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343B1 -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 Google Patents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343B1
KR101318343B1 KR1020130075573A KR20130075573A KR101318343B1 KR 101318343 B1 KR101318343 B1 KR 101318343B1 KR 1020130075573 A KR1020130075573 A KR 1020130075573A KR 20130075573 A KR20130075573 A KR 20130075573A KR 101318343 B1 KR101318343 B1 KR 10131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head
rotation
guide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동진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진, 이현승 filed Critical 이동진
Priority to KR102013007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모가 부설된 칫솔헤드가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유도홈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와; 상기 칫솔대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칫솔대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와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밀착되는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진하게 되면 상기 돌기가 회전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TOOTHBRUSH CAPABLE OF ROTATION}
본 발명은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모가 부설된 칫솔헤드가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유도홈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와; 상기 칫솔대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칫솔대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와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밀착되는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돌기가 회전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이란 치약과 더불어 이를 닦는데 사용되는 구강위생의 용구로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헤드와 상기 칫솔헤드와 일체로 연장 현성된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현재, 상기와 같이 상기 칫솔헤드와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스틱형 칫솔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스틱형 칫솔을 이용하여 이를 닦을 때에는 상기 칫솔헤드에 치약을 바른 후 손잡이를 잡고 사용자의 위 치아와 아래 치아 사이에 상기 칫솔헤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켜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스틱형 시솔을 도시한 것으로, 칫솔모(111a)가 부설된 헤드(110a)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수 있는 손잡이(120a)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러한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할 때에는 상기 칫솔모(111a)의 표면에 치약을 묻힌 후 손잡이(120a)를 잡고 치아의 결 반대방향 즉 좌/우로 반복 이동시키며 양치질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칫솔 손잡이(120a)는 칫솔모(111a)가 부설된 헤드(110a)의 길이방향과 수평방향(치아의 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양치질을 할 때 치아의 표면은 용이하게 닦을 수 있지만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음식물 찌꺼기)은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충치 및 각종 구강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치아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120a)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양치질을 하고 있으나, 이는 손을 옆으로 들고 칫솔을 상/하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부자연스럼으로 불편하였고 사용자의 양치질 습관에 따라서 치아의 청결도가 차이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20065 호에는 힌지를 구비한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은 칫솔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360 도 회전함으로써, 칫솔질시에 손의 운동량을 줄이고, 칫솔질량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칫솔은 칫솔 헤드가 칫솔대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칫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몹시 불편했다. 또한, 칫솔 헤드가 360 도 회전함으로 인해서 좌우 방향의 칫솔질과 상하 방향의 칫솔질이 모두 불편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칫솔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구성은, 손잡이(120b)의 내부에 배터리(도면 미도시)와 모터(도면 미도시)가 내장되고 손잡이(120b)의 외측 둘레면에는 모터를 작동시 키는 스위치(121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칫솔모(111b)가 부설된 헤드(110b)가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양치질을 할 때에는 칫솔모(111b)에 치약을 묻히고 스위치(121a)를 ON 작동시키면 상기 손잡이(120b)에 내장된 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헤드(110b)가 작동되므로 사용자는 칫솔모(111b)를 치아의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양치질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칫솔은 사용자의 힘으로 양치질을 하지 않고 모터의 구동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간편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역시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에는 미흡하였다.
또한 상기한 전동칫솔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게 되므로 충전 또는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사용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초기에 구입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특히, 칫솔모(111b)가 부설된 헤드(110b)는 반드시 전용 헤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수명이 짧은 칫솔모(111b)를 교환시 비용이 과다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칫솔모가 부착된 머리부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칫솔모의 회전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선택하여 양치질이 가능한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칫솔모가 부설된 칫솔헤드가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유도홈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와; 상기 칫솔대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칫솔대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와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밀착되는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돌기가 회전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홈은 상기 머리부의 회전횟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칫솔헤드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머리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를 전진시키면 상기 회전유도부가 회전하면서 탄성스프링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슬라이딩 버튼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유도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칫솔모가 부설된 칫솔헤드가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유도홈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와; 상기 칫솔대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칫솔대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와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 밀착되는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방아쇠 형상의 슬라이딩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돌기가 회전유도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홈은 상기 머리부의 회전횟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칫솔헤드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머리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단부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칫솔대의 내벽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고리를 잡아당겨 슬라이딩 고리를 후진시키면 상기 회전유도부가 회전하면서 탄성스프링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슬라이딩 고리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유도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칫솔모가 부설된 칫솔헤드가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직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유도부와; 상기 칫솔대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도부를 눌러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머리부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저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편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칫솔헤드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머리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유도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돌출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칫솔대의 내벽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누름버튼을 하강시키면 상기 회전유도부가 회전하면서 탄성스프링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누름버튼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유도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머리부(칫솔모)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칫솔모의 회전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선택하여 양치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칫솔모를 장시간 사용하여 마모되더라도 칫솔헤드만 분리 후 교체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의 칫솔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의 예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예시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예시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의 예시도.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예시도.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의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예시도.
도 20 내지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머리부가 회전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은 크게 머리부(10)와, 칫솔대(20) 및 슬라이딩 부재(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머리부(10)는 칫솔모(12)가 부설된 칫솔헤드(1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칫솔헤드(11)의 반대측에는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유도홈(16)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칫솔대(20)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위로써, 상기 머리부(10)의 회전유도부(15) 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사용자가 편하게 잡고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1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칫솔대(20)는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1)은 상기 칫솔대(2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30)의 전진, 후진을 안내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칫솔대(20)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15)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유도홈(16)과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돌기(32)가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1)에 밀착되는 밀착판(33)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판(33)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전진 또는 후진하였을 때 가이드홈(21)이 개방되어 가이드홈을 통해 치약이나 물 또는 이물질이 칫솔대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판은 상기 가이드홈보다 더 넓은 폭과 더 넓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기 회전유도부(15)에 완전히 끼워지는 것은 아니고 상기 회전유도부(15)의 끝단을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상기 가이드홈(21)을 따라 전·후진하게 되면 상기 돌기(32)가 회전유도홈(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1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버튼(34)은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가이드홈(21)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사용자가 양치를 할 때 엄지 손가락이 사용자의 얼굴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홈(21)은 칫솔모(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유도홈(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10)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 "/"와 같은 대각선 또는 "〉,〈"와 같은 꺽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머리부의 회전횟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돌기(32)가 상기 회전유도홈(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10)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유도홈(16)이 단순히 대각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머리부(10)는 상측(또는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만 회전한 다음 멈추게 되며, 다시 슬라이딩 부재(30)를 후진시켜 상기 머리부(10)가 하측(또는 상측)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유도홈(16)이 대각방향 또는 꺽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여러 차례 슬라이딩 부재(30)를 전,후진 시켜야만 머리부의 회전 횟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유도부(15)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유도홈(16)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1회 전(후)진 시키더라도 상기 머리부(10)가 여러 차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유도부(15)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30)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스프링(S)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버튼(34)을 누른 상태에서 전진시키면 슬라이딩 부재(30)가 전진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S)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슬라이딩 버튼(34)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S)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전진시킬 때에만 힘을 가하고, 상기 슬라이딩 버튼(34)에서 손을 떼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탄성스프링(S)에 의해 자연스럽게 후진하게 되므로 더욱 편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칫솔대(20)를 잡은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고, 상기 머리부(10)를 상하로 회전시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를 전,후진 시켜 머리부(10)를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양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부(10)에는 상기 칫솔헤드(11)를 끼움결합하기 위한 끼움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칫솔헤드(11)는 상기 끼움홈(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끼움홈으로부터 칫솔헤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은 크게 머리부(40)와, 칫솔대(50) 및 슬라이딩 부재(6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머리부(40)는 칫솔모(42)가 부설된 칫솔헤드(4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칫솔헤드(41)의 반대측에는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유도홈(46)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칫솔대(50)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위로써, 상기 머리부(40)의 회전유도부(45) 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사용자가 편하게 잡고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4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칫솔대(50)는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5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51)은 상기 칫솔대(5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60)의 전진, 후진을 안내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60)는 상기 칫솔대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45)와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홈(46)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62)가 형성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51)에 밀착되는 밀착판(63)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방아쇠 형상의 슬라이딩 고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판(63)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60)가 후진 또는 전진하였을 때 가이드홈(51)이 개방되어 가이드홈을 통해 치약이나 물 또는 이물질이 칫솔대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판은 상기 가이드홈보다 더 넓은 폭과 더 넓은 길이로 형성된다.
최초 상기 슬라이딩 부재(60)는 상기 회전유도부(15)를 수용한 상태로 결합되었다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60)가 상기 가이드홈(51)을 따라 후진하게 되면 상기 돌기(62)가 회전유도홈(4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4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고리(64)는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당길 수 있도록 방아쇠와 같은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양치를 할 때 검지 손가락이 사용자의 얼굴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홈(51)은 칫솔모(42)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칫솔대(20)의 후방에는 사용자가 칫솔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상기 슬라이딩 고리(64)를 원활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꺾인 지지부(5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유도홈(4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머리부(40)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 "/"와 같은 대각선 또는 "〉,〈"와 같은 꺽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머리부의 회전횟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60)를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돌기(62)가 상기 회전유도홈(4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40)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유도홈(46)이 단순히 대각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머리부(40)는 상측(또는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만 회전한 다음 멈추게 되며, 다시 슬라이딩 부재(60)를 후진시켜 상기 머리부(40)가 하측(또는 상측)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유도홈(46)이 대각방향 또는 꺽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여러 차례 슬라이딩 부재(60)를 후진 시켜야만 머리부의 회전 횟수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회전유도부(45)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유도홈(46)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60)를 1회 후진 시키더라도 상기 머리부(40)가 여러 차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60)의 단부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칫솔대의 내벽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S)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고리(64)를 잡고 슬라이딩 부재(30)를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스프링(S)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고, 슬라이딩 고리(64)에서 손을 떼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를 전진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60)를 잡아당길 때에만 힘을 가하고, 상기 슬라이딩 고리(64)에서 손을 떼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60)가 탄성스프링(S)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진하게 되므로 더욱 편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은 사용자가 상기 칫솔대(50)를 잡은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고, 상기 머리부(40)를 상하로 회전시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60)를 이동시켜 머리부(40)를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양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머리부(40)에는 상기 칫솔헤드(41)를 끼움결합하기 위한 끼움홈(43)이 형성되고, 상기 칫솔헤드(41)는 상기 끼움홈(4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끼움홈으로부터 칫솔헤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은 칫솔모(72)가 부설된 칫솔헤드(71)가 구비되는 머리부(70)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80)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70)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71)의 타측에 형성되고, 직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유도부(75)와; 상기 칫솔대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81); 및 상기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도부를 눌러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머리부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저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편(83)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버튼(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70)는 칫솔모(72)가 부설된 칫솔헤드(7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칫솔헤드(71)의 반대측에는 직사각의 판 형상의 회전유도부(75)가 형성된다.
상기 칫솔대(80)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위로써, 상기 머리부(70)에 형성된 회전유도부(75) 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사용자가 편하게 잡고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대(8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칫솔대(80)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부(75)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며 이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통해 누름버튼(82)을 쉽게 누를 수 있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삽입홈(81)에는 상기 회전유도부를 눌러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머리부(70)를 회전시키는 누름버튼(82)이 끼움결합된다.
상기 누름버튼(82)은 상기 삽입홈(81)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상기 회전유도부(75)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기 누름버튼(82)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편(83)이 상기 누름버튼(82)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유도부(75)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반대로, 상기 돌출편(83)이 상기 회전유도부의 중심에 형성된 경우 누름버튼이 하강하더라도 회전유도부(75)의 중심과 접촉되기 때문에 머리부의 회전이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유도부(75)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편(76)과; 상기 지지편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칫솔대의 내벽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S);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0 내지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82)을 누르게 되면 상기 돌출편(83)이 하강하면서 회전유도부(75)를 회전하도록 하여 탄성스프링(S)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누름버튼(82)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유도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누름버튼(82)을 누를 때에만 힘을 가하고, 상기 누름버튼(82)에서 손을 떼면 상기 탄성스프링(S)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므로 더욱 편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은 사용자가 상기 칫솔대(80)를 잡은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고, 상기 머리부(70)를 상하로 회전시켜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누름버튼(82)을 눌러 머리부(70)를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양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머리부(70)에는 상기 칫솔헤드(71)를 끼움결합하기 위한 끼움홈(73)이 형성되고, 상기 칫솔헤드(71)는 상기 끼움홈(7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끼움홈으로부터 칫솔헤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은 장기간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모가 훼손되었을 때 칫솔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칫솔모가 부설된 칫솔헤드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머리부(칫솔모)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치아에 끼인 음식 잔여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칫솔모의 회전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선택하여 양치질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상기 칫솔모를 장시간 사용하여 마모되더라도 칫솔헤드만 분리 후 교체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10 : 머리부 11 : 칫솔헤드
12 : 칫솔모 13 : 끼움홈
15 : 회전유도부 16 : 회전유도홈
20 : 칫솔대 21 : 가이드홈
30 : 슬라이딩 부재 31 : 몸체
32 : 돌기 33 : 밀착판
34 : 손잡이 S : 탄성스프링
40 : 머리부 41 : 칫솔헤드
42 : 칫솔모 43 : 끼움홈
44 : 회전유도부 45 : 회전유도홈
50 : 칫솔대 51 : 가이드홈
52 : 지지부
60 : 슬라이딩 부재 61 : 몸체
62 : 돌기 63 : 밀착판
64 : 손잡이 S : 탄성스프링
70 : 머리부 71 : 칫솔헤드
72 : 칫솔모 73 : 끼움홈
75 : 회전유도부 76 : 지지편
80 : 칫솔대 81 : 삽입홈
82 : 누름버튼 S : 탄성스프링

Claims (11)

  1. 칫솔모(12)가 부설된 칫솔헤드(11)가 구비되는 머리부(10)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20)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10)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유도홈(16)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15)와;
    상기 칫솔대(20)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21); 및
    상기 칫솔대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15)와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홈(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32)가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21)에 밀착되는 밀착판(33)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버튼(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30)가 상기 가이드홈(2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돌기(32)가 회전유도홈(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1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홈은 상기 머리부의 회전횟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머리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버튼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를 전진시키면 상기 회전유도부가 회전하면서 탄성스프링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슬라이딩 버튼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유도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5. 칫솔모(42)가 부설된 칫솔헤드(41)가 구비되는 머리부(40)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50)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40)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유도홈(46)이 형성되는 회전유도부(45)와;
    상기 칫솔대(50)의 일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51); 및
    상기 칫솔대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유도부(45)와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유도홈(46)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62)가 형성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51)에 밀착되는 밀착판(63)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방아쇠 형상의 슬라이딩 고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60)가 상기 가이드홈(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돌기(62)가 회전유도홈(4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머리부(4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홈은 상기 머리부의 회전횟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머리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단부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칫솔대의 내벽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고리를 잡아당겨 슬라이딩 고리를 후진시키면 상기 회전유도부가 회전하면서 탄성스프링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슬라이딩 고리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유도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9. 칫솔모(72)가 부설된 칫솔헤드(71)가 구비되는 머리부(70)와, 상기 머리부와 결합되는 칫솔대(80)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70)에 형성되되 상기 칫솔헤드(71)의 타측에 형성되고, 직사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유도부(75)와;
    상기 칫솔대(5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81); 및
    상기 삽입홈(81)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회전유도부를 눌러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머리부(7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저면에는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편(83)이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누름버튼(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머리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돌출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외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칫솔대의 내벽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을 눌러 누름버튼을 하강시키면 상기 회전유도부가 회전하면서 탄성스프링을 압축시켜 탄성력을 저장하고, 누름버튼에서 손을 떼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유도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KR1020130075573A 2013-06-28 2013-06-28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KR10131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573A KR101318343B1 (ko) 2013-06-28 2013-06-28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573A KR101318343B1 (ko) 2013-06-28 2013-06-28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343B1 true KR101318343B1 (ko) 2013-10-16

Family

ID=4963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573A KR101318343B1 (ko) 2013-06-28 2013-06-28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3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993Y1 (ko) 2004-09-15 2004-12-14 이원형 칫솔
KR20050116291A (ko) * 2004-06-07 2005-12-12 윤순범 칫솔모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KR20080089802A (ko) * 2007-04-02 2008-10-08 신광헌 회전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KR200467548Y1 (ko) 2013-03-26 2013-06-24 임인수 전동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291A (ko) * 2004-06-07 2005-12-12 윤순범 칫솔모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KR200369993Y1 (ko) 2004-09-15 2004-12-14 이원형 칫솔
KR20080089802A (ko) * 2007-04-02 2008-10-08 신광헌 회전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KR200467548Y1 (ko) 2013-03-26 2013-06-24 임인수 전동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108B2 (en) Motorized flosser and method of use
AU748925B2 (en) Electric toothbrush
KR20170082725A (ko) 칫솔모 패드 교체형 칫솔
KR100413209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칫솔
KR101318343B1 (ko)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KR101026009B1 (ko) 회전 칫솔
KR101069965B1 (ko) 회전 칫솔
KR101422769B1 (ko) 머리부의 상하회전이 가능한 칫솔
US20160074143A1 (en) Electric toothbrush for proper periodontium prophylaxis
KR101242104B1 (ko) 머리부가 회전되는 칫솔
KR200456256Y1 (ko) 치약 일체형 칫솔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KR101224379B1 (ko) 치간 소제기가 부설된 칫솔
KR102286827B1 (ko) 수동식 회전 칫솔
KR102379646B1 (ko) 치간칫솔
KR100860090B1 (ko) 칫솔
KR102609026B1 (ko) 회전형 칫솔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KR20180007978A (ko) 버튼식 치간치솔이 구비된 칫솔
KR200477193Y1 (ko) 상하로 회전되는 칫솔헤드가 구비된 듀얼칫솔
KR200295229Y1 (ko) 치약내장칫솔
KR200478338Y1 (ko) 회전 가능한 듀얼칫솔
KR200240069Y1 (ko) 전동치솔
KR200472081Y1 (ko) 전동칫솔
WO2010063038A1 (en) Toothbrush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