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047B1 - 액정 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047B1
KR100748047B1 KR1020020067013A KR20020067013A KR100748047B1 KR 100748047 B1 KR100748047 B1 KR 100748047B1 KR 1020020067013 A KR1020020067013 A KR 1020020067013A KR 20020067013 A KR20020067013 A KR 20020067013A KR 100748047 B1 KR100748047 B1 KR 100748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insulating film
refractive index
film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071A (ko
Inventor
오제끼마사오
하버체틀하인츠
Original Assignee
옵트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트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옵트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1Cells with varying thicknes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소자는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된 투명 전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 기판 (10, 20) 및 액정 측의 하나 이상의 투명 전극 (11) 상에 형성된 절연막 (12) 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은 투명 전극의 굴절율에 대해 0.15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제공하고 반경 500 ㎛ 의 영역에서 ±500 Å 이하의 막 두께 분포를 갖는 막이어서, 제조 비용 증가 및 생산성 저감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ITO 뼈 보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흑백의 무채색성 향상 및 ITO 뼈 보임 현상 방지라는 요청 모두를 충족시킨다.
액정, 굴절율, 색차, 막 두께

Description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도 1 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소자에 사용되는 지지 기판부의 확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소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통상적인 종래의 액정 표시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절연막의 굴절율이 1.900 인 조건하에서 절연막의 막 두께가 변경될 경우에 얻어지는 색차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 는 절연막의 굴절율이 1.900 인 조건하에서 절연막의 막 두께 분포가 변경될 경우에 얻어지는 색차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 은 절연막의 굴절율이 1.800 인 조건하에서 절연막의 막 두께 분포가 변경될 경우에 얻어지는 색차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 은 절연막의 굴절율이 1.700 인 조건하에서 절연막의 막 두께 분포가 변경될 경우에 얻어지는 색차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 은 절연막의 굴절율이 1.900 에서 1.700 까지의 범위에서 변경되는 조건하에서 절연막의 막 두께 분포가 변경될 경우에 얻어지는 색차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 액정 표시 소자
10, 20 : 투명 기판
11, 21 : 투명 전극
12, 22 : 절연막
13, 23 : 배향막
14, 24 : 편광막
30 : 액정
40 : 백라이트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TO 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 반사 상태에서 관찰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소자에 이용되는 투명 전극에는 ITO (인듐-주석-산화물 ; indium-tin-oxide) 가 사용되며, 도전성 ITO 막을 패터닝하는 것에 의해 전극 패턴이 형성된다. ITO 의 굴절율은, 지지 기판인 유리 기판의 굴절율 약 1.5 보다 큰 약 1.9 이다.
따라서, ITO 의 존재 여부에 따라, 외광이 표시 소자로 진입할 때, 반사 강도에 차이가 생긴다. 이 경우, 투명 ITO-패턴이 가시화되고, 이로써 표시 품질은 현저히 열화된다. 이 현상을 "ITO 뼈 보임 (ITO bone appearance)" 이라고 하며, "가시 전극 (visible electrodes)" 이라고도 한다.
ITO 뼈 보임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ITO 막 상에 형성된 절연막의 굴절율과 두께 및 배향막의 굴절율과 두께를 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이 경우, 최적 조건은 이론적인 계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ITO 뼈 보임 현상은 이론적으로 상이한 굴절율을 가진 다층막에 대한 광반사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층막의 반사에 대해 계산하는 것에 의해 그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계산 결과가 실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많은 경우에, 액정 분자가 90°트위스트된 TN 형 액정이 액정 표시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TN 형 액정은, 흑백의 무채색성 (non-coloration characteristics) 을 향상시키는 MTN (modulated twisted nematic) 이라는 액정 표시 형태를 포함한다. 이 형태는 액정층에 갭 분포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층에 갭 분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유리 기판에 요철 처리 (roughening treatment) 를 하여 요철부 (concave-convex portion) 를 형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HF (불화수소 ; hydrogen fluoride) 를 사용하여 에칭 처리를 할 경우, 산 (peak) 대 산의 피치가 약 100 ㎛ 이고 산 대 골짜기 (bottom) 의 깊이가 약 5.5 ㎛ 레벨인 요철부를 얻을 수 있다.
유리 기판의 요철부 상에 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대체로, 드라이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스퍼터링법 및 용제 코팅 형태에 속하는 플렉서 인쇄법 (flexographic printing method) 또는 스핀 코팅법으로 분류된다. 전자인 스퍼터링법에는, 형성된 막에 실질적으로 막 두께 분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긴 하지만, 사용가능한 장치가 고가이고; 막을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며, 막을 위해 무기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 실용적인 사용에는 부적절하다.
한편, 후자인 플렉서 인쇄법 또는 스핀 코팅법은, 사용 가능한 장치가 염가이고; 보다 짧은 시간에 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유기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생산 공정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요철부를 따라 막 두께 분포를 가진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론적인 계산에 따라, 각각의 구성 소자에 대한 최적의 막 두께를 얻을 수 있고, 이로써 ITO 뼈 보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상, 다음과 같은 불리한 점이 있다. 용제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술한 MTN 액정 표시 형태 기판의 요철부 상에 절연막을 형성할 경우, 요철부를 따라 막 두께 분포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론적인 계산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결과와 달리 최적 막 두께를 얻을 수 없고, 이로써 ITO 뼈 보임을 저감하기가 어려워진다.
상술한 이유로 인해, 스퍼터법이 소정의 균일한 막 두께를 제공하긴 하지만, 스퍼터법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의 증가 및 생산성 감소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ITO 뼈 보임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목적이 있고, 특히, MTN 액정 표시 형태의 액정 표시 소자를 제공하며, 이로써, 흑백의 무채색성 향상 및 ITO 뼈 보임 현상 방지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된 투명 전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 기판 및 액정 측의 하나 이상의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된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은 투명 전극의 굴절율에 대해 0.15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제공하며 반경 500 ㎛ 의 영역에서 ±500 Å 이상의 막 두께 분포를 가지는 액정 표시 소자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절연막에 막 두께 분포를 제공하기 위해 투명 전극이 형성된 측의 지지 기판 상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요철부의 산 대 골짜기의 깊이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막이 필요없는 형태의 액정 표시 소자에서는, 배향막이 상술한 굴절율 및 막 두께 분포를 가져야 한다.
우선, ITO 뼈 보임 현상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해 설명한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정 표시 소자를 나타내며, 구성 소자는 분리된 상태로 표시된다.
액정 표시 소자 (1) 는 한 쌍의 지지 기판, 즉, 표시/관찰면 측의 투명 기판 (10) 및 후면측의 투명 기판 (20) 을 구비한다. 투명 기판 (10, 20) 모두는, 예를 들어, 유리 (합성 수지일 수도 있음) 로 제조되며, ITO 의 투명 전극 (11, 21) 은 서로 대향하는 투명 기판의 내면측에 소정의 전극 패턴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투명 전극 (11, 21) 상에는, 절연막 (12 또는 22) 을 개재하여 배향막 (13 또는 23) 을 형성하고, 배향막 (13, 23) 사이에는 TN 등의 액정 (30) 을 배치한다.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투명 전극이 형성된 측의 투명 기판 (10, 20) 하부에는 언더코트층 (undercoat layer) 으로서 실리카 (SiO2) 막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예시된 액정 소자 (1) 는, 표시/관찰면과 그 후면측의 투명 기판 (10, 20) 상에 편광막 (14, 24) 이 제공되는 투과형이다. 또한, 후면측 투명 기판 (20) 의 배면측에 백라이트 (40) 가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표시/관찰면 측으로부터 액정셀로 외광이 진입할 경우, 외광은 먼저 상부측에 배치된 편광막 (14) 으로부터 진입한다. 그러나, 인접막 사이에 굴절율의 차이가 있을 경우, 빛은 그 계면 (interface) 에서 반사한다. 표시부 전체가 동일한 조건을 가진다면, 빛은 전부분에서 반사하고 부분적인 차이가 없기 때문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실상, 소정의 표시를 얻기 위해서 ITO 막은 패터닝 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 전극은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ITO 의 존재 여부에 따라 외광의 상이한 반사가 발생한다. 이러한 차이가 클 경우, ITO 의 패턴 (투명 전극) 이 가시화되는 "ITO 뼈 보임" 이 발생하며, 표시 품질은 현저히 저감된다.
예를 들어, 액정이 1.628 의 굴절율을, 배향막이 1.700 의 굴절율과 300 Å 의 두께를, ITO 가 1.900 의 굴절율과 450 Å 의 두께를, 언더코트층 (SiO2) 이 1.460 의 굴절율과 300 Å 의 두께를, 절연막이 1.900 의 굴절율과 700 Å 의 두께를 가지고, 외광이 C 광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ITO 가 있는 곳과 없는 곳 사이의 반사광의 색차는 약 7 이다. 상술한 조건하에서는, ITO 뼈 보임이 다소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계산 결과는 빛이 수직으로 입사하여 수직으로 반사되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다.
도 4 는 절연막의 굴절율이 1.900 인 조건하에서 절연막의 막 두께가 변경될 경우에 얻어지는 색차를 나타낸다. 막 두께가 500 Å 에 근접할 경우, 색차가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외의 막 두께 범위에서는 색차가 크다.
도 5 는 절연막의 굴절율이 1.900 으로 유지되는 동안 절연막에 막 두께 분포가 존재한다는 조건하에서 ITO 뼈 보임의 레벨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도 5 는, 막 두께 분포가 중심에 대해 ±0 Å, ±300 Å, ±400 Å, ±500 Å 또는 ±600 Å 인 각 경우의 색차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막 두께 분포가 ±300 Å 이라는 것은, 반경 500 ㎛ 영역에서 최대 막 두께와 최소 막 두께 사이의 차이가 600 Å 임을 의미한다.
도 5 에 나타낸 결과에 따르면, 막 두께 분포가 커질수록 ITO 뼈 보임 레벨이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 이하의 색차를 얻기 위해서 막 두께 분포는 ±450 Å 이상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6 이하의 색차를 얻기 위해서는 막 두께 분포가 ±600 Å 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6 은 절연막의 굴절율이 1.800 으로 유지되는 동안 절연막에 막 두께 분포가 존재한다는 조건하에서 ITO 뼈 보임의 레벨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며, 도 7 은 절연막의 굴절율이 1.700 으로 유지되는 동안 절연막에 막 두께 분포가 존재한다는 조건하에서 ITO 뼈 보임의 레벨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도 4 내지 도 7 을 요약하면, 색차를 저감하기 위한 양호한 포인트가 각각의 막 두께 분포에 존재하긴 하지만, 절연막의 중심 막 두께가 변하거나 막 두께 분포가 변할 경우, 색차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큰 색차는 ITO 뼈 보임 레벨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중심 막 두께 등의 변화가 있더라도, 양호한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 두께 분포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 은 절연막의 굴절율이 1.9 내지 1.7 까지 변하고 막 두께 분포가 100 내지 1000 Å 의 범위 내에서 변할 경우의 색차의 최대치를 모아서 보여준다.
도 8 을 보면, 9 이하의 색차를 제공하는 조건은 절연막의 막 두께 분포가 ±500 Å 이상이고 절연막의 굴절율과 투명 전극의 굴절율 사이의 차이가 0.15 이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의 눈으로 구별할 수 없는 색차는 3 이하라고 한다. 그러나, 사실상, 약 6 의 색차는 이상하지 않다. 따라서, ITO 뼈 보임에 대해 허용가능한 범위로서 6 이하의 색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이하의 색차를 얻기 위해서, 절연막의 굴절율은 투명 전극의 굴절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하고, 막 두께 분포는 ±600 Å 내지 ±700 Å 의 범위여야 한다.
이는, 절연막의 막 두께 분포가 ±500 Å 이상이고 절연막의 굴절율과 투명 전극의 굴절율 사이의 차이가 0.15 이하이면, 어떤 막 두께에 중심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ITO 뼈 보임 레벨은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절연막이 없는 액정 표시 소자의 경우라면, 배향막이 ITO 의 굴절율에 대해 0.15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제공해야 하며, 그 막 두께 분포는 ±500 Å 이어야 한다.
절연막에 막 두께 분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로서, 도 1 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법이 있다. 유리 기판 (10) 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플렉서 인쇄에 의해 유리 기판 상에 절연막 (12) 을 코팅하고 베이킹함으로써, 막의 산부분은 얇게 만들고 골짜기 부분은 두껍게 만들 수 있다. 요철부 상에 절연막용 액체를 코팅하면, 이것이 흘러서 요철부의 산과 골짜기가 평탄해진다. 절연막용 액체로 코팅된 유리 기판을 이 상태에서 베이킹하면, 막 두께 분포를 갖는 절연막 (12) 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 기판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HF 에칭, 샌드 블라스팅 (sand blasting)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판의 표면 상에 수지층을 형성한 후, 수지층에 요철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이든, 요철부를 인간의 눈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요철부의 피치를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요철부의 피치는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100 ㎛ 이하의 피치는 거의 인식 불가능하다. 또한, 요철부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경우, 간섭이나 무아레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요철부는 랜덤 배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소자 (1A) 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상술한 도 3 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소자를 가리킨다.
표시/관찰면 측의 투명 기판 (10) 및 후면측의 투명 기판 (20) 으로 1.1 mm 두께의 유리 기판을 사용한다. 표시/관찰면 측의 유리 기판 (10) 내부면에 HF 에칭에 의한 요철 처리를 수행하여, 산 대 산의 피치가 약 100 ㎛ 이고 산 대 골짜기의 깊이가 약 5.5 ㎛ 인 요철부를 형성한다.
요철부 상에는, 언더코트층으로서 약 300 Å 의 두께로 SiO2 를 코팅한다. 언더코트층 상에는, 스퍼터링에 의해 약 300 Å 의 두께로 도전성 ITO 막을 형성하고 패터닝함으로써, 소정 형상을 가진 투명 전극 (11) 을 형성한다.
투명 전극 (11) 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플렉서법에 의해 절연막용 액체를 코팅한다. 가건조 (preliminary drying) 후에, 이 액체를 300 ℃ 에서 베이킹하여 절연막 (12) 을 형성한다. 절연막의 막 두께는, 유리 기판 (10) 의 요철 구조로 인해, 산부분에서는 약 200 Å 이고 골짜기 부분에서는 약 3,000 Å 으로, 아주 큰 막 두께 분포가 얻어진다. 산과 골짜기의 중간 위치에서, 절연막 (12) 은 중간 막 두께를 갖는다.
플렉서 인쇄법에 의해, 절연막 (12) 상에 배향막 (13) 을 형성한다. 배향막 (13) 의 막 두께는 유리 기판 (10) 의 요철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다. 배향막은 산부분에서 약 200 Å 그리고 골짜기 부분에서 약 400 Å 의 막 두께 분포를 가진다. 배향막 (13) 에 러빙 처리 (rubbing treatment) 를 하여 배향 기능을 제공한다.
표시/관찰면 반대측의 유리 기판 (20) 상에는, 언더코트층으로서, 요철 처리없이 SiO2 를 300 Å 의 두께로 형성한다. 언더코트층 상에는, 스퍼터링에 의해 도전성 ITO 막을 약 300 Å 의 두께로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대향 전극 (21) 을 형성한다. 그 다음, 대향 전극 (21) 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약 700 Å 의 두께로 절연막 (22) 을 형성하고, 이어서 약 300 Å 의 두께로 배향막 (23) 을 형성한다. 배향막 (23) 에 러빙 처리를 하여 배향 기능을 제공한다.
590 nm 파장에 대한 각 구성 소자의 굴절율은, ITO 약 1.941, 절연막 약 1.945, 배향막 약 1.746, 유리 기판 약 1.520, 그리고 SiO2 약 1.460 이다. 액정 (30) 으로는, 장축의 굴절율이 약 1.628 이며 단축의 굴절율이 약 1.498 인 것을 사용한다.
2 개의 유리 기판 (10, 20) 은 9.5 ㎛ 의 면내 스페이서 (in-plane spacers) 를 개재하여 러빙 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포개고, 포개진 유리 기판에 주변 밀봉 재료 (peripheral sealing material) 를 개재하여 압축함으로써, 액정셀을 준비한다. 그 다음, 입력 포트를 통해 진공주입법으로 셀에 액정을 주입하고, 입력 포트는 밀봉 재료로 밀봉한다. 액정층은 약 1.6 ㎛ 의 △nd 를 가진 90°트위스트된 TN 으로 구성된다.
서로 인접한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 (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진 방향) 이 편광막의 흡수축과 일치하도록, 유리 기판 (10, 20) 의 외측에 편광막 (14, 24) 을 각각 배치한다. 표시 모드로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흑을 제공하는 네거티브 모드 (normally black mode) 를 채택한다. 또한, 후면측 유리 기판 (20) 의 배면에 백라이트 (40) 를 배치한다.
외광을 입사하고 표시를 관찰하면, ITO 뼈 보임은 거의 인지되지 않는다.
비교예로서, 절연막의 굴절율이 약 1.754 인 점을 제외하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액정셀을 준비한다. 표시를 관찰하면, ITO 뼈 보임이 인지된다. 또한, 절연막의 굴절율이 약 1.945 인 경우라 하더라도 막 두께 분포가 약 ±100 Å 이라면, ITO 뼈 보임이 관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된 투명 전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 기판 및 액정 측의 하나 이상의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된 절연막을 구비한 액정 표시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투명 전극의 굴절율에 대해 0.15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제공하며 반경 500 ㎛ 의 영역에 ±500 Å 이상의 막 두께 분포를 갖는 막이어서, 제조 비용의 증가 및 생산성의 저하없이 ITO 뼈 보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흑백의 무채색성 향상 및 ITO 뼈 보임 현상 방지라는 요청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요철부를 가진 유리 기판은 표시/관찰면 측에 배치된다.
표시/관찰면의 반대측에 요철부를 가진 유리 기판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색성 염료 (dichroic dyes) 가 액정 재료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소자는, 특히 자동차용 시계, 인디케이터 등에 사용될 경우, 양호한 시감도 (visibility) 및 표현력 (power of expression) 과 함께 높은 기능성을 제공한다.
상세한 설명, 특허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여, 2001년 10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1-334981 호 전체를 본 출원에서 참조하고 있다.

Claims (10)

  1.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된 투명 전극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지지 기판 및 액정 측의 하나 이상의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된 절연막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로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투명 전극의 굴절율에 대해 0.15 이하의 굴절율 차이를 제공하며 반경 500 ㎛ 의 영역에서 ±500 Å 이상의 막 두께 분포를 갖는 막인, 액정 표시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에 막 두께 분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측에서 상기 절연막을 가진 지지 기판 상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산 (peak) 대 골짜기 (bottom) 의 깊이는 3 ㎛ 이상인, 액정 표시 소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대신에 배향막이 형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관찰면 측에 상기 절연막을 갖는 상기 기판 상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관찰면 반대측에 상기 절연막을 갖는 상기 기판 상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TN 액정 재료가 사용되는, 액정 표시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재료에는 이색성 염료가 사용되는, 액정 표시 소자.
  9. 제 4 항에 있어서,
    표시/관찰면 측에 상기 배향막을 갖는 상기 기판 상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
  10. 제 4 항에 있어서,
    표시/관찰면 반대측에 상기 배향막을 갖는 상기 기판 상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액정 표시 소자.
KR1020020067013A 2001-10-31 2002-10-31 액정 표시 소자 KR100748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4981 2001-10-31
JP2001334981 2001-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071A KR20030036071A (ko) 2003-05-09
KR100748047B1 true KR100748047B1 (ko) 2007-08-09

Family

ID=1915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013A KR100748047B1 (ko) 2001-10-31 2002-10-31 액정 표시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34938B2 (ko)
EP (1) EP1308770B1 (ko)
KR (1) KR100748047B1 (ko)
CN (1) CN1273852C (ko)
DE (1) DE60210901T2 (ko)
TW (1) TW5745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8710B2 (ja) 2004-01-07 2011-06-2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FR2872590B1 (fr) 2004-07-02 2006-10-27 Essilor Int Procede de realisation d'un verre ophtalmique et composant optique adapt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KR101122232B1 (ko) * 2004-12-17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액정 표시 장치
FR2888948B1 (fr) 2005-07-20 2007-10-12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pixellise comprenant un revetement absorbant, son procede de realis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un element optique
FR2888950B1 (fr) 2005-07-20 2007-10-12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pixellise a parois absordant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rication d'un element optique transparent
FR2888951B1 (fr) 2005-07-20 2008-02-08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pixellise aleatoiremen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un element optique transparent
FR2888947B1 (fr) 2005-07-20 2007-10-12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a cellules
FR2907559B1 (fr) 2006-10-19 2009-02-13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elecro-commandable comprenant un ensemble de cellules
FR2910642B1 (fr) 2006-12-26 2009-03-06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a deux ensembles de cellules
FR2911404B1 (fr) * 2007-01-17 2009-04-10 Essilor Int Composant optique transparent a cellules remplies de materiau optiqu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9379A (ja) * 1993-04-05 1994-10-18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960042143A (ko) * 1995-05-31 1996-12-21 엄길용 액정표시장치의 액정기판 제조방법
JPH10197857A (ja) * 1996-12-28 1998-07-31 Canon Inc 液晶素子及び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001033784A (ja) * 1999-07-16 2001-02-09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21A (ja) * 1985-07-12 1987-01-23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US4895432A (en) * 1985-01-30 1990-01-23 Seiko Epson Corporation, A Japanese Corporation Display device having anti-reflective electrodes and/or insulating film
JPH01150115A (ja) * 1987-12-08 1989-06-13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素子
JP3030900B2 (ja) * 1991-04-17 2000-04-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高分子分散型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5648860A (en) * 1992-10-09 1997-07-15 Ag Technology Co., Ltd. Projection type color liquid crystal optical apparatus
JP2812851B2 (ja) * 1993-03-24 1998-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3097945B2 (ja) * 1994-10-03 2000-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209317B2 (ja) * 1995-10-31 2001-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透過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8367B2 (ja) * 1998-10-14 2006-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538279B (en) * 1998-10-23 2003-06-21 Hitachi Ltd A reflective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0231109A (ja) * 1999-02-12 2000-08-22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9379A (ja) * 1993-04-05 1994-10-18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960042143A (ko) * 1995-05-31 1996-12-21 엄길용 액정표시장치의 액정기판 제조방법
JPH10197857A (ja) * 1996-12-28 1998-07-31 Canon Inc 液晶素子及び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001033784A (ja) * 1999-07-16 2001-02-09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3852C (zh) 2006-09-06
EP1308770A2 (en) 2003-05-07
DE60210901D1 (de) 2006-06-01
US6734938B2 (en) 2004-05-11
KR20030036071A (ko) 2003-05-09
EP1308770A3 (en) 2003-09-24
EP1308770B1 (en) 2006-04-26
DE60210901T2 (de) 2007-05-10
US20030107700A1 (en) 2003-06-12
CN1417630A (zh) 2003-05-14
TW574566B (en) 200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7659B1 (en) A reflective-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187329B1 (ko) 반사형 기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H0784252A (ja) 液晶表示装置
KR100854029B1 (ko) 액정표시장치
JP2793076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7481A (ja) 反射型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H06194639A (ja) 液晶表示パネル
KR100748047B1 (ko) 액정 표시 소자
JP2013140194A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75126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72194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4187194B2 (ja) 液晶表示素子
JPH06235940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20012794A (ko) 투과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H05281533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74612A (ko) 액정 표시 장치
JPH1010528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846943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05618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1160703A (ja) 表示装置
JP4123294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38232A (ko)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KR950003380B1 (ko) 칼라액정 표시장치
JP2002014333A (ja) 液晶表示素子
JPH07253509A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