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819B1 -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4819B1 KR100744819B1 KR1020070031071A KR20070031071A KR100744819B1 KR 100744819 B1 KR100744819 B1 KR 100744819B1 KR 1020070031071 A KR1020070031071 A KR 1020070031071A KR 20070031071 A KR20070031071 A KR 20070031071A KR 100744819 B1 KR100744819 B1 KR 100744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p
- sewage
- inlet pipe
- locking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뇨 및 잡배수 각각을 위한 유입관의 출구와 유출관의 입구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는 트랩에 의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각 유입관의 잠김배출부는 각각 상기 제1잠김배출부 및 상기 제2잠김배출부의 절곡 연장 정도와, 상기 격벽 높이의 차등으로 인한 상기 각 잠김배출부가 오수에 잠기는 정도, 그리고 각 본체부의 바닥면 높이 차이에 의하여 수두차, 즉 상기 트랩 각 방취부의 오수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의 수두(水頭; water head)와 관련하여 상기 제1유입관(잡배수용)의 수두가 제2유입관(분뇨용)의 수두 보다 높아 수두차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악취 역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악취 역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또 상기 트랩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지상으로 연결된 맨홀이나 환기구를 통하여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공성 흡착미디어가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지상으로의 악취 휘산 역시 방지되도록 되어 있어 악취저감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는 제1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제1잠김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유입관; 제2본체부, 상기 제2본체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제2잠김배출부를 포함하는 제2유입관; 상기 제1 및 제2 유입관의 제1 및 제2 잠김배출부 각각을 분할 격리하는 제1 및 제2 유입방취(防臭)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트랩; 및 상기 트랩을 위한 격벽에 의하여 상기 각 유출관의 잠김유입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입구와, 유출본체부를 구비한 유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오수받이, 악취, 트랩, 수두차, 유입관, 유출관, 다공성 흡착미디어, 잠김, 분체, 조립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유입관의 본체부와 잠김배출부가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각 방취부의 수두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환기구에 본 발명의 다공성 흡착미디어를 도입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오수받이 G: 지면
10: 제1유입관 20: 제2유입관
11,21,31: 본체부 13,23: 잠김배출부
30: 유출관 33: 잠김유입부
11a,21a,31a: 바닥면 35: 안내부
15: 잠김배출부 형성부재 15a,15a': 개구부
15b: 지붕 15b': 호형 설부
15c,15c': 브라켓 15d: 손잡이
40: 트랩 41,43: 방취(防臭)부
40A: 하부부배 40B: 상부부재
45: 격벽 50: 입상관
61: 겉뚜껑 63: 속뚜껑
65: 환기구 67: 벤츄레이터
70: 다공성 흡착미디어
본 발명은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뇨 및 잡배수 각각을 위한 유입관의 출구와 유출관의 입구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는 트랩에 의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각 유입관의 잠김배출부는 각각 상기 제1잠김배출부 및 상기 제2잠김배출부의 절곡 연장 정도와, 상기 격벽 높이의 차등으로 인한 상기 각 잠김배출부가 오수에 잠기는 정도, 그리고 각 본체부의 바닥면 높이 차이에 의하여 수두차,
즉, 상기 트랩 각 방취부의 오수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의 수두(水頭; water head)와 관련하여
상기 제1유입관(잡배수용)의 수두가 제2유입관(분뇨용)의 수두 보다 높아 수두차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악취 역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또 상기 트랩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지상으로 연결된 맨홀이나 환기구를 통하여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공성 흡착미디어가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지상으로의 악취 휘산 역시 방지되도록 되어 있어
악취저감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설비 중 악취역류 방지를 위한 트랩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데,
대략적으로 조립 및 시공 용이성을 위한 것, 악취 역류방지기능 개선을 위한 것, 오수의 종류가 다양하여 여러 지관이 적절하게 합수된 후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개선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중 (주)엔포텍의 실용신안등록 제0342697호(2004.02.10)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과 일우산업(주)의 특허등록 제0538651호(2005.12.19) 『오수받이 장치』는
화장실에서 배출되는 분뇨와 부엌이나 욕실 등에서 배출되는 기타 잡배수가 합수되는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지기술들을 비롯한 종래 기술들은 주로 트랩으로 이어진 오수 유입관에만 절곡된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유출관쪽 단부는 절곡되지 않은 직선형이어서 방취(防臭)기능이 없으며,
나아가 각 유입관과 유출관에 수두차 개념이 적용되지 않은 것이어서,
이점과 관련하여 단순한 구조 변경으로 악취저감 효과 향상을 위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트랩 구조를 도입한 각종 오수받이에서 유입관 및 유출관이 합류되는 지점에 트랩을 도입할 경우 악취가 특히 잡배수를 위한 유입관쪽으로 역류되는 문제가 완벽하게 방지되지 않게 됨에 따라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구조변형이 시도(실용신안등록 제0342697호의 도 7에서와 같이 유출관 출구에 일종의 역지밸브 도입 등)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잡배수 및 분뇨 각각을 위한 제1 및 제2 유입관의 출구와 유출관의 입구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는 트랩에서 상기 제1유입관 쪽 유입방취부의 수두가 상기 제2유입관 쪽 유입방취부의 수두(水頭; water head) 보다 높아 악취 역류방지기능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유출관쪽으로의 오수 배출 원활성이 보장된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트랩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지상으로 연결된 맨홀이나 환기구를 통하여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공성 흡착미디어가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지상으로의 악취 휘산 역시 방지되도록 되어 있어 악취저감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출관에서의 오수의 배출 원활성 향상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유입관에 비하여 상기 유출관의 단면적으로 더 크게 하고, 또 상기 트랩에서 상기 유출관을 위한 부위에는 격벽을 타고 부드럽게 월류된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진 안내부를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조립 및 유지 보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트랩은 상호 분리가능한 하부부재와 상부부재로 구성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상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의 잠김배출부와 각 본체부를 물리적으로 상호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한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는
제1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제1잠김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유입관;
삭제
제2본체부, 상기 제2본체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제2잠김배출부를 포함하는 제2유입관;
상기 제1 및 제2 유입관의 제1 및 제2 잠김배출부 각각을 분할 격리하는 제1 및 제2 유입방취(防臭)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트랩; 및
상기 트랩을 위한 격벽에 의하여 상기 각 유출관의 잠김유입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입구와, 유출본체부를 구비한 유출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는 수두차 개념의 도입으로 악취 역류 방지기능의 완벽을 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잠김배출부 및 상기 제2잠김배출부의 절곡 연장 정도와, 상기 격벽 높이의 차등으로 인한 상기 각 잠김배출부가 오수에 잠기는 정도, 그리고 각 본체부의 바닥면 높이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입방취부의 오수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수두차가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는 흡착기능에 의하여 탈취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트랩의 상부에는 입상관이 더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입상관 상단부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입상관의 상부에는 다공성 흡착미디어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조, 조립 및 유지 보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트랩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입관은 각 본체부와 각 잠김배출부의 조립 결합을 위하여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잠김배출부 형성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정단면도로, 대략 도 2의 평단면도에서 트랩 중앙 부위에서 꺾인 "A-A"선을 따라 절개한 형태이다.
도 3 [가] 및 [나] 각각은 본 발명에서 유입관의 본체부와 잠김배출부가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는 각 방취부의 수두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5는 환기구에 본 발명의 다공성 흡착미디어를 도입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R)는 유입관이 부엌이나 욕실 등에서 배출되는 기타 잡배수를 위한 제1유입관(10)과 분뇨를 위한 제2유입관(2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오수의 출처 및 종류에 따라 상기 유입관의 수는 증감될 수 있다.
또 상기 유입관(10)(20)과 상기 유출관(30)이 만나는 지점에는 트랩(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트랩(40)은 격벽에 의하여 각 유입관(10)(20)을 위한 방취부(4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유입방취부(41)(43)로부터 격벽을 넘어,
월류된 오수는 조립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트랩(40)의 하부부재(40A)와 물리적으로 분리가능한 격벽 형성부재(45A)의 일측에 구비된 부드럽게 경사진 안내부(35)를 타고 흘러 상기 유출관(30)으로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유입관(10)(20)은 본체부(11)(21)와, 상기 본체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잠김배출부(13)(23)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오수 출처(부엌, 욕실 등)와 이어진 하수관의 직경, 경사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형상과 각도가 정해질 것인데, 도면에서 상기 유입관(10)(20)의 각 본체부(11)(21)는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또 상기 유출관(30)의 유출본체부(31) 역시 연결된 하수관의 직경과 경사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겠으나, 도면에서는 역시 수평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각 유입관(10)(20)과 달리 트랩 개념을 위한 구성, 즉 격벽에 의한 오수 체류 구조가 없다.
상기 유입관(10)(20)과 상기 유출관(30)의 각 본체부(11)(21)(31) 단부에는 다른 배관 연결구에서와 같이 암수결합 구조가 도입될 수 있다(미(未)도시됨).
또 상기 유입관(10)(20)의 잠김배출부(13)(23)에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트랩(40)의 각 방취부(41)(43)가 격벽(45)에 의하여 도입되어 있는데,
상기 방취부에 오수가 채워져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상기 유입관(10)(20)의 출구가 일정 깊이로 잠겨 있게 되어 악취 역류가 방지된다.
특히 상기 유출관(30)의 잠김유입부(33) 역시 상기 방취부()와 함께 트랩구조를 이루는 점이 종래 기술과의 차별점 중 하나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R)는 조립 및 유지보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트랩(40)은 상호 분리가능한 하부부재와 상부부재로 이루어진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도면에서 상기 트랩(40)은 상기 유입관(10)(20)의 잠김배출부(13)(23)와 본체부(11)(21)가 상기 트랩(40)의 아래의 하부부재(40A)로부터 분리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어 기름 등이 덩어리져 상기 유입관의 출구 또는 상기 유출관(30)의 입구(33)가 막혔을 때 하부부재(40A)를 상부부재(40B)에서 분리한 후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부재(40B)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또 상기 트랩(45)은 별도의 격벽형성부재(45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트랩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는 나사결합 방식, 억지끼움 방식, 접착제 이용방식을 활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입관(10)(20)의 본체부(11)(21)와 각 잠김배출부(13)(23)는 상호 분리 가능하여
상기 트랩(40) 부위의 막힘시 원활한 보수 작업을 보장하며, 그 외 제조, 조립, 유지 보수면에서 탁원한 오수받이를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유입관 및 유출관 본체부(11)(21)(31)는 주름관(자바라(蛇腹,じゃばら)) 형태로 되어 있다면 기존 하수시설 개보수시 본 발명의 오수받이를 도입할 경우 기존 하수관 설치 상태에 보다 쉽게 대처할 수 있다.
또 각 도면(특히 도 3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 상기 트랩을 위한 상기 격벽형성부재(45A) 외에 상기 각 유입관(10)(20)의 본체부(11)(21)와 상기 잠김배출부(13)(23) 각각을 분리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경우,
잠김배출부 형성부재(15)는 상기 트랩의 내벽을 향하여 측면 개구부(15a)와 유입관 출구를 위한 하부 개구부(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개구부(15a)는 각 유입관의 본체부(11)(21) 내경과 같거나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함),
상부 지붕(15b)에는 결합 및 분리 용이성을 위한 손잡이(15d)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랩(40) 내벽과의 밀착을 위하여 지붕(15b)에 호형 설(舌)부(15b')(필요에 따라 트랩 내벽과 상기 설부 접촉면에 패킹부재를 도입하거나 결합 후 실링 가능)가 도입되어 있으며,
상기 트랩(40) 내벽의 대응브라켓(15c')과 결합, 특히 엇물림 결합되는 결합 브라켓(15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15c) 상단에는 걸림턱(15e)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대응브라켓(15c') 상단에서 걸려 더 이상 하부로 상기 형성부재(15)의 정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브라켓(15c)(15c')은 직선형이 아니라 트랩 내주면 형상에 맞게 호형으로 만곡진 형태인 것이 가능하며, 또 대안적으로는 상기 잠김배출부 형성부재(15)와 트랩(40)을 접착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는 수두차 개념의 도입으로 악취 역류 방지기능의 완벽을 기하기 위하여 상기 트랩 각 방취부의 오수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수두차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특히 상기 방취부(41)(43)의 물 높이는 도 4의 개념도에서와 같이 각 잠김배출부(13)(23)의 절곡 연장 정도(즉, 도면에서는 잠김배출부 형성부재(15)의 높이)와,
각 방취부(41)를 위한 상기 격벽(45) 높이의 차이로 인한 상기 각 잠김배출부가 오수에 잠기는 정도, 그리고
각 본체부의 바닥면(11a,21a)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물의 높이와 관련된 수두(水頭, water head)(H10,H20)는 동일한 것이 아니라 차이가 있으며, 특히 상기 유출관(30) 쪽에는 수두 개념이 존재하지 않아 오수의 원활한 배출을 보장하고,
나아가 잡배수가 흐르는 상기 제1유입관(10)의 수두(H10)가 분뇨가 흐르는 상기 제2유입관(20)의 수두(H20) 보다 더 높아 상기 제1유입관 쪽으로 악취가 더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2유입관(20)은 수세식 변기와 이어질 것이므로 변기 자체의 트랩에 의하여 악취차단 효율이 더 클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R)가 일반적인 가정용 하수관에 설치될 경우 상기 각 수두는 [H10 = 90mm], [H10 = 80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출관(30)의 단면적은 제1유입관(10) 또는 제2유입관(20)의 단면적 보다 큰 것(예를 들어, 제1유입관(10), 제2유입관(20), 유출관(30) 순으로 각각 100mm, 100mm, 150mmm)이 보다 원활한 오수 소통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R)에서 또 다른 핵심은 흡착기능에 의하여 탈취효과를 얻도록 하여 악취가 지상으로 연결된 맨홀이나 환기구를 통하여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40)의 상부에는 입상관(50)이 암수 결합되어 더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입상관(50) 상단부에는 뚜껑, 특히 파지부와 잠금기능이 구비된 속뚜껑(63)과, 지면(G)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받침대(61a) 위에 지지슬리브(61b)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속뚜껑(63) 상부에 겉뚜껑(61)(통상 주철 소재)이 구비되어 있는 데,
상기 입상관(50)의 상부, 즉 상기 속뚜껑(63)의 직하부에는 다공성 흡착미디어(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다공성 흡착미디어(70)는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케이스 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입상관에도 상기 카트리지를 위한 장착부가 구비되어 있어 쉽게 탈착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에서와 같이 무동력 벤츄레이터(venturator)(67)가 구비된 환기구(65)에도 상기 흡착미디어(70)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흡착미디어(70)는 부식토, 토탄, 이탄 등을 성형한 펠렛(pellet)과 제올라이트 및 쇄석을 함유한 다공성 경석을 적절하게 층상 배열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때 기체상인 악취에 대하여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을 상기 펠렛 또는 경석에 고정한다면 보다 악취제거효율이 더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악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암모니아 가스는 펠렛 성분에 흡착된 다음 탈질균에 의하여 혐기성 조건하에서 분해 저분자화될 수 있고,
다른 악취 원인가스인 황화수소는 상기 경석의 미세공에 분자적으로 결합되어 흡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펠렛 또는 쇄석에는 예를 들어 토양미생물군인 악티노마이스(Actinomyces), 수도모나스(Pseudomonas), 티오바실러스(Thiobacillus) 등의 α- 또는 β-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그룹이 고정될 수 있고,
악취 전구물질들이 토양미생물의 대사산물과 결합 흡착되는 물리적 현상과 토양미생물의 대사산물 중에서 발생하는 OH-, COOH- 등의 라디칼에 의하여 질소화합물(암모니아계통 등)이나 황화합물(H2S) 등이 동(同)라디칼에 의하여 산화되어 저분자화되므로 악취 물질을 흡착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흡착미디어 카트리지는 적절한 주기(예: 6~24개월 단위)로 교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는 잡배수 및 분뇨 각각을 위한 제1 및 제2 유입관의 출구와 유출관의 입구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되는 트랩에서 상기 제1유입관 쪽 유입방취부의 수두가 상기 제2유입관 쪽 유입방취부의 수두(水頭; water head) 보다 높아 악취 역류방지기능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유출관쪽으로의 오수 배출 원활성이 보장될 수 있고, 또 본 발명은 상기 트랩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지상으로 연결된 맨홀이나 환기구를 통하여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공성 흡착미디어가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지상으로의 악취 휘산 역시 방지되도록 되어 있어 악취저감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유출관에서의 오수의 배출 원활성 향상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유입관에 비하여 상기 유출관의 단면적으로 더 크게 하고, 또 상기 트랩에서 상기 유출관을 위한 부위에는 격벽을 타고 부드럽게 월류된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진 안내부를 도입하였고, 나아가 조립 및 유지 보수 용 이성을 위하여 상기 트랩은 상호 분리가능한 하부부재와 상부부재로 구성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상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의 잠김배출부와 각 본체부를 물리적으로 상호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 오수받이, 트랩원리, 흡착미디어의 흡착 메커니즘, 미생물에 의한 악취가스 분해 메커니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오수받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 제1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제1잠김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유입관;제2본체부, 상기 제2본체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제2잠김배출부를 포함하는 제2유입관;상기 제1 및 제2 유입관의 제1 및 제2 잠김배출부 각각을 분할 격리하는 제1 및 제2 유입방취(防臭)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트랩; 및상기 트랩을 위한 격벽에 의하여 상기 각 유출관의 잠김유입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입구와, 유출본체부를 구비한 유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제1잠김배출부 및 상기 제2잠김배출부의 절곡 연장 정도와, 상기 격벽 높이의 차등으로 인한 상기 각 잠김배출부가 오수에 잠기는 정도, 그리고 각 본체부의 바닥면 높이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입방취부의 오수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수두차가 존재하도록상기 제1유입관의 수두는 상기 제2유입관의 수두 보다 더 높고, 상기 제1유입관으로는 잡배수가 흐르고, 상기 제2유입관으로는 분뇨가 흐르며,상기 트랩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입관은 각 본체부와 각 잠김배출부의 조립 결합을 위하여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잠김배출부 형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잠김배출부 형성부재는 상기 트랩의 내벽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결합브라켓을 가지며,상기 트랩의 내벽에는 상기 결합브라켓과 상호 결합되는 대응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잠김배출부 형성부재는 상기 트랩의 내벽과의 밀착을 위하여 지붕에 호형 설(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트랩은 상호 분리 가능한 하부부재와 상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트랩의 상부에는 입상관이 더 연장되어 있고,상기 입상관 상단부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으며,상기 입상관의 상부에는 다공성 흡착미디어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1071A KR100744819B1 (ko) | 2007-03-29 | 2007-03-29 |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1071A KR100744819B1 (ko) | 2007-03-29 | 2007-03-29 |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44819B1 true KR100744819B1 (ko) | 2007-08-01 |
Family
ID=3860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1071A KR100744819B1 (ko) | 2007-03-29 | 2007-03-29 |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48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0778B1 (ko) | 2010-12-28 | 2011-07-22 | (주)홍일산업 |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
KR102139343B1 (ko) * | 2020-03-19 | 2020-07-29 | 두리화학 주식회사 | 오수받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8411B1 (ko) | 2005-02-02 | 2005-12-22 | 주식회사 뉴보텍 | 오수받이장치 |
KR100654309B1 (ko) | 2004-07-06 | 2006-12-08 | (주)엔포텍 |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
-
2007
- 2007-03-29 KR KR1020070031071A patent/KR1007448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309B1 (ko) | 2004-07-06 | 2006-12-08 | (주)엔포텍 |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
KR100538411B1 (ko) | 2005-02-02 | 2005-12-22 | 주식회사 뉴보텍 | 오수받이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0778B1 (ko) | 2010-12-28 | 2011-07-22 | (주)홍일산업 |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
KR102139343B1 (ko) * | 2020-03-19 | 2020-07-29 | 두리화학 주식회사 | 오수받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A002493B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ода жидких экскрементов | |
JP2004521204A (ja) | 排泄物流出口アセンブリ | |
KR100744819B1 (ko) | 악취저감을 위한 오수받이 | |
KR100552492B1 (ko) | 오수받이 조립체 | |
KR200383882Y1 (ko) | 오수받이 | |
AU2009263971B2 (en) | Lavatory systems | |
KR100742723B1 (ko) | 다기능 소형맨홀 | |
KR20060121796A (ko) |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 |
KR20050080155A (ko) |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 |
KR100775076B1 (ko) | 맨홀 | |
KR200249076Y1 (ko) | 방취용 배수트랩 | |
KR20090001779U (ko) | 자동 개, 폐 격자판이 설치된 배수구 | |
KR200464940Y1 (ko) | 선박의 배수 장치 | |
KR200333410Y1 (ko) | 빗물 오수 겸용받이 | |
KR200449638Y1 (ko) | 가정용 잡배수 전용 정화조 | |
KR100740525B1 (ko) | 오수받이 장치 | |
CN220345352U (zh) | 一种配属公厕置顶污箱的便于更换滤芯的防臭过滤装置 | |
CN218176081U (zh) | 一种地漏防臭排水结构 | |
KR200305366Y1 (ko) | 배수 트랩 | |
CN218667807U (zh) | 一种大流量排水地漏 | |
CN220868377U (zh) | 无水小便器用防臭滤芯 | |
KR100428919B1 (ko) | 다중침전조에 의한 평면형 정화조 | |
JPH0960105A (ja) | 雑排水用排水桝 | |
KR200445976Y1 (ko) |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 | |
CN2934413Y (zh) | 下水道井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50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