를 복층으로 배근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 실시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은, 크게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형상으로 상향 돌출된 융기부(11)가 형성되는 포머유닛(former unit;10)과, 상기 포머유닛(10)의 융기부(11)에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분리몰드(20)와, 상기 포머유닛(10)와 포머유닛(10) 사이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에 구비되는 와이어 메쉬(30) 및 상기 와이어 메쉬(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페이서(40)로 구성된다.
포머유닛(10)은 일종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펄프를 압축시킨 압축종이로 성형된다.
이러한 포머유닛(10)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상면이 개방되면서 속이 빈 관형상을 갖는 융기부(11)를 복수개 구비하며, 이들 융기부(11)는 판재형의 받침판(15)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의 포머유닛(10)은 장방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받침판(15)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된 융기부(11)가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이며, 이때의 융기부(11)는 수직방향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요철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머유닛(10)의 받침판(15)에는 조립구멍(16)이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조립구멍(16)은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에 위치되어 후술할 스페이서(40)가 조립된다.
한편, 상기 포머유닛(10)는 생분해가 가능한 환경친화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포머유닛(10)은 시공대상 면적에 따라 복수개가 균등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융기부(11)와 융기부(11) 사이의 공간인 타설공간(s)으로는 와이어 메쉬(30)가 배근되면서 콘크리트(c)가 타설된다.
분리몰드(20)는 상술한 포머유닛(10)의 각 융기부(11)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부재로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구성과 강성이 우수하면서 대량양산에 적합한 성형성을 만족시키는 플라스틱재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중량감소를 위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몰드(20)는 강성이 우수하므로 포머유닛(10)의 각 융기부(11)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발판 역할을 수행하므로 작업자용 발판을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뿐만 아니라 압축펄프로 제공되는 포머유닛(10)이 그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지지역할을 수행하므로 종전에 비해 감소 된 포머유닛(10)의 제작이 가능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몰드(20)는 상기 포머유닛(10)의 개방된 상면을 기준으로 상부면이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포머유닛(10)와 포머유닛(10) 사이의 타설공간(s)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분리몰드(20)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덮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리몰드(20)의 상면에 잔존하는 콘크리트를 타설공간측으로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쓸어 내리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분리몰드(20)는 상측면 중앙에 분리고리(25)가 구비되는 구조이며, 이때의 상기 분리고리(25)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되었을 때 분리몰드(20)를 포머유닛(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일종의 손잡이로서, 본 발명에서는 분리몰드(20)의 상측면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핀을 연결한 것을 제안하였으나 분리몰드(20)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어 메쉬(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철근을 격자 형태가 되게 구비시킨 것으로서, 상기 포머유닛(10)와 포머유닛(10) 사이의 타설 공간에 배근된다. 이러한 와이어 메쉬(30)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 메쉬(30)는 시공대상지역의 특성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어 메쉬(30)는 복수개의 스페이서(40)에 의해 그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가 결정된다.
스페이서(4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 상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술한 와이어 메쉬(30)의 일단이 끼움되는 끼움홈을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하면 서, 그 하단부는 상술한 포머유닛(10)의 받침판(15)상에 형성된 조립구멍(16)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후크부(41)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41)는 중간부가 절개된 삼각편상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술한 조립구멍(16)에 탄력적으로 끼움되어 고정력을 생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끼움홈을 중심으로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융기부(11)의 외면에 접촉되어 지지력을 작용하도록 지지부(42)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조립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포머유닛(10)이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 와이어 메쉬(30)가 자중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자중과 작업하중을 많이 받는 융기부(11)의 일측면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스페이서(40)는 강성이 우수한 강재 또는 플라스틱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0)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끼움홈을 형성하는 구조이면서 받침판(1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호안이나 법면의 절개지 또는 성토사면과 같은 시공 대상지역에 대한 지반정리·벌개제근·모래포설·평탄성 고르기를 실시하여 포머유닛(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반을 정리하여 포머유닛(10)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s10)
이러한 지반정리는 작업은 기존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둘째, 포머유닛(10)을 구성하는 각 융기부(11)의 개방된 상측면으로 분리몰드(20)을 끼움 조립하고, 상기 스페이서(40)를 포멋유닛(10)의 받침판(11)에 형성된 조립구멍(16)에 조립 고정시키면서 단철근 또는 복철근으로 된 와이어 메쉬(30)를 배근시켜 포머유닛을 완성시킨다. (s20)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40)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끼움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시공환경에 따라 철근의 높이를 스페이서(40)의 해당 끼움홈에 끼워넣어 원하는 높이에 철근을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철근은 격자 형태로 구비되는 와이어 메쉬(3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 메쉬(30)는 필요시 스페이서(4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 복층으로 배근될 수 있다.
또한, 시공대상지역이 평탄면인 경우에는 크게 상관이 없으나 포머유닛(10)의 설치 대상지가 경사면인 경우에는 상기 스페이서(40)에 지지부(42)를 조립시켜 융기부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하여 자중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 완성된 포머유닛(10)은 지반 정리 대상면에서 직접 조립될 수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작업환경이 양호한 타 지역이나 공장 등에서 조립된 후 지반정리 대상지역으로 운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상기 단계에서 지반 정리된 시공 대상면에 완성된 포머유닛(10)을 설치한다. (s30)
이때, 상기 포머유닛(10)는 시공대상지역이 평탄면인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곡면인 경우에는 받침판(15)을 적당히 굽힘시키거나 재단하는 것에 의해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치된 여러 포머유닛(10)들이 유동되는 것을 임시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각 포머유닛(10)의 받침판(15)을 겹쳐지게 배치하거나 또는 각 포머유닛(10)의 받침판(15)의 상측에 돌과 같은 중량물을 올려놓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철근이 배근된 타설공간에 포머유닛(10)의 상측 높이까지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S40)
여기서, 상기 분리몰드(20)은 작업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발판 없이도 분리몰드(20)을 밟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분리몰드(20)의 상측면으로 콘크리트가 남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분리몰드(20)는 상측면이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상향 돌출되어 있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분리몰드(20)의 상측면에 묻어 있는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타설공간측으로 쓸어내려야 하며, 또한 타설 공간상의 콘크리트가 평탄면을 갖도록 고르기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시까지 양생과정을 거친다.
다섯째, 타설된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되었으면, 상기 포머유닛(10)로부터 분리몰드(20)을 분리시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이 식생공간에 자갈,흙 등을 충 진하고 초본류 또는 교본류를 식재한다.(S50)
즉,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굳기전에 분리몰드(20)의 상측면에 연결된 분리고리(25)를 잡아당겨 포머유닛(10)로부터 분리몰드(20)을 분리시킨다. 여기서 작업자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이므로 작업하중을 견딜 수 있는 분리몰드(20)을 밟은 상태에서 근처의 다른 분리몰드(20)을 분리시키는 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이렇게 분리몰드(20)가 모두 제거되면 포머유닛(10)에는 식생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식생공간에 모래·자갈·흙 등을 충진시키고 풀이나 나무를 심거나, 또는 미관을 위한 점토블럭이나 자갈 등을 채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의 시공방법은 환경친화성이 우수한 압축종이, 기름종이,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포머유닛(10)와, 이 포머유닛(10)가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면서 작업자용 발판 기능을 제공하는 분리몰드(20)를 통해 시공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작업하중을 받는 분리몰드가 포머유닛의 융기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에 의해 포머유닛의 전체적인 지 지강성을 높일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별도의 작업발판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 개선과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분리몰드를 제거하는 간소한 작업만으로 식생공간이 형성되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분리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식생공법의 실현이 가능하며, 특히 작업자는 시공 대상 지역에 적합하게 와이어 메쉬를 다층으로 배근 가능하므로 시공품질을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산업상 대단히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장방형의 받침판에 등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관형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이들 융기부 사이의 받침판 일단에 조립구멍이 구비되는 포머유닛과;
    상기 융기부의 개방된 상측면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끼움되는 분리몰드와;
    상기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의 공간에 배근되는 격자 형태를 갖는 와이어 메쉬와;
    상기 결합구멍에 하단이 끼움결합되고 상단은 상향 돌출되면서 일측으로 와이어 메쉬의 일단이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스페이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몰드의 상측면은 포머의 개방된 상면을 기준으로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돌출 구비되면서 중앙부분에는 분리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머유닛은 압축종이, 기름종이, 플라스틱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고, 분리몰드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하단부에 삼각편상의 후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끼움홈을 중심으로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융기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6. 시공 대상지역에 대한 지반정리·벌개제근·모래포설·평탄성 고르기를 실시하는 준비단계;
    포머유닛의 각 융기부에 분리몰드를 조립하고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여 포머유닛을 완성하는 단계;
    철근과 분리몰드가 일체화된 포머유닛을 시공 대상지역에 정렬 배치하는 포머유닛 설치단계;
    포머유닛의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에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콘크리트 양생중 분리몰드를 융기부로부터 분리시켜 식생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흙을 충진하고 초목을 식생하는 식생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설치단계에서 스페이서의 하단부에 형성된 후크부를 포머유닛의 받침판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끼움결합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상단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끼움홈에 철근의 일단을 조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시공방법.
KR1020060041230A 2006-05-08 2006-05-08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74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30A KR100749078B1 (ko) 2006-05-08 2006-05-08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30A KR100749078B1 (ko) 2006-05-08 2006-05-08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249U Division KR200427689Y1 (ko) 2006-05-08 2006-05-08 현장타설식 식생포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078B1 true KR100749078B1 (ko) 2007-08-14

Family

ID=3860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230A KR100749078B1 (ko) 2006-05-08 2006-05-08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12B1 (ko) 2011-06-20 2012-03-06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투수체와 포머를 이용한 친환경적 현장설치식 호안 및 포장공법
KR102657813B1 (ko) 2023-04-21 2024-04-17 (주)한길산업 하이브리드 식생포장 투수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식생포장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08Y1 (ko) * 2004-05-24 2004-08-09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현장타설식 자연형 플라스틱 포머
KR100474661B1 (ko) * 2004-05-24 2005-03-14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포머와 rc를 이용한 친환경적 현장타설식 호안 및포장공법
KR200385488Y1 (ko) * 2005-03-09 2005-05-27 윤석기 현장타설 식생포장용 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08Y1 (ko) * 2004-05-24 2004-08-09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현장타설식 자연형 플라스틱 포머
KR100474661B1 (ko) * 2004-05-24 2005-03-14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포머와 rc를 이용한 친환경적 현장타설식 호안 및포장공법
KR200385488Y1 (ko) * 2005-03-09 2005-05-27 윤석기 현장타설 식생포장용 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12B1 (ko) 2011-06-20 2012-03-06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투수체와 포머를 이용한 친환경적 현장설치식 호안 및 포장공법
KR102657813B1 (ko) 2023-04-21 2024-04-17 (주)한길산업 하이브리드 식생포장 투수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식생포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4517A1 (en) Reinforced pervious concrete
KR100749078B1 (ko) 현장타설식 식생포장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018664B1 (ko)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KR200427689Y1 (ko) 현장타설식 식생포장
CN111304989A (zh) 一种稳固型生态透水路面及其制作方法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100708344B1 (ko) 보수 및 투수 포장 스페이서
CN109577137A (zh) 一种防积水的园林道路施工方法
CN212336084U (zh) 一种异型块后浇式轻型挡土墙支护结构
JP4227356B2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101960500B1 (ko) 조립 축조형 에코 필라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2657813B1 (ko) 하이브리드 식생포장 투수지그 및 이를 이용한 식생포장 시공방법
KR200385488Y1 (ko) 현장타설 식생포장용 틀
KR100945474B1 (ko)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의 현장 타설 방법 및 식생블록 현장 타설용 구조물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JP2726983B2 (ja) 中空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マット製造用型枠及び中空部の形成方法
CN220977652U (zh) 一种整体式预制聚合物人行拱桥
KR101165393B1 (ko) 축조블록
JP3602456B2 (ja) 透水側溝ブロック
KR200317111Y1 (ko) 도로 경계석
KR101979005B1 (ko) 식생 축조 기초블록
KR101129572B1 (ko) 저면 개방형 친환경 농수로의 시공방법
KR200358608Y1 (ko) 현장타설식 자연형 플라스틱 포머
KR100663840B1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환경친화적인 도로포장방법
KR200354133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