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747B1 -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747B1
KR100740747B1 KR1020050077301A KR20050077301A KR100740747B1 KR 100740747 B1 KR100740747 B1 KR 100740747B1 KR 1020050077301 A KR1020050077301 A KR 1020050077301A KR 20050077301 A KR20050077301 A KR 20050077301A KR 100740747 B1 KR100740747 B1 KR 10074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onnecto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098A (ko
Inventor
최영석
Original Assignee
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304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4074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석 filed Critical 최영석
Priority to KR102005007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7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확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이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2하우징 위에 제1하우징이 위치하며, 상기 제1하우징이 회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었을 때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확장장치에 의하면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면서 충전기능,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므로, 휴대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시켜 준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휴대전자기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사업자로서는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휴대전자기기, MP3, 카메라, 기능확장장치, 레이저 포인터, 경고등.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Apparatus for function expansion of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이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외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2하우징이 외부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외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2하우징이 외부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외부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제2하우징이 열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외부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하우징 200 제2하우징
110, 120 스피커 210 접속수단
130 제1부가수단용 단자 140 커넥터
150 제2부가수단용 단자 170 레이저포인터
180 경고등 300 휴대전자기기
400 기능확장장치 500 어댑터
410 충전회로부 420 2차전지
430 스위칭부 440 어댑터감지부
450 제어부 460 음성처리부
본 발명은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부가기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기능, 휴대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기능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부가기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하 '휴대전자기기'라 함)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전자기기의 예로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PDA, USB방식 저장장치, 휴대형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종래 휴대전자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휴대전자기기 고유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충전지에 스피커나 거울 등을 부착하여 휴대폰의 기능을 보완하고 확장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또한 휴대전자기기의 배터리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충전 겸용 보조 배터리 등의 전원 관련 액세서리에 대한 개발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휴대전자기기에 구비되는 부속품에 부가기능을 더하는 수준이었고, 휴대전자기기의 기능 확장을 위한 별도의 장치에 대한 개발은 미미한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의 역할을 하면서, 스피커기능, 충전기능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확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이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2하우징 위에 제1하우징이 위치하며, 상기 제1하우징이 회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었을 때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양 측면에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의 일면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하우징을 두가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제1하우징의 단면이 삼각형인 삼각막대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두번째는 제1하우징의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막대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양 측면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제1하우징의 일면에 절첩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윗면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어느 한쪽에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2차전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휴대전자기기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흘러들어온 전류를 2차전지에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회로부, 상기 커넥터에 어댑터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어댑터 감지부, 상기 2차전지와 접속수단 사이에 마련된 스위칭부, 상기 어댑터 감지부로부터 읽어들인 신호에 따라, 어댑터가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오픈상태가 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어댑터가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쇼트상태가 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수단은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부가수단용 단자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전자기기는 휴대폰, MP3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USB방식 저장장치, 휴대용 게임기, 전자수첩, PDA 등의 다양한 휴대용 기기를 포함하며, 특정 휴대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에 연결되어 제1하우징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의 역할을 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연결되는 구조에 따라서 여러가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1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화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100), 제1하우징(100)에 연결되어 제1하우징(100)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 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제2하우징(200),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210),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0)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바닥면에 위치한 제2하우징(200) 상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하우징(100)이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제1하우징(110)이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제2하우징(200)이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2하우징(200) 위에 제1하우징(100)이 위치하며, 제1하우징(100)이 회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해서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이 이루는 각이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제2하우징(200)에 구비된 접속수단(210)에 휴대전자기기를 연결시키고,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을 이용하여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수단(210)은 상하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외부사시도이다. 도 3에서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140)와,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가 위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가수단용 단자는 제1부가수단용 단자(130)와 제2부가수단용 단자(150)로 이루어져서 두 개의 부가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부가수단용 단자(130)는 충전선과 데이터선을 구비하도록 하고, 제2부가수단용 단자(150)는 데이터선만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커넥터(140)에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전자기기가 접속단자(210)에 연결되어 있으면, 휴대전자기기는 어댑터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140)는 24 핀(pin)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40)에는 어댑터 뿐만 아니라 레이저 포인터, 경고등과 같은 부가수단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커넥터(140)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2차전지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차전지는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차전지에는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어서, 휴대전자기기 등으로부터 2차전지쪽으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충전중임을 알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하여 충전중임을 표시하거나, LCD 상에 충전중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스피커(110, 120)는 제1하우징(100)의 양 측면에 위치한다. 스피커(110, 120)는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3에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에 연결되는 부가수단에는 레이저포인터(170), 또는 경고등(미도시)이 있을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부가수단이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는 USB 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을 외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전환버튼을 누를 때마다 휴대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모드와 휴대전자기기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모드를 번갈아가면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4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100), 제1하우징(100)에 연결되어 제1하우징(100)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제2하우징(200),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210),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140),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 등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00)은 단면이 삼각형인 삼각막대형태로 되어 있다.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의 일면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고자 할 때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 (200)이 외부로 인출된 형태로 된다.
도 5는 도 4에서 제2하우징(200)이 외부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서 제2하우징(200)에 구비된 접속수단(210)에 휴대전자기기를 연결시키고,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을 이용하여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수단(210)은 상하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커넥터(140)에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전자기기가 접속단자(210)에 연결되어 있으면, 휴대전자기기는 어댑터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140)는 24 핀(pin)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40)에는 어댑터 뿐만 아니라 레이저 포인터, 경고등과 같은 부가수단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커넥터(140)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2차전지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차전지는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차전지에는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어서, 휴대전자기기 등으로부터 2차전지쪽으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충전중임을 알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하여 충전중임을 표시하거나, LCD 상에 충전중임을 디 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에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에 연결되는 부가수단에는 레이저포인터(170), 또는 경고등(180)이 있을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부가수단이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는 USB 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가수단용 단자는 제1부가수단용 단자(130)와 제2부가수단용 단자(150)로 이루어져서 두 개의 부가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부가수단용 단자(130)는 충전선과 데이터선을 구비하도록 하고, 제2부가수단용 단자(150)는 데이터선만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외부사시도이다. 도 6에서 스피커(110, 120)는 제1하우징(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다. 스피커(110, 120)는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110, 120)가 제1하우징(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을 외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전환버튼을 누를 때마다 휴대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모드와 휴대전자기기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모드를 번갈아가면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7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100), 제1하우징(100)에 연결되어 제1하우징(100)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제2하우징(200) 등을 포함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00)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막대형태로 되어 있다.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의 일면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고자 할 때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200)이 외부로 인출된 형태로 된다.
도 8은 도 7에서 제2하우징(200)이 외부로 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210)을 제2하우징(200)에 구비한다. 도 8에서 제2하우징(200)에 구비된 접속수단(210)에 휴대전자기기를 연결시키고,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을 이용하여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수단(210)은 상하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9는 도 7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반대쪽에서 바라본 외부사시도이다. 도 9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140),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0) 등을 포함한다.
도 9에서 스피커(110)는 제1하우징(100)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110)가 제1하우징(100)의 정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에서 커넥터(140)에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전자기기가 접속단자(210)에 연결되어 있으면, 휴대전자기기는 어댑터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140)는 24 핀(pin)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40)에는 어댑터 뿐만 아니라 레이저 포인터, 경고등과 같은 부가수단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커넥터(140)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2차전지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차전지는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차전지에는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어서, 휴대전자기기 등으로부터 2차전지쪽으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충전중임을 알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하여 충전중임을 표시하거나, LCD 상에 충전중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에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에 연결되는 부가수단에는 레이저포인터(170), 또는 경고등(180)이 있을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부가수단이 부가수단용 단 자(130, 150)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서 부가수단용 단자(130, 150)는 USB 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가수단용 단자는 제1부가수단용 단자(130)와 제2부가수단용 단자(150)로 이루어져서 두 개의 부가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부가수단용 단자(130)는 충전선과 데이터선을 구비하도록 하고, 제2부가수단용 단자(150)는 데이터선만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을 외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전환버튼을 누를 때마다 휴대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모드와 휴대전자기기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모드를 번갈아가면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10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100), 제1하우징(100)에 연결되어 제1하우징(100)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제2하우징(200),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210),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0, 120),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140),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부가수단용 단자(미도 시) 등을 포함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2하우징(200)이 제1하우징(100)의 일면에 절첩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2하우징(200)이 외부로 열린 모습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제2하우징이 열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2하우징(200)은 제1하우징(100)의 일면에 절첩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고자 할 때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하우징(200)이 외부로 개방된 형태로 있게 된다. 도 11에서 제2하우징(200)에 구비된 접속수단(210)에 휴대전자기기를 연결시키고, 제1하우징(100)과 제2하우징(200)을 이용하여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수단(210)은 상하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부가수단용 단자에는 다양한 부가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부가수단용 단자에 경고등(180)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에서는 부가수단용 단자에 레이저포인터(170)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에서 사용된 레이저포인터(170)는 클립형태의 레이저포인터(170)이다. 따라서, 이 레이저포인터(170)를 이용하면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를 상의 포켓 이나 가방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목걸이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부가수단용 단자는 USB 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커넥터(140)에 어댑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전자기기가 접속단자(210)에 연결되어 있으면, 휴대전자기기는 어댑터로 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140)는 24 핀(pin)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40)에는 어댑터 뿐만 아니라 레이저 포인터, 경고등과 같은 부가수단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휴대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커넥터(140)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접속수단(210)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2차전지를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차전지는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이온 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차전지에는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어서, 휴대전자기기 등으로부터 2차전지쪽으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는 MP3 플레이어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충전중임을 알 수 있도록 외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하여 충전중임을 표시하거나, LCD 상에 충전중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을 외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전환버튼을 누를 때마다 휴대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모드와 휴대전자기기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모드를 번갈아가면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에서 충전기능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400)는 커넥터(140), 충전회로부(410), 2차전지(420), 스위칭부(430), 접속수단(210), 어댑터 감지부(440), 제어부(450), 음성처리부(460) 등을 포함한다.
충전회로부(410)는 커넥터(140)로부터 흘러들어온 전류를 2차전지(420)에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어댑터 감지부(440)는 커넥터(140)에 어댑터(500)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어댑터 감지부(440)는 커넥터(140)에서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 가능하다.
스위칭부(430)는 2차전지(420)와 접속수단(210) 사이에 마련되어,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2차전지(420)와 접속수단(210) 사이를 오픈(open)시키거나 쇼트(short)시킨다.
음성처리부(460)는 접속수단(210)을 통해 들어온 휴대전자기기(300)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제어부(450)는 어댑터 감지부(440)로부터 읽어들인 신호에 따라, 어댑터(500)가 커넥터(140)에 연결되어 있으면 오픈상태가 되도록 스위칭부(430)를 제어하고, 어댑터(500)가 커넥터(140)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쇼트상태가 되도록 스위칭부(430)를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댑터(500)가 커넥터(140)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어댑터(500)의 전류가 2차전지(420)와 휴대전자기기(300)에 흘러들어 충전이 진행되고, 2차전지(420)와 접속수단(210)사이는 오픈상태가 된다. 반대로, 어댑터(500)가 커넥터(14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2차전지(420)와 접속수단(210)이 쇼트상태가 되고, 이를 통해 2차전지(420)의 전류가 휴대전자기기(300)에 흘러들어 충전이 진행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확장장치에 의하면 휴대폰,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면서 충전기능,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므로, 휴대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시켜 준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휴대전자기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사업자로서는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포인터, 경고등 등의 부가수단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사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삭제
  2.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이 바닥면에 위치하고, 제2하우징 위에 제1하우징이 위치하며, 상기 제1하우징이 회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었을 때에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양 측면에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 자기기 기능확장장치.
  5.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제2하우징
    을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단면이 삼각형인 삼각막대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단면이 사각형인 사각막대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전면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양 측면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10.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함께 휴대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휴대전자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면에 절첩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제2하우징
    을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의 윗면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12. 제2항, 제5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어느 한쪽에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에 제공하기 위한 2차전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흘러들어온 전류를 2차전지에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회로부;
    상기 커넥터에 어댑터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어댑터 감지부;
    상기 2차전지와 접속수단 사이에 마련된 스위칭부;
    상기 어댑터 감지부로부터 읽어들인 신호에 따라, 어댑터가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오픈상태가 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어댑터가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쇼트상태가 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15. 제2항, 제5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16. 제2항, 제5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부가수단용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KR1020050077301A 2005-08-23 2005-08-23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KR10074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01A KR100740747B1 (ko) 2005-08-23 2005-08-23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01A KR100740747B1 (ko) 2005-08-23 2005-08-23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098A KR20070023098A (ko) 2007-02-28
KR100740747B1 true KR100740747B1 (ko) 2007-07-19

Family

ID=4163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301A KR100740747B1 (ko) 2005-08-23 2005-08-23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77Y1 (ko) 2008-01-24 2011-10-11 (주) 피엔텔레컴 외장형 전원 공급 커넥터 보조 장치
KR101438462B1 (ko) * 2012-12-24 2014-09-12 스카이파워텔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거치기능을 가진 확장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31B1 (ko) * 2007-08-17 2011-02-10 오준수 휴대기기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73A (ko) * 2001-08-29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청취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40031432A (ko) * 2002-10-07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기기의 전원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73A (ko) * 2001-08-29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청취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40031432A (ko) * 2002-10-07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기기의 전원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77Y1 (ko) 2008-01-24 2011-10-11 (주) 피엔텔레컴 외장형 전원 공급 커넥터 보조 장치
KR101438462B1 (ko) * 2012-12-24 2014-09-12 스카이파워텔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거치기능을 가진 확장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098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6062B2 (ja) 携帯情報端末
US9118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KR101606065B1 (ko) 휴대 단말기
US8971039B2 (en)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8417292B2 (en) Device-adaptive connection esta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US20120177967A1 (en) Battery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40209645A1 (en) Portable terminal
KR20080040917A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 겸용 충전 거치대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CN209414978U (zh) 一种连接装置及手持云台设备
CN214315338U (zh) 一种手机壳
KR20210126977A (ko)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740747B1 (ko)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EP0885514A1 (en) Casing for a cordless telephone, and assembly of a casing with a cordless telephone
JP2014107714A (ja) 携帯端末装置
JP5042985B2 (ja) 音響装置
KR201300742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US6537081B2 (en) Arrangement for providing a selectable expansion adapter on electronic device
JP2010136388A (ja) 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KR101717968B1 (ko) 스마트폰 결합 모듈
JP2004207837A (ja) 組み立てオプション付携帯電話機と組み立てオプション付携帯電話機のオプション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074054U (ja)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820

Effective date: 201312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8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12

Effective date: 201605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5101;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707

Effective date: 201701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