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05B1 - How to control the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ow to control the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6305B1 KR100776305B1 KR1020070000092A KR20070000092A KR100776305B1 KR 100776305 B1 KR100776305 B1 KR 100776305B1 KR 1020070000092 A KR1020070000092 A KR 1020070000092A KR 20070000092 A KR20070000092 A KR 20070000092A KR 100776305 B1 KR100776305 B1 KR 100776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p mode
- alarm
- time
- setting
- k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침 모드 키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취침 모드 설정 요구시, 설정된 알람 시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설정된 알람 시간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를 취침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취침 모드를 설정시 취침 모드 키를 이용함으로써 쉽게 취침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를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in order to control a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sleep mode key,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et alarm time and a set alarm time when a sleep mode is set is requested. If yes, it has a process of set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sleep mod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t or cancel the sleep mode by using the sleep mode key when setting the sleep mod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침 모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sleep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침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sl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침 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leep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침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eep mode control method.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상기 다양한 기능 중에는 취침 모드가 있다. 취침 모드 기능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알림 방법으로 인한 방해를 받고 싶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상기 취침 모드 기능을 설정하면 휴대 단말기는 취침 모드가 설정 되어 있는 시간 동안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호가 착신되어도 사용자가 설정한 방법(무음, 착신램프표시, 자동응답 등)으로 표시하는 기능이다.As more users use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mplements various functions. Among the various functions is a sleep mode. The sleep mode function may be used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be disturbed by the notific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leep mode function is set,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text message or multimedia message or receives a call during the sleep mode. .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서 취침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은 취침 모드 메뉴를 선택하고 취침 모드를 시작할 시간과 취침 모드를 해제할 시간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취침 모드 시간을 변경하고자 할 때 매번 메뉴에 들어가 설정된 취침 모드를 변경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for setting the sleep mode in the mobile terminal is inconvenient to select the sleep mode menu, and to set the time to start the sleep mode and the time to cancel the sleep mode.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leep mode time, it is inconvenient to enter the menu every time and change the set sleep mod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침 모드 키를 구비하고 취침 모드 키 입력시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sleep mode key and performing a sleep mode of a portable terminal when a sleep mode key is in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취침 모드를 수행시 미리 설정된 알람 시간으로 취침 모드를 해제하는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eep mode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for releasing the sleep mode with a preset alarm time when the sleep mode i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취침 모드 설정 요구시, 설정된 알람 시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간이 있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취침 모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en the sleep mode setting request is requested,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et alarm time and, if there is a set alarm time, includes set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a sleep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취침 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 벨소리, 기능음 등의 소리 크기 조절 및 램프 동작 상태가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설정되어 동작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알람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을 알리는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여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설정한 시간을 알리는 기능으로는 모닝콜, 일정 관리 알람, 시간 알림 등이 있다. 또한 이벤트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그리고 호가 착신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 and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The sleep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 sound volume control such as a ring tone, a function sound, and a lamp operation state are set according to a user's needs for a desired time. An alarm means including all functions that notify a user of a set time. For example, a function for notifying the set time includes a wake-up call, a schedule management alarm, and a time reminder. In addition, the event means that a text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e and a call received at the mobile terminal are recei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취침 모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sleep mode control method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30), 오디오처리부(140), 표시부(150) 및 통신부(16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구성 요소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10)는 키입력부(120)를 통해 취침 모드 키를 입력받아 휴대 단말기(100)의 취침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한다.The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측면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키입력부(120)는 취침 모드 키를 구비한다. 상기 취침 모드 키는 키입력부(120)에 배치된 키들 중 대기상태에서 쓰이지 않는 키를 이용하거나 독립적인 키를 배치할 수도 있다.The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침 모드 설정 및 해제를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취침 모드 해제 시간으로 사용할 알람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알람 데이터는 알람을 알릴 시간과 알람을 알릴 벨소리 등이다.The
오디오 처리부(140)는 소리 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한다. 특히 알람을 알릴 시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알린다.The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50)는 사용자의 취침 모드 제어 신호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한다.The
통신부(160)는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주파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60)는 송수신 기능을 분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는 송신부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침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sl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211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취침 모드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취침 모드 설정 요구임을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저장부(130)에 저장된 알람 시간이 있는지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에 구비된 취침 모드 키를 누르면 제어부(110)는 이를 취침 모드 설정 요구임을 감지한다. 상기 취침 모드 키는 키입력부(120)에 배치된 키들 중에서 대기 상태에서 사용되지 않는 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키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취침 모드 설정은 원터치 다이얼링으로 설정할 수 있다.1 and 2, when the sleep mode key is input through the
취침 모드 설정 요구를 감지한 제어부(110)는 저장부에 저장된 알람 시간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알람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을 알리는 기능으로써 모닝콜, 시간 알림, 일정 관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알람을 실행하는 시간이 취침 모드 해제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알람 시간은 먼저 모닝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한다. 만약 모닝콜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상기 시간 알림으로 설정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모닝콜 및 시간 알림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일정 관리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결정한다.The
213단계에서 설정된 알람 시간이 있으면 제어부(110)는 215단계에서 설정된 알람을 표시부(150)에 표시하고 217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취침 모드로 설정한다. 상기 알람 시간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제어부(110)는 표시부(150)에 알람 재설정 메뉴를 더 표시하여 설정된 알람 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If there is an alarm time set in
반면에 213단계에서 설정된 알람 시간이 없으면 제어부(110)는 231단계에서 설정된 알람 시간이 없음을 표시부(150)에 표시하고 233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알람 설정키 또는 취침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233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알람 설정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알람 설정 요구임을 감지하고 235단계에서 알람을 설정한다. 상기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은 제어부(110)가 키입력부(120)를 통해 알람 설정키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하면, 표시부(150)에 알람 설정 창을 표시한다. 제어부(110)는 알람을 알릴 시간과 알람을 알릴 벨소리 등의 알람 데이터를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으면, 상기 알람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알람을 설정한다. 235단계에서 알람을 설정한 제어부(110)는 237단계에서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시부(150)에 표시하고 217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취침 모드로 설정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alarm time set in
233단계에서 키입력부(120)을 통해 취침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취침 모드 설정 입력을 감지하여 217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취침 모드로 설정한다. When the sleep mode setting key is input through the
217단계에서 취침 모드를 설정한 제어부(110)는 219단계에서 취침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취침 모드를 수행 중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여, 설정된 이벤트 알림 방법에 따라 이벤트 발생을 알린다. 상기 설정된 이벤트 알림 방법은 무음(진동, 램프 점멸 등) 또는 안내 메시지 송출이 있다. 예를 들어 취침 모드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메시지 수신을 무음으로 알리고 저장부(130)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표시부(150)에 수신된 메시지가 있음을 표시한다. 또한 호가 착신되면 제어부(110)는 호가 착신되고 있음을 무음으로 알리고, 안내 메시지 송출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안내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착신된 호가 있음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In
상기 취침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제어부(110)는 221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설정된 알람 시간인지 판단한다. 만약 현재 시간이 설정된 알람 시간이라면 제어부(110)는 223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 알람 시간임을 알리고 225단계에서 취침 모드를 해제한 후 취침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In
반면에 현재 시간이 설정된 알람 시간이 아니면 제어부(110)는 239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취침 모드 해제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239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취침 모드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취침 모드 해제 요구임을 감지하고, 225단계에서 취침 모드를 해제한 후 취침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그러나 취침 모드 해제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219단계로 돌아가 취침 모드를 수행한다. 즉 취침 모드 수행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에 구비된 취침 모드 키를 누르면 제어부(110)는 이를 취침 모드 해제 요구임을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time is not the set alarm time,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침 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leep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311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알람 설정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알람을 설정하고 313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취침 모드 설정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3, when an alarm setting key is input through the
즉 사용자가 알람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알람 설정 메뉴 선택을 감지하고 표시부(150)에 알람 설정 입력창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의 알람 데이터(알람을 알릴 시간과 알람을 알릴 벨소리 등)를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으면 제어부(110)는 상기 알람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알람을 설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에 구비된 취침 모드 키를 누르면 제어부(110)는 이를 취침 모드 설정 요구로 감지한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n alarm setting menu, the
313단계에서 취침 모드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315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취침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취침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취침 모드를 수행 중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여, 설정된 이벤트 알림 방법에 따라 이벤트 발생을 알린다. 상기 설정된 이벤트 알림 방법은 무음(진동, 램프 점멸 등) 또는 안내 메시지 송출이 있다. 예를 들어 취침 모드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메시지 수신을 무음으로 알리고 저장부(130)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표시부(150)에 수신된 메시지가 있음을 표시한다. 또한 호가 착신되면 제어부(110)는 호가 착신되고 있음을 무음으로 알리고, 안내 메시지 송출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안내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송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착신된 호가 있음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When the sleep mode key is input in
상기 취침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제어부(110)는 317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설정된 알람 시간인지 판단한다. 만약 현재 시간이 설정된 알람 시간이라면 제어부(110)는 319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 알람 시간임을 알리고 321단계 에서 취침 모드를 해제한 후 취침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In
반면에 현재 시간이 설정된 알람 시간이 아니면 제어부(110)는 323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취침 모드 해제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323단계에서 키입력부(120)를 통해 취침 모드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취침 모드 해제 요구임을 감지하고, 321계에서 취침 모드를 해제한 후 취침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그러나 취침 모드 해제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315단계로 돌아가 취침 모드를 수행한다. 즉 취침 모드 수행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에 구비된 취침 모드 키를 누르면 제어부(110)는 이를 취침 모드 해제 요구임을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time is not the set alarm tim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취침 모드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부터 취침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에 따라 취침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취침 모드 키를 이용하여 취침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set the sleep mode from a desired time using the sleep mode key and release the sleep mode according to the set alarm. In addition, the sleep mode key can be used to turn the sleep mode on or off.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0092A KR100776305B1 (en) | 2007-01-02 | 2007-01-02 | How to control the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0092A KR100776305B1 (en) | 2007-01-02 | 2007-01-02 | How to control the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6305B1 true KR100776305B1 (en) | 2007-11-13 |
Family
ID=3906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0092A KR100776305B1 (en) | 2007-01-02 | 2007-01-02 | How to control the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630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79888A (en) * | 2021-01-21 | 2022-08-09 |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 Interac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mobile termin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9925A (en) * | 2001-02-28 | 2002-09-05 | 엘지전자주식회사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leep function control method |
KR20040000904A (en) * | 2002-06-26 | 2004-01-07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phone with sleeping mode and method for the same |
-
2007
- 2007-01-02 KR KR1020070000092A patent/KR10077630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9925A (en) * | 2001-02-28 | 2002-09-05 | 엘지전자주식회사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sleep function control method |
KR20040000904A (en) * | 2002-06-26 | 2004-01-07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phone with sleeping mode and method for the same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공개특허 제2002-0069925호 |
공개특허 제2004-0000904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79888A (en) * | 2021-01-21 | 2022-08-09 |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 Interac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7382B1 (en) | How to switch screen in mobile terminal | |
EP341354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353214B1 (en) | Service method of mobile terminal function | |
KR100543302B1 (en) | Selective reception method during multimedia operation on mobile terminal | |
EP189430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annunci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873798B1 (en) | Method of providing incoming message hid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me | |
KR20060026170A (en) | SMS message canceling and receiving message storage device and method | |
KR20100118694A (en) | Method for notifying the receipt of a short mess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 |
US7555311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
KR100776305B1 (en) | How to control the sleep mode of a mobile terminal | |
KR100771160B1 (en) | How to Control Spam Calls on Mobile Devices | |
KR100539155B1 (en) | Method for next alarm cancellation | |
KR100827084B1 (en) |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from silent mode to alarm mode | |
KR100703355B1 (en) | How to receive a call on your mobile device | |
KR101419696B1 (en) | Method for controling alarm in mobile terminal | |
KR100679483B1 (en) | How to change the automatic setting using the timer of the portable terminal | |
KR101014715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schedule alarm and incoming notification signal automatic change method | |
KR100664137B1 (en) | Text message receiving notific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64386B1 (en) | Method for canceling call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50055798A (en) | Method for operating memopad during convers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970614B1 (en) | How to Display the Custom Settings Menu | |
KR10117666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 using earphone key | |
KR100827173B1 (en) | How to record a call on your mobile device | |
KR100797485B1 (en) | Mobile phone with pause | |
KR100620742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convenience report information and self terminal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