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966B1 -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966B1
KR100743966B1 KR20050116536A KR20050116536A KR100743966B1 KR 100743966 B1 KR100743966 B1 KR 100743966B1 KR 20050116536 A KR20050116536 A KR 20050116536A KR 20050116536 A KR20050116536 A KR 20050116536A KR 100743966 B1 KR100743966 B1 KR 10074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ravel
communication terminal
miss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1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193A (ko
Inventor
임종래
이도용
Original Assignee
임종래
이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래, 이도용 filed Critical 임종래
Priority to KR20050116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9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9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여행자가 여행지 내의 특정 방문지를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곳을 방문하고, 풍부한 지식을 습득·함양하며, 미정된 코스로의 이동으로 여행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여행지 내의 지정된 다수의 방문지를 연속으로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트래블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입력된 값,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방문지에 대한 위치 정보의 일치 여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방문지에 위치한 물건으로부터 독출한 RFID 태그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방문지에 제대로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c) 사용자가 방문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d)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최종 방문지 도착시까지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b) 단계 내지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단계에 있어서, (a1)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사용자로부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받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트래블, 이동통신, GPS, LBS, RF

Description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Mission Travel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여행자가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22 : 기지국 전송기
124 : 기지국 제어기 130 : 이동통신 교환국
132 : 홈 위치 등록기 134 : 방문자 위치 등록기
140 : 게이트웨이 150 : 인터넷
160 :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 162 :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
170 : 사용자 컴퓨터 172 : 관리자 컴퓨터
300 : GPS 인공위성 310 : 위치 추적 서버
320 : LBS 정보 제공 서버 400 : 프로그램 메모리
402 : 키입력부 404 : LCD 표시부
406 : 데이터 저장부 408 : 모드상태 저장부
410 : 가입자 정보 저장부 412 : 마이크로 프로세서
414 : 디지털 신호 처리부 416 : 베이스밴드 변환부
418 : 스피커 420 : 마이크로폰
422 : 안테나 424 : RF 신호 처리부
426 : 미션 트래블 관리부 428 : GPS 처리부
430 : RFID 처리부
본 발명은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여행자에게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가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여행지를 찾아가는 미션(Mission)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장소를 여행하도록 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여행지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획득하도록 하며, 정해지지 않은 코스를 여행하도록 하여 신선함과 찾아가는 즐거움 및 흥미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도로 발달된 산업 사회가 형성되고, 이에 따르는 경제적 안정감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많은 여유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주5일 근무제가 점차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주말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에는 여유 시간에 행해질 수 있는 취미 생활로서 여행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현대 사회는 비행기나 고속 철도와 같은 교통 수단의 발전으로 해외 여행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여행지로 어디가 적합하며, 희망하는 여행 기간에 따라 어떠한 코스로 여행을 할 것인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여행 계획은 여행을 하고자 하는 당사자가 스스로 결정하거나 여행사, 관광공사, 여행지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하여 수립하게 된다. 그러면, 여행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한 상태에서 여행 계획을 세우게 되는 경우가 많아 당사자에게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여행에 익숙하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여행 패키지 상품을 이용하거나 지인들의 여행 경로를 습답(襲踏)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정해진 여행 코스로만 이동하게 되어 자칫 획일화된 여행이 될 수 있고, 새로운 곳을 방문한다는 여행에 대한 흥미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여행에 익숙한 사람들은 좀더 색다르고 계획적인 자신만의 여행을 원하기 때문에 상기로는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없다.
한편, 오늘날 정보 인프라의 구축, 통신 환경의 개선 및 각종 통신 정보 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을 통한 각종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온라인 상으로 여행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여행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여행 전에 미리 각각의 여행지에 대해 많은 사전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한 여행 계획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온라인 상에서 여행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는 단순히 여행지나 여행 패키지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소개해주는 정도에 불과하여 자신만의 여행 테마에 부합하는 즐겁고 재미있는 여행을 추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여행사의 여행 상품 서비스는 미리 정해진 여행 정보 및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이용자들은 상기 여행 정보 및 상기 여행 패키지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원하는 여행 상품을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여행 상품 서비스는 이미 정해진 상기 정보들이 일방적으로 제공되므로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일정이나 조건 등을 감안하여 여행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여행사 측은 이용자가 원하는 요구 사항에 대해 유효 적절하게 대처하기도 용이하지 않다.
상기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주문형 여행 상품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주문형 여행 상품 서비스는 이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조건을 입 력하여 근접 또는 해당하는 여행 상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용자로 하여금 여행 일정이나 여행 비용, 여행 장소 등의 조건들을 입력하게 하고, 이와 같이 입력된 이용자의 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여행 상품을 시스템에 등록된 여행 상품 중에서 검색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문형 여행 상품 서비스는 이용자가 여행지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공되므로 이용자가 가고 싶은 곳이라 하더라도 새로운 곳을 방문한다는 설레임이 없다. 즉, 단지 육안으로 확인한다는 즐거움을 제외하곤 신선함이 없어서 즐겁고 재미있어야 할 여행이 자칫 지루한 여행이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여행자에게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가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여행지를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장소를 여행하도록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행자에게 여행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여행자가 미션을 수행하면서 여행하고 있는 장소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으면서 지식을 축적하도록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행자가 미션을 통하여 정해지지 않은 코스를 여행하도록 하여 상기 여행자에게 신선함과 찾아가는 즐거움을 제공하며 재미있고 흥미로운 여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션 수행을 통해 여행자에게 여행 중의 구경거리, 교통, 식사, 숙박 등 조건에 맞는 최적화된 여행 루트를 제공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여행지 내의 지정된 다수의 방문지를 연속으로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트래블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입력된 값,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위치 정보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위치한 물건으로부터 독출한 RFID 태그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제대로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d) 상기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최종 방문지 도착시까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a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받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인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용자 컴퓨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된 다수의 방문지를 연속으로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가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가 여행지 또는 여행조건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상기 여행지 또는 상기 여행조건에 따라 방문지를 결정하고 상기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입력된 값,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위치 정보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위치한 물건으로부터 독출한 RFID 태그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제대로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g) 상기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h) 최종 방문지 도착시까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e) 단계 내지 상기 (g)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a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받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홈 위치 등록기(132),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 게이트웨이(140), 인터넷(150),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 및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컴퓨터(170), 및 관리자 컴퓨터(17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미션 트래블(Mission Travel)은 여행을 각각 하나의 역할을 받아 자신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방식의 게임인 RPG(Role Playing Game), MUD(Multi User Dungeon), MUG(Multi User Graphic) 등과 같은 종류의 게임을 하듯 이 여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로 여행자가 찾아가야 할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여행자는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방문지를 찾아가도록 하는 서비스로 정의된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은 역사, 공포, 추리, 스릴러, 로맨스 등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라마, 영화, 소설 등의 실제 배경이나 촬영지 등을 방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통신망과 인터넷을 경유하여 웹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키패드를 통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모바일 주소(WINC: 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가 입력되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이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후 상기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후 상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법이 무선 인터넷 이용시 적용되는 데이터 통신 요금과 같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직접 다운로드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 컴퓨터(170)가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다운로드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170)가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제작 단계에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를 실현시키기 위해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 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NTT Dokomo사의 'i-Mode', SK텔레콤사의 'NATE', KTF사의 'n-016', LG텔레콤사의 'ez-i'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통상의 휴대폰으로 셀룰러폰(Cellular Phone)이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휴대 및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인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이동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 수신장치를 내장하거나 삼각측량(Triangulation)에 의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위치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기지국(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무선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 접속 경로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20)은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지원 관리기능 등을 수행하며, 동기식(Synchronous) 및 비동기식(Asynchronous)을 모두 지원한다. 이러한 무선 기지국(120)은 기지국 전송기(122), 기지국 제어기(124), 및 중계기(Cell Enhancer: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CDMA 2000 1X, CDMA 2000 1X EV-DO(Evolution-Data Only) 등의 동기식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기지국 제어기(1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WCDMA(Wideband CDMA) 등의 비동기식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및 기지국 제어기(1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20)의 무선 접속망 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무선 접속망으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WCDMA(Wideband CDMA)망이나 향후 구현될 제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도 가능하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접속 요구 신호 또는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그 외에도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의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1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수신된 접속 요구 신호 또는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30)은 무선 기지국(12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을 하며,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기지국 제어기((124)를 통해 수신하여 게이트웨이((1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IS(Interim Standard)-95 A/B/C 시스템과 제3세대 및 제4세대 이동통신망을 모두 지원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셀 단위의 패킷(Pack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통상적인 호 처리 기능 외에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클럭 분배, LBS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LBS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에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서, CDMA 기반 이동통신망의 특성인 기지국을 통한 전파 탐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소지한 사람이나 이를 탑재한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자동 확인 및 추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LBS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지역 정보제공의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위치에 따른 이동통신 요금의 차등화,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위치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LBS는 미션 트래블 수행을 종료하는 절차 또는 단위 미션 트래블 수행의 완료 절차에 이용될 수 있다. 즉, LBS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전송된 방문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해당 방문지에 정확하게 찾아갔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문지 도착 확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방문지의 이름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LBS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무선 측위 기술(PDT: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을 이용한다. 상기 무선 측위 기술에는 무선 기지국(120)의 위치를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과 GPS 인공위성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추적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 두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단말기 위치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무선 기지국(120)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134)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32)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그러면, 홈 위치 등록기(13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홈 위치 등록기(132)는 대기, 착신 또는 발신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단말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 고유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는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게이트웨이(140)는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 등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게이트웨이(140)는 셀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셀 단위로 스위칭(Switch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14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acket Switched Dat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Broad ISDN), IN(Intelligent Network),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 타 통신망과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구비된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140)및 인터넷(150)을 경유하게 된다. 이때, 게이트웨이(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요청받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게이트웨이(140)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부터 TCP/I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구비된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종래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망간 연동 장치(IWF: Inter Working Function)가 구비되었다. 이러한 망간 연동 장치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에 직접 연결되어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망간 연동 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유선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망간 연동 장치는 이동통신망과 인터넷, 공중전화 교환망, 패킷 공중 데이터 교환망(PSPDN: 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망간 연동 장치는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인터넷(150)에 접속하게 된다.
WAP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해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WAP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WAP 프로토콜과 인터넷(150)에 연결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의 TCP/IP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WAP 게이트웨이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부터 수신한 HTML 형식의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달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인식 가능하도록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한다. 따라서, 데이터는 크기가 작아지므로 WAP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시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게이트웨이(140)는 망간 연동 장치와 WAP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하나 이상의 메뉴가 포함되는 데이터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임의의 메뉴를 선택하며 상기 메뉴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무선으로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여행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여행지를 선택하면 상기 여행지의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다운로드 받아서 이를 실행시켜 게임을 하듯이 여행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찾아가야 할 방문지에 대한 정보 즉, 단서를 제공하여 상기 단서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방문지를 찾아가도록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의 실제 사용례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에게 조건을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조건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적합한 여행지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상기 도출된 여행지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준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건으로는 국가나 지역, 여행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여행 기간, 명승지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은 직접 입력하거나 해당 번호에서 선택 입력 가능하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지에 대해 교통편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선택한 여행지로 이동 가능한 교통편을 확인한 후 적절한 교통편을 이용하여 해당 여행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지가 경주인 경우, 사용자는 버스나 철도, 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경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에게 버스, 철도, 자가 차량 중에서 무엇을 이용하여 이동할 것인지를 물은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 수단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버스나 철도를 원하는 경우에는 버스나 철도의 출발 시간표와 출발 터미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자가 차량을 원하는 경우에는 출발지로부터 경주까지의 지도나 고속도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버스나 철도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교통 수단을 예약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고, 서버 상에서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여행지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찾아가야 할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요청하는 경우 추가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방문지에 대한 정보는 텍스트나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노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방문지를 찾아갈 수 있는 교통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방문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해답을 입력하면, 상기 해답이 정답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해답이 정답이 아닌 경우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해답을 재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해답이 정답인 경우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여행지의 음식점이나 숙박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상기 음식점이나 상기 숙박시설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입력한 해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쿠폰을 제공하거나 차량을 이용할시 고속도로 톨게이트 비용을 대납 또는 할인하는 쿠폰을 제공할 수 있고, 추후 환전 가능한 사이버 머니로 적립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여행지의 유흥시설 등 편의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것도 가능하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여행자의 휴대폰 번호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친구 찾기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과 동일한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자에게 문자나 전화 통화를 통하여 상호 의견 교환이나 만남 및 동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동일한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여행자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미션 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 주를 여행하려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미션 트래블은 A에서 E까지 5가지가 있다. 이중에서 경주 미션 트래블 A를 수행하는 자에게는 321768이라는 미션 코드가 주어진다. 즉,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에 321768 미션 코드 수행중이라는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미션 코드를 검색하여 동일한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사용자를 쉽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동일한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여행자를 파악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의 미션 트래블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의 미션 트래블 수행 과정을 여행지도나 여행일기 등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미션 트래블 수행중 여행지에서 이동한 방문지를 LBS를 통하여 획득한 시간 정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여행지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션 트래블 수행중 여행지에서 이동한 방문지에 도착한 시간이나 이동중 있었던 에피소드 또는 감상 등을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문자나 화상 또는 음성 등으로 제공받아 이를 취합하여 사용자의 여행일기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여행지도나 여행일기에 동행자 정보를 포함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서 제공하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행자가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여행자가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 즉, 여행자는 경주를 여행하고자 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제공하는 여행지로부터 경주를 검색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는 경주를 직접 입력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경주 지역의 여행 코스를 저장하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서울에서 경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철도를 이용하여 경주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부터 철도 시간표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용 가능한 시간으로 철도편을 예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경주에 도착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에 의해서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기슭에 있는 절로 대한 불교 조계종 11교구본사(敎區本寺)의 하나이며, 그 경내(境內)는 사적 및 명승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1995년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록되었으며, 경내 면적은 11만 7541평이다."가 텍스트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텍스트로 제공된 정보가 불국사임을 알아낸 다음, 불국사로 이동한다. 한편,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에 의해서 불국사의 사진이 이미지로 제공되고, 사용자가 이를 보고 판단하여 불국사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텍스트로 제공된 정보로부터 불국사임을 알아내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추가 단서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에 의해서 "경내에 다보탑(多寶塔, 국보 제20호), 3층석탑(국보 제21호), 연화교 ·칠보교(蓮華橋 ·七寶橋, 국보 제22호), 청운교 ·백운교(靑雲橋 ·白雲橋, 국보 제23호), 금동비로자나불좌상(金銅毘盧遮那佛坐像, 국보 제26호), 금동아미타여래좌상(金銅阿彌陀如來坐像, 국보 제27호), 사리탑(舍利塔, 보물 제61호) 등의 많은 문화재가 잔존한다."가 텍스트로 제공되거나 불국사 사진이 이미지로 제공된다.
사용자가 불국사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불국사를 해답으로 입력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에 의해서 상기 해답이 정답임을 표시하고, 다음 미션 트래블의 수행을 위해 방문지에 대한 정보 즉, 다음 방문지에 대한 힌트를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다음 방문지인 석굴암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석굴암으로 이동하기 전 또는 이동하는 도중에 점심 식사를 하거나 잠시 쉬면서 차를 마시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음식점이나 찻집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음식점이나 찻집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념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부터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제공된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석굴암으로 이동한다. 그런 후, 사용자는 다음 방문지를 내일 방문하기 위해 숙박을 결정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부터 숙박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사용자는 적절한 숙박시설을 선택한 후에 상기 숙박시설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을 제공받는다. 한편, 사용자는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방문지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수행을 통하여 사용자는 최종 목적지인 문무대왕릉을 방문한 후 철도편을 이용하여 서울로 돌아온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은 각각의 방문지에 대한 정보 즉, 힌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방문지를 방문하고 방문지에 대한 해답을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미션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는 자를 통상적인 회원 확인 절차를 거쳐서 상기 접속자가 등록된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사용자에게 친구 찾기 기능을 제공하거나 미션 트래블을 수행한 사용자의 여행 일정을 여행지도나 여행일기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등록된 회원인 경우에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반드시 등록된 회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즉,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친구 찾기나 여행지도, 여행일기 등을 제공할 때에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하거나 문자로 전송하도록 하여 이를 전송받아 저장한 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인터넷(150) 상에 구현되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Client)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Server)와의 협동 작업을 통해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상호 협력적인 환경에서 운용하는 분산 처리 형태의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 각각 유선망과 무선망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의 요청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웹서버의 개념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웹서버는 도스(DOS), 윈도우즈(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맥오에스(Mac OS), 오에스투(OS/2), 솔라리스(Solari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즈 환경에서 사용되는 PWS(Personal Web Server),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웹사이트(Website), TTPS 및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웹서버 형태의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통상적인 의미의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를 연결하는 통신 수단으로서의 인터넷(150)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의 의미로서, 개방형의 인터넷, 폐쇄형의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인터넷망이거나,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무선 인터넷 통신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한 어떠한 통신 수단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무선 인터넷망에 이용될 수 있는 인터넷망은 통신 프로토콜인 TCP/IP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무선 인터넷망은 종래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어렵지 않는 변경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는 여행지에 대한 정보, 상기 여행지의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 여행지에 대한 교통편 정보, 방문지를 찾아갈 수 있는 교통편 정보, 여행지의 음식점이나 숙박시설 또는 유흥시설에 대한 정보, 쿠폰 정보, 사용자의 사이버 머니 등을 데이터로 저장한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보들이 데이터로 저장되거나 독출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 등과 같은 통상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일 수 있다. 그러나,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나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과 같은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eXtensible Markup Language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는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Elements)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 컴퓨터(170)는 미션 트래블을 이용하는 일반인이나 관광지, 축제 등을 홍보하고자 하는 단체가 접속하는 컴퓨터로서, 상기 일반인이나 단체가 임의로 제작한 미션 트래블을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 컴퓨터(170)가 접속하여 제공한 미션 트래블이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컴퓨터(172)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접속하는 컴퓨터로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와 연결되어 미션 트래블의 등록이나 변경, 수정 등을 처리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관리자 컴퓨터(172)가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컴퓨터(170) 및 관리자 컴퓨터(172)는 집이나 사무실 등에 구비되어 웹페이지를 구현하기 위한 표준 언어인 HTML, DHTML(Dynamic HTML), XML 등으로 작 성된 웹 기반형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HTTP를 이용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인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및 통상적인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사용자 컴퓨터(170) 및 관리자 컴퓨터(172)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인 것이 일반적이고 비록 컴퓨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한 어떠한 통신 수단도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트북, PDA, 셀룰러폰, PCS,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컴퓨터(170) 및 관리자 컴퓨터(172)는 일반 모뎀/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 등과 PSTN망, 케이블 모뎀과 유선 방송망, LAN 카드와 LAN망/기업 내의 인트라넷, 통신모듈(칩)과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연동된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외부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측위 기술에는 망 기반 방식과 핸드셋 기반 방식이 있다. 망 기반 방식은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에 기반해 위치 추적을 하는 것으로 Cell-ID를 추적하거나 무선 기지국(120)과 이동통신 단말기(110) 간의 거리 측위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새로운 모듈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10) 개발에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무선 기지국(120)의 셀(Cell) 크기나 위치 결정 방식에 따라서 위치 오차가 대략 500m ~ 수 km에 이를 정도로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핸드셋 기반 방식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자체에 위치 파악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도입한 것으로, 위성이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해서 위도 및 경도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핸드셋 기반 방식은 GPS, DGPS(Differential GPS)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위치 오차가 수 m 내지 수십 m 정도에 불과하여 망 기반 방식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를 참작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120), 이동통신 교환국(130), 홈 위치 등록기(132),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 게이트웨이(140), 인터넷(150),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 GPS 인공위성(300), 및 위치 추적 서버(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컴퓨터(170), 관리자 컴퓨터(172), 및 LBS 정보 제공 서버(3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 수신장치를 내장하거나 상기 GPS 수신장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목적지에 대한 현재 자신 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목적지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정보의 해답에 해당하는 방문지를 말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 인공위성(300)으로부터 발사되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중인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 안테나도 함께 구비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 안테나를 CDMA 단말기 안테나와 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저장된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위치 추적 서버(31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는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번호로서, 위치 추적 서버(310)가 홈 위치 등록기(132)로부터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는 단말기의 파일럿 추적(Pilot Chase) 능력, GPS 획득(Acquisition) 능력, 위치 계산 능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 추적 서버(310)는 수신한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결정을 위한 보조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보조 데이터는 GPS 인공위성(300)의 좌표 정보 및 식별 코드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 의 GPS 인공위성(300)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추출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자신의 위치가 결정되면, 경위도 좌표 등을 포함한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LBS 정보 제공 서버(320)로 전송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 위치까지의 운행 경로 정보 및 최단 거리 등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LBS 정보 제공 서버(320)는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운행 경로 정보 및 최단 거리를 계산한다. 그런 다음, LBS 정보 제공 서버(320)는 상기 계산값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텍스트나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 제공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무선 기지국(120)은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무선 기지국(120)은 GPS 전파를 수신하여 상기 GPS 전파를 위치 추적 서버(3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120)은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GPS 인공위성(300)은 GPS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위성으로서, 위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 데이터를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 한다. 통상적으로 GPS 인공위성(300)에서 전파 형태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각 GPS 인공위성(300)의 번호에 따라 고유하게 설계된 PRN(Pseudo Random Noise) 코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은 항법 데이터를 명확하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위치 추적 서버(3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계산하는 PDE(Positioning Determination Entity), GPS 처리 모듈, 및 IS-801-1(Position Determination Service Standard for Dual Mode Spread Spectrum Systems-Addendum)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위치 추적 서버(310)는 홈 위치 등록기(132)로부터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를 수신하면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인공위성(300)의 정보를 검색하여 보조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위치 추적 서버(310)는 상기 보조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위치 추적 서버(310)는 상기 보조 데이터를 IS-801-1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Provide Ephemeris"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으로 전송한다. 그 이유는, 위치 추적 서버(310)와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은 보조 데이터를 IS-801-1에 정의된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치 추적 서버(31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과 보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규격이 IS-80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위치 추적 서버(3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은 "Provide Ephemeri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GPS 인공위성(300)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은 상기 GPS 인공위성(300)을 탐색하여 GPS 전파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GPS 인공위성(300)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무선 기지국(120)은 상기 GPS 전파를 위치 추적 서버(3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위치 추적 서버(310)는 수신한 GPS 전파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항법 데이터와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추적 서버(3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측정값을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치 추적 서버(310)에 구비된 PDE가 GPS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LBS 정보 제공 서버(3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운행 경로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LBS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LBS 정보 제공 서버(3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위치 추적 서버(310)로부터 측위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 위치까지의 운행 경로 정보 및 최단 거리를 계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또한, LBS 정보 제공 서버(320)는 각종 LBS 서비스의 등록, 삭제, 수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LBS 정보 제공 서버(320)는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운행정보 도우미 애플리 케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운행정보 도우미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120) 또는 위치 추적 서버(310)에서 측위한 위치 정보로부터 운행 경로 정보 및 최단 거리를 도출하여 영상, 문자, 음성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운행정보 도우미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생산 단계에서 프로그램 메모리에 기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LBS 정보 제공 서버(320)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LBS 정보 제공 서버(320)가 구비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전송된 방문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방문지가 어디인지를 알아낸 후 상기 방문지에 보다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다음과 같이 보다 상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프로그램 메모리(400), 키입력부(402), LCD 표시부(404), 데이터 저장부(406), 모드상태 저장부(408), 가입자 정보 저장부(410), 마이크로 프로세서(412),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 베이스밴드 변환부(416), 스피커(418), 마이크로폰(420), 안테나(422), RF 신호 처리부(424), 및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 처리부(428), 및 RFID 처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40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자체의 기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400)는 URL 또는 모바일 주소로부터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접속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키입력부(402)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과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및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한다.
LCD 표시부(404)는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LCD 표시부(404)는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 저장부(406)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406)는 키입력부(402)에 의해 입력된 숫자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수신된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406)는 LBS 정보 제공 서버(320)로부터 제공되는 운행정보 도우미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모드상태 저장부(408)는 키입력부(402)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그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12)는 설정 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게 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310)는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기 등록정보는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410)는 카드 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이동통신망에서 이용하는 통상적인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12)는 모드상태 저장부(408)에 저장된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등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412)는 사용자가 키입력부(402)를 통하여 키입력을 실행하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요구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출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412)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LCD 표시부(404)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41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416)와 주고 받는 오디오 데이터(SPEECH)를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는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는 스피커(418), 마이크로폰(420), 및 RF 신호 처리부(424)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418)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420)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12)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해 RF 신호 처리부(424)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424)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414)로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는 RF 신호 처리부(424)의 전력을 제어하고(POWER), 상기 전력의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스피커(4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416)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마이크로폰(4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안테나(422)는 RF 신호 처리부(424)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424)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안테나(422)는 GPS 안테나를 포함한다.
RF 신호 처리부(424)는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422)로 출력하거나, 안테나(422)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을 통하여 수신 메시지 신호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 출력하는 기능 을 한다.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시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의 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전송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시 이동통신 단말기(110) 상에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GPS 처리부(428)는 GPS 수신장치를 구비하며, 위치 추적 서버(310)로부터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Provide Ephemeri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GPS 인공위성(300)의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GPS 처리부(428)는 GPS 인공위성(300)을 탐색하여 GPS 전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GPS 처리부(428)는 하나 이상의 GPS 인공위성(300)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하면 상기 GPS 전파를 위치 추적 서버(3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GPS 처리부(428)는 상기 GPS 전파로부터 항법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 상기 항법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기 등록정보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측위하는 기능,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측정값을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위치 측정값 또는 위치 추적 서버(310)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측정값을 LBS 정보 제공 서버(320)로 전송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 위치까지의 운행 경로 정보 및 최단 거리 등을 요청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처리부(4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상에 RFID 판독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 상기 목적지에 위치한 특정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근접시키면 상기 RFID 태그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RFID 처리부(430)는 RFID 태그를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상기 RFID 태그가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목적지 RFID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통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목적지 RFID는 상기 목적지에 위치한 특정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를 말한다.
이러한 RFID 처리부(43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에 이용된다. 따라서, RFID 처리부(430)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100)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컴퓨터(17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여행하고 싶은 장소를 검색 선택한다(S500). 이때, 사용자는 상기 여행지를 직접 입력하거나 조건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여행지의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서 독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502). 이때,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 컴퓨터(170)로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 컴퓨터(17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조건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통상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범주(Category)를 제공한다. 이러한 범주에는 국가나 지역, 여행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여행 기간, 명승지 등을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제공하는 조건으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선택한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여행지를 추천한다. 사용자가 상기 여행지를 선택하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여행지를 선택하지 않으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차선으로 추출된 여행지를 추천한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조건의 재입력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는 여행지의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같은 여행지라고 하더라도 여행 코스가 다를 수 있고, 여행 기간에 따라서 방문할 수 있는 장소는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 행지에 대해서 둘 이상의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행하고 싶은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선택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에게 조건을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조건으로부터 가장 적절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에는 성별, 일행수, 나이, 출발시간, 여행기간, 예산, 여행 종류, 미션 난이도, 친구 찾기 등록 여부 등이 포함된다.
한편,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시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실행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 과정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미션 트래블을 종료한 후 상기 미션 트래블에 대한 여행지도나 여행일기의 제작을 요청할시 별도의 사용자 정보 등록을 요청하지 않게 되어 편리하다.
이러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 인증부를 구비하고, 사용자 인증정보 DB는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의 사용자 인증부는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정보 DB로부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부는 통상적인 회원 확인 절차를 거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접속하는 자가 등록된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판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입력한 정보가 회원 가입시에 입력한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접속하는 자가 등록되지 않은 비회원이면 회원 등록 절차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의 사용자 인증정보 DB에 상기 접속한 자를 사용자 등록하고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를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 기술한 회원 등록 절차는 회원 약관에 동의하는 절차와 소정의 신원 확인 절차 및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각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등을 입력하는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접속한 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에 기술한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로 나타내는 회원 확인 절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출발지에서 여행지까지의 교통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교통 수단이 버스나 기차, 비행기 등인 경우 이를 예약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여행지에 도착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키입력부(402)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한다(S504).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데이터 저장부(406)에 저장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506).
한편,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은 락킹(Locking)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는 것 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여행지에 도착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의 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해정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상기 정보로부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의 락킹을 해정하고,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여행지에 진정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해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CDMA망이나 GPS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측정값을 전송받아 이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여행지에 진정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측정값을 구하는 방법은 상기 도 1 및 상기 도 2에 기술한 CDMA망 또는 GPS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여행지의 도착 지점에 구비된 특정 물건의 RFID 태그를 전송하면 이로부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여행지에 진정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여행지의 도착 지점은 버스나 철도, 비행기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거장이 될 수 있고,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지역의 시청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여행지의 도착 지점에 구 비된 특정 물건의 RFID 태그에 근접시킨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RFID 처리부(430)는 상기 RFID 태그를 독출하여 이를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전송한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RFID 처리부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여행지 RFID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LCD 표시부(404)를 통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508). 한편,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418)를 통하여 음성 또는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목적지로 찾아간다. 사용자는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 방문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도출된 목적지를 입력한다(S510). 이러한 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키입력부(402)를 통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제시된 것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목적지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제공된 방문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목적지를 도출하지 못한 경우, 추가적으로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와 동일한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자의 휴대폰 번호와 같은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정보로부터 동일한 미션 트래블을 수행하는 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는 대신 CDMA망 또는 GPS망을 통하여 이동통 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목적지의 특정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를 독출 전송하여 이로부터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는 목적지 RFID가 저장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가 정답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LCD 표시부(404)를 통하여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지의 여부에 대해 입력을 요청한다(S512). 이러한 입력 요청은 O, X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 요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키입력부(402)를 통하여 정보 제공을 요청하지 않으면,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S514). 그리고, 사용자가 키입력부(402)를 통하여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16).
한편,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12)에 의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여행지의 음식점이나 숙박시설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고속도록 톨게이트 비용을 대납 또는 할인하는 쿠폰, 추후 환전 가능한 사이버 머니 등을 제공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받지 않고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 (16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여행하고 싶은 장소 및 상기 여행지의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방법과 같다.
사용자는 여행지에 도착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여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의 구동을 요청한다. 그러면,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진정 여행지에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CDMA망이나 GPS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확인 방법, 여행지의 도착 지점에 위치한 특정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통한 사용자의 진정 도착 여부 확인 등이 있다.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에 의해서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도출한다. 그런 다음,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상기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LCD 표시부(404)를 통하여 사용자가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미션 트래블 관리부(426)는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스피커(418)를 통하여 음성 또는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목적지로 찾아간다. 사용자는 목적지에 도착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하여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목적지를 입력한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CDMA망 또는 GPS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목적지의 특정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의 독출을 통하여 사용자가 목적지에 진정 도착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가 정답인 경우에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거나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한편,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여행지의 음식점이나 숙박시설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고속도록 톨게이트 비용을 대납 또는 할인하는 쿠폰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사이버 머니를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구비된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추후 환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 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여행자에게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가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여행지를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장소를 여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행자에게 여행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여행자가 미션을 수행하면서 여행하고 있는 장소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으면서 지식을 축적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행자가 미션을 통하여 정해지지 않은 코스를 여행하도록 하여 상기 여행자에게 신선함과 찾아가는 즐거움을 제공하며, 재미있고 흥미로운 여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션 수행을 통해 여행자에게 여행 중의 구경거리, 교통, 식사, 숙박 등 조건에 맞는 최적화된 여행 루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미션을 수행하는 여행자끼리 문자나 대화가 가능하도록 친구 찾기 기능을 제공하여 시간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홀로 여행시에도 동행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행을 마친 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자신이 여행한 장소와 시간을 제공하여 이를 토대로 여행 일기나 여행 지도를 제작하는 등 의 여행 정보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기억에 남는 여행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모바일 기기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여행지 내의 지정된 다수의 방문지를 연속으로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트래블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입력된 값,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위치 정보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위치한 물건으로부터 독출한 RFID 태그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제대로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d) 상기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최종 방문지 도착시까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b)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a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받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방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방문지에 대한 지명, 건물 명칭, 유물, 인물, 역사적 유래, 시사, 소설, 영화, 드라마, 및 특산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와 상기 (e) 단계의 중간 단계로서,
    (a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장소에 대한 교통편 정보, 음식점 정보, 및 숙박시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a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교통편, 상기 음식점, 및 상기 숙박시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사용 가능한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인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하는 사용자 컴퓨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된 다수의 방문지를 연속으로 찾아가는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시스템의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가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가 여행지 또는 여행조건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상기 여행지 또는 상기 여행조건에 따라 방문지를 결정하고 상기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입력된 값,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위치 정보의 일치 여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위치한 물건으로부터 독출한 RFID 태그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제대로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문지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g) 상기 다음 방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다음 방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h) 최종 방문지 도착시까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e) 단계 내지 상기 (g)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 있어서,
    (a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받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방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의 중간 단계로서,
    (a2)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를 통하여 상기 여행지 조건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상기 여행지 조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여행지를 독출하는 단계;
    (b2)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독출된 여행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를 통하여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선택 결정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2)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여행지를 선택하지 않을시,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로 차선으로 추출된 여행지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여행지 조건의 재입력 또는 재선택을 요청하거나, 접속을 종료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a3)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가 하나 이상 구비된 상기 여행지의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로 전송하는 단계; 및
    (b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가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 리스트에서 적절한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이를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a4)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에 연결되는 단계; 및
    (b4)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로부터 상기 미션 트래블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접속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170)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22. 삭제
  23. 제 17 항에 있어서,
    (i) 상기 미션 트래블 제공 서버(16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 경로를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의 여행 내역을 상기 미션 트래블 데이터베이스(162)에 저장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20050116536A 2005-12-01 2005-12-01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KR10074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6536A KR100743966B1 (ko) 2005-12-01 2005-12-01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6536A KR100743966B1 (ko) 2005-12-01 2005-12-01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193A KR20070058193A (ko) 2007-06-08
KR100743966B1 true KR100743966B1 (ko) 2007-07-30

Family

ID=3835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16536A KR100743966B1 (ko) 2005-12-01 2005-12-01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9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85B1 (ko) * 2013-06-21 2014-01-29 김용성 스마트 관광 트레일 안내 서비스 방법
KR102261259B1 (ko) 2019-11-28 2021-06-07 강철진 스포츠 대전 상대 매칭 및 보상 방법과 그 시스템
KR20220060835A (ko) 2020-11-05 2022-05-12 강철진 배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80050A (ko) 2021-11-29 2023-06-07 강철진 스포츠 대전 상대 매칭 및 보상 방법과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611B1 (ko) * 2008-06-19 2011-0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1117329B1 (ko) * 2011-05-16 2012-03-20 서봉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션 수행 타입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22789B1 (ko) * 2011-07-11 2012-03-21 김동식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올레길 인증 시스템
KR101459394B1 (ko) * 2012-09-14 2014-11-10 주식회사 에스티엔 교육 컨텐츠 현장학습 방법
KR101488934B1 (ko) * 2013-03-28 2015-02-09 주식회사 문엔썬소프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위치기반 미션 수행 서비스 제공방법
WO2015093635A1 (ko) * 2013-12-16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미션 제공 서버 및 그들의 미션 제공 방법
KR102170133B1 (ko) * 2018-09-05 2020-10-27 안경찬 위치기반 광고 메시지 발송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508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코소넷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경쟁게임을 통한 사업모델
KR20030081705A (ko) * 2002-04-12 2003-10-22 정현영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보물찾기 게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508A (ko) * 2001-04-16 2002-10-26 주식회사 코소넷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경쟁게임을 통한 사업모델
KR20030081705A (ko) * 2002-04-12 2003-10-22 정현영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보물찾기 게임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85B1 (ko) * 2013-06-21 2014-01-29 김용성 스마트 관광 트레일 안내 서비스 방법
WO2014204226A1 (ko) * 2013-06-21 2014-12-24 Kim Yong Sung 스마트 관광 트레일 안내 서비스 방법
KR102261259B1 (ko) 2019-11-28 2021-06-07 강철진 스포츠 대전 상대 매칭 및 보상 방법과 그 시스템
KR20220060835A (ko) 2020-11-05 2022-05-12 강철진 배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80050A (ko) 2021-11-29 2023-06-07 강철진 스포츠 대전 상대 매칭 및 보상 방법과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193A (ko) 200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966B1 (ko) 미션 트래블 제공 방법
JP5953032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にユーザの位置情報を自動的に掲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549044B2 (en) Range-centric contextual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US9563922B2 (en) Social networking system which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related
US20110065451A1 (en) Context-triggered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and services
CN102595407A (zh) 一种使移动设备自动登录并接入无线网络的系统和方法
Adams et al. Location-based services—an overview of the standards
CN101924996A (zh) 基于地理位置信息的话题群聚方法及系统
US20140074394A1 (en) Geographic coordinates coding software product
CN103020254A (zh) 信息的推荐方法及装置
CN112033409A (zh) 一种邮轮内部基于uwb定位的手持导航系统及方法
KR1006277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반한 광고 메시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77687A (ko) Rfid를 이용하는 정보 안내 시스템 및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CN107071172A (zh) 一种个性化信息共享的具有导航功能的智能手机
Cheng et al. iZone: a location-based mobile social networking system
KR20020083749A (ko) 원격 관광 안내 시스템
KR100726075B1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58805B1 (ko) 증강 현실 메시지 송수신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647941B1 (ko) 이동통신망과 차량 네비게이션을 연동한 주차장안내서비스 방법
KR20080074813A (ko)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932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추적 시스템의 일과 다이어리를통한 생활 패턴 분석 방법
CN104427611A (zh) 定位终端用户的方法和设备
KR20060028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른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22587A1 (en) Providing location path
JP553628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