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171B1 - 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171B1
KR100739171B1 KR1020050004702A KR20050004702A KR100739171B1 KR 100739171 B1 KR100739171 B1 KR 100739171B1 KR 1020050004702 A KR1020050004702 A KR 1020050004702A KR 20050004702 A KR20050004702 A KR 20050004702A KR 100739171 B1 KR100739171 B1 KR 10073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emergency
terminal
call m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3766A (en
Inventor
이상혁
이시형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171B1/en
Publication of KR2006008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통화를 위한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비상 통화용 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통화나 편의기능 사용을 위해 비상 통화용 전원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인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어 보조 배터리에 의해 단말기를 구동할 경우, 단말기의 구동 모드를 비상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통화 모드 전환 시, 비상 통화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로만 구성된 비상 통화 모드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비상 통화 모드로 전환 시 화면 상단에 비상 통화 모드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 및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표시함과 아울러, 비상 통화에 필요한 기능 메뉴만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battery for emergency call or enabling the user to recognize that emergency power is being used, so as not to waste emergency call power for general call or convenience function use. A call method, comprising: switching a driving mode of a terminal to an emergency call mode when the main battery is exhausted and the terminal is driven by the auxiliary battery; And outputting an emergency call mode menu composed only of menus available in the emergency call mode when the emergency call mode is switched, and a guidance message and an indicator icon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mode at the top of the screen when the emergency call mode is switched.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above, it is possible to achieve by activating only the function menu required for emergency calls.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보조 배터리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비상 통화 모드임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1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mode using an auxiliary battery as a driving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을 보인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01 : 비상 통화 모드 아이콘301: Emergency call mode ic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 통화를 위한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비상 통화용 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통화나 편의기능 사용을 위해 비상 통화용 전원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secondary battery for an emergency call or to enable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power source for emergency calls, emergency calls for use of general calls or convenience functions It relates to an emergency cal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not to waste the power supply.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 편하고 이동 중에도 전화를 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기본적인 전화 통화는 물론 전자 수첩이나 인터넷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이미 단순한 전화기 를 넘어섰으며 그 외에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경쟁적으로 적용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mall size, which is convenient to carry and can make a phone call while on the go. In addition, various functions are competitively applied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아울러, 상기와 같은 편의 기능들에 우선하여 평소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기능으로, 비상 전화(Emergency Call : 911, 119) 기능이 있으며, 비상 전화와 관련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반 전화보다 빠르고(Call Process), 간단하게(단축키) 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구조 요청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있다.In addition, it is a function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usual, but must be included in preference to the above convenience functions, there is an emergency call (911, 119) func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lation to the emergency call than the general telephone Call process and simple (shortcut) call connection can be made to maximize the original function of rescue request.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말기의 모든 기능들은 단말기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었을 때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만약 단말기의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어떤 기능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상전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한 통화 정도의 전화 사용이 가능한 통화 전력을 비축해 둘 필요가 있는 것이다.However, all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can be performed when the power is stably supplied to the terminal, and if the battery of the terminal is exhausted, no function is available. Therefore, in order to use an emergency telephone, it is necessary to have a telephone power available for at least one telephone call.

이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배터리의 전력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며, 전류가 거의 소모될 경우 경고음이나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함으로써, 비상전화를 위한 전원을 남겨둘 수 있도록 하거나,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보조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서,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모두 소모하더라도 보조 배터리를 통해 계속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power state of the battery on the screen, and when the current is almost exhausted by displaying a warning sound or warning message on the screen to notify the user, so that the power for emergency call can be lef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rminal, the auxiliary battery is provided so that even if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is exhausted, the call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그러나, 상기 종래 단말기에서의 보조 배터리는 본래의 용도대로 비상 통화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소모되면, 자동으로 보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 상 통화용 보조 배터리 전원이 사용되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한 체, 일반 통화(또는 편의기능 이용) 시, 그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결국, 비상 전화를 해야할 상황이 되어도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uxiliary battery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should be able to be used during an emergency call for its intended purpose. In the conventional case, when the main battery is completely depleted,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If you do not recognize whether the emergency battery power is used for emergency calls, or if you are making a normal call (or use a convenient function),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will be used. There is a problem.

즉,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에 의한 전원의 소모보다는, 부가 기능의 이용에 의한 전원 소모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비상 통화를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남겨두기 위하여 메인 배터리와 분리된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고, 메인 배터리 전원이 모두 소모될 경우 보조 배터리를 이용해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That is,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trend that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use of the additional features, rath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telephone call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separate from the main battery to leave a minimum power for emergency call The battery is equipped with a secondary battery, and when the main battery power is exhausted to make emergency calls using the secondary battery.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단순히 메인 배터리의 용량이 조금 더 증가된 정도로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 전화를 해야할 상황이 되어도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at the auxiliary battery power is being u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pacity of the main battery can only be judged to be a little more increased, the user cannot make a call even when an emergency call is required. Problem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비상 통화를 위한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비상 통화용 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통화나 편의기능 사용을 위해 비상 통화용 전원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providing a secondary battery for emergency calls or by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emergency power source is being used, using a general call or convenience functi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waste power for emergency cal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어 보조 배터리에 의해 단말기를 구동할 경우, 단말기의 구동 모드를 비상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통화 모드 전환 시, 비상 통화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로만 구성된 비상 통화 모드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attery is exhausted and the terminal is driven by the auxiliary battery, switching the driving mode of the terminal to an emergency call mode; When switching the emergency call mo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outputting an emergency call mode menu consisting of only the menu available in the emergency call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processing flow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obvious to them.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structures which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자가 비상 통화용 보조 배터리를 일반 통화(또는 편의기능 이용) 시 사용했던 가장 큰 이유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원이 메인 배터리의 전원인지 보조 배터리의 전원인지를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했던 까닭이다.In general, the biggest reason why a user used an emergency call auxiliary battery during a general call (or using a convenience function) is that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the current power source is the main battery or the auxiliary battery. That's wh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화면 상단에 비상 통화용 보조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와 인디케이터 아이콘(301)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바로 인지하게 하여, 비상 통화 이외의 불필요한 전화 사용을 자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used as shown in FIG. 1, the auxiliary battery is displayed by displaying a guide message and an indicator icon 301 indicating that the auxiliary battery power for emergency call is being used at the top of the screen. The user immediately recognizes that the user is using the service and induces unnecessary use of the phone except for an emergency call.

또한, 상기와 같이 보조 배터리를 단말기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비상 통화 모드로 진입한 경우)에는, 단말기의 모든 편의기능 사용을 위한 메뉴를 비 활성화 시켜 무의식적인 이용을 방지하고, 사용 가능한 기능의 메뉴만을 활성화 시켜 표시한다.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used as the terminal power as described above (in case of entering the emergency call mode), the menu for all convenience functions of the terminal is inactivated to prevent unintentional use, and the menu of available functions Only activate it for display.

물론, 비상 통화 모드에서도 기존의 메뉴 체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사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메뉴만 비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어차피 사용 불가능한 메뉴에 대하여 불필요한 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메뉴(예 : 전화번호부, 단문메시지)만으로 구성된 비상 통화 메뉴 체계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emergency call mode, you can use the existing menu system as it is, but deactivate only the menu that you want to restrict the use of. It is desirable to display an emergency call menu system consisting of only a phone book and a short message).

즉, 메인 배터리 사용시의 정상적인 메뉴 체계와 보조 배터리 사용시의 비상 통화 메뉴 체계를 따로 구비하여, 각 상황에 따라 해당하는 메뉴 체계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서, 단말기 조작을 빨리 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전원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by providing a separate menu system when using a main battery and an emergency call menu system when using a secondary battery, a corresponding menu system is displayed according to each situation, so that the terminal can be operated quickly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ccordingly. Make sure

다음,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이용하던 중,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소모될 경우 단말기는 자동으로 오프된다. Next, 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using the terminal using the main battery as shown, when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is exhausted, the terminal automatically Is off.

이에 따라, 단말기가 오프된 이유를 정확히 모르는 사용자가 파워 온/오프 버튼을 눌러 단말기를 온 시키고자 해도 메인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었으므로 단말기는 온 되지 않는다. Accordingly, even if a user who does not know exactly why the terminal is turned off, but wants to turn on the terminal by pressing the power on / off button, the terminal is not turned on because the main battery is exhausted.

따라서, 보조 배터리용 온/오프 버튼을 눌러 단말기를 온 시킨다.Accordingly, the terminal is turned on by pressing the on / off button for the auxiliary battery.

즉, 본 발명에서는 메인 배터리 온/오프 버튼 이외에 보조 배터리 온/오프 버튼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파워 온/오프 시에도 보조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는지 메인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on / off button is separatel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main battery on / off butt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auxiliary battery is used or the main battery is used even at the time of power on / off.

만약, 메인 배터리 온/오프 버튼과 보조 배터리 온/오프 버튼을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에는, 메인 배터리 온/오프 버튼을 누르더라도 보조 배터리에 의해 단말기를 온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배터리에 의해 단말기를 온 시킨 경우 화면 상단에 인디케이터 아이콘(비상 통화용 보조 배터리 사용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If the main battery on / off button and the auxiliary battery on / off button are the same, the terminal is turned on by the auxiliary battery even when the main battery on / off button is pressed. As such, when the terminal is turned on by the auxiliary battery, an indicator icon (an icon indicating the use of an auxiliary battery for emergency call)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통화 모드가 비상 통화 모드(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단말기 구동 모드)임을 인지하게 된다.Thus,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urrent call mode is the emergency call mode (terminal driving mode using the secondary battery).

다음, 상기와 같이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온 시킨 경우, 기 구비된 비상 통화 모드 메뉴(전화번호부, 단문메시지 등, 사용 가능한 메뉴로만 구성된 메뉴)를 디스플레이 한다. Next, when the terminal is turned on using the auxiliary battery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call mode menu (a menu consisting only of available menus such as a phone book and a short message) is display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활성화된 메뉴 중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필요한 상대에게 직접 전화를 하거나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등 비상 통화 기능을 빠르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quickly use the emergency call function by searching the phone book among the activated menus and directly calling a necessary counterpart or sending a short messa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은 비상 통화를 위한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 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통화에 보조 배터리 전원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cal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auxiliary battery power is being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battery for emergency call, thereby making the auxiliary battery available for general call. It is effective to avoid wasting power.

Claims (5)

메인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어 보조 배터리에 의해 단말기를 구동할 경우에 있어서, 단말기의 구동 모드를 보조 배터리에 의해 단말기가 구동되도록 하는 비상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When the main battery is exhausted and the terminal is driven by the auxiliary battery, switching the driving mode of the terminal to an emergency call mode in which the terminal is driven by the auxiliary battery; 상기 비상 통화 모드 전환 시, 비상 통화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로만 구성된 비상 통화 모드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And outputting an emergency call mode menu comprising only menus usable in the emergency call mode when the emergency call mode is swit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통화 모드로 전환 시 화면 상단에 비상 통화 모드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 및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The emergency call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guide message and an indicator icon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mode at the top of the screen when switching to the emergency call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통화 모드 메뉴는 전화번호부, 단문메시지 기능 과 같이, 비상 통화와 관련된 메뉴로 바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메뉴 체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The emergency call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call mode menu is a menu system configured to directly proceed to a menu related to an emergency call, such as a phone book and a short message function.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통화 모드 메뉴는, 비상 통화에 필요한 기능만 활성화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The emergency call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emergency call mode menu is configured to activate only a function necessary for an emergency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에 의한 단말기의 구동은, 메인 배터리 온/오프 버튼과는 별도로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조 배터리 온/오프 버튼을 설정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of the terminal by the auxiliary battery is configured to drive the auxiliary battery on / off button by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main battery on / off button. Emergency call method.
KR1020050004702A 2005-01-18 2005-01-18 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39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02A KR100739171B1 (en) 2005-01-18 2005-01-18 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702A KR100739171B1 (en) 2005-01-18 2005-01-18 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66A KR20060083766A (en) 2006-07-21
KR100739171B1 true KR100739171B1 (en) 2007-07-13

Family

ID=3717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702A KR100739171B1 (en) 2005-01-18 2005-01-18 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1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83B1 (en) * 2009-07-08 2016-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multi batt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52Y1 (en) 1999-08-20 2000-02-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Apparatus For Emergency Call Power Suppl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nimal
KR20040105188A (en) * 2003-06-05 2004-12-14 이치헌 mobile phone with emergency cal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52Y1 (en) 1999-08-20 2000-02-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Apparatus For Emergency Call Power Suppl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nimal
KR20040105188A (en) * 2003-06-05 2004-12-14 이치헌 mobile phone with emergency ca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766A (en)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6270B2 (en) Display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system
US790792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5636265A (en) Radio telephone with automatic answering
EP159214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of push-to-talk (PTT) phone
JPH07307776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40033220A (en) A method for informing a battery availability time according to action modes in a complex terminal
JP4715492B2 (en) In-vehicle hands-free device and in-vehicle hands-free system
EP1182901A2 (en) Mobile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 for non-RF mode operation
JP2002141986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0739171B1 (en) Emergency cal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8072464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57946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400214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rtcut icon in portable terminal
JPH10200615A (en) Telephone set with backlight control mechanism
KR20030033563A (en) Method for preferential incoming call alarm in the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20030009775A (en) Method for saving battery reduce capacity by controlling power supply in call mode of image mobile phone
KR10062479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ower managing mod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770452B1 (en) apparatus of handy terminal with voice menu and earphone
JPH10243464A (en) Mobile telephone system
KR201400214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rtcut icon in portable terminal
KR20020054585A (en) Battery cut-off voltage controll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11984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300233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0776305B1 (en) Method for controling sleeping mode in mobile terminal
KR100223293B1 (en) Portable cellular phone having 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