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582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582B1
KR100746582B1 KR1020050032345A KR20050032345A KR100746582B1 KR 100746582 B1 KR100746582 B1 KR 100746582B1 KR 1020050032345 A KR1020050032345 A KR 1020050032345A KR 20050032345 A KR20050032345 A KR 20050032345A KR 100746582 B1 KR100746582 B1 KR 10074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optical filter
polym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125A (ko
Inventor
임경율
신진택
김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to KR102005003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58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4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 H05K9/0096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for television displays, e.g. plasma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이 점착제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우수한 외광 반사 방지효과를 나타내면서, 종래 다층구조의 전자파 차폐 필름과 유사한 전자파차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복잡한 공정 없이 손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량생산 및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편광, 필터, 전자파, 차폐, 점착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ATING THE OPTICAL FILTER FOR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필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기능과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최근에 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소자(FED, Field Emission Devic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한 쌍의 유리 기판 사이에 전극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를 도포하고, 기판 사이의 공간에 네온 및 제논 등의 불활성 기체를 채운 후 방전시켜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이때 발생한 자외선이 형광체에 부딪혀 발광하여 소정의 영상을 구현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그러나, 이들 장치에서는 유해전자파가 발생되고 있으며, 인체가 이러한 유해전자파에 장기간 전자파에 노출될 경우, 백내장, 피부암, 생식기능저하, 또는 피부 중에 있는 수분의 증발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파 차폐의 효과와 함께 발현되는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패널의 외측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다층 필름으로 구성된 별도의 필터를 부착하고 있다.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장치에서는, 양호한 투시성이 있는 전자파 차폐판을 디스플레이 전면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파 차폐판은, 기본구조 자체는 비교적 간단한 것이고,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기판면에 예컨대 인듐-주석산화물막(ITO막) 등의 투명도전성 막을 증착이나 스퍼터링법 등으로 박막형성한 것,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기판면에 예컨대 금망(金網: wire mesh) 등의 적당한 금속스크린을 붙인 것,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기판면에 무전해도금이나 증착 등에 의해 전면에 금속박막을 형성하고 이 금속박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가공하여 미세한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메시를 형성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투명기판상에 ITO막을 형성한 전자파 차폐판에 있어서는, ITO막을 형성하는데 증착이나 스퍼터링장치를 이용하지만, 그 이러한 증착장치는 고가이고, 또한 일반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판 자체의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메시를 형성한 전자파 차폐판을 이용하는 경우 또는 금망 등의 적당한 금속스크린을 직접 디스플레이면에 붙이는 경우는, 모두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또한 비용도 저가로 되는 장점이 있지만, 유효한 메시(100~200메시)의 금속스크린의 투과율이 50% 이하이고, 화면이 어두운 문제가 있다. 특히, 메시 형태의 전자파 차폐판을 사용할 수 없는 액정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또한,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메시를 형성한 전자파 차폐판은 디스플레이용 패널에 대한 외광의 반사를 흡수할 수 없어 시인성이 저하되며, 전자파 차폐판의 제조공정이 번잡하면서 복잡하고, 그 생산성은 낮으며, 생산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 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광반사기능과 전자파차폐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점착제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영상을 구현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패널부를 보호하는 투명 전면판,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면저항이 3.0Ω/□이하인 전자파 차폐 물질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점착층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점착층 코팅액을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필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화면의 색순도를 저하시키는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차폐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광기능을 가지는 편광필름(101) 및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층(102)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점착제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필름은 편광자(polarizer), 및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된 투명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자는 편광기능이 있는 요오드계 화합물, 2색성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염착된 기재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자에 포함되는 기재필름은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비닐포르말(polyvinylformal), 폴리비닐 아세탈(polyvinylacetal), 폴리비닐렌(polyvin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폴리크로토네이트(polycrotonat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 코올 또는 폴리비닐렌을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에 포함되는 기재필름은 한방향으로 연신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연신 배율은 2 내지 10 배율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6 배율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2배율 미만인 경우에는 편광 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없으며, 10배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2색성 염료의 염착이 어려워진다.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는 사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별한 두께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20 내지 5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필름에 염착되는 상기 요오드계 화합물은 I2, NH4I, 및 K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색성 염료는 디아조염료, 트리스아조염료 및 이의 구리착염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오드계 화합물, 및 2색성 염료는 상기 기재필름의 연신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시키는 2색성을 나타내므로, 화면의 색순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편광자는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조건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20 내지 400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다.
상기 편광필름은 또한, 기재필름의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재필름의 양면에 형성된 투명 보호층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즈계 고분자, 올레핀계 고분자, 환형올레핀계 고분자, 환형올레핀-비환형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TAC, 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부틸렌(CAB, cellulose acetate butylen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lorid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폴리노르보르넨(polynorbornene),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편광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즈, 폴리에틸렌, 폴리노르보르넨,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필름상태로 제조된 후, 기재필름과 합지되거나, 기재필름에 직접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점착층은 점착제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점착층에 포함되는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터 등의 부착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모두 본 발명의 광 학필터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광학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젖음성, 응집성, 및 점착성을 가지며, 내후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층에 포함되는 전자파 차폐 물질은 점착제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자파 차폐 물질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전자파 차폐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고, 1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면이 선명하지 못할 염려가 있다.
상기 전자파 차폐 물질은 면저항이 3.0Ω/□이하인 전기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5 Ω/□의 면저항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물질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자파 차폐 물질의 면저항이 3.0Ω/□를 초과하는 경우에 전자파 차폐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못한다.
상기 전자파 차폐 물질은 은(Ag),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기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파 차폐 물질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100 nm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내지 100 nm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분말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자파 차폐 물질의 평균입경이 작을수록 우수한 전기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작은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1nm 미만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전자파 차폐물질을 얻기 어려우며, 평균입경이 1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자파 차폐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1 내지 50 db ㎶/m 의 전자파 차폐효과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시에는 이형필름을 떼어내고, 점착층을 직접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광학필터 자체로서 전자파 차폐기능을 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소자, 또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소자, 또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고,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전자파의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상기 광학필터 중 전자파 차폐 효과가 높은 광학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소자, 또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대적으로 전자파 차폐 효과가 낮은 광학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100), 영상을 구현하는 패널부(200),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300), 상기 패널부를 보호하는 투명 전면판(400), 및 케이스(50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 상기 도2의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패널부와 투명 전면판의 사이에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필터는 패널부에 직접 부착되거나, 투명 전면판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부와 투명 전면판 사이의 다른 투명층에 부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소자, 또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소자, 또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a) 면저항이 3.0Ω/□이하인 전자파 차폐 물질과 점착제를 혼합하여 점착층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점착층 코팅액을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편광필름은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필름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전자파 차폐 물질의 면저항, 종류, 및 평균입경과 점착제의 종류에 관한 사항은 앞서 기재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점착제는 고형분 함량이 5 내지 50 중량%인 용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착제와 혼합되는 전자파 차폐 물질의 함량은 점착제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점착층 코팅액은 스핀코트법, 닥터블레이드법, 또는 롤 코팅법 등의 방법으로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으로 점착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점착층 코팅액을 스핀코트법, 닥터블레이드법, 또는 롤 코팅법 등의 방법으로 이형필름의 일면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후, 이를 편광필름과 합지하여 라미네이트 시키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형성 후에, 점착층의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 조건은 통상적인 점착층의 숙성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된 점착제의 조성에 따라 어려움 없이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10 내지 50 ℃, 30 내지 80 % R.H.의 습도조건에서 1일 내지 1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50 nm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은(Ag) 파우더 5 g을 고형분 함량 15 중량%인 아크릴계 점착제(OS-81L, Soken사 제조) 100g과 혼합하여 점착층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층 코팅액을 이형필름(PET 필름) 위에 코팅하고, 150℃에서 5분간 열처리하여 두께 25 ㎛의 점착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필름을 (주) 에이스디지텍의 편광필름(Apoligh)의 일면에 합지하고, 25 ℃, 60 % R.H.의 습도조건에서 5일간 숙성시켜 광학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50 nm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은(Ag) 파우더 10 g을 고형분 함량 15 중량%인 아크릴계 점착제(OS-81L, Soken사 제조) 100 g과 혼합하여 점착층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50 nm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은(Ag) 파우더 15 g을 고형분 함량 15 중량%인 아크릴계 점착제(OS-81L, Soken사 제조) 100 g과 혼합하여 점착층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도성 차폐물질인 은 파우더를 첨가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50 nm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은(Ag) 파우더 20 g을 고형분 함량 15 중량%인 아크릴계 점착제(OS-81L, Soken사 제조) 100 g과 혼합하여 점착층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필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에 대하여 전자파 차폐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분광광도계(U-3210, HITACHI)를 이용하여 단판투과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점착제(고형분)/은 함량(g/g) 전자파차폐효과 (db ㎶/m) 단판 투과율(%)
실시예 1 15/5 1.7 40
실시예 2 15/10 5.3 37
실시예 3 15/15 9.5 35
비교예 1 15/0 0 43
비교예 2 15/20 10.3 3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별도의 전자파 차폐필름을 장착하지 않고서도 전자파 차폐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물질을 포함하는 점착층의 도입에 의한 투과율의 감소가 10% 이하로서, 단판투과율의 저하가 적으므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으며, 복잡한 공정 없이 손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우수한 외광 반사 방지효과를 나타내면서, 종래 다층구조의 전자파 차폐 필름과 유사한 전자파차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지는 점착층을 포함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두께가 얇으며, 손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량생산 및 비용절감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요오드계 화합물, 2색성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염착된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이고 은(Ag),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자파 차폐 물질, 및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전자파 차폐 물질은 점착제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계 화합물은 I2, NH4I, 및 K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2색성 염료는 디아조염료, 트리스아조염료 및 이의 구리착염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물질은 3.0Ω/□이하의 면저항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물질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1 내지 50 db ㎶/m 의 전자파 차폐효과를 가지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용 광학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소자, 또는 유기전계발광소자용 광학필터인 디스 플레이장치용 광학필터.
  11.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영상을 구현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패널부를 보호하는 투명 전면판; 및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표시소자, 또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a) 면저항이 3.0Ω/□이하이며 평균입경이 1 내지 100 nm이고 은(Ag),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자파 차폐 물질과 점착제를 혼합하고, 상기 전자파 차폐 물질이 점착제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되도록 하여 점착층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점착층 코팅액을 요오드계 화합물, 2색성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염착된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물질은 은(Ag)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KR1020050032345A 2005-04-19 2005-04-19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KR100746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345A KR100746582B1 (ko) 2005-04-19 2005-04-19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345A KR100746582B1 (ko) 2005-04-19 2005-04-19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125A KR20060110125A (ko) 2006-10-24
KR100746582B1 true KR100746582B1 (ko) 2007-08-06

Family

ID=3761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345A KR100746582B1 (ko) 2005-04-19 2005-04-19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5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03A (ko) * 1994-07-14 1996-02-23 조봉희 전자파 차단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0031687A (ja) * 1996-05-28 2000-01-28 Mitsui Chemicals Inc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KR20020000167A (ko) * 1999-04-15 2002-01-04 윌리암 에이취 캘넌, 에곤 이 버그 치환된 피리미딘의 제조방법
KR20020046823A (ko) * 2000-12-15 2002-06-21 김순택 플라즈마 표시 패널 조립체
KR20030083518A (ko) * 2002-04-23 2003-10-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광학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03A (ko) * 1994-07-14 1996-02-23 조봉희 전자파 차단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0031687A (ja) * 1996-05-28 2000-01-28 Mitsui Chemicals Inc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KR20020000167A (ko) * 1999-04-15 2002-01-04 윌리암 에이취 캘넌, 에곤 이 버그 치환된 피리미딘의 제조방법
KR20020046823A (ko) * 2000-12-15 2002-06-21 김순택 플라즈마 표시 패널 조립체
KR20030083518A (ko) * 2002-04-23 2003-10-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광학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125A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95553B (zh) 图像显示装置
US8703297B2 (en) Charge-preventing optical film, charge-preventing adhesive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840539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1057833A1 (fr) Filtre pour affichage, afficheur et procede de production a cet effet
CN105247393A (zh) 带静电容量式触摸面板的显示装置
KR100648183B1 (ko) 투과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및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US20060251844A1 (en) Polarizer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 assembly having the same
JP2014016589A (ja) 偏光板一体型導電性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03058669A1 (en) Plasma display panel filter
CN110554452A (zh) 防反射用偏光板、光学层叠体及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KR1007465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KR100671406B1 (ko) 평판표시장치용 광학필름 및 광학필터
JP200218942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直貼り用フィルター
JP2019211761A (ja) 反射防止用偏光板、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3681280B2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
JP3877356B2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ー
JP200019381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KR2006011012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24642A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을 이용한 시인성이 우수한 투명 디스플레이
KR100533422B1 (ko) 기능성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제조 방법
KR20080101115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6006735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및 그 제조방법과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18942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用フィルター
KR20060073275A (ko) 내구성이 향상된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및 이를구비한 광학필터
KR101091808B1 (ko) 디스플레이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