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769B1 -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 Google Patents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769B1
KR101422769B1 KR1020140010708A KR20140010708A KR101422769B1 KR 101422769 B1 KR101422769 B1 KR 101422769B1 KR 1020140010708 A KR1020140010708 A KR 1020140010708A KR 20140010708 A KR20140010708 A KR 20140010708A KR 101422769 B1 KR101422769 B1 KR 10142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d
toothbrush
pressing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진 filed Critical 이동진
Priority to KR102014001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8Handles featuring an adjustable thumbres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모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마감캡이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크랭크 암과 크랭크 핀이 구비되는 크랭크 형상의 연결로드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 핀을 상부에서 압지하는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돌기가 하강하면서 상기 크랭크 핀을 회전시켜 연결로드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머리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TOOTHBRUSH CAPABLE OF ROTATION}
본 발명은 칫솔모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마감캡이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크랭크 암과 크랭크 핀이 구비되는 크랭크 형상의 연결로드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 핀을 상부에서 압지하는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돌기가 하강하면서 상기 크랭크 핀을 회전시켜 연결로드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머리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이란 치약과 더불어 이를 닦는데 사용되는 구강위생의 용구로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헤드와 상기 칫솔헤드와 일체로 연장 현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현재, 상기와 같이 상기 칫솔헤드와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스틱형 칫솔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스틱형 칫솔을 이용하여 이를 닦을 때에는 상기 칫솔헤드에 치약을 바른 후 손잡이를 잡고 사용자의 위 치아와 아래 치아 사이에 상기 칫솔헤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켜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스틱형 시솔을 도시한 것으로, 칫솔모(111a)가 부설된 헤드(110a)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수 있는 손잡이(120a)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러한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할 때에는 상기 칫솔모(111a)의 표면에 치약을 묻힌 후 손잡이(120a)를 잡고 치아의 결 반대방향 즉 좌/우로 반복 이동시키며 양치질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칫솔 손잡이(120a)는 칫솔모(111a)가 부설된 헤드(110a)의 길이방향과 수평방향(치아의 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양치질을 할 때 치아의 표면은 용이하게 닦을 수 있지만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음식물 찌꺼기)은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충치 및 각종 구강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120a)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양치질을 하고 있으나, 이는 손을 옆으로 들고 칫솔을 상/하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부자연스럼으로 불편하였고 사용자의 양치질 습관에 따라서 치아의 청결도가 차이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20065 호에는 힌지를 구비한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은 칫솔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360 도 회전함으로써, 칫솔질시에 손의 운동량을 줄이고, 칫솔질량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칫솔은 칫솔 헤드가 칫솔대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칫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몹시 불편했다. 또한, 칫솔 헤드가 360 도 회전함으로 인해서 좌우 방향의 칫솔질과 상하 방향의 칫솔질이 모두 불편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칫솔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구성은, 손잡이(120b)의 내부에 배터리(도면 미도시)와 모터(도면 미도시)가 내장되고 손잡이(120b)의 외측 둘레면에는 모터를 작동시 키는 스위치(121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칫솔모(111b)가 부설된 헤드(110b)가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양치질을 할 때에는 칫솔모(111b)에 치약을 묻히고 스위치(121a)를 ON 작동시키면 상기 손잡이(120b)에 내장된 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헤드(110b)가 작동되므로 사용자는 칫솔모(111b)를 치아의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양치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칫솔은 사용자의 힘으로 양치질을 하지 않고 모터의 구동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간편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역시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에는 미흡하였다.
또한, 상기한 전동칫솔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게 되므로 충전 또는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사용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초기에 구입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특히, 칫솔모(111b)가 부설된 헤드(110b)는 반드시 전용 헤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수명이 짧은 칫솔모(111b)를 교환시 비용이 과다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칫솔모가 부착된 머리부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칫솔모의 회전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선택하여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칫솔모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마감캡이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크랭크 암과 크랭크 핀이 구비되는 크랭크 형상의 연결로드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 핀을 상부에서 압지하는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돌기가 하강하면서 상기 크랭크 핀을 회전시켜 연결로드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머리부가 회전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끝단에 절개부와 직교 방향으로 삽입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몸체부가 수용되는 몸체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편이 끼움되는 걸림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 외주면을 눌러 절개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수용부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걸림편이 걸림편 삽입홈에 걸리면서 몸체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머리부와 케이스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를 때 엄지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감캡은 케이스 내부에 투입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로드에는 일측이 상기 크랭크 암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가 누름돌기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탄성력으로 인해 연결로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칫솔모의 회전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선택하여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머리부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모를 장시간 사용하여 마모되더라도 머리부만 분리 후 교체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칫솔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로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의 예시도.
도 8a 내지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머리부가 상하로 회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칫솔모가 구비되는 머리부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칫솔모로 제거할 수 있으며, 칫솔모의 회전방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선택하여 양치질을 할 수 있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리부(100)는 칫솔모가 구비되는 헤드부(110)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몸체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와 몸체부 사이에는 헤드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목부(13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목부는 양치질을 할 때 상기 몸체부가 입 안으로 들어가 양치질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200)는 내부가 비어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소정 길이의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0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후 설명할 누름부를 누를 때 엄지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엄지 손가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25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는 크랭크 암(310)과 크랭크 핀(320)이 구비되는 크랭크 형상의 연결로드(300)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 핀(320)은 상기 연결로드(300)의 상측에 위치하며, 크랭크 암과 크랭크 암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로드(300)는 일측 끝단이 상기 몸체부(120)와 결합되어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머리부(100)를 회전시킨다. 상기 연결로드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부(400)를 통해 회전된다.
상기 누름부(400)는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크랭크 핀을 상부에서 압지하는 누름돌기(41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로드(300)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크랭크 암(310)과 크랭크 핀(320)이 일측으로 소정각도 편심되도록 하여 상기 누름돌기가 하강하였을 때 연결로드(30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300)에는 상기 누름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외주면에 누름돌기 삽입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410)의 끝단에는 상기 누름부가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 돌기(420)가 형성된다.
도 8a 내지 8b을 참조하면, 최초 상기 누름돌기(410)는 크랭크 핀(320)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400)를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돌기(410)가 크랭크 핀(320)을 누르면서 하강하면서 연결로드(300)를 회전시켜 머리부(10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누름부의 왕복 직선운동을 통해 연결로드의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는 크랭크 기구와 같은 작동원리를 갖는다.
한편, 상기 크랭크 암(310)과, 크랭크 핀(320) 및 누름돌기(4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로드(300)에 두 개의 크랭크 핀(320)이 형성되고, 각 크랭크 핀과 대응되도록 상기 누름부의 저면에도 두 개의 누름돌기(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누름부를 누를 때 가해지는 힘을 상기 연결로드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로드(300)에는 탄성스프링(330)이 끼움결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탄성스프링(330)은 일측이 상기 크랭크 암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40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연결로드(3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탄성스프링(330)이 꼬이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누름부(400)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330)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연결로드(3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머리부(1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면서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부(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끝단에 절개부와 직교 방향으로 삽입홈(122)이 더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걸림편(123)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몸체부(120)가 수용되는 몸체부 수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편이 끼움되는 걸림편 삽입홈(23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 삽입홈(230)은 상기 머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걸림편이 원활하게 머리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00)와 케이스(200)를 결합할 때에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 외주면을 눌러 절개부(12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수용부(220)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걸림편(123)이 걸림편 삽입홈(230)에 걸리면서 몸체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머리부와 케이스가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장기간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모가 훼손되었을 때 칫솔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칫솔모가 부설된 머리부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200)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연결로드(300)와, 탄성스프링(330) 및 누름돌기(410) 등을 보호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케이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캡(500)이 결합된다.
상기 마감캡(500)과 케이스(200)는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마감캡에는 걸림돌기(51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 걸림홈(2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캡에는 케이스 내부에 투입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520)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케이스를 세척하거나 양치질을 하는 과정에서 케이스 내부에 물이 들어가면 상기 마감캡(500)을 분리하여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케이스 내부에 잔류하는 수분은 상기 케이스를 수직으로 세워두면 배수공(52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칫솔모의 회전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선택하여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머리부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칫솔모를 장시간 사용하여 마모되더라도 머리부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100 : 머리부
110 : 헤드부 120 : 몸체부
121 : 절개부 122 : 삽입홈
123 : 걸림편 130 : 목부
200 : 케이스 210 : 누름돌기 삽입홈
220 : 몸체부 수용부 230 : 걸림편 삽입홈
240 : 걸림돌기 걸림홈 250 : 미끄럼 방지용 돌기
300 : 연결로드 310 : 크랭크 암
320 : 크랭크 핀 330 : 탄성스프링
400 : 누름부 410 : 누름돌기
420 : 이탈방지 돌기
500 : 마감캡 510 : 걸림돌기
520 : 배수공

Claims (5)

  1. 칫솔모가 구비되는 헤드부(110)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몸체부(120)로 이루어지는 머리부(100)와;
    상기 몸체부와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마감캡(500)이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크랭크 암(310)과 크랭크 핀(320)이 구비되는 크랭크 형상의 연결로드(300)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 핀을 상부에서 압지하는 누름돌기(410)가 형성되는 누름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부(40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돌기(410)가 하강하면서 상기 크랭크 핀(320)을 회전시켜 연결로드(300)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머리부(100)가 회전되고,
    상기 몸체부(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끝단에 절개부와 직교 방향으로 삽입홈(122)이 더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걸림편(123)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몸체부가 수용되는 몸체부 수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수용부에는 상기 걸림편이 끼움되는 걸림편 삽입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20)의 양측 외주면을 눌러 절개부(12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 수용부(220)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걸림편(123)이 걸림편 삽입홈(230)에 걸리면서 몸체부(120)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머리부(100)와 케이스(2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누름부를 누를 때 엄지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케이스 내부에 투입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에는 일측이 상기 크랭크 암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가 누름돌기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탄성력으로 인해 연결로드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KR1020140010708A 2014-01-28 2014-01-28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KR101422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08A KR101422769B1 (ko) 2014-01-28 2014-01-28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08A KR101422769B1 (ko) 2014-01-28 2014-01-28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769B1 true KR101422769B1 (ko) 2014-08-13

Family

ID=5174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08A KR101422769B1 (ko) 2014-01-28 2014-01-28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6885B2 (en) 2015-01-15 2016-10-04 Umm Al-Qura University Ergonomic semi-automatic rotatable toothbrush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933B1 (en) * 1999-12-10 2001-06-19 Sulzer Dental Inc. Dental implant delivery system
KR200381026Y1 (ko) 2004-11-04 2005-04-11 엄길용 회전 칫솔
JP2010110605A (ja) 2008-11-09 2010-05-20 Yoshihiro Nishimura 回転タテ磨き取り替え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7933B1 (en) * 1999-12-10 2001-06-19 Sulzer Dental Inc. Dental implant delivery system
KR200381026Y1 (ko) 2004-11-04 2005-04-11 엄길용 회전 칫솔
JP2010110605A (ja) 2008-11-09 2010-05-20 Yoshihiro Nishimura 回転タテ磨き取り替え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6885B2 (en) 2015-01-15 2016-10-04 Umm Al-Qura University Ergonomic semi-automatic rotatable toothbrush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169B2 (en) Toothbrush with removable smart device
JP5985753B2 (ja) 皮膚トリートメント装置のブラシ用具
RU2496398C1 (ru) Система, набор и способ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0285894B1 (ko) 내부 잇몸 홈 스크레이핑 털들을 구비한 칫솔
CA2862812A1 (en) A dental hygiene item
EP3037060B1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KR101422769B1 (ko)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KR101379506B1 (ko) 병 세척용구
WO2003034864A1 (en)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KR101026009B1 (ko) 회전 칫솔
KR200484576Y1 (ko) 칫솔
KR101124526B1 (ko) 전동칫솔
CA1316644C (en) Denture brushing device
KR20210111087A (ko) 칫솔모의 착탈식 칫솔
KR101318343B1 (ko)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KR200442981Y1 (ko) 다용도 복합 칫솔
US9526596B1 (en) Driver for dental implements
KR101007577B1 (ko) 기능성 칫솔
KR20190119424A (ko) 칫솔용 진동장치
KR101224379B1 (ko) 치간 소제기가 부설된 칫솔
KR101993996B1 (ko) 입술 세척솔을 구비한 칫솔
CN108113187B (zh) 具有替换头部的个人护理器具
KR200478338Y1 (ko) 회전 가능한 듀얼칫솔
KR200282476Y1 (ko) 칫솔
KR200477193Y1 (ko) 상하로 회전되는 칫솔헤드가 구비된 듀얼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