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996B1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5996B1 KR100745996B1 KR1019990033250A KR19990033250A KR100745996B1 KR 100745996 B1 KR100745996 B1 KR 100745996B1 KR 1019990033250 A KR1019990033250 A KR 1019990033250A KR 19990033250 A KR19990033250 A KR 19990033250A KR 100745996 B1 KR100745996 B1 KR 1007459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service
- data service
- program
- proc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23617—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inserting additional data into a data carousel, e.g. inserting software modules into a DVB carous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4349—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extracting from data carousels, e.g. extraction of software modules from a DVB carou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카로셀의 성격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시청자가 현재 시청중인 데이터 카로셀의 중단을 예지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서비스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시청자가 현재 시청중인 데이터 카로셀의 중단을 예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데이터 카로셀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팅된 제 1 데이터 카로셀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 카로셀이 제 2 데이터 카로셀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카로셀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 카로셀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시청자에게 현재 시청중인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을 예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 처리를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가 기설정한 데이터 카로셀의 성격에 따라 시청자에게 다양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 카로셀, 디지털 방송, 디지털 TV, MPEG-2 전송 스트림, 브로드캐스팅
Description
도 1은 디지털 수신기가 방송국으로부터 프로그램 A와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에 따라 프로그램 A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하고,
도 2는 디지털 수신기가 프로그램 A에 대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면서 프로그램 A에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카로셀 방식으로 수신하던 중 시청자로부터 프로그램 변경 요청이 발생하여 데이터 카로셀을 변경하는 것을 예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송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MPEG-2 TS의 전송 스트림의 신택스(Syntax)와 그 구성요소인 TS 패킷의 신택스(syntax)를 나타내며,
도 4는 방송국 A, 방송국 B, 그리고 방송국 C로부터 전달되는 전송스트림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방송국 A로부터 프로그램 A와 프로그램 B에 대한 각각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그리고 서비스 데이터 정보가 다중화되어 전송됨을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 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 1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A :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 B :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
C : 프로그램 변경 요청 시점 510 : 튜너
520 : 역다중화부 531 : 오디오 버퍼
532 : 비디오 버퍼 533 : 서비스 데이터 버퍼
541 : 오디오 디코더 542 : 비디오 디코더
543 : 데이터 출력 제어부 551 : 오디오 출력부
552 : 비디오 출력부 560 : 서비스 요청부
570 : 프로그램 변경 요청부 580 : 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카로셀의 성격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시청자가 현재 시청중인 데이터 카로셀의 중단을 예지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PC의 급속한 기술발전으로 정보처리 속도가 향상되었고, 인터넷의 빠른 확산으로 정보 전달 속도가 향상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아날로그 TV도 디지털 TV로 바뀌고 있다. 그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PC와 TV가 서로 양립하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동시에 미디어 통합도 이루어질 것이다. 통합방법은 PC에 TV기능을 장착하는 방향과 TV에 PC기능을 추가하는 방향이 있다. 이미 부분적으로는 이런 일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터넷 TV나 PC용 TV수신카드가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두 미디어의 장점을 충분히 잘 살리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기존 아날로그 TV 방식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개발된 디지털 TV는 단순히 다채널화 및 선명하고 깨끗한 화질 뿐 아니라 아날로그 TV가 제공할 수 없는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단순한 영상 및 음성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를 추가하여 TV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TV 기술의 전개 방향이 현재의 고화질, 고음질 중심에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이동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일방적인 서비스에서 양방향 채널을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데이터 방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서비스의 유형은 특정 프로그램과 연결된 데이터 서비스, 독자적인 데이터 서비스,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등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정 프로그램과 연결된 데이터 서비스는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과 관련되어 있는 정보를 방송 신호(이를테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등)와 같이 보내는 데이터 서비스를 의미하며, 스포츠 중계와 관련된 정보(선수 이력 정보, 용어, 게임 규칙, 주요 경기 정보 등), 드라마 방송 부가정보,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광고 부가정보 등이 있다.
한편, 독자적인 데이터 서비스는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과 관련되지 않은 독자적인 정보를 방송 신호에 넣어서 보낸 후 시청자의 요구가 있을 때 화면에 보여주는 데이터 서비스를 의미하며, 실시간 뉴스, 일기예보, 주식시세, S/W 다운로드, 전자 쿠폰, 웹 콘텐트 등이 있다. 이들 서비스되는 정보는 단순한 텍스트 형태뿐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애니메이션, 오디오/비디오 클립, Java 애플릿 등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이상으로 풍부한 미디어를 충실히 활용하는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농구 경기 중계 방송을 보내면서 TV 화면 한 쪽에 특정 선수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고 또 그 선수의 과거 활약 장면을 비디오 클립으로 제공하여 시청자가 정규 방송과 동시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끝으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는 시청자의 입력이 방송사에 전달되어 이에 따라 방송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의미하며, 모뎀, 전용선 등을 통해 양방향 채널을 확보하여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수신이 가능하게 구성한 후, 여론조사, 인기가요순위(투표), 시청률 조사 및 방영 인물에 대한 인기투표, 설문조사, 홈쇼핑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정보 제공자(Information Provider)를 연결하여 더욱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에는 이미 일반인에게까지 확산되어 있는 인터넷의 접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 중 특정 프로그램과 연결된 데이터 서비스와, 독자적인 데이터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브로드캐스트(data broadcast)와 같은 단방향 서비스를 통해 구현되고 있으나, 단방향 데이터 서비스에 임의 시점에서 대화형 서비스(interactive service)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효기간을 가지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이 추가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디지털 수신기(이를테면, 디지털 TV)가 방송국으로부터 프로그램 A와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에 따라 프로그램 A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디지털 TV는 프로그램 A에 대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동안 프로그램 A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반복해서 수신한다.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을 통한 시청자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는 프로그램 A에 대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면서 프로그램 A에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카로셀 방식으로 수신하던 중 시청자로부터 프로그램 변경 요청이 발생하면 수신된 데이터 카로셀(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정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을 출력한다.
이때, 시청자로부터 프로그램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즉, 현재 출력 중인 프로그램 A로부터 프로그램 B로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경우, 현재 출력 중인 데이터 카로셀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 즉, 도 2에서 A 시점에 시청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이 요청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완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2의 B 구간(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만큼의 시간이 필요하나, 프로그램의 변경으로 도 2의 C 시점부터 디지털 TV는 프로그램 B에 대한 데이터 카로셀을 수신하게되므로 결국에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프로그램 A를 시청하면서 프로그램 A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프로필을 요청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동안 시청자가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B로 변경 요청하는 경우, 디지털 TV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B로 변경하고, 프로그램 B에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카로셀 방식으로 수신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변경 전에 출력되던 주인공의 프로필이 완전히 출력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데이터 역시 프로그램 변경으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시청자의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이 발생한다.
이처럼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으로 인한 데이터 서비스 중단은 피하기 힘든 상황이나, 이에 대한 처리 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시청자가 현재 시청중인 데이터 카로셀의 중단을 예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가 데이터 서비스 콘텐트를 제작할 때 불일치 상황을 처리하는 방법을 정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다수의 프로그램 및 상기 각각의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처리 방식 정보를 함께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 중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가 제 2 데이터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류처리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처리방식이 자동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통지및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며, 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린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처리방식 선택은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자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작할 때 명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제 1 데이터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가 제 2 데이터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류처리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처리방식이 자동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통지및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며, 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린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방식에 대해 식별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에 관련된 테이블에 디스크립터를 추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방식에 대해 식별하기 위해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의 기존 디스크립터를 확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처리방식 선택은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자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작할 때 명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다수의 프로그램 및 상기 각각의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처리 방식 정보를 함께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 상기 다수의 프로그램 중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 하는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가 제 2 데이터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방송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요청부; 현재의 제 1 프로그램에서 다른 제 2 프로그램으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프로그램변경요청부; 상기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프로그램변경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프로그램에서 제 2 프로그램으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부는, 상기 기설정된 처리방식이 자동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통지및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고, 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린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프로그램에 관련된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데이터 패킷 형태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그리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다중화기; 상기 추출된 상기 오디오/비디오데이터들을 디코딩하는 오디오/비디오디코더; 상기 추출된 서비스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출력제어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비디오데이터와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출력부; 상기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요청부; 현재의 제 1 프로그램에서 다른 제 2 프로그램으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프로그램변경요청부; 상기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프로그램변경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프로그램에서 제 2 프로그램으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계속해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패킷은 MPEG-2 TS 패킷(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Packet)으로 브로드캐스팅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TV로 프로그램 및 서비스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데이터 서비스 프로토콜로는 MPEG-2 TS(MPEG-2 Transport Stream)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송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MPEG-2 TS의 전송 스트림의 신택스(Syntax)와, 그 구성요소인 TS 패킷의 신택스(syntax)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은 다수의 전송 스트림 패킷(즉, TS 패킷)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TS 패킷은 188바이트로 구성되고, 크게 해당 TS 패킷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헤더(header)와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부분인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되는 데, 헤더는 싱크 바이트(sync byte), 전송 에러 표시자(transport error indicator), 페이로드 단위 시작 표시자(payload unit start indicator), 전송 우선순위(transport priority), 패킷 식별자(PID; Packet Identification), 스크램블링 제어(scrambling control), 적응 필드 제어(adaptation field control), 연속성 카운터(continuity counter),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 마다 각각 소정 비트가 할당되어 이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페이로드는 패킷화된 오디오/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며, 각각의 패킷화된 오디오/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 정보는 요소 패킷 식별자(E_PID)로 식별한다.
각각의 방송국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그리고 서비스 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MPEG-2 TS의 전송 스트림을 통해 요소 패킷(elementary packet) 단위로 각각 다중화되어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된다.
도 4는 방송국 A, 방송국 B, 그리고 방송국 C로부터 전달되는 전송스트림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방송국 A로부터 프로그램 A와 프로그램 B에 대한 각각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그리고 서비스 데이터 정보가 다중화되어 전송됨을 보여준다.
이때, 서비스 데이터 정보는 시청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서비스와 어플리케이션과의 관계성을 디지털 TV에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하며, ATSC(미국의 디지털TV 관련 기술 규격을 제정하는 기구 임) 데이터 브로드캐스팅 서비스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가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에 명기되어있다. 한편, 서비스 데이터는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선택부(500)를 통해 시청자에 의해 방송국 채널이 선택되면 처리부(580)의 제어에 따라 튜너(510)는 방송국들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스트림 중 선택된 특정 방송국의 전송 스트림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역다중화기(520)는 특정 방송국의 TS 패킷을 입력받아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그리고 카로셀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카로셀(즉, 서비스 데이터)을 추출하여 오디오버퍼(531), 비디오버퍼(532), 서비스 데이터 버퍼(533)에 각각 임시 저장한다. 오디오/비디오디코더(541, 542)는 추출된 오디오/비디오데이터들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출력부(551)와 비디오 출력부(552)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데이터출력제어부(543)는 추출된 데이터 카로셀(즉, 서비스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오디오/비디오출력부(551, 552)에 출력한다.
서비스요청부(560)는 시청자로부터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받아 처리부(580)에 요청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중단하는 세 가지 방식 중에서 시청자가 선택한 방식을 처리부(580)에 요청하고, 프로그램변경요청부(560)는 시청자로부터 현재의 제 1 프로그램에서 다른 제 2 프로그램으로의 변경을 요청받아 처리부(580)에 요청한다.
한편, 처리부(580)는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데이터 카로셀을 추출하여 서비스요청부(56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프로그램변경요청부(570)의 요청에 따라 제 1 프로그램에서 제 2 프로그램으로 변경되어 제 1 데이터 카로셀로부터 계속해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제 1 데이터 카로셀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오류를 처리한다.
이때, 처리부(580)는 기설정된 처리방식이 자동소멸인 경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통지및소멸인 경우 데이터 서비스가 제 2 데이터 카로셀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제 1 데이터 카로셀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고, 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데이터 카로셀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린다.
바람직하게, 처리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에 관련된 다른 테이블에 디스크립터를 추가하거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의 기존 디스크립터를 확장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Data service provider)가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작할 때 불일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소멸, 통지및소멸, 버퍼서비스 중 하나로 처리할 것을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 6,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처리부(580)는 튜너(520)를 제어하여 특정 방송국의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부(520)에 입력시키고, 역다중화부(520)는 입력된 전송 스트림 중 특정 프 로그램을 역다중화하여 오디오/비디오 디코더(541, 542)에 의해 오디오/비디오 출력부(551, 552)에 각각 출력한다(단계 : S610).
여기에서, 상기 출력에 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주왕복선인 디스커버리호가 지구로 귀환하는 장면에 대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비디오 출력부(551, 552)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도중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소정부분에 상기 디스커버리호에 대한 부가 정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별도로 표기된다.
한편, 처리부(580)는 시청자로부터 서비스 요청부(560)를 통해 현재 시청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면 역다중화부(520)에 의해 추출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데이터 카로셀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단계 : S620, S630).
여기에서, 상기 서비스 요청이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에 디스커버리호에 대한 부가 정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콘이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말하며, 상기 아이콘이 시청자에 의해 선택됨에 따라 상기 디스커버리호에 대한 부가 정보(예:제원, 제작과정 등)가 브라우저에 의해 검색된 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상세히 표시된다.
이에, 처리부(580)는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시청자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카로셀 변경이 발생한 경우, 현재 수행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기 위해 변경 전의 데이터 카로셀이 요구되는지 판단한다(단계 : S640, S650).
여기에서, 상기 변경 전의 데이터 카로셀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는 것은 상기 시청자가 상기 디스커버리호에 대한 부가 정보를 시청자가 살펴본 후, 이전의 메인 화면인 디스커버리호가 지구로 귀환하는 장면에 연속되는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재 수신하려는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데이터 카로셀 변경은 프로그램 변경 요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더 이상 변경 전의 데이터 카로셀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변경된 데이터 카로셀을 수집한다(단계 : S651). 즉, 역다중화부(520)에 의해 변경된 프로그램에 대한 역다중화를 수행한 후, 서비스 데이터 버퍼(533)에 저장한다.
이는 상기 부가 정보에 대한 내용이 갱신되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상기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동작이다.
단계 S650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수행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기 위해 변경 전의 데이터 카로셀이 요구되는 경우, 처리부(580)는 변경전의 데이터 카로셀에 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서비스 변경요청과 데이터 카로셀 유효시간 불일치로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한다(단계 : S660).
여기에서, 상기 변경 전의 데이터 카로셀이 요구되는 경우라는 것은 상기 오 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재 수신하려는 신호가 입력이 되는 경우인데 이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커버리호가 착륙한 후, 상기 디스커버리호에 탑승하였던 조종사들 중에서 '존 글렌'이라는 사람에 대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상기 시청자가 계속적으로 시청하기를 원하는 경우이다.
이 때,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검색된 후 표시되었던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서 제거되며,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데이터 카로셀에 데이터 카로셀 유효 시간 불일치 오류에 대한 처리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은 데이터 서비스에 관련된 테이블에 디스크립터를 추가하거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의 기존 디스크립터를 확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580)에 의해 변경전의 데이터 카로셀에 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서비스 변경요청과 데이터 카로셀 유효시간 불일치를 처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검색되어 표시되는 데이터를 상기 화면에서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시청자가 기 설정한 방식에 따라 별도로 수행된다.
먼저, 데이터 카로셀 유효시간 불일치 처리 방식이 자동소멸인 경우 현재 수행 중인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한다(단계 : S661).
다시 말해,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검색되어 표시되는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브라우저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종료하여 이전의 화면으로 복귀한다는 것이다.
한편, 처리방식이 통지및소멸인 경우 현재 수행 중인 데이터 서비스가 변경된 데이터 카로셀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현재 수행 중인 데이터 카로셀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한다(단계 : S662, S663).
다시 말해,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검색되어 표시되는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브라우저의 동작이 멈춤을 상기 시청자에게 미리 통보한 후, 기 설정한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브라우저의 동작이 종료되어 이전의 화면으로 복귀한다는 것이다.
만일, 처리방식이 버퍼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데이터 버퍼(533)에 미리 저장해놓은 현재 데이터 서비스 중인 데이터 카로셀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 S664).
판단결과, 서비스 데이터 버퍼(533)에 미리 저장해놓은 현재 데이터 서비스 중인 데이터 카로셀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한다(단계 : S665).
판단 결과, 서비스 데이터 버퍼(533)에 미리 저장해놓은 현재 데이터 서비스 중인 데이터 카로셀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현재 수행 중인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리고, 시청자의 선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한다(단계 : S666, S667).
다시 말해, 서비스 데이터 버퍼(533)에 미리 저장해 놓은 현재 데이터 서비스 중인 데이터 카로셀에 대해서만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검색되어 표시되는 데이터의 전송을 완료한 후, 상기 브라우저의 동작이 멈춤을 상기 시청자에게 미리 통보하며, 상기 시청자에 의한 확인 신호를 수신함에 의하여 상기 브라우저의 동작이 종료되어 이전의 화면으로 복귀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처리부(580)에서 수행되는 상기 브라우저 동작의 제어는 서비스요청부(560)에서 옵션으로 선택하는 상기 세 가지 데이터 서비스 방법 중에서 상기 시청자가 기 설정한 방식에 따라 수행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요청 시점과 데이터 카로셀의 유효 시간과의 불일치 상황 처리를 데이터 서비스 제공자가 기설정한 데이터 카로셀의 성격에 따라 시청자에게 다양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 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24)
- 다수의 프로그램 및 상기 각각의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처리 방식 정보를 함께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상기 다수의 프로그램 중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가 제 2 데이터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방송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단계는,상기 기설정된 처리방식이,자동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는 자동소멸단계;통지및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는 통지및소멸단계; 및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리는 버퍼서비스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처리방식은,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자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작할 때 명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방법.
- 제 1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가 제 2 데이터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오류처리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처리단계는,상기 기설정된 처리방식이,자동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는 자동소멸단계;통지및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는 통지및소멸단계; 및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리는 버퍼서비스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서비스단계에서,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최종 종료는 상기 시청자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MPEG-2 TS 패킷(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Packet)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련된 테이블은 상기 처리방식을 식별하기 위한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방식에 대해 식별하기 위해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의 기존 디스크립터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제 8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처리방식은,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자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작할 때 명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 다수의 프로그램 및 상기 각각의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처리 방식 정보를 함께 브로드캐스팅하여 데이터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 및상기 다수의 프로그램 중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가 제 2 데이터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방송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장치는,상기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요청부;현재의 제 1 프로그램에서 다른 제 2 프로그램으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프로그램변경요청부; 및상기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프로그램변경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프로그램에서 제 2 프로그램으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계속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상기 기설정된 처리방식이,자동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통지및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제 2 데이터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고, 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방식에 대해 식별하기 위해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의 기존 디스크립터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 제 14 항 또는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처리방식은,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자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작할 때 명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는,데이터 카로셀(data carousel)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에 관련된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그리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다중화기;상기 추출된 상기 오디오/비디오데이터들을 디코딩하는 오디오/비디오디코더;상기 추출된 서비스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출력제어부;상기 디코딩된 오디오/비디오데이터와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디오출력부;상기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요청부;현재의 제 1 프로그램에서 다른 제 2 프로그램으로의 변경을 요청하는 프로그램변경요청부; 및상기 제 1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프로그램변경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프로그램에서 제 2 프로그램으로 변경되어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계속해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에 기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 방식을 다르게 하여 오류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상기 기설정된 처리방식이,자동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통지및소멸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로 변경됨을 시청자에게 알리고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를 종료하고, 버퍼서비스인 경우 버퍼에 미리 저장해놓은 제 1 서비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청자에게 상기 데이터 서비스 변경을 알리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MPEG-2 TS 패킷(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Packet)으로 브로드캐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관련된 테이블은 상기 처리방식을 식별하기 위한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처리방식에 대해 식별하기 위해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의 기존 디스크립터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 제 21 항 또는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처리방식은,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자가 상기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를 제작할 때 명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역다중화기에서 새로운 서비스 데이터를 추출하였음을 상기 오디오/비디오 출력부의 소정 부분에 아이콘을 표시함으로써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3250A KR100745996B1 (ko) | 1999-05-20 | 1999-08-13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JP2000148784A JP3868714B2 (ja) | 1999-05-20 | 2000-05-19 | データカローセルの有効区間とサービス要請時点との不一致を解決する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
CNB001202014A CN1250002C (zh) | 1999-05-20 | 2000-05-20 | 用户在有效期内请求服务时的数字广播系统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8174 | 1999-05-20 | ||
KR19990018174 | 1999-05-20 | ||
KR1019990033250A KR100745996B1 (ko) | 1999-05-20 | 1999-08-13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5387A KR20000075387A (ko) | 2000-12-15 |
KR100745996B1 true KR100745996B1 (ko) | 2007-08-06 |
Family
ID=2663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3250A KR100745996B1 (ko) | 1999-05-20 | 1999-08-13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868714B2 (ko) |
KR (1) | KR100745996B1 (ko) |
CN (1) | CN1250002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17921B2 (en) * | 2001-09-19 | 2011-03-29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Control of an interactive application |
KR20030025444A (ko) * | 2001-09-20 | 2003-03-29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의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수신장치 |
KR100438858B1 (ko) * | 2002-02-07 | 2004-07-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데이터 방송의 수신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EP1818826A4 (en) | 2004-11-02 | 2011-11-30 | Panasonic Corp |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DEVICE |
KR101227500B1 (ko) * | 2006-05-17 | 2013-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7125A (ja) * | 1991-11-13 | 1993-06-01 | Victor Co Of Japan Ltd | 文字多重放送受信装置 |
JPH05191787A (ja) * | 1992-01-16 | 1993-07-30 | Canon Inc | 文字放送受信装置 |
JPH05328318A (ja) * | 1992-05-21 | 1993-12-10 | Sanyo Electric Co Ltd | 文字多重放送の受信方法 |
JPH1127639A (ja) * | 1997-07-03 | 1999-0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ータ放送送信装置、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放送送受信システム |
-
1999
- 1999-08-13 KR KR1019990033250A patent/KR1007459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
- 2000-05-19 JP JP2000148784A patent/JP386871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5-20 CN CNB001202014A patent/CN125000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7125A (ja) * | 1991-11-13 | 1993-06-01 | Victor Co Of Japan Ltd | 文字多重放送受信装置 |
JPH05191787A (ja) * | 1992-01-16 | 1993-07-30 | Canon Inc | 文字放送受信装置 |
JPH05328318A (ja) * | 1992-05-21 | 1993-12-10 | Sanyo Electric Co Ltd | 文字多重放送の受信方法 |
JPH1127639A (ja) * | 1997-07-03 | 1999-01-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データ放送送信装置、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データ放送送受信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50002C (zh) | 2006-04-05 |
CN1275029A (zh) | 2000-11-29 |
JP3868714B2 (ja) | 2007-01-17 |
JP2000358233A (ja) | 2000-12-26 |
KR20000075387A (ko) | 2000-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5981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int of time of the operation of an application in digital data broadcasting | |
US732013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able operator control over enhanced programming | |
EP2503778A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broadcast reception device using said method | |
US834167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 |
US20080307457A1 (en) |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
JP2004134847A (ja) | 受信装置 | |
JP2009201126A (ja) | テレビジョン信号の置換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WO200203928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unprompted, context-sensitive querying during a television broadcast | |
US2003002398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interactive and enhanced television data | |
US20080066105A1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data applications for all channels and video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 |
KR101371016B1 (ko) | 보조 채널을 이용한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0745996B1 (ko)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US20040177382A1 (en) | Data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1543737A (zh) | 用于管理具有同步网络应用的电视广播内容的方法和装置 | |
JP2001258005A (ja) | 配信装置、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 |
JP2002344399A (ja) |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及び受信端末 | |
KR101358501B1 (ko) | 데이터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게더링방법 | |
KR101472786B1 (ko) |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 |
KR101462279B1 (ko) |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 |
KR100438858B1 (ko) | 데이터 방송의 수신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 |
KR20060060388A (ko) |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 |
KR20040061254A (ko) | 디지털 방송수신기와 그 인터넷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 |
KR100910719B1 (ko) |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방송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
JP2023516550A (ja) | 表示のための関連パラメーターの連続的検証に基づいてリニアオリジナル特徴のビデオ及びオーディオコンテンツの表示と同期された代替ビデオ及び/又はオーディオメディアをインジェ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その実装方法 | |
JP2002537694A (ja) | 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方法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