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073B1 -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073B1
KR100747073B1 KR1020060023541A KR20060023541A KR100747073B1 KR 100747073 B1 KR100747073 B1 KR 100747073B1 KR 1020060023541 A KR1020060023541 A KR 1020060023541A KR 20060023541 A KR20060023541 A KR 20060023541A KR 100747073 B1 KR100747073 B1 KR 10074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ase
coupled
push button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호
Original Assignee
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호 filed Critical 정창호
Priority to KR102006002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4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47L23/05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with applicators for shoe poli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구두 갑피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광택을 내기 위하여 상부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케이스의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며 병렬 배치된 누름단추와 결합되는 각개동작수단이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고,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상기 누름단추의 누름동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 하부면을 통해 외부로 개별 돌출되는 도포도구, 솔도구 및 광택도구를 포함하는 구두닦이수단을 결합시킨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휴대하기 편하면서 일련의 구두닦이 작업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에 관한 것이다.
구두닦이 장치, 각개동작수단, 도포도구, 솔도구, 광택도구, 구두닦이수단

Description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Portable shoes cleaning tool}
도 1은 종래 구두닦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 개념도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케이스 110...관통공
200...각개동작수단 210...승강구
212...누름단추 214...로드
216...복원스프링 220...절환박스
230...수납케이스 300...구두닦이수단
310...솔도구 312...몸체
314...솔 320...도포도구
322...몸체 324...도포재
330...광택도구 332...몸체
334...광택포 400...하부덮개
본 발명은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케이스 내에 각개동작수단을 장착하고 상기 각개동작수단과 구두닦이수단을 결합시킴으로써, 휴대하기 편하면서 일련의 구두닦이 작업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구두 착용자가 직접 구두를 닦고자 하면 구두 갑피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광택을 내기 위하여 구두솔, 구두약 및 헝겊 등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손에 구두약이 묻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무수히 많은 종류의 구두닦이 장치가 출원되고 공지되어 있으나, 대부분 업소용으로 사용되며 복잡한 구성에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대형의 고가 장치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가정에서 손쉽게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고실용신안 20-1994-0008049호의 '소형 자동 구두솔'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손잡이(1)를 구비한 몸체(2) 상에 스위치(SW1, SW2)가 구비되고, 상기 각 스위치(SW1, SW2)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광솔 및 약솔전동기(5, 6)가 상기 몸체(2)에 내장되며, 상기 광솔 및 약솔전동기(5, 6)는 감속 및 연동기어군(7, 7')과 각각 결합된 광솔 및 약솔회전판(8, 9)을 회전시켜 구두닦이가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로 3은 AC충전 아답타를, 4, 4'는 충전식 건전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광솔 및 약솔회전판(8, 9)은 상기 몸체(2)와 분리 교체가능하도록 너트 및 톱니기구(미도시)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상기 몸체(2)에 광솔 및 약솔회전판(8, 9)이 돌출 장착되어 있어 휴대하기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 또한 장치의 제작에 필요한 구성 부품의 수가 많아 복잡할 뿐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또한 용이하지 못한 취약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회전하는 상기 광솔 및 약솔회전판(8, 9)에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외부로부터 물리적 충격을 받을 경우 몸체(2) 상에 돌출된 상기 광솔 및 약솔회전판(8, 9)이 파손되거나 작동 불능이 될 수도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성 부품이 단순하면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도 제작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용구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하기 간편하며 구두를 닦는 일련의 과정을 일체로 수행 가능할 수 있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외부 충격에도 강한 내구성을 지니며, 적은 구성 부품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한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상부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며 병렬 배치된 누름단추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각개동작수단; 및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누름단추의 누름동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 하부면을 통해 외부로 개별 돌출되는 솔도구, 도포도구 및 광택도구를 포함하는 구두닦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개동작수단은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누름단추의 하부측에 상기 솔도구, 도포도구 및 광택도구와 각각 결합되는 로드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누름단추를 하부측에서 탄력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이 상기 로드에 장착되는 승강구와, 상기 승강구의 복원스프링과 상기 각 도구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각 도구의 로드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며 상 기 각 도구 중 일개 도구를 상기 누름단추의 누름동작과 연동하는 스위칭 기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케이스 외부로 돌출시키는 절환박스 및 상부면이 상기 로드와 결합되고 하부면이 개방되어 상기 각 도구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납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솔도구는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면에 다수개의 모가 다발을 이루며 식재된 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포도구는 내부에 액상의 구두약이 충진되고 상기 구두약의 충진 및 배출을 위하여 상, 하부면에 각각 주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배출구와 접촉되는 구두의 갑피 상에 구두약을 도포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섬유재의 도포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광택도구는 단면이 정다각형상인 외면을 지니고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을 따라 권취된 섬유재의 광택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개방된 하부측을 엄폐하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 서, 전체적으로 사각통 형상의 케이스(100) 상부면에 복수개의 누름단추(212)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측에는 하부 덮개(400)가 결합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각 주요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크게 케이스(100), 각개동작수단(200) 및 구두닦이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관통공(110)이 구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양 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파지홈(140, 1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 일측면의 파지홈(140)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타측면의 파지홈(150)은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홈(140, 150)의 형상은 본원 발명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상기 파지홈(140, 150)이 배치되는 위치 또한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의 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개동작수단(200)은 케이스(100) 상부면의 관통공(110)을 통해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며 병렬 배치된 누름단추(212)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에 장착되는 것으로, 크게 승강구(210), 절환박스(220) 및 수납케이스(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210)는 전체적으로 누름단추(212), 로드(214) 및 복원스프링(2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단추(212)는 케이스(100) 상부면의 관통공(110)을 통해 돌출된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반구형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형, 타원형의 평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로드(214)는 상기 누름단추(212) 하부측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구두닦이수단(300)의 솔도구(310), 도포도구(320) 및 광택도구(330) 각각과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복원스프링(216)은 코일스프링 등과 같은 공지의 것으로 상기 누름단추(212)를 하부측에서 탄력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절환박스(220)는 상기 승강구(210)의 복원스프링(216)과 후술할 구두닦이수단(300)의 각 도구(310, 320, 3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로드(214)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환박스(220)는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로드(214) 각각과 결합되어 상기 로드(214) 상부측에 구비된 누름단추(212)의 누름동작과 연동하는 스위칭(switching) 기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복수개의 상기 로드(214) 중 일개 로드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하강된 상기 로드(214)는 나머지 누름단추(212) 중 일개의 누름동작에 의하여 상기 로드(214)에 장착된 복원스프링(216)의 탄발력으로 원위치로 복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환박스(220)는 기계 및 전기 전자장치에 널리 통용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 중 일개 버튼을 ON시킨 다음, 나머지 버튼 중 임의의 버튼을 ON시키면 상기 일개 버튼이 OFF되는 자동 잠금 스위치, 일명 '오토락스위치(auto lock switch)'라고도 불리는 공지의 것을 채택하였으므로, 내부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각개동작수단(200)의 수납케이스(230)는 상부면이 상기 로드(214)와 각각 결합되고, 후술할 구두닦이수단(300)의 각 도구(310, 320, 330)가 탈착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구두닦이수단(300)은 상기 각개동작수단(200)의 하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누름단추(212)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100) 하부면을 통해 외부 돌출되는 것으로, 크게 솔도구(310), 도포도구(320) 및 광택도구(3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솔도구(310)는 사용자의 구두 갑피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구두약을 갑피 전체에 걸쳐 확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크게 몸체(312)와 솔(3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12)는 상기 각개동작수단(200)의 수납케이스(230)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고 상기 수납케이스(230) 하부면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솔(314)은 상기 몸체(312) 하부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의 모가 다발을 이루며 폭넓게 식재된 것으로, 동물의 모를 사용한 천연모 또는 합성섬유로 제작된 합성모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포도구(320)는 사용자의 구두 갑피에 구두약을 바르기 위한 것으로, 크게 몸체(322) 및 도포재(3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22)는 상기 각개동작수단(200)의 수납케이스(230) 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니고 상기 수납케이스(230) 하부면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322) 상부면에는 구두약의 충진을 위하여 주입구(321)가 구비되며, 하부면에는 구두약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두약은 충진이 용이하며 간편하게 구두 갑피에 도포하기 위하여 액체 상태의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321)에는 충진된 구두약이 누설되지 않도록 별도로 탈착 가능한 마개(미도시)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도포재(324)는 다공질의 스펀지와 같은 섬유재로 제작되어 상기 배출구와 접촉되는 구두 갑피 상에 구두약을 도포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포재(324)는 액상의 구두약이 상기 도포재(324) 전체로 번지며 구두약을 머금은 상태에서 골고루 구두 갑피에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미도시)가 구두 갑피에 접촉되면 상기 몸체(322) 내의 구두약이 소량씩 스며나오게 된다.
상기 광택도구(330)는 사용자의 구두 갑피에 도포된 구두약을 문질러 광택을 내기 위한 것으로, 크게 몸체(332) 및 광택포(3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332)는 상기 각개동작수단(200)의 수납케이스(230)의 하부면을 통해 상기 수납케이스(2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332)는 단면이 정다각형상인 외면을 지닌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사각 단면의 바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여러 면에 걸쳐 장시간 사용하기 위하여 정육각형 또는 정팔각형 등으로 변형하여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광택포(334)는 상기 몸체(332)의 외면을 따라 권취되는 섬유재의 것으로, 핀이나 접착제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일단을 상기 몸체(332)에 고정시킨 후 권취하여 타단도 마찬가지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두닦이수단(300)의 각 도구(310, 320, 330)는 상기 수납케이스(230) 각각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됨을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안에 보다 밀착된 파지감의 제공을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 형상을 변경한다면, 이에 따른 상기 각 도구(310, 320, 330) 및 수납케이스(230) 형상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 형상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형 제작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에는 개방된 하부측을 엄폐하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덮개(40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덮개(400)는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를 사 용하지 않을 때 상기 케이스(100) 하부면을 깨끗하게 밀폐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나 옷이 상기 구두닦이수단(300)에 묻은 잔여 구두약으로 인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덮개(400)가 상기 케이스(100)와 결합되기 위하여는 상기 각 도구(310, 320, 330)가 전부 상기 케이스(100) 내에 수납된 상태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도구(310, 320, 330) 중 일개 도구가 돌출된 상태에서 나머지 도구 중 임의의 도구에 연결된 누름단추(212)를 눌러 케이스(100) 하부측으로 하강시키되, 상기 누름단추(212)의 로드(214)가 절환박스(220)에 고정되지 않을 정도로 누른다.
따라서, 돌출된 일개 도구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각 도구(310, 320, 330) 전부가 상기 케이스(100) 내로 수납이 되며 하부덮개(400)의 마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의 구성부품, 즉 케이스(100), 각개동작수단(200)의 절환박스(220) 내 구성부품을 제외한 승강구(210) 및 수납케이스(230), 그리고 구두닦이수단(300)을 이루는 각 도구(310, 320, 330)의 몸체(312, 322, 332)는 외부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지니며 경량인 소재로 제작되도록 한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4와 같이 다른 시점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는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와 각개동작수단(200)과의 결 합 관계 및 상기 도포도구(320)의 내부 구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4는 상기 케이스(100) 내에 구두닦이수단(300)의 각 도구(310, 320, 330)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0) 하부측에 하부덮개(400)가 결합된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개동작수단(200)의 절환박스(220)는 상기 케이스(100) 내측면에 구비된 걸림홈(120)에 양단부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절환박스(220)와 결합된 승강구(210)의 로드(214)에는 복원스프링(216)이 장착되어 상기 절환박스(220) 상부면에서부터 상기 누름단추(212)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단추(212)는 케이스(100) 상부면의 관통공(110)을 통해 소정높이 돌출되게 되며, 상기 누름단추(212) 하부측의 로드(214)와 각각 결합된 구두닦이수단(300)의 각 도구(310, 320, 330)는 케이스(100) 내에 구비된 격벽(130)으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격벽(130)은 상기 각 도구(310, 320, 330)가 각각 승강 동작을 실시할 때 상호 간의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상기 케이스(100) 내 수직 방향으로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로드(214) 단부의 수납케이스(23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두닦이수단(300)의 각 도구(310, 320, 330)의 배치를 몸체(312) 및 솔(314)로 이루어진 솔도구(310), 몸체(322) 및 도포재(324)로 이루어진 도포도구(320), 그리고 몸체(332) 및 광택포(334)로 이루어진 광택도구(330)의 순으로 배 열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상기 각 도구(310, 320, 330)의 배열을 바꿀 수 있고, 상기 솔도구(310)를 하나 더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먼지 제거용과 도포된 구두약의 확산용으로 그 용도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도 가능하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도포도구(320)의 경우 몸체(322)의 상부면에 구비된 주입구(321)를 통해 충진된 구두약(P)이 하부면의 배출구(323)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구두닦이수단(300)의 각 도구(310, 320, 330) 몸체(312, 322, 332)의 높이는 상기 수납케이스(230) 내측면의 높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각 몸체(312, 322, 332)가 수납케이스(23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각 몸체(312, 322, 332)의 하부측이 수납케이스(230) 외부로 소정 길이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각 몸체(312, 322, 332)를 쥐고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데 용이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의 작동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도 5(a)와 같이 케이스(100) 상부면의 누름단추(212)를 눌러 상기 누름단추(212) 하부측의 로드(214)와 연결된 솔도구(310)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절환박스(220)와 결합된 로드(214)는 상기 솔도구(31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되며, 상기 누름단추(212) 하부측의 복원스프링(216)은 최대한 수축된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된 상기 솔도구(310)의 솔(314)로 구두 갑피의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5(b)와 같이 도포도구(320)가 결합된 로드(214) 상부측의 누름단추(212)를 상기 케이스(100) 하부측으로 눌러 상기 도포도구(320)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솔도구(310)를 원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솔도구(31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있던 절환박스(220)는 솔도구(310)측 로드(214)와의 결합을 해제하게 되며, 최대한 수축되어 있던 상기 복원스프링(216)의 탄발력으로 솔도구(310) 상부측의 누름단추(212)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된 도포도구(320)의 배출구(323)를 구두 갑피에 접촉시켜 상기 도포도구(320) 내에 충진된 구두약(P)이 상기 배출구(323)에 장착된 도포재(324)를 통해 조금씩 스며 나오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5(c)와 같이 솔도구(310)가 결합된 로드(214) 상부측의 누름단추(212)를 상기 케이스(100) 하부측으로 눌러 상기 솔도구(310)를 재차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포도구(320)를 원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도포도구(32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있던 절환박스(220)는 도포도구(320)측 로드(214)와의 결합을 해제하게 되며, 최대한 수축되어 있던 상기 복원스프링(216)의 탄발력으로 도포도구(320) 상부측의 누름단추(212)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된 상기 솔도구(310)의 솔(314)로 구두 갑피에 도포된 구두약을 전체적으로 확산시키게 된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도 5(d)와 같이 광택도구(330)가 결합된 로드(214) 상부측의 누름단추(212)를 상기 케이스(100) 하부측으로 눌러 상기 광택도구(330)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솔도구(310)를 원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솔도구(31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있던 절환박스(220)는 솔도구(310)측 로드(214)와의 결합을 해제하게 되며, 최대한 수축되어 있던 상기 복원스프링(216)의 탄발력으로 솔도구(310) 상부측의 누름단추(212)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된 상기 광택도구(330)의 광택포(334)로 구두 갑피에 걸쳐 확산된 구두약을 문질러 광택을 내게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된 상기 광택도구(330)를 원위치시키고 별도의 하부덮개(400)로 상기 케이스(100) 하부면을 마감함으로써 일련의 구두닦이 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솔도구(310) 또는 도포도구(320) 중 임의의 도구와 연결된 누름단추(212)를 누르되, 상기 임의의 도구와 결합된 로드(214)가 절환박스(220)와 고정 결합되지 않을 정도로 하강시켜 상기 광택도구(330)의 누름단추(212)를 상승시키게 된다.
동시에, 상기 광택도구(33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있던 절환박스(220)는 광택도구(330)측 로드(214)와의 결합을 해제하게 되며, 최대한 수축되어 있던 상기 복원스프링(216)의 탄발력으로 광택도구(330) 상부측의 누름단추(212)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휴대하기 간편하며 구두를 닦는 일련의 과정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 충격에도 강한 내구성을 지니며, 적은 구성 부품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한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먼지제거, 구두약 도포 및 광택내기 등의 일련의 구두닦이 작업을 누름단추의 누름동작과 연동하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절환박스를 내장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크기로 일체화함으로써, 용구 자체의 콤팩트화 실현을 통하여 휴대성을 대폭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몸체 외부로 상당 부분 돌출된 부품이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비하여 케이스 외부에 돌출된 부분이 없이 작고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외부충격에 대한 파손의 우려가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복잡하고 불필요한 구성 부품이 많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적은 부품 수로도 효율적인 구두닦이 작업이 가능한 용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제조 비용 절감 효과가 커지므로 경제적으로도 큰 특장점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구두닦이 작업을 위한 동작에 외부로부터 별도 전원을 인가받아야 하는 선행기술에 비하여, 외부 전원이 필요없이 누름단추 및 절환박스의 간단한 누름 및 복원 동작으로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즉각 구두닦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스 하부측에 별도 결합되는 하부덮개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나 옷에 구두약이나 먼지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면서 휴대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상부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누름동작이 이루어지며 병렬 배치된 누름단추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각개동작수단; 및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누름단추의 누름동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 하부면을 통해 외부로 개별 돌출되는 솔도구, 도포도구 및 광택도구를 포함하는 구두닦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개동작수단은,
    상기 케이스 상부면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누름단추의 하부측에 상기 솔도구, 도포도구 및 광택도구와 각각 결합되는 로드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누름단추를 하부측에서 탄력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이 상기 로드에 장착되는 승강구와,
    상기 승강구의 복원스프링과 상기 각 도구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각 도구의 로드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고정되며 상기 각 도구 중 일개 도구를 상기 누름단추의 누름동작과 연동하는 스위칭 기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케이스 외부로 돌출시키는 절환박스 및
    상부면이 상기 로드와 결합되고 하부면이 개방되어 상기 각 도구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납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도구는,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면에 다수개의 모가 다발을 이루며 식재된 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도구는,
    내부에 액상의 구두약이 충진되고 상기 구두약의 충진 및 배출을 위하여 상, 하부면에 각각 주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배출구와 접촉되는 구두의 갑피 상에 구두약을 도포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는 섬유재의 도포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도구는,
    단면이 정다각형상인 외면을 지니고 상기 각개동작수단의 하부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을 따라 권취된 섬유재의 광택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개방된 하부측을 엄폐하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KR1020060023541A 2006-03-14 2006-03-14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KR10074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541A KR100747073B1 (ko) 2006-03-14 2006-03-14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541A KR100747073B1 (ko) 2006-03-14 2006-03-14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073B1 true KR100747073B1 (ko) 2007-08-07

Family

ID=3860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541A KR100747073B1 (ko) 2006-03-14 2006-03-14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73B1 (ko) 2008-01-11 2009-08-06 백성기 광택용 직물을 내장한 구두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488Y1 (ko) * 1984-12-17 1986-12-06 김용업 구형 이어폰
US4916770A (en) * 1988-02-17 1990-04-17 Midori Co., Ltd. Portable electric shoe shiner
JP2001191689A (ja) * 2000-01-17 2001-07-17 Asahi Seni Kogyo Kk 拭き取り具およびその拭き取り部材
KR200341240Y1 (ko) * 2003-11-26 2004-02-11 김용암 화재발신기용 비상스위치의 누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488Y1 (ko) * 1984-12-17 1986-12-06 김용업 구형 이어폰
US4916770A (en) * 1988-02-17 1990-04-17 Midori Co., Ltd. Portable electric shoe shiner
JP2001191689A (ja) * 2000-01-17 2001-07-17 Asahi Seni Kogyo Kk 拭き取り具およびその拭き取り部材
KR200341240Y1 (ko) * 2003-11-26 2004-02-11 김용암 화재발신기용 비상스위치의 누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73B1 (ko) 2008-01-11 2009-08-06 백성기 광택용 직물을 내장한 구두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0955B2 (en) Applicator tool cleaner and dryer
EP1983879B1 (en) Power mop with exposable scrub brush
EP2355746A2 (en) Mechanism for brushes with rotating head parts
GB24802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WO2005084516A1 (en) Cleaning implement
KR100747073B1 (ko) 휴대용 구두닦이 용구
CN113679309B (zh) 清洁设备的底座及清洁系统
KR200496970Y1 (ko) 인입식 강모가 있는 헤어 브러시
KR200310237Y1 (ko) 간이식 청소기
KR20140040308A (ko) 동물 세정제 저장용기의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용기 조립체
WO2017179066A1 (en) Handheld automatic multifunctional buffing device
KR101027890B1 (ko) 케라틴 섬유에 메이크업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장치
WO2006104300A1 (en) Air-injection type tool for scrubbing off the dirt on a body
KR200487504Y1 (ko) 여행용 키트
RU122007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иводом
KR101422769B1 (ko)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CN211512149U (zh) 一种u型分离式电动牙刷
KR20190119424A (ko) 칫솔용 진동장치
US4008504A (en) Portable shoe shine apparatus
KR20090003825U (ko) 세제가 공급되는 청소용구
KR850002803Y1 (ko) 휴대용 자동 구두닦기
KR100908141B1 (ko) 구두 소제구 보관함
CA1077438A (en) Portable shoe shine apparatus with removable rollers
JP6308890B2 (ja) ブラシ器具付きキャップ
KR200290831Y1 (ko) 차량용 먼지털이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