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967B1 - Finger system for cup holder - Google Patents
Finger system for cup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6967B1 KR100746967B1 KR1020060074595A KR20060074595A KR100746967B1 KR 100746967 B1 KR100746967 B1 KR 100746967B1 KR 1020060074595 A KR1020060074595 A KR 1020060074595A KR 20060074595 A KR20060074595 A KR 20060074595A KR 100746967 B1 KR100746967 B1 KR 100746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cup holder
- finger
- housing
- beverage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컵홀더를 도시하는 도,1 is a view showing a typical cup holder;
도 2는 종래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를 도시하는 도,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를 도시하는 도,3 is a view showing a finger holder for a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ger device for a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컵홀더 20 : 음료용기10: cup holder 20: beverage container
100 : 하우징 200 : 홀더100
210 : 제1탄성체 220, 320 : 회전중심210: first
300 : 핑거 310 : 제2탄성체300: finger 310: second elastic body
본 발명은 컵홀더용 핑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컵홀더에 마련 되어 음료용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핑거장치를 개선하여, 하부의 직경이 확장된 음료용기를 컵홀더로부터 빼낼 때 음료용기가 핑거장치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 holder for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finger device provided in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to limit the flow of the beverage container,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taken out when removing the beverage container with an expanded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from the cup holder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phenomenon that is caught by a finger device, and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일반적으로 컵홀더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편의장치 중 하나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사이드패널, 콘솔박스 등 탑승객의 사용이 용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탑승객이 차량 주행 중 컵이나 페트병 등의 음료용기를 일시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In general, the cup holder is one of the convenience device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is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the passenger can easily use the instrument panel, the side panel, the console box, and the like. By making it possible to mount, it is an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 passenger.
도 1은 일반적인 컵홀더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1에 도시한 컵홀더(10)에는 개폐 가능한 커버(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컵홀더(10) 내에는 탄력적으로 돌출 되는 핑거(40)가 다수 마련되어 있어, 컵홀더(10) 내에 음료용기가 수납되었을 경우, 차량 주행 중 음료용기(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general cup holder. The
도 2는 종래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종래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컵홀더(10)의 일측 외부에 마련되는 하우징(50)과; 일측이 상기 하우징(5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타측이 상기 컵홀더(10)를 관통하여 내부로 돌출 되며, 탄성체(41)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10)에 접촉하여 그 최대 상방향 회동각도가 제한되는 막대 형상의 핑거(40)로 구성된다.Conventional cup holder finger device 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컵홀더용 핑거장치에 있어서는, 컵홀더(10) 내에 음료용기(20)가 수납될 경우 상기 핑거(40)는 화살표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동하 지만, 이 핑거(40)는 탄성체(41)에 의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컵홀더(10) 내에 수납된 음료용기(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차량 주행 중 음료용기(20)가 컵홀더(10) 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up holder finger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러나, 종래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직경이 확장된 음료용기가 컵홀더에 수납된 경우, 핑거의 반시계방향 회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음료용기를 빼낼 때 핑거에 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컵홀더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up holder finger device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extended in the lower diameter is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since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finger is impossible, By being caught, there was a technical problem that the user is very inconvenient to use the cup hold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컵홀더에 마련된 핑거장치를 개선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연결된 홀더 및 핑거가 각각 상호 역방향으로 탄성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음료용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하부의 직경이 확장된 음료용기를 컵홀더로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컵홀더용 핑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mproving the finger device provided in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by allowing the holder and the finger connected from the housing to each other can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while limiting the flow of the usual beverage container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beverage container with an expanded diameter of the bottom from the cup holder.
이러한 본 발명은 원통형 컵홀더의 일측 외부에 마련되는 하우징과;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타측이 상기 컵홀더를 관통하여 내부로 돌출 되며, 제1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여 그 최대 상방향 회동각도가 제한되는 막대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홀더로부터 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홀더에 접촉하여 최대 하방향 회동각도가 제한되는 막대 형상의 핑거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cup holder; One sid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the other side penetrates through the cup holder and protrudes inward,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to rotate upward from the housing by a first elastic body, and at the same tim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at its maximum upward direction. A rod-shaped holder with a limited rotation angle; It is achieved by forming a rod-shaped finger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lder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rotate downward from the holder by a second elastic body, and which is limited in contact with the holder at a maximum downward rotation angle.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view showing a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도 3의 (a)는 컵홀더(10) 내에 음료용기(20)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의 (b)는 컵홀더(10)로부터 음료용기(20)를 빼낼 때의 작동을 나타낸다.Here, FIG. 3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10)에 마련된 하우징(100)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회동하는 홀더(200) 및 핑거(300)를 마련함으로써, 평상시에는 기본적으로 컵홀더(10) 내에 위치한 음료용기(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컵홀더(10)로부터 하부가 확장된 음료용기(20)를 손쉽게 빼낼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3 and 4, the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컵홀더(10)는 기존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통상 음료용기(20)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컵홀더(10)가 한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First, the
이러한 컵홀더(10)의 일측 외부에는 하우징(100)이 마련된다.The
상기 하우징(100)은 이후에 설명할 홀더(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홀더(200)가 회동하면서 내부로 어느 정도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벽면이 오목하게 절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막대 형상의 홀더(200)는 이후에 설명할 핑거(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그 일측인 도면상 좌측은 상기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인 도면상 우측에 상기 핑거(30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In addition, the rod-
이때, 상기 홀더(200)는 컵홀더(10)를 외부로부터 내부로 관통하여 그 일부가 상기 컵홀더(10) 내부로 돌출 되며, 제1탄성체(210)가 마련되어 상기 홀더(2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그 상단이 상기 하우징(100)에 접촉하여 도 3의 (a)에 도시한 각도 이상의 반시계방향으로는 회동이 불가능하다.In this case, the
즉,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홀더(10) 내에 음료용기(20)가 수납될 경우 상기 홀더(200)는 핑거(300)와 함께 화살표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동 하지만, 이 홀더(200)는 제1탄성체(210)에 의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컵홀더(10) 내에 수납된 음료용기(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차량 주행 중 음료용기(20)가 컵홀더(10) 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a) of FIG. 3, when the
그리고, 상기 홀더(2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막대 형상의 핑거(300)는 그 일측인 도면상 좌측은 상기 홀더(200)에 회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지지된다.The rod-
이때, 상기 핑거(300)에는 제2탄성체(310)가 마련되어, 상기 핑거(300)는 홀더(200)로부터 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그 상단이 상기 홀더(200)에 접촉하여 도 3의 (a)에 도시한 각도 이상의 시계방향으로는 회동이 불가능하다.At this time, the
즉,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확장된 음료용기(20)를 컵홀더(1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빼낼 경우, 상기 핑거(300)는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하지만, 이 핑거(300)는 제2탄성체(310)에 의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컵홀더(10) 내에 수납된 음료용기(20)의 확장된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컵홀더(10)에 수납되어 있는 하부가 확장된 음료용기(20)를 핑거(300)의 걸림 없이 손쉽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이때, 상기와 같이 컵홀더(10)에 수납되는 음료용기(20)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핑거(300)의 단부는 원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컵홀더(10)에 음료용기(20)를 수납하거나, 컵홀더(10)에 수납된 음료용기(20)를 빼낼 때 핑거(30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제1탄성체(210) 및 제2탄성체(310)는 각각 상기 홀더(200) 및 핑거(300)에 형성된 회전중심(220, 320)에 관통 삽입되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즉, 도 4와 같이 상기 홀더(200)에 형성된 핀 형상의 회전중심(220)을 통하 여 상기 홀더(200)는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이 회전중심(220)의 외주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제1탄성체(2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since the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핑거(300)에 형성된 핀 형상의 회전중심(320)을 통하여 상기 핑거(300)는 홀더(2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이 회전중심(320)의 외주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제2탄성체(310)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Similarly, since the
이와 더불어, 상기 홀더(200) 및 핑거(300)를 수용하는 하우징(100)은 컵홀더(10)의 외주에 등간격을 이루어 방사상에 3 개 마련하는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re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는 컵홀더(10) 내에 음료용기(20)를 수납할 경우에는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홀더(200)가 핑거(300)와 함께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제1탄성체(210)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회동하게 됨으로써, 컵홀더(10) 내부에 수납된 음료용기(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차량 주행 중 컵홀더(10) 내에서 음료용기(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finger holder for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리고, 컵홀더(10) 내에 하부가 확장된 음료용기(20)가 수납되어 있어, 이 음료용기(20)를 빼낼 때에는 상기 홀더(2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핑거(300)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되, 제2탄성체(310)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 회동하게 됨으로써, 하부가 확장된 음료용기(20)가 핑거(300)에 걸리지 않고 손쉽게 빠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컵홀더용 핑거장치는 컵홀더(10)에 마련되는 하우징(100) 에 홀더(200) 및 핑거(300)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회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컵홀더(10) 내에 수납된 음료용기(20)가 주행 중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부가 확장된 음료용기(20)를 컵홀더(10)로부터 빼낼 때 핑거(300)에 걸리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Therefore, the cup holder fing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rawings and embodiment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컵홀더에 마련된 핑거장치를 개선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연결된 홀더 및 핑거가 각각 상호 역방향으로 탄성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음료용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하부의 직경이 확장된 음료용기를 컵홀더로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mproves the finger device provided in the cup holder of the vehicle, so that the holder and the finger connected from the housing can b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reby limiting the flow of the usual beverage container, while at the same time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lower It is an invention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cup hold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4595A KR100746967B1 (en) | 2006-08-08 | 2006-08-08 | Finger system for cup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4595A KR100746967B1 (en) | 2006-08-08 | 2006-08-08 | Finger system for cup hol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6967B1 true KR100746967B1 (en) | 2007-08-07 |
Family
ID=3860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4595A KR100746967B1 (en) | 2006-08-08 | 2006-08-08 | Finger system for cup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696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8927A (en) * | 1999-12-30 | 2001-07-06 | 이계안 | Cup holder for automobile |
JP2001253287A (en) * | 2000-03-13 | 2001-09-18 | Nissan Motor Co Ltd | Vessel holding structure of drink holder |
KR20050037764A (en) * | 2003-10-20 | 2005-04-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up holder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
JP2006076352A (en) * | 2004-09-07 | 2006-03-23 | Nifco Inc | Cup holder |
-
2006
- 2006-08-08 KR KR1020060074595A patent/KR10074696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8927A (en) * | 1999-12-30 | 2001-07-06 | 이계안 | Cup holder for automobile |
JP2001253287A (en) * | 2000-03-13 | 2001-09-18 | Nissan Motor Co Ltd | Vessel holding structure of drink holder |
KR20050037764A (en) * | 2003-10-20 | 2005-04-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up holder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
JP2006076352A (en) * | 2004-09-07 | 2006-03-23 | Nifco Inc | Cup hol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71838B2 (en) | Equipment to hold the container | |
CN101337521A (en) | Container securing device | |
KR100774402B1 (en) | Cup holder of a car | |
KR100746967B1 (en) | Finger system for cup holder | |
JP2005289351A (en) | Automobile cup holder | |
JP2007161086A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KR100802396B1 (en) | Finger system for cup holder | |
JP3171259U (en) | Beverage container stopper and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 |
KR101918122B1 (en) | Holder | |
JP5272452B2 (en) | Storage | |
JP2007269074A (en) | Container holder device | |
KR100600131B1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JP2011068173A (en) | Container holding device | |
KR100568709B1 (en) | cup holder acceptable of various cup | |
KR20070039629A (en) | Device for holding cups | |
KR100974036B1 (en) | Vehicle cup holder | |
KR100643800B1 (en) | Cup holder for car | |
JP4108594B2 (en) | Drink holder | |
JP6022418B2 (en) | Vehicle ashtray holding structure | |
KR100756952B1 (en) | Cup holder for car | |
KR100643603B1 (en) | Device for holding cups | |
JP2004359083A (en) | Cup holder | |
JP4363972B2 (en) | Cup holder | |
JPH10324188A (en) | Container holder | |
KR100342065B1 (en) | Cup Holder of Auto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