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799B1 - 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799B1
KR100745799B1 KR1020010047538A KR20010047538A KR100745799B1 KR 100745799 B1 KR100745799 B1 KR 100745799B1 KR 1020010047538 A KR1020010047538 A KR 1020010047538A KR 20010047538 A KR20010047538 A KR 20010047538A KR 100745799 B1 KR100745799 B1 KR 10074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ray
main base
disc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186A (ko
Inventor
박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1004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7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d)의 회전에 따른 공기유동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메인베이스(20)의 양단에는 공간형성부(23)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형성부(23)는 디스크(d)의 단부와 트레이(30)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 대응되는 메인베이스(20)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바닥면에 상기 디스크(d)가 회전하는 공간과 메인베이스(20)의 하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40)에는 상기 연통부(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부(42)를 형성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와 상기 디스크(d)가 회전하는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d)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공기유동에 의해 디스크(d)의 회전불안정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디스크, 회전, 공기유동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메인베이스 22: 이동가이드레일
23: 공간형성부 24: 연통부
25: 픽업베이스 26: 스핀들모터
27: 턴테이블 30: 트레이
32: 디스크안착면 34: 픽업창
40: 케이스 42: 통공부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공기유동에 의한 디스크의 유동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디스크 드라 이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요부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요부가 분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베이스(1)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5)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픽업베이스(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된다. 상기 픽업베이스에는 디스크(d)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와, 상기 스핀들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턴테이블(2)과, 디스크(d)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광픽업 등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픽업베이스는 그 선단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메인베이스(1)의 상면 양측에는 트레이(5)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가이드레일(3,3')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3')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베이스(1)에는 트레이(5)가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레이(5)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3')의 양단에 대응되게 각각 이동가이드리브쌍(6,6')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리브쌍(6,6')은 상기 트레이(5)의 하면 양단에 길이방향 전체에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리브쌍(6,6')은 각각의 이동가이드레일(3,3')의 양단 에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3')이 각각의 이동가이드리브쌍(6,6')의 사이에 위치되어 트레이(5)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트레이(5)의 상면에는 디스크(d)가 안착되는 디스크 안착면(7)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 안착면(7)의 중심에서 트레이(5)의 후단을 향해서는 턴테이블(2)과 광픽업을 위한 픽업창(8)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5)의 하면에는 트레이(5)의 이송을 위한 랙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드라이브의 상부에는 케이스(9)가 구비되어 내부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케이스(9)는 상기 메인베이스(1)의 양단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트레이(5)가 메인베이스(1)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랙기어를 통해 전달받아 이동하여 디스크안착면(7)에 디스크(d)를 안착시켜 로딩 및 언로딩시킨다. 디스크(d)가 로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크(d)가 턴테이블(2)에 안착되어 상기 디스크안착면(7)의 상방에 위치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2)에 안착되어 스핀들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상기 트레이(5)와 케이스(9)가 형성하는 공간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 디스크 드라이브의 고배속화에 따라 상기 디스크(d)의 회전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는데, 디스크(d)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서 상기 공간 내에서는 공기의 급격한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디스크(d)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각각 그 간격이 달라 공기의 유동상태가 다르다. 즉 상기 디스크(d)와 트레이(5) 사이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좁고, 디스크(d)와 케이스(9) 사이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넓어 디스크(d)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에 따른 압력차가 생기게 된다.
또한, 도 1에 A로 표시된 부분에서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3')을 형성하기 위해 메인베이스(1)의 측면에서 메인베이스(1)를 연장하여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3')을 형성하기 때문에 A부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디스크의 회전공간 내에 머무름에 따라 디스크의 외주부에 영향을 미쳐 디스크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d)의 회전시에 압력차에 의한 디스크(d)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진동소음이 생기게 되고, 동작충격시 디스크의 스크래치가 발생하고, 디스크(d)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동작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d)의 불안정한 회전은 상기 트레이(5)와 케이스(9)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더 심하게 되고, 특히 상기 디스크(d)와 메인베이스(1)의 벽면이 인접하게 되는 영역(A)은 그 공간이 좁고 디스크(d)의 상하부 공간이 만나게 되는 부분이어서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유동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크의 기록재생을 위한 부품이 구비되는 메인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상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메인베이스의 내외부로 이동되면서 디스크를 이송하고, 상기 디스크가 안착되는 디스크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안착면의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절개부에 대응되는 메인베이스에 구비되어 트레이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통부를 통해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부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더 구비된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트레이에 얹어져 이동되는 디스크의 단부와 트레이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과 대응되는 메인베이스에 형성된다.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디스크가 고속회전을 하더라도 디스크에 유동이 덜 발생하게 되어 동작시 가해지는 불의의 충격에 대한 내성이 커지고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안내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베이스(20)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30)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픽업베이스(25) 등이 설치된다.
상기 픽업베이스(25)에는 디스크(d)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26)와, 상기 스핀들모터(26)에 의해 구동되는 턴테이블(27)과, 디스크(d)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광픽업 등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픽업베이스(25)는 그 선단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메인베이스(20)의 상면 양측에는 트레이(30)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가이드레일(22)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레일(22)은 트레이(2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베이스(20)의 양단,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d)가 상기 턴테이블(27) 상에 안착되어 있을 때, 디스크(d)의 단부와 트레이(30)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공간형성부(23)가 구비된다. 상기 공간형성부(23)는 메인베이스(20)의 양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메인베이스(20) 내측 양단을 연장한 것으로, 그 바닥면에는 메인베이스(20)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연통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베이스(20)에는 트레이(30)가 상기 이동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레이(30)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레일(22)의 양단에 대응되게 각각 이동가이드리브쌍(31)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리브쌍(31)은 상기 트레이(30)의 하면 양단에 길이방향 전체에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리브쌍(31)은 각각의 이동가이드레일(22)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레일(22)이 각각의 이동가이드리브쌍(31)의 사이에 위치되어 트레이(3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트레이(30)의 상면에는 디스크(d)가 안착되는 디스크 안착면(32)이 트레이면(33)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구비되고, 트레이(30)의 좌우 측면의 메인베이스(20)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절개부(35)가 형성되어 디스크안착면(32)이 메인베이스(20)의 공간형성부(23)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 안착면(32)의 중심에서 트레이(5)의 후단을 향해서는 턴테이블(27)과 광픽업을 위한 픽업창(3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30)의 하면에는 트레이(30)의 이송을 위한 랙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을 케이스(40)가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40)는 디스크 드라이브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40)의 일측에는 상기 연통부(24)와 대응되는 통공부(42)가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부(42)는 상기 상기 연통부(24)와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8은 턴테이블(27)에 안착된 디스크(d)를 고정하는 클램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 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레이(30)는 디스크(d)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외부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메인베이스(20) 상에서 안내되어 이동된다. 즉 트레이(30)의 하면 양단에 각각 형성된 이동가이드리브쌍(31)의 중앙에 메인베이스(20)의 상면 양단에 형성된 이동가이드레일(22)이 위치되도록 하여 안내되면서, 별도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트레이(30)가 이동되게 된다.
상기 트레이(30)에 의해 이송된 디스크(d)는 턴테이블(27)에 안착되어 회전한다. 이때 상기 디스크(d)는 상기 트레이(30)의 디스크안착면(32) 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크(d)와 디스크안착면(32) 사이의 간격은 2mm정도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디스크(d)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40)와 트레이(30)의 사이에는 공기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스크(d)의 상부와 하부에 대응되는 공간이 상기 디스크(d)의 단부와 트레이(30)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공간형성부(23)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연통부(24)에 의해 상기 트레이(30)와 케이스(40) 사이의 공간이 메인베이스(20)의 하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d)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은 상기 트레이(30)와 케이스(40)사이의 공간 및 메인베이스(20)의 하부공간 사이를 오고가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케이스(40)에 형성된 통공부(42)에 의해서는 상기 케이스(40)와 트레이(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가 서로 연통된다.
결국 상기 디스크(d)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은 상기 케이스(40)와 트레이(30) 사이의 공간에서만 유동되지 않고 상기 연통부(24)를 통해 메인베이스(20)의 하부, 그리고 통공부(42)를 통해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로도 자유롭게 유동되므로 상기 디스크(d)의 주변에 형성되는 공기유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된다.
특히 상기 디스크(d)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압력의 차이가 상당부분 해소되어 디스크(d)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형성부(23)가 종래에 상기 디스크(d)와 메인베이스(20)가 가장 인접하였던 부분에 형성되어 그 부분에서의 공기유동이 보다 안정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이 디스크가 회전되는 공간의 외부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디스크의 고속회전에 의한 공기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디스크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의 회전시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진동소음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동작중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디스크의 회전상태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디스크의 회전중의 진동이 최소화되므로 디스크의 회전이 수평면상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신호의 기록과 독취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디스크의 기록재생을 위한 부품이 구비되는 메인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상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메인베이스의 내외부로 이동되면서 디스크를 이송하고, 상기 디스크가 안착되는 디스크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크안착면의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절개부에 대응되는 메인베이스에 구비되어 트레이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통부를 통해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부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트레이에 얹어져 이동되는 디스크의 단부와 트레이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과 대응되는 메인베이스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3. 삭제
KR1020010047538A 2001-08-07 2001-08-07 디스크 드라이브 KR10074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538A KR100745799B1 (ko) 2001-08-07 2001-08-07 디스크 드라이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538A KR100745799B1 (ko) 2001-08-07 2001-08-07 디스크 드라이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86A KR20030013186A (ko) 2003-02-14
KR100745799B1 true KR100745799B1 (ko) 2007-08-02

Family

ID=2771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538A KR100745799B1 (ko) 2001-08-07 2001-08-07 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7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667A (ja) * 1997-07-03 1999-01-29 Toshiba Corp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0231782A (ja) * 1999-02-10 2000-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放熱方法
JP2001176260A (ja) * 1999-12-13 2001-06-29 Hitachi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667A (ja) * 1997-07-03 1999-01-29 Toshiba Corp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0231782A (ja) * 1999-02-10 2000-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放熱方法
JP2001176260A (ja) * 1999-12-13 2001-06-29 Hitachi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86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1127B2 (en) Optical disc drive apparatus
KR100745799B1 (ko) 디스크 드라이브
KR100468730B1 (ko)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EP0869492A2 (en) Disc drive equipped with a disc tray
KR19990036191U (ko) 광 픽업의 파손 방지 구조
US20040187142A1 (en) Disk tray unit and disk rotational device
KR20010023106A (ko) 차량 장착용 디스크 플레이어
KR101036891B1 (ko) 광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이송 가이드구조
KR100268276B1 (ko) 광 디스크 기록재생용 카트리지의 셔터 오픈장치
US20070234376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200178170Y1 (ko) 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장치
US8464282B2 (en) Optical disc apparatus with mechanical chassis having a recess
KR101008537B1 (ko) 메인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0162375Y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9980085905A (ko) 디스크 카트리지
JP2003151198A (ja) ディスク装置
KR200151060Y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3805091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96000370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US20100223634A1 (en) Optical disc apparatus
KR100289527B1 (ko) 수동형 셔터를 갖는 카트리지
KR100841105B1 (ko) 광기록재생기의 픽업보호장치
KR0123253Y1 (ko) 테이프 레코더와 디스크 플레이어를 일체화한 복합 기록/재생장치
JP3731080B2 (ja) 記録媒体ローディング装置
US20040047267A1 (en) Disc loading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