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155B1 -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155B1
KR100741155B1 KR1020060068495A KR20060068495A KR100741155B1 KR 100741155 B1 KR100741155 B1 KR 100741155B1 KR 1020060068495 A KR1020060068495 A KR 1020060068495A KR 20060068495 A KR20060068495 A KR 20060068495A KR 100741155 B1 KR100741155 B1 KR 10074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eight
tree
terrain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민
김은영
박상현
Original Assignee
한진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한진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06006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항공기에서 발사한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산림의 수관(樹冠)의 표면 및 지표면까지 탐색함으로써, 개체 목을 포함한 모든 수목의 높이를 정확히 추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특징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성항법장치, 관성항법장치, 및 레이저 발생장치를 통해 대상 지역의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취득한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며, 식생 데이터로부터 수목이 존재하는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모듈; 및 데이터 분류모듈을 통해 분류된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높은 식생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높이 추출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으로 분석할 수 없었던 3차원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높은 해상도를 갖는 Ground Suface Model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수목, 식생, 레이저 측량 데이터

Description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 방법{System for extracting height data of tree using laser pulse and method theref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류모듈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추출모듈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의 제 2 과정에 관한 세부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삼각망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형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의 제 3 과정에 관한 세부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이 존재하는 높은 식생 데이터를 나 타내는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의 제 4 과정에 관한 세부 흐름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된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나타내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 200: 데이터 분류모듈
300: 높이 추출모듈 210: 지형 데이터 산출부
220: 식생 데이터 산출부 211: 초기 포인트 설정수단
212: 최대 식생크기 설정수단 213: 최대 지형경사 설정수단
214: 반복 각 설정수단 215: 거리 설정수단
310: 수목 분류부 320: 데이터 생성부
330: 높이 추출부
본 발명은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 레이저 펄스의 반사파를 이용하여 임관의 3차원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임목의 수고(樹高)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림 관리를 위한 원격탐사는 광학 센서를 이용한 항공측량 및 위성영상을 통한 측량이 이루어져왔다. 항공측량은, 상공에서 산림의 표면만을 촬영하는 방식으로서, 산림내의 개체 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으며, 촬영 고도에 따른 해상도의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산림의 수종을 정확히 분류하는 고 해상도의 위성영상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해상도의 한계로 인해 개체 목을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한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은 3차원의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은, 항공사진과 위성을 이용한 2차원의 데이터를 임목의 수고 분석 및 지형의 수치표고모델(DEM) 제작을 수행할 수 없으며, 항공사진의 촬영표고 및 위성영상의 종류에 따라 영상의 공간 해상도에 오차가 존재한다는 실태에 기인하며, 이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공통문제로 회자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항공기에서 발사한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산림의 수관(樹冠)의 표면 및 지표면까지 탐색함으로써, 개체 목을 포함한 모든 수목의 높이를 정확히 추출할 수 있는 추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 2 목적은,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으로 분석할 수 없었던 3차원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높은 해상도를 갖는 Ground Suface Model을 생성할 수 있는 수목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위성항법장치, 관성항법장치, 및 레이저 발생장치를 통해 대상 지역의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취득한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식생 데이터로부터 수목이 존재하는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모듈; 및 상기 데이터 분류모듈을 통해 분류된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높은 식생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높이 추출모듈;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분류모듈은,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초기 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망을 형성하는 초기 포인트 설정수단과,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내에서 가장 큰 식생의 크기를 설정하는 최대 식생크기 설정수단과,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를 측정하는 최대 지형경사 설정수단과,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인접한 각각의 점을 반복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다수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각이 소정 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정 각 반복 각 설정수단, 및 소정 각 이하일 경우, 상기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거리 이하일 경우, 각각의 점을 지형 데이터로 판단하여 산출하는 거리 설정수단으로 구성된 지형 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지형 데이터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 각각을 소정 높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높이 이상일 경우, 상기 데이터를 높은 식생 데이터로 판단하여 분류하는 식생 데이터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 추출모듈은, 상기 데이터 분류모듈로부터 분류된 높은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수목의 면적을 측정하고, 상기 면적이 소정 면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면적 이하일 경우, 인접한 수목과의 간격이 소정 간격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간격 이하일 경우, 상기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목 데이터로 분류하는 수목 분류부; 상기 수목 분류부로부터 분류된 수목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목의 최상단 점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직상의 동일 위치한 지형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연산하여 지형의 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수목의 점 데이터와 지형의 면 데이터의 차이에 의해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높이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 데이터 분류모듈, 및 높이 추출모듈로 구성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추출장치가 항공 레이저 측량을 통해 대상 산림의 3차원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1 과정; (b) 상기 추출장치가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 2 과정; (c) 상기 추출장치가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식생 데이 터로부터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하는 제 3 과정; 및 (d)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c) 과정에서 분류된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4 과정;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과정은, (b-1) 상기 추출장치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초기 포인트를 결정하여,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망을 형성하는 단계; (b-2) 상기 추출장치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데이터 내에서 가장 큰 식생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 (b-3) 상기 추출장치가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를 측정하는 단계; (b-4)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각이 소정 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5) 상기 (b-4)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각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6) 상기 (b-5)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각각의 점을 지형 데이터를 판단하여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c) 과정은, (c-1) 상기 추출장치가 산출된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 각각을 소정 높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c-1)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높이 이상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소정 높이 이상인 데이터를 높은 식생 데이터로 판단하여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d) 과정은, (d-1) 상기 추출장치가 높은 식생 데이 터로 구성된 수목의 면적을 측정하고, 측정된 면적이 실제 수목으로 간주될 수 있는 소정 면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면적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인접한 수목과의 간격이 소정 간격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3) 상기 (d-2)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간격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높은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를 실제 수목 데이터로 분류하는 단계; (d-4) 상기 추출장치가 (d-3) 단계에서 분류된 수목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목의 최상단 점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직상의 동일 위치한 지형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연산하여 지형의 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5)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수목의 점 데이터와 지형의 면 데이터의 높이 차이에 의한 값을 수목의 높이 데이터로 판단하여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100), 데이터 분류모듈(200), 및 높이 추출모듈(300)로 구성된다.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100)은 위성항법장치, 관성항법장치, 및 레이저 발생장치를 통해 대상 지역의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분류모듈(200)은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취득한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주요 기능에 따라 도 2 와 같이, 지형 데이터 산출부(210), 및 식생 데이터 산출부(220)를 포함한다.
먼저, 레이저 측량 데이터로부터 지형 데이터를 산출하는 지형 데이터 산출부(21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포인트 설정수단(211)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에러 포인트 즉, 초기 포인트(Error Point)를 결정하여,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망을 형성한다. 여기서, 초기 포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에러 값으로서, 지형보다 낮게 추출되는 점을 의미한다.
최대 식생크기 설정수단(212)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데이터 내에서 가장 큰 식생의 크기를 설정하며, 이러한 크기 내에는 지형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하게 된다.
최대 지형경사 설정수단(213)은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형의 경사를 측정한다. 반복 각 설정수단(214)은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 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인접한 각각의 점을 반복적으로 찾으며, 거리 설정수단(215)은 지형과의 높이 차이가 크지 않은 수목이 지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점간의 거리를 설정한다. 이는 반복 각과 동시에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지형과의 높이 차이가 크지 않은 수목이 지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식생 데이터 산출부(220)는 지형 데이터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지형 데이터를 바탕으로 식생 데이터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식생 데이터는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으며, 산림 수목의 대부분은 높은 식생 데이터에 존재하는 바, 식생 데이터 산출부(220)는 산출된 지형 데이터 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 중 소정 높이 값을 기준으로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한다.
그리고, 높이 추출모듈(300)은 상기 데이터 분류모듈을 통해 분류된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주요 기능별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식생 데이터로부터 수목 데이터를 분류하는 수목 분류부(310)와, 분류된 수목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목의 최상단 점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직상의 동일 위치한 지형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연산하여 지형의 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320), 및 수목의 점 데이터와 지형의 면 데이터의 차이에 의해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높이 추출부(33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100), 데이터 분류모 듈(200), 및 높이 추출모듈(300)의 구성을 갖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이하, '추출장치')의 기능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일 양상에 따른 수목의 높이 추출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를 추출방법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 레이저 측량을 통해 대상 산림의 3차원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1 과정(S100)과,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 2 과정(S200)과,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림의 수목이 존재하는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하는 제 3 과정(S300), 및 분류된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4 과정(S4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100)은 위성항법장치, 관성항법장치, 및 레이저 발생장치를 통해 대상 산림의 3차원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1 과정을 실행한다(S100).
또한, 항공 레이저 측량을 통해 취득한 3차원 데이터는 지형 데이터 및 수목을 포함한 다양한 식생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데이터 분류 모듈(200)은 상기 3차원 데이터로부터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 2 과정을 실행한다(S200).
구체적으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 데이터 산출부(210)의 초기 포 인트 설정수단(211)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에러 포인트 즉, 초기 포인트(Error Point)를 결정하여, 도 6 과 같은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망을 형성하며(S210), 최대 식생크기 설정수단(212)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데이터 내에서 가장 큰 식생의 크기를 설정하고(S220), 최대 지형경사 설정수단(213)은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형의 경사를 측정한다(S230).
반복 각 설정수단(214)은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인접한 각각의 점을 반복적으로 찾으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각(angle)이 소정 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판단결과, 소정 각 이하일 경우, 거리 설정수단(215)은 상기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거리(distance)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판단결과, 소정 거리 이하인 경우, 각각의 점을 지형 데이터로 판단하여 산출한다(S260).
본 실시예에서 최대 식생의 크기를 100m × 100m 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그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삼각망 각각의 면과 인접한 점과의 소정 각을 4˚ 내지 10˚ 로 설정하겠으나, 지형 굴곡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점과의 소정 거리를 0.5m 내지 1.5m, 바람직하게 1.2m 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그 거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식생 데이터는 산출된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으며, 산림 수목의 대부분은 높은 식생 데이터에 존재하는 바, 식생 데이터 산출부(220)는 산출 된 지형 데이터로부터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하는 제 3 과정을 실행한다(S300).
구체적으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데이터 산출부(220)는 산출된 지형 데이터 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 각각을 소정 높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S310), 판단결과, 소정 높이 이상일 경우, 도 9 와 같이, 소정 높이 이상인 데이터를 높은 식생 데이터(H)로 판단하여 분류한다(S320).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각각의 소정 높이를 1.5m 내지 2.5m, 바람직하게 2m 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그 높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높이 추출모듈(300)은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4 과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분류된 높은 식생 데이터 중 인공지물 등의 건물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추출모듈(300)의 수목 분류부(310)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수목의 면적(m2)을 측정하고, 측정된 면적이 실제 수목으로 간주될 수 있는 소정 면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S410), 판단결과, 소정 면적 이하일 경우, 수목 분류부(310)는 인접한 수목과의 간격이 소정 간격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판단결과, 소정간격 이하일 경우, 수목 분류부(310)는 상기 높은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를 실제 수목 데이터로 분류한다(S430). 본 실시예에서, 수목의 면적을 20m2로 설정하겠으며, 인접한 수목과의 소정 간격을 0.5m 내지 1.5m, 바람직하게 1m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그 면적 및 간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목 면 데이터 생성부(320)는 수목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목의 최상단 점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직상의 동일 위치한 지형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연산하여 지형의 면 데이터를 생성한다(S440). 그리고, 높이 추출부(330)는 도 11 과 같이, 수목의 점 데이터와 지형의 면 데이터의 높이 차이에 의한 값을 수목의 높이 데이터로 판단하여 추출한다(S450).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항공기에서 발사한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산림의 수관의 표면 및 지표면까지 탐색함으로써, 수목의 소정면적 및 소정간격을 설정할 수 있어 식생 데이터로부터 수목을 정확히 구분해낼 수 있으며, 산림의 개체 목을 포함한 모든 수목의 높이를 정확히 추출할 수 있다는 특징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에서 발사한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여 산림의 수관(樹冠)의 표면 및 지표면까지 탐색함으로써, 수목의 소정면적 및 소정 간격을 설정할 수 있어 식생 데이터로부터 수목을 정확히 구분해낼 수 있으며, 산림의 개체 목을 포함한 모든 수목의 높이를 정확히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으로 분석할 수 없었던 3차원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높은 해상도를 갖는 Ground Suface Model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에 있어서,
    위성항법장치, 관성항법장치, 및 레이저 발생장치를 통해 대상 지역의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100);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취득한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식생 데이터로부터 수목이 존재하는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모듈(200); 및
    상기 데이터 분류모듈을 통해 분류된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높은 식생 데이터에 포함된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높이 추출모듈(300); 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 추출모듈(300)은,
    상기 데이터 분류모듈로부터 분류된 높은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수목의 면적을 측정하고, 상기 면적이 소정 면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면적 이하일 경우, 인접한 수목과의 간격이 소정 간격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간격 이하일 경우, 상기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를 수목 데이터로 분류하는 수목 분류부(310);
    상기 수목 분류부로부터 분류된 수목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목의 최상단 점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직상의 동일 위치한 지형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연산하여 지형의 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320); 및
    상기 수목의 점 데이터와 지형의 면 데이터의 차이에 의해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높이 추출부(3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류모듈(200)은,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초기 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망을 형성하는 초기 포인트 설정수단(211)과,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내에서 가장 큰 식생의 크기를 설정하는 최대 식생크기 설정수단(212)과, 상기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를 측정하는 최대 지형경사 설정수단(213)과,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삼 각망 각각의 면과 인접한 각각의 점을 반복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다수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각이 소정 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소정 각 반복 각 설정수단(214), 및 소정 각 이하일 경우, 상기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거리 이하일 경우, 각각의 점을 지형 데이터로 판단하여 산출하는 거리 설정수단(215)으로 구성된 지형 데이터 산출부(210); 및
    상기 지형 데이터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 각각을 소정 높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 높이 이상일 경우, 상기 데이터를 높은 식생 데이터로 판단하여 분류하는 식생 데이터 산출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3. 삭제
  4. 레이저 측량 데이터 생성모듈(100), 데이터 분류모듈(200), 및 높이 추출모듈(300)로 구성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추출장치가 항공 레이저 측량을 통해 대상 산림의 3차원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1 과정(S100);
    (b) 상기 추출장치가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형 데이터 및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 2 과정(S200);
    (c) 상기 추출장치가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식생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식생 데이터로부터 높은 식생 데이터를 분류하는 제 3 과정(S300); 및
    (d)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c) 과정에서 분류된 지형 데이터 및 높은 식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목의 높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4 과정(S400); 을 포함하되,
    상기 (d) 과정은,
    (d-1) 상기 추출장치가 높은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수목의 면적을 측정하고, 측정된 면적이 실제 수목으로 간주될 수 있는 소정 면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10);
    (d-2) 상기 (d-1)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면적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인접한 수목과의 간격이 소정 간격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0);
    (d-3) 상기 (d-2)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간격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높은 식생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를 실제 수목 데이터로 분류하는 단계(S430);
    (d-4) 상기 추출장치가 (d-3) 단계에서 분류된 수목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목의 최상단 점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직상의 동일 위치한 지형 데이터를 평균값으로 연산하여 지형의 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40); 및
    (d-5)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수목의 점 데이터와 지형의 면 데이터의 높이 차이에 의한 값을 수목의 높이 데이터로 판단하여 추출하는 단계(S4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b-1) 상기 추출장치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초기 포인트를 결정하여,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삼각망을 형성하는 단계(S210);
    (b-2) 상기 추출장치가 항공 레이저 측량 시 추출되는 데이터 내에서 가장 큰 식생의 크기를 설정하는 단계(S220);
    (b-3) 상기 추출장치가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를 측정하는 단계(S230);
    (b-4)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초기 포인트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각이 소정 각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0);
    (b-5) 상기 (b-4)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각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상기 삼각망 각각의 면과 가장 인접한 각각의 점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 및
    (b-6) 상기 (b-5)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각각의 점을 지형 데이터를 판단하여 산출하는 단계(S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과정은,
    (c-1) 상기 추출장치가 산출된 지형 데이터보다 큰 높이 값을 갖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 각각을 소정 높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0); 및
    (c-2) 상기 (c-1)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높이 이상일 경우, 상기 추출장치가 소정 높이 이상인 데이터를 높은 식생 데이터로 판단하여 분류하는 단계(S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방법.
  7. 삭제
KR1020060068495A 2006-07-21 2006-07-21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방법 KR10074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95A KR100741155B1 (ko) 2006-07-21 2006-07-21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95A KR100741155B1 (ko) 2006-07-21 2006-07-21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155B1 true KR100741155B1 (ko) 2007-07-20

Family

ID=3849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495A KR100741155B1 (ko) 2006-07-21 2006-07-21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1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34B1 (ko) 2010-09-17 2010-12-14 한진정보통신(주)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양수발전소 수량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0985B1 (ko) 2011-06-10 2011-11-09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항공 라이다 성과를 이용한 수고 및 개체 수 확인방법
CN103034837A (zh) * 2011-09-30 2013-04-10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特征参数与脉象要素的关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652A (en) 1991-11-07 1993-04-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oppler radar/ultrasonic hybrid height sensing system
JPH1030924A (ja) 1996-07-16 1998-02-03 Kouchi Toyonaka Giken:Kk 樹高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248443A (ja) 1997-12-12 1999-09-17 Nec Corp 樹高測定システム
JP2006003332A (ja) 2004-06-16 2006-01-05 Kokusai Kogyo Co Ltd 地盤高推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652A (en) 1991-11-07 1993-04-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oppler radar/ultrasonic hybrid height sensing system
JPH1030924A (ja) 1996-07-16 1998-02-03 Kouchi Toyonaka Giken:Kk 樹高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248443A (ja) 1997-12-12 1999-09-17 Nec Corp 樹高測定システム
JP2006003332A (ja) 2004-06-16 2006-01-05 Kokusai Kogyo Co Ltd 地盤高推定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34B1 (ko) 2010-09-17 2010-12-14 한진정보통신(주)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양수발전소 수량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0985B1 (ko) 2011-06-10 2011-11-09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항공 라이다 성과를 이용한 수고 및 개체 수 확인방법
CN103034837A (zh) * 2011-09-30 2013-04-10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特征参数与脉象要素的关联
CN103034837B (zh) * 2011-09-30 2017-07-28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特征参数与脉象要素的关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216B1 (ko) 드론과 공간정보를 이용한 하천지형정보 생성 방법
Allouis et al. Stem volume and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of individual pine trees from LiDAR data: Contribution of full-waveform signals
Xiao et al. Individual tree crown modeling and change detec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CA2460089C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determining growth of trees
KR100948099B1 (ko) 항공 레이저 측량을 이용한 식생의 면적 산출 시스템 및 방법
JP2003344048A (ja) 森林情報処理システム
Farid et al. Using airborne lidar to discern age classes of cottonwood trees in a riparian area
KR101080985B1 (ko) 항공 라이다 성과를 이용한 수고 및 개체 수 확인방법
Vazirabad et al. Lidar for biomass estimation
JP2015200615A (ja) レーザー計測結果解析システム
Özdemir et al. Automatic extraction of trees by using multiple return properties of the lidar point cloud
Liu et al. High-resolution DEM generated from LiDAR data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JP7151876B2 (ja) 合成開口レーダ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Rouzbeh Kargar et al. Stem and root assessment in mangrove forests using a low-cost, rapid-scan terrestrial laser scanner
Jiangui et al. A method for main road extrac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in urban area
KR100741155B1 (ko)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수목의 높이 데이터 추출장치 및 그방법
Shao et al. Automated searching of ground points from airborne lidar data using a climbing and sliding method
Li et al. Registration of aerial imagery and lidar data in desert areas using the centroids of bushes as control information.
Mayr et al. 3D point errors and change detection accuracy of unmanned aerial vehicle laser scanning data
Schmucki et al. Towards an automated acquisition and parametrization of debris‐flow prone torrent channel properties based on photogrammetric‐derived uncrewed aerial vehicle data
JP2019148436A (ja) 森林地域での立木の評価方法、及びこの評価方法における評価対象エリアの特定に適した境界線測量方法
KR101139796B1 (ko) 라이다 측량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에서의 도로 주변의 가로수 추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amru Correction pit free canopy height model derived from LiDAR data for the broad leaf tropical forest
Chapman et al. Evaluating Tiffs (toolbox for lidar data filtering and forest studies) in deriving forest measurements from lidar data
Yuan et al. DEM genera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