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331B1 - 휴대기기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331B1
KR101013331B1 KR1020080004032A KR20080004032A KR101013331B1 KR 101013331 B1 KR101013331 B1 KR 101013331B1 KR 1020080004032 A KR1020080004032 A KR 1020080004032A KR 20080004032 A KR20080004032 A KR 20080004032A KR 101013331 B1 KR101013331 B1 KR 10101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groove
slider
main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558A (ko
Inventor
오준수
Original Assignee
오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수 filed Critical 오준수
Priority to PCT/KR2008/00475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25473A2/en
Publication of KR2009001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구조는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각각 마주보는 대향면을 형성하도록 측벽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중심을 관통하는 통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직교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직교부재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더홈; 상기 슬라이더홈의 개구된 면을 폐쇄하되, 상기 수평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구멍과, 상기 이동구멍의 양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축구멍을 포함하는 커버부재; 상기 슬라이더홈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직교부재와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와,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단차진 측면의 측벽에 형성되는 턱과,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측면 바닥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되,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단차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턱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제한홈을 포함하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되, 상기 연동부와 상기 턱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감싸며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복원력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회로기판과 배터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간과 회전하는 구간이 구분되고, 디스플레이부가 과열되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휴대기기, 장/탈착식, 접속 거치대, 디스플레이부, 본체, 슬라이더, 슬라이더 홈

Description

휴대기기 구조{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기기를 장착하여 대형 화면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거치가 가능한 휴대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기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휴대기기가 제안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휴대기기는 휴대폰 기능에 MP3와 DMB 또는 PDA와 같은 여러 가지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기기에 따르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창을 가져야 다양한 영상 정보를 표현할 수 있지만, 현재의 휴대폰 기능을 갖는 휴대기기는 디스플레이창이 위치하는 부분에 각종 기능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창의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기기 중 PMP는 대화면(예: 4.3", 4.0" 등)을 가지므로 소화면(예: 2.2", 2.0" 등) 보다는 소비전력이 크므로 MP3P기능이나 음성통 화 기능 등에서는 기존의 PMP는 불필요한 "고 전력의 대화면"을 사용하게 되어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짧아지는 원인이 되고, 통화, MP3P 기능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저전력의 소화면"을 사용하므로 사용시간의 연장과 배터리의 소모의 최소화가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휴대기기 즉, MP3P, DMB, PMP, PDA, PSP, UMPC, 네비게이터, 휴대단말기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개별로 구매함으로 인해 구매에 따른 비용 낭비가 초래되며, 각 개별장치를 폐기에 따라 환경오염 및 자원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기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하 디스플레이창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단 양측이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입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휴대기기를 뒤집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시 자중에 의해 원위치에서 이탈되어 하방으로 기울어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나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PMP, 내비게이터, UMPC, 게임, 웹서핑, E-메일 등의 기능일 때는 대화면(예: 4.3", 4.0" 등)의 사용과, 휴대전화, MP3P, 단문 메시지 등에서는 소화면(예: 2.2", 2.0" 등)의 사용함으로써 유용성, 편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창을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용량을 증대시키며, 휴대기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하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기기의 유용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휴대기기를 장착하여 대형 화면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휴대기기의 장착 탈착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각각 마주보는 대향면을 형성하도록 측벽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중심을 관통하는 통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직교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직교부재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더홈; 상기 슬라이더홈의 개구된 면을 폐쇄하되, 상기 수평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구멍과, 상기 이동구멍의 양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축구멍을 포함하는 커버부재; 상기 슬라이더홈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직교부재와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와,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단차진 측면의 측벽에 형성되는 턱과,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측면 바닥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되,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단차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턱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제한홈을 포함하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되, 상기 연동부와 상기 턱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감싸며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부재가 탄성 지지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복원력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를 통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각각 마주보는 대향면을 형성하도록 측벽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중심을 관통하는 통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직교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직교부재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더홈; 상기 슬라이더홈의 개구된 면을 폐쇄하되, 상기 수평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구멍과, 상기 이동구멍의 양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축구멍을 포함하는 커버부재; 상기 슬라이더홈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직교부재와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와,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단차진 측면의 측벽을 관통하는 축부위치홀과,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측면 바닥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축부위치홀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턱과, 상기 축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복원력발생부;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되,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단차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턱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제한홈을 포함하는 연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를 통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동안내홀; 상기 이동안내홀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의 가장자리 일단에 형성되되, 선단이 라운딩 처리되고 상기 이동 안내홀에서 삽탈되는 출몰부재와, 상기 출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안내홀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안내홀에는 열통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탈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직교부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삽탈되도록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직교부재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창을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용량을 증대시키며, 휴대기기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디스플레이창을 구비하여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기기의 유용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회로기판과 배터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가 과열되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간과 회전하는 구간이 구분되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잠시 정지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때 설정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휴대기기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를 장착하여 대형 화면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기기의 장착 탈착이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를 거치대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거치대의 커버가 거치대의 몸체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가 제공된다.
또한, 휴대기기의 과열로 인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 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서 슬라이더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고정부재, 커버부재 및 디스플레이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구성 및 결합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 본체(200), 연결수단, 스토퍼(400)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이 형성되고,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 사이로 디스플레이부(10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106)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110) 가장자리 부근에는 이동안내홀(112)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이동안내홀(112)에는 내벽에 디스플레이부(100)의 내부와 규칙 또는 불규칙 간격을 갖도록 다수 연통되어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어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열통로구멍(114)이 형 성된다. 이동안내홀(112)은 후술하는 본체(200)의 측벽(204)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안내홀(112)은 후술하는 스토퍼(400)의 선단(411)이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부(100)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회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400)의 선단(411)이 이동안내홀(112)의 양끝단을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이동안내홀(112)은 중앙에서 양끝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은 예컨대, 휴대폰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MP3플레이어, 문자메시지 등을 표시하게 할 수 있도록 소화면(예: 1.8”, 2.0”, 2.4” 등)으로 구성되는 상면의 디스플레이창(102)과, 인터넷 서핑(surfing), DMB방송시청, 메모리에 저장된 영화감상 등의 PMP, PDA, 전자사전, 게임, 내비게이션, UMPC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도록 대화면(예: 4.0”, 4.3”, 5.0” 등)으로 구성되는 하면의 디스플레이창(104)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소비전력이 낮고 소화면인 상면의 디스플레이창(102)을 통해 영상압축기술의 표준규격인 MPEG에서 규정한 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로 생성된 MP3음악 파일을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여 재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MP3 플레이어(MP3P) 기능과 휴대폰의 통화 및 데이터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적합하다.
또한, 소비전력이 크고 대화면인 하면의 디스플레이창(104)은 비디오 게임을 제공하는 플레이스테이션(PSP)기능, 문자메시지(MMS)의 송수신 기능의 표시가 가능하고, 무선인터넷 기반의 웹서핑 및 전자메일을 작성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e-러닝, 전자사전, 손 안의 PC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키보드가 구비된 울트라모바일피씨(UMPC), 피엠피(PMP) 등과 같은 기능 외에도 메모와 일정 및 주소 관리, 데이터 축적, 무선 통신망에 의한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여 데이터통신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수첩 크기의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이동 중에 고음질, 고화질 방송으로 제공하는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표시되어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 104)을 가변적 크기로 구성할 수 있어, 일반 음성통화, MP3P, 단문 메시지 등은 상면 디스플레이창(102)의 소화면(예: 2.2", 2.0" 등)을 사용하고, PMP, 전자사전, DMB시청, 내비게이터, UMPC, 게임, 웹서핑, E-메일 등은 하면 디스플레이창(104)의 대화면(예: 4.3", 4.0" 등)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의 용도에 따라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 104)을 선택적으로 1개 이상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앞면 또는 뒷면에 하나의 창으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 104)에는 입력부인 기능 버튼을 부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기능 버튼을 생략하는 대신 터치스크린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무선통신용 안테나 또는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스타일러스팬 등이 내장될 수 있고, 후술하는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와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무선 또는 인터넷, MP3, 휴대폰, 플레이스테이션, DMB, PMP, 정보표시의 PDA, UMPC, 전자사전, 또는 내비게이터와 같은 기능이 부가된 카드 형태의 모듈을 특정 모듈로 교체하거나 기능 추가, 삭제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슬롯(Slot: 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넓고 큰 하면의 디스플레이창(104)에서 웹서핑을 하면서 인터넷을 통하여 화상채팅 또는 화상대화, 화상통신 등을 수행하기 위해 카메라(도면에 미도시)를 디스플레이부(100)에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는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의 사이로 디스플레이부(100)의 가장자리(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카메라는 미사용시에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의 사이에 숨겨져 고정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카메라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카메라가 회전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수직이륙 및 회전하면서 사용자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여기서 카메라의 설치위치 또는 설치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200)는 3면 또는 대향되는 2면이 상방(위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양쪽이 상면에서 수직하여 상호 평행한 측벽(204)이 형성되고, 측벽(204) 사이에서 디스플레이부(100)가 안착 결합되는 결합홈(202)을 형성한다.
측벽(204)의 내측 대향면에는 중앙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더홈(206)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홈(206)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재(210)가 삽입된다.
슬라이더홈(206)은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홈(206)은 양 끝단에서 마감부재(208)가 각각 설치되어 폐쇄되며, 개구된 측벽(204)의 내측 대향면에는 커버부재(220)가 각각 설치되어 폐쇄된다.
본체(200)의 뒷면에 배터리(도면에 미도시)가 체결되며, 측벽(204)의 상면에는 입력부인 기능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202)의 표면에 구비되는 키보드 타입의 입력부(202a)는 일체 타입, 뚜껑 타입, 슬라이딩 타입 등으로 형성되어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그 하측에 무선 또는 인터넷, MP3, 휴대폰, 플레이스테이션, DMB, PMP, 정보표시의 PDA, UMPC, 전자사전, 또는 내비게이터와 같은 기능이 부가된 카드 형태의 모듈을 특정 모듈로 교체하거나 기능 추가, 삭제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슬롯(Slot: 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슬라이더홈(206)의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응한 크기를 갖는 블럭으로 측면에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진 측면의 바닥에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걸림돌기(210a)가 돌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부(100)의 회전축(500)에 대응하여 단차진 측면의 측벽 일단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 각에 해당되는 각도를 가지는 턱(214)이 형성되고, 턱(214)의 후방에는 후술할 복원력 발생부(330)가 설치되도록 장착홈부(212)가 형성되며, 턱(214)의 전방으로 단차진 측면의 바닥에는 후술할 연동부(32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회전가이드홈(216)이 라운딩 처리되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턱(214) 및 장착홈부(212) 그리고 회전가이드홈(216)은 고정부재(210)의 단차진 측면의 측벽 양단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체(200)의 측벽(204) 내측 대향면에는 개구된 슬라이더홈(206)을 폐쇄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Slit) 형태의 이동구멍(222)이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재(220)가 고정 결합되어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00)가 이동구멍(2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고, 턱(214)에 대응되는 이동구멍(222)의 끝단에는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100)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원형의 회전축구멍(224)이 형성된다.
커버부재(220)에는 회전축구멍(224)에 인접하여 스토퍼홀(226)이 형성되고, 상술한 이동안내홀(112)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스토퍼(400)의 출몰통로로 이용된다.
연결수단은 슬라이더(310), 연동부(320) 및 복원력 발생부(330)로 구분할 수 있다.
슬라이더(310)는 일단이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축(5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더홈(206)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부(100)가 본체(200)의 측벽(204)을 따 라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와 본체(200)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통로(318)가 관통 형성된다.
슬라이더(31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312)와, 결합부재(312)의 일측에서 본체(200)의 측벽(204)을 향해 돌출되는 수평부재(314)와, 수평부재(314)의 후단에서 결합부재(312) 및 수평부재(314)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직교부재(316)로 이루어지고, 직교부재(316)의 후단으로 수평부재(314)의 연장선 상에 결합부(317)가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더(310)는 상술한 슬라이더홈(206)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110) 또는 본체(200)의 측벽(204)에 형성될 수 있다.
직교부재(316)는 길이방향의 양측 중 일측이 라운딩 처리되어 회전시 전선이 말리지 않도록 틈을 형성하고, 상술한 걸림돌기(210a)에 대응하여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걸림홈(316a)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기(210a)가 직교부재(316)에 형성되고, 걸림홈(316a)이 고정부재(210)에 형성될 수 있다.
연동부(320)는 고정부재(210)의 턱(214)에 대응하여 회전가이드홈(216)에 안착되며, 후술할 복원력 발생부(330)에 의해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동부(320)는 슬라이더(310)의 후단(317)이 결합되도록 단차진 원기둥 일단에 형성되되 수평부재(314)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바깥쪽이 막혀있도록 구비되는 단차홈(322)과, 단차홈(322)과 대향되는 후면에 고정부재(210)의 턱(214)에 결합되어 각도가 제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축(500)을 기점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각도제한홈(324)으로 이루어진다.
단차홈(322)은 수평부재(314)의 하향 이동을 막는 방지턱(322a)으로 한쪽 부분이 막혀있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방지턱(322a)의 작용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부(100)가 하향 이동되지 못하고 정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도제한홈(324)은 입구가 라운딩 처리되어 고정부재(210)의 턱(214)에서 이탈이 용이하다.
즉, 연동부(320)의 후면에는 고정부재(210)의 턱(214)과 상응한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하나 이상이 다르게 형성되는 각도제한홈(324)이 하나 이상 구비되되 각도제한홈(324)은 디스플레이부(100)의 각도가 0°를 시작하여 30°, 45°, 50°,60°, 70°, 80°, 90° 등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210)에 각도제한홈(324)이 형성될 수 있고, 연동부(320)에 턱(21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원력발생부(330)는 연동부(320)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슬라이더(310)의 회전시 연동부(320)가 회전함에 따라 탄성복원력에 의해 턱(214)과 각도제한홈(324)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볼트(332), 너트(334) 및 탄성부재(336)로 구분된다.
볼트(332)는 연동부(320)의 중심에 결합시 헛돌지 않도록 사각기둥의 볼트머리(332a)가 위치되고, 볼트머리(332a)에서 연장하여 볼트기둥(332b)이 간격부 재(338)의 내측까지 형성되며, 볼트기둥(332b)에서 연장하여 나선기둥(332c)이 고정부재(210)의 후방에 형성된 장착홈부(212) 안에서 턱(214)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평면운동하는 간격부재(338)의 외측벽까지 관통된다.
너트(334)는 간격부재(338)의 외측벽 밖으로 노출되는 볼트(332)의 나선기둥(332c)에 체결 고정되고, 너트(334)가 간격부재(338)일 수 있다.
탄성부재(336)는 장착홈부(212) 내에서 볼트기둥(322b)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간격부재(338)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얻게 된다.
스토퍼(400)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고 본체(200)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플레이부(100)가 본체(200)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부(100)의 자중에 의해서 강제로 위로 들려짐(즉, 디스플레이부(100)가 회전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0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스토퍼홀(226)을 출몰하면서 이동안내홀(112)에 삽입 또는 이탈된다.
스토퍼(400)는 출몰부재(410)와 탄성부재(420)로 이루어지고, 출몰부재(410) 선단(411)의 일측(413)은 라운딩 처리되면서 타원 형상이고, 후단(415)은 커버부재(220)에 설치되는 스토퍼홀(226)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배면에는 원형 돌기(417)가 구비되고, 돌기(417)에 탄성부재(420)가 삽입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휴대기기는 디스플레이부(100)가 회전축(500)을 중심으 로 본체(200)의 측벽(204)에서 회전되거나, 측벽(20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벽(204)에 슬라이더(310)가 돌출되도록 슬라이더(310)의 결합부재(312)가 삽입고정되고, 슬라이더(310)의 수평부재(314)가 이동구멍(222)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직교부재(316)가 고정부재(210)와 커버부재(2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수평부재(314)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구멍(222)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연동부(320)는 고정부재(210)의 회전가이드홈(216)에 안착되고, 복원력발생부(330)에 의해 고정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홈(206)에는 연동부(320)가 결합된 고정부재(210)가 삽입 고정되며, 마감부재(208)와 커버부재(220)를 이용하여 슬라이더홈(206)을 폐쇄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100)는 이동구멍(2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연결수단을 통해 회전축(500)에서 180°회전이 가능하므로 앞뒷면 각각에 LCD와 같은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 104)이 각각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앞/뒷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0°일 때와 180°회전될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휴대기기에서 휴대기기의 작동 과정은 슬라이더(310)의 선단이 디스플레이부(100)의 양측면 내부에 각각 고정되고 후단이 본체(200)의 슬라이더홈(206)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후 이동된다.
슬라이더(310)의 수평부재(314)가 이동구멍(222)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회전축(500)까지 도달함과 동시에 스토퍼(400)의 출몰부재(410)도 이동안내홀(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회전축(500)에서 슬라이더(310)의 결합부(317)와 연동부(320)의 단차홈(322)이 결합하게 되면, 출몰부재(410)는 이동안내홀(112)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00)가 완전히 180도 회전되면 스토퍼(400)의 출몰부재(410)는 계속 눌려진 상태로 있게 됨과 동시에 수평부재(314)의 이동을 막는 방지턱(322a)에 의해서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작용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100)가 회전시 들어 올려짐이 없게 되며, 또한 정지상태가 가능하다.
결국, 디스플레이부(100)의 이동안내홀(112)과 대향되는 본체(200)의 측벽(204) 사이에 각각 구비된 스토퍼(4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가 본체(200)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 자중에 의해서 강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직교부재(316)는 커버부재(220)의 이동구멍(222) 내측(즉, 슬라이더홈(206)의 내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더(310)의 이동시 이동구멍(22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00)가 회전시 각도제한홈(324)이 턱(214)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탄성부재(336)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각도제한홈(324)이 턱(214)을 이탈하면 탄성부재(336)가 장착홈부(212)와 간격부재(338)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연동부(320)가 탄성부재(336)의 탄성복원력을 받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슬라이더(310)와 연동부(320)가 결합되면 설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되는 각도제한홈(324)이 턱(214)과 일치할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각도제한홈(324)에 턱(214)이 삽입되면서 디스플레이부(10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각도제한홈(324)이 턱(214)에서 외력에 의해 이탈될 경우 연동부(320)의 가압력이 턱(214) 방향으로 가해진다.
그러면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이 세워진 상태가 되므로 하면 디스플레이창(104)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편리한 각도(예: 30°, 45°, 50°,60°, 70°, 80°, 90° 등의 사용자 선택의 임의의 각도)로 판독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104)을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상하면 디스플레이창(102, 104)을 보는데 시야를 확보하며 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최초 상면 디스플레이창(102)에서 휴대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또는 MP3플레이어, 문자메시지 등을 표시하게 할 수 있으며 하면 디스플레이창(104)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인터넷 서핑(surfing), DMB방송시청, 메모리에 저장된 영화감상의 PMP기능 또는 PDA, 전자사전, 게임, 내비게이션, UMPC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영상 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창(100)을 180°회전시켜야 한다.
상면 디스플레이창(102)이 위쪽으로 올라와 보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0)를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본체(200)와 수평이 되게 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0)를 본체(200)의 결합홈(202)에 안착되도록 이동구멍(222)의 끝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하면 디스플레이창(104)이 상부로 노출되어 하면 디스플레이창(104)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하면 디스플레이창(104)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00)를 최전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180°회전되게 하면 디스플레이창(104)이 뒤집혀서 상면 디스플레이창(102)이 상부로 노출되어 상면 디스플레이창(102)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210)의 양측단에 연동부(320)와 복원력발생부(330)가 결합되면, 디스플레이부(100)의 상하 전환이 용이해진다.
복원력발생부(330)에서 탄성부재(332)의 양 끝단을 고정시키면 연동부(320)를 회전시켜 탄성부재(332)를 비틀린 다음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0)에 고정된 슬라이더(310)는 이동시 잠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210)의 내측단 바닥과 직교부재(316)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210a)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걸림홈(316a)에 의해 이 동 위치가 간격별로 제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는 디스플레이부(100), 본체(200), 연결수단, 스토퍼(400)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부(100), 본체(200), 스토퍼(400)는 앞선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200)의 슬라이드 홈(206)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10)는 후술하는 복원력발생부(330)의 축부(331)가 삽입되는 축부위치홀(230)이 관통 형성되고, 축부위치홀(230)의 내측면에는 축부홈(231)이 형성된다.
슬라이더(31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결합부재(312)와, 결합부재(312)의 일측에서 본체(200)의 측벽(204)을 향해 돌출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수평부재(314)와, 수평부재(314)의 후단에서 수평부재(314)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직교부재(316)로 이루어지고, 직교부재(316)의 후단으로 결합부(317)가 돌출 형성된다.
직교부재(316)는 원기둥 형상으로 회전시 전선이 말리지 않도록 틈을 형성하고, 상술한 걸림돌기(210a)에 대응하여 원기둥인 직교부재(316)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316a)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기(210a)가 직교부재(316)에 형성되고, 걸림홈(316a)이 고정부재(21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원력 발생부(330)는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보다 구조가 단순화된 상태로 연동부(320)를 미는 힘이 발생되고, 축부(331) 및 탄성부재(336)로 구분된다.
축부(331)는 회전가이드홈(216)과 일직선상에서 상술한 축부위치홀(230)에 삽입되고, 전면에는 턱(214)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탄성부재삽입홈(335)이 형성되며, 탄성부재(336)는 탄성부재삽입홈(335)에 개재된다.
이때 축부(331)는 축부위치홀(230) 내에서 턱(214)만이 연동부(320)를 향해 돌출되어 탄성부재(336)의 탄성력에 의해 축부위치홀(230)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부(331)의 외부면에는 고정턱(333)이 형성되어 축부홈(231)에 삽입되어 축부(33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축부(331)는 각형 기둥 형상으로 대응되는 축부위치홀(230)에 삽입되어 축부(33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휴대기기에서 보면, 축부위치홀(230)에 삽입되는 축부(331)는 탄성부재(336)에 의해 항시 연동부(320) 방향으로 미는 힘이 발생된다.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시 연동되는 슬라이더(310)의 후단(317)은 연동 부(320)와 상호 결합되어 연동될 수 있으며, 연동되는 연동부(320)의 각도제한홈(324)이 탄성부재(3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축부(331)의 턱(214)에 위치되어 결합되면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각도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100)를 각도 변경을 위해 강제로 회전시키면, 연동부(320)의 각도제한홈(324)이 축부(331)의 턱(214)에서 이탈되므로 각도 변경 또는 최초의 위치로 디스플레이부(100)가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슬라이더(310)는 통로(318)를 중심으로 양분되어 상부슬라이더(310a)와 하부슬라이더(310b)로 양분될 수 있다.
그리고 통로(318)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슬라이더(310a)와 하부슬라이더(310b)가 마주하는 면에는 부재결합수단(3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재결합수단(319)에 의해 상부슬라이더(310a)와 하부슬라이더(310b)가 일체로 결합되어 통로(318)를 통해 전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부재결합수단(319)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와 돌기에 대응되는 홈으로 구성되어 돌기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홈에 삽입되어 상부슬라이더(310a)와 하부슬라이더(310b)를 결합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상부슬라이더(310a)와 하부슬라이더(310b)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공지된 기술을 부재 결합수단(319)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본체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써,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200)의 측벽(204)은 슬라이더홈(206)이 형성될 때, 슬라이더(31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구멍(222)을 중심으로 상부측벽(204a)과 하부측벽(204b)으로 양분될 수 있다.
그러면 상부측벽(204a)과 하부측벽(204b)이 마주하는 면에는 상술한 부재결합수단(319)이 형성되므로, 부재결합수단(319)에 의해 상부측벽(204a)과 하부측벽(204b)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00)를 본체(20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본체(20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100)가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체(200)의 측벽(204)이 양분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20)는 개구된 슬라이더홈(206)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부측벽(204a)과 하부측벽(204b)에 대응하여 상부커버부재(220a)와 하부커버부재(220b)로 양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부재(220)에 형성된 이동구멍(222)과 회전축구멍(224)도 양분되어 상부커버부재(220a)에는 상부이동구멍(222a)과 상부회전축구멍(224a)이 형성되고, 하부커버부재(222b)에는 하부이동구멍(222b)과 하부회전축구멍(224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0)의 측벽(204)이 양분됨에 따라 하부측벽(204b)에 형성된 슬라이더홈(20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부재(2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10a)와 회전가이드홈(216)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원력발생부(330)가 설치되도록 장착홈부(212)와 턱(214)이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력발생부(330)가 설치되도록 축부위치홀(230)과 축부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10a)와 회전가이드홈(216), 그리고 장착홈부(212)와 턱(214), 또는 축부위치홀(230)과 축부홈(231)은 상부측벽(204a)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축부위치홀(230)은 상부측벽(204a)과 하부측벽(204b)에 양분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력발생부(330)가 형성될 경우 축부홈(231)에는 탄성부재(336)가 외주면을 감싸고, 축부(331)의 탄성부재삽입홈(335)에 삽입되는 탄성지지봉(337)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110)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축(500)과 대향되는 상부측벽(204a)과 하부측벽(204b) 중 어느 한 측벽에는 즉, 커버부재(200)에는 고정돌기(228)가 돌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0)가 본체(200)의 결합홈(202)에 안착 결합되어 있을 때, 휴대기기를 뒤집더라도 디스플레이부(100)의 자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가 회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228)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0)의 측면(1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술한 고정돌기(228)와 고정홈(미도시)은 후술하는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612)와 함몰부(712)와 대응되는 구성이고, 고정돌기(228)가 디스플레이부(100)에 형성되고, 고정홈(미도시)이 본체(200)의 측면(204) 즉, 커버부재(22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체(200)의 결합홈(202)에서 디스플레이부(100)의 회전축(500)에 대응하여 회전홈(203)이 함몰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00)가 본체(200)의 결합홈(202)에 간섭되지 않게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는 몸체(600), 커버(700) 및 대형표시장치(800)로 이루어진다.
몸체(600)는 커버삽입홈(610), 장착홈(614), 환풍구(618) 각도제한부(610)로 이루어진다.
커버삽입홈(610)은 몸체(600)의 상부에 후술할 커버(70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그 상면은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장착홈(614)에 장착되는 휴대기기를 파지한 후 분리가 용이하다.
회전되는 커버(7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700)의 양 측벽에는 함몰부(712)가 형성되고, 커버삽입홈(610)의 양측벽에는 함몰부(7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탄력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움직이는 이탈방지돌기(612)가 형성된다.
커버(600)의 양측벽에는 이탈방지돌기(612)가 형성되고, 커버삽입홈(610)의 양측벽에는 함몰부(712)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장착홈(614)은 몸체(600)의 상면과 전면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바닥에 커넥터(616)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가 장착홈(614)에 장착될 경우 휴대기기의 조작 용이성을 위해 동작버튼은 몸체(600) 전면 가장자리에 집중되도록 구비된다.
환풍구(618)는 휴대기기의 공랭식 냉각을 위해 몸체(600) 중 장착홈(614)의 후벽에 관통 형성된다.
각도제한부(620)는 몸체(600)의 전면에 구비되는 대형표시장치(800)의 회전 각도를 설정한 만큼 제한하여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몸체(600)와 대형표시장치(800)의 양측단 대향면에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각도제한부(620)는 곡선바 형태로 형성되어 선단은 대형표시장치(800)의 후벽에 고정되고 후단은 몸체(600)의 전면 내부에 끝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고정된 길이만큼 이 대형표시장치(800)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커버(700)는 몸체(600)의 커버삽입홈(610) 후단 모서리부에 힌지(H)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저면에 휴대기기가 장착되는 장착홈(614)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휴대기기를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상단을 지지하는 안착홈(710)이 일정 높이만큼 형성된다.
커버(700)의 저면은 커버삽입홈(610)의 상면 형상과 상응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700)의 전면 상단에는 대형표시장치(800)의 후면 상단에 구비되는 록(802: Lock)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대형표시장치(800)를 몸체(6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700)의 양측벽에는 커버(700)가 커버삽입홈(610)에 장착될 경우 몸체(600)의 이탈방지돌기(612)와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부(712)가 형성된다.
대형표시장치(800)는 몸체(600)의 전면 면적과 대응하되 7인치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후면 하단에 몸체(600)의 회로기판(도면에 미도시)과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몸체(600)의 후면에는 차량 등의 유리에 고정시켜 내비게이션, 동영상,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흡착구(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는 우선, 흡착구를 통해 차량 등의 유리에 부착한 후 대형표시장치(800)를 몸체(600)로부터 각도제한부(620)에 의해 휴대기기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전방을 향해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몸체(600)의 장착홈(614)에 휴대기기를 삽입하면 휴대기기와 커넥터(616)가 연결 접속된다.
다음으로, 커버(700)를 힌지(H)를 기점으로 회전시켜 안착홈(710)이 휴대기 기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커버삽입홈(610)에 휴대기기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커버(700)가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함몰부(712)가 이탈방지돌기(612)에 걸리도록 이동시킨다.
그 후, 휴대기기를 조작하여 내비게이션이나 동영상 또는 음악 등을 재생하도록 한 다음 대형표시장치(800)를 몸체(600)로 회전시켜 고정시키면 대형표시장치(800)를 통해 영상 등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서 슬라이더 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고정부재, 커버부재 및 디스플레이부를 분해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구조에서 디스플레이부가 0°일 때와 180°회전될 때의 종단면도,
도 7과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본체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장/탈착식 접속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장/탈착식 접속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스플레이부 102,104: 디스플레이창 106: 회로기판
110: 디스플레이부 측면 112: 이동안내홀 114: 열통로구멍
200: 본체 202: 결합홈 202a: 입력부
203: 회전홈 204: 본체 측벽 206: 슬라이더홈
208: 마감부재 210: 고정부재 210a: 걸림돌기
212: 장착홈부 214: 턱 216: 회전가이드홈
220: 커버부재 222: 이동구멍 224: 회전축 구멍
226: 스토퍼홀 228: 고정돌기 230: 축부위치홀
231: 축부홈 310: 슬라이더 312: 결합부재
314: 수평부재 316: 직교부재 316a: 걸림홈
317: 결합부 318: 통로 319: 부재결합수단
320: 연동부 322: 단차홈 322a: 방지턱
324: 각도제한홈 330: 복원력 발생부 331: 축부
332: 볼트 333: 고정턱 334: 너트
335: 탄성부재삽입홈 336: 탄성부재 337: 탄성지지봉
338: 간격부재 400: 스토퍼 410: 출몰부재
420: 탄성부재(스토퍼) 500: 회전축 600: 몸체
610: 커버삽입홈 612: 이탈방지돌기 614: 장착홈
616: 커넥터 618: 환풍구 620: 각도제한부
700: 커버 710: 안착홈 712: 함몰부
800: 대형표시장치

Claims (24)

  1.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각각 마주보는 대향면을 형성하도록 측벽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중심을 관통하는 통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직교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직교부재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더홈;
    상기 슬라이더홈의 개구된 면을 폐쇄하되, 상기 수평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구멍과, 상기 이동구멍의 양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축구멍을 포함하는 커버부재;
    상기 슬라이더홈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직교부재와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와,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단차진 측면의 측벽에 형성되는 턱과,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측면 바닥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되,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단차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턱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제한홈을 포함하는 연동부;
    상기 연동부를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되, 상기 연동부와 상기 턱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감싸며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탄성부재가 탄성 지지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복원력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
  2.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안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각각 마주보는 대향면을 형성하도록 측벽이 돌출 형성된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되, 중심을 관통하는 통로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의 일단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직교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직교부재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본체의 측벽 중 어느 한 곳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더홈;
    상기 슬라이더홈의 개구된 면을 폐쇄하되, 상기 수평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구멍과, 상기 이동구멍의 양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 형성되는 회전축구멍을 포함하는 커버부재;
    상기 슬라이더홈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직교부재와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와,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상기 단차진 측면의 측벽을 관통하는 축부위치홀과, 상기 회전축구멍에 대응하여 측면 바닥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
    상기 축부위치홀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턱과, 상기 축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복원력발생부;
    상기 회전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되,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단차홈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턱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제한홈을 포함하는 연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의 측벽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이동안내홀;
    상기 이동안내홀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의 가장자리 일단에 형성되되, 선단이 라운딩 처리되고 상기 이동 안내홀에서 삽탈되는 출몰부재와, 상기 출몰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홀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안내홀에는 열통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탈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부재 중 어느 한 곳에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직교부재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삽탈되도록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 또는 상기 고정부재의 단차진 측면 바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직교부재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80004032A 2007-08-17 2008-01-14 휴대기기 구조 KR10101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4751 WO2009025473A2 (en) 2007-08-17 2008-08-14 Portable device which has slide and rotary type displa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88 2007-08-17
KR20070082688 2007-08-17
KR20070100895 2007-10-08
KR1020070100895 2007-10-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012A Division KR101013332B1 (ko) 2007-08-17 2010-05-31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558A KR20090018558A (ko) 2009-02-20
KR101013331B1 true KR101013331B1 (ko) 2011-02-10

Family

ID=406868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32A KR101013331B1 (ko) 2007-08-17 2008-01-14 휴대기기 구조
KR1020100051012A KR101013332B1 (ko) 2007-08-17 2010-05-31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012A KR101013332B1 (ko) 2007-08-17 2010-05-31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13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18A (ko) * 2001-02-12 2002-08-21 김민겸 이동 단말기
KR20060023230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166A (ko) * 2004-07-27 2006-02-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보조형 복합기
KR100740747B1 (ko) * 2005-08-23 2007-07-19 최영석 휴대전자기기 기능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018A (ko) * 2001-02-12 2002-08-21 김민겸 이동 단말기
KR20060023230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332B1 (ko) 2011-02-10
KR20090018558A (ko) 2009-02-20
KR20100063691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852B1 (ko) 휴대기기 구조
KR100909011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650671B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KR100626970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033750A (ja) スライディング及びローテーション複合メカニズムとこれを採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US20040174137A1 (en) Desktop charger for bar-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1928158A1 (en) Mobile phone for multimedia with self-cradling function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KR20100049035A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
KR2005004043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유동방지장치
KR101013331B1 (ko) 휴대기기 구조
US20220075426A1 (en) Foldable multimedia terminal
KR100800337B1 (ko) 휴대기기 구조
KR20070109798A (ko) 휴대기기 구조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CN111355833B (zh) 一种移动通信终端
WO2009025473A2 (en) Portable device which has slide and rotary type display module
KR100889098B1 (ko) 슬라이드부의 각도 조절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08297Y1 (ko) 로터리 힌지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08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137B1 (ko)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8729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프레임 조립체
KR101296334B1 (ko) 틸트형슬라이드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