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606B1 -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606B1
KR100738606B1 KR1020070007865A KR20070007865A KR100738606B1 KR 100738606 B1 KR100738606 B1 KR 100738606B1 KR 1020070007865 A KR1020070007865 A KR 1020070007865A KR 20070007865 A KR20070007865 A KR 20070007865A KR 100738606 B1 KR100738606 B1 KR 10073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nductive
terminal
electricity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수
Original Assignee
(주)우일전기설계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일전기설계감리 filed Critical (주)우일전기설계감리
Priority to KR102007000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된 수용홈을 갖추고, 110V의 전기가 흐르면서 관형상으로 된 제1통전체와 220V의 전기가 흐르면서 상기 제1통전체의 내측 중심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2통전체로 된 통전소켓을 갖는 하우징; 전면이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중공이 개구되고, 상기 전면이 공개되도록 벽면에 매설되며, 110V의 전기가 흐르는 제1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주면을 이루는 제1통전부재와 상기 제1통전부재와 절연체를 매개로 절연되며 중심에 삽입공을 갖는 제2통전부재로 된 통전단자를 갖추되, 상기 삽입공으로는 상기 제2통전체가 탈부착가능하게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통전부재는 상기 제1통전체의 안쪽으로 탈부착가능하게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서, 상기 수용홈을 삽입되거나 이탈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통전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덮어 폐구하되, 원형바아형상인 220V 전용 제2플러그 통전바아가 긴밀히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된 삽입구와, 평판형상인 110V 전용 제1플러그 통전바아가 긴밀히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를 중심으로 상하로 연장된 연장구멍을 갖는 커버;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말단과 접하면서 220V 전기가 흐르는 제2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덮어 절연하면서 상기 제2단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내에서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의 배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단자를 절연하는 지지대; 상기 이동블록 및 지지대를 상기 삽입구 쪽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 상기 커버의 배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110V의 전기가 흐르는 제1전선과 통전용 제1,2접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단에 상기 돌기가 맞물려 걸리는 걸림홈을 갖추는 한편, 상기 중공의 벽면과 지지스프링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되, 한 쌍의 상호 간격이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의 높이보다 좁고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높이보다 크게 배치되며, 상기 통전용 제1접전체가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의 삽입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전선의 말단에 위치한 상기 통전용 제2접전체와 접하거나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된 제1단자; 중심부가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제1단자와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연동바아; 및 중심부가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연동바아의 타단과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의 배면과 맞닿도록 절곡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단자가 제1플러그 통전바아로부터 밀리면서 상기 연동바아를 동작시키면 상기 동작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리되는 걸림바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Outlet able to boost or raise the vol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및 통전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1실시모습을 동작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2실시모습을 동작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콘센트 110 ; 하우징
120 ; 통전케이스
121 ; 개구부 122 ; 탄발체
123 ; 가이드 124 ; 연동바아
125 ; 걸림바아 130 ; 커버
131 ; 삽입구 132 ; 연장구멍
141 ; 제1단자 142 ; 제2단자
143 ; 지지스프링
150 ; 이동블록 151 ; 돌기
160 ; 지지대 170 ; 통전소켓
180 ; 통전단자 181, 182 ; 제1,2통전부재
183 ; 삽입공 184 ; 절연체
191 ; 제1전선
192 ; 제2전선 210 ; 제1플러그
211 ; 제1플러그 통전바아 220 ; 제2플러그
221 ; 제2플러그 통전바아
본 발명은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상가 또는 공동주택 등에서 이용되는 상용전압은 110V/220V이다. 따라서, 상가 또는 공동주택에는 110V/220V 등의 두 종류의 콘센트가 설치된다.
한편, 전기구는 110V 전용, 220V 전용 및 110V/220V 혼용이 있다. 물론, 110V/220V 혼용의 경우는 큰 문제가 없지만, 110V 전용 또는 220V 전용의 경우에는 해당 전기구의 잘못된 상용전압 공급으로 전기구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10V와 220V 전용 콘센트 및 플러그는 그 형태 를 달리하여 110V 플러그는 220V 콘센트에 삽입할 수 없고, 220V 플러그는 110V 콘센트에 삽입할 수 없도록 하였다. 결국,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상용전압의 혼용으로 해당 전기구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110V 전용 콘센트와 220V 전용 콘센트는 110V 또는 220V 만 공급하므로, 110V 전용 콘센트가 설치된 위치에서는 220V 전용 전기구를 사용할 수 없고, 220V 전용 콘센트가 설치된 위치에서는 110V 전용 전기구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사용자는 전기구의 사용 위치에 대한 제한을 받으므로 많은 불편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10V/220V의 구분없이 상용전압을 공급함으로서, 사용자의 전기구 사용에 대한 위치적인 제한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편리한 전기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된 수용홈을 갖추고, 110V의 전기가 흐르면서 관형상으로 된 제1통전체와 220V의 전기가 흐르면서 상기 제1통전체의 내측 중심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2통전체로 된 통전소켓을 갖는 하우징;
전면이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중공이 개구되고, 상기 전면이 공개되도록 벽면에 매설되며, 110V의 전기가 흐르는 제1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주면을 이루는 제1통전부재와 상기 제1통전부재와 절연체를 매개로 절연되며 중심에 삽입공을 갖는 제2통전부재로 된 통전단자를 갖추되, 상기 삽입공으로는 상기 제2통전체가 탈부착가능하게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통전부재는 상기 제1통전체의 안쪽으로 탈부착가능하게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서, 상기 수용홈을 삽입되거나 이탈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통전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덮어 폐구하되, 원형바아형상인 220V 전용 제2플러그 통전바아가 긴밀히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된 삽입구와, 평판형상인 110V 전용 제1플러그 통전바아가 긴밀히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를 중심으로 상하로 연장된 연장구멍을 갖는 커버;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말단과 접하면서 220V 전기가 흐르는 제2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덮어 절연하면서 상기 제2단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내에서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의 배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단자를 절연하는 지지대;
상기 이동블록 및 지지대를 상기 삽입구 쪽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
상기 커버의 배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110V의 전기가 흐르는 제1전선과 통전용 제1,2접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단에 상기 돌기가 맞물려 걸리는 걸림홈을 갖추는 한편, 상기 중공의 벽면과 지지스프링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되, 한 쌍의 상호 간격이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의 높이보다 좁고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높이보다 크게 배치되며, 상기 통전용 제1접전체가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의 삽입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전선의 말단에 위치한 상기 통전용 제2접전체와 접하거나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된 제1단자;
중심부가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제1단자와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연동바아; 및
중심부가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연동바아의 타단과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의 배면과 맞닿도록 절곡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단자가 제1플러그 통전바아로부터 밀리면서 상기 연동바아를 동작시키면 상기 동작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리되는 걸림바아;
를 포함하는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110V 전용 제1플러그(210)와 220V 전용 제2플러그(220)를 모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내 벽면에 매설되는 하우징(11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제1,2플러그(210, 220)의 통전바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성형된 커버(130 ; 도 2 참조)가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및 통전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콘센트(100)는, 수용홈(112)을 갖는 하우징(110)과, 상기 수용홈(112)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개구부(121)를 통해 전면으로 개구된 중공을 갖는 통전케이스(120)와, 상기 통전케이스(120)의 중공에 내설되는 제1,2단자(141, 142)와, 이동블록(150)과 지지대(160)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121)를 덮어 폐구하는 커버(130)와, 상기 하우징(110) 및 통전케이스(120)의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한 덮개(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1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이 수용할 수 있는 플러그 수에 상응하는 입구(113a)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113a)를 통해 커버(130)가 공개된다. 물론, 상기 커버(130)는 플러그의 통전바아가 삽입되는 삽입구(13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테두리에는 상기 덮개(113)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체결턱(1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센트(100)가 두 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덮개(113)는 두 개의 입구(113a)가 형성되었다.
계속해서, 상기 통전케이스(120)는 하우징(110)의 수용홈(112)에 서랍식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통전케이스(120)의 배면에는 한 쌍의 통전단자(18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2)에는 상기 통전단자(180)가 탈부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한 쌍의 통전소켓(170)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전단자(180)는 110V의 전기가 흐를 제1전선(191)과 연결되는 제1통전부재(181)와, 220V의 전기가 흐를 제2전선(192)과 연결되는 제2통전부재(182)로 되며, 상기 제1,2통전부재(181, 182)를 상호 절연하는 절연체(18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전단자(180)는 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통전부재(181)는 원기둥형상의 외주면을 이루며, 상기 제2통전부재(182)는 원기둥형상의 중심을 이룬다. 상기 제2통전부재(182)의 중심은 절개되어 삽입공(183)을 이룬다.
한편, 상기 통전소켓(17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내측 공간에는 상기 삽입공(183)으로 삽입되는 제2통전체(172)가 배치되고, 상기 제2통전체(172)를 중심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제1통전부재(181)와 맞닿는 제1통전체(171)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통전단자(180)는 상기 수용홈(112)을 통한 상기 통전케이스(120)의 탈부착시 상기 하우징(110)의 통전소켓(170)과 맞물릴 시에, 상기 삽입공(183)으로 제2통전체(172)가 삽입되면서 제2통전부재(182)와 접촉하여 제2전선(192)에 220V의 전기를 흘리고, 상기 통전단자(180) 전체가 통전소켓(170)으로 삽입되면서 통전단자(180)의 외주면인 제1통전부재(181)가 제1통전체(17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제1전선(191)에 110V의 전기를 흘리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통전케이스(12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할 경우, 통전케이스(120)를 그대로 뽑아내기만 하면 상기 통전소켓(170)과 통전단자(180) 간의 물리적,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에는 다수의 수용홈(112)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러한 수용홈(112)으로 독립된 다수의 통전케이스(120, 120')가 맞물려 끼워질 수 있 을 것이다.
미설명 인출번호 '114'는 '관통공'으로, 상기 통전소켓(170)이 끼워져 고정되는 곳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콘센트(100)의 하우징(110)은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은 전면이 개구부(121)를 통해 개구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121)는 한 쌍의 삽입구(131)를 갖는 커버(130)로 폐구되며, 상기 삽입구(131)는 110V 전용 제1플러그(210)의 통전바아(211 ; 도 5 참조)와, 220V 전용 제2플러그(220 ; 도 6 참조)의 통전바아(221)가 삽입 관통하는 구멍이다.
그런데, 상기 삽입구(131)는 220V 전용 제2플러그(220)의 통전바아(221)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바아로 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의 지름보다 길이가 긴 판 형상으로 된 110V 전용 제1플러그(210)의 통전바아(211)는 상기 삽입구(131)에 끼워지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131)는 판 형상의 110V 전용 제1플러그(210)의 통전바아(2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되며, 이렇게 절개된 부분은 원형의 삽입구(131)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돌출 절개된 모습을 이루는 연장구멍(132)이 된다.
결국, 상기 삽입구(131)와 연장구멍(132)으로 된 상기 커버(130)의 구멍으로, 110V 전용 제1플러그(210)의 통전바아(211)는 물론 220V 전용 제2플러그(220) 의 통전바아(221)가 삽입될 수 있다.
110V의 전압전기가 흐르는 제1전선(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141)는 상기 커버(130)의 후방에서 상기 연장구멍(132)과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단자(141)는 판 형상을 이루는 110V 전용 제1플러그(210)의 상하단과 만이 각각 맞닿도록 한 쌍이 이격되게 위치한다. 이는 220V 전용 제2플러그(220)의 통전바아(221)가 상기 제1단자(141)와 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한 쌍의 제1단자(141)의 이격거리는 220V 전용 제2플러그(220)의 통전바아(221) 지름 이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1단자(141)는 상기 중공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는 판 형상을 한 상기 제1플러그(210)의 통전바아(211)가 상기 연장구멍(132)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통전바아(211)와 제1단자(141)가 서로 긴밀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한 쌍의 제1단자(141)의 이격거리는 제1플러그(210)의 통전바아(211) 길이보다 좁게 배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단자(141)는 상기 통전바아(211)로부터 외력을 받지 않을 경우 최초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스프링(143)으로 탄발지지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43)은 중공의 내벽으로부터 제1단자(141)를 밀어내고 있다가, 상기 통전바아(211)가 연장구멍(132)으로 삽입되어 제1단자(141)를 벌리면 압축되고, 상기 제1단자(141)가 연장구멍(132)으로부터 인출되면 제1단자(141)를 다시 밀어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평상시 상기 제1단자(141)가 제1전선(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스프 링(143)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기 제1단자(141)가 중공의 벽면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면 제1단자(141)로는 전기가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가 삽입구(131)를 통해 삽입되면서 상기 제1단자(141)를 중공의 벽면 쪽으로 밀어내면 상기 제1전선(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단자(141)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용 제1접전체(141b)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전선(191)은 상기 통전용 제1접전체(141b)에 상응하는 통전용 제2접전체(141b')를 구비한다. 따라서, 평상시 상기 통전용 제1,2접전체(141b, 141b')가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제1단자(141)가 힘을 받아 중공의 벽면쪽으로 이동하면, 서로 이격된 통전용 제1,2접전체(141b, 141b')가 서로 접하면서 통전되어 제1전선(191)과 제1단자(141)는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게 된다.
상기 삽입구(131)와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중공의 안쪽에는 제2단자(142)가 위치한다. 상기 제2단자(142)는 전면에 끼움홈(142a)이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홈(142a)으로 제2플러그(220)의 통전바아(221) 말단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2단자는 220V 전압전기가 흐르는 제2전선(1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에는 110V 전용 제1전선(191)과 220V 전용 제2전선(192)이 모두 배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1실시모습을 동작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의 콘센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를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에 꽂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가 삽입구(131) 및 연장구멍(132)으로 삽입되면, 상기 덮개(113)의 배면에 위치한 제1단자(141)가 힘을 받아 중공의 내벽으로 밀린다.
한편, 상기 제1단자(141)는 후단에 걸림홈(141c)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홈(141c)은 이동블록(150)의 전면에 돌출된 돌기(151) 말단이 맞물려 끼워진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150)은 내측에 제2단자(142)가 위치하고, 상기 제2단자(142)의 끼움홈(142a)이 개구될 수 있도록 제2단자(142)를 수용한다.
따라서,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가 삽입구(131) 및 연장구멍(132)을 통해 삽입되면 제1단자(141)가 밀리면서 상기 돌기(151)가 공개되고, 상기 돌기(151)는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의 말단과 맞닿으면서 그 삽입방향으로 함께 밀려 이동하므로,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와 제2단자(142)가 서로 접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가 삽입되면서 제1단자(141)가 중공의 내벽으로 밀리면, 상기 제1단자(141)와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동바아(124)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바아(124)는 제1회동축(126)을 중심으로 중공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제1단자(141)의 이동으로 상기 연동바아(124)는 제1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계속해서, 상기 연동바아(124)의 타단은 제2회동축(127)을 중심으로 중공의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바아(125)의 일단과 맞물려 연동한다. 따라서, 상기 연동바아(124)가 제1단자(141)의 압력으로 회동하면, 상기 걸림바아(125)도 회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걸림바아(125)의 타단은 절곡된 걸림돌기(125a)가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블록(150)의 배면에서 제2단자(142)를 전기적으로 절연함은 물론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160)의 이동을 저지한다. 즉, 상기 걸림돌기(125a)가 지지대(160)의 배면과 맞물리면서 상기 이동블록(150)이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가 삽입구(131) 및 연장구멍(13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단자(141)를 밀면, 상기 연동바아(124)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중공의 벽면쪽으로 이동하고 타단은 제1회동축(126)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연동바아(124)의 타단은 걸림바아(125)의 일단과 맞닿는데, 상기 연동바아(124)의 타단이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바아(125)의 일단 또한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물론, 상기 걸림바아(125)는 제2회동축(127)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걸림바아(125)의 타단은 중공의 벽면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바아(125)의 타단인 걸림돌기(125a)는 이동블록(150) 및 지지대(160)를 더 이상 지지할 수 없게 되어서,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의 말단과 맞물려 힘을 받는 돌기(151)로부터 힘을 받아 왼쪽(도면을 기준)으로 이동한다.
참고로, 상기 중공은 이동블록(150) 및 지지대(16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2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160)는 제2단자(142)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재질로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60)는 중공 내에서 상기 지지대(160)를 오른쪽(도면을 기준)으로 밀어내는 탄발체(122)에 의해 탄발지지된다. 따라서,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가 중공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이동블록(150) 및 지지대(160)를 밀더라도 상기 탄발체(122)는 지속적으로 상기 이동블록(150) 및 지지대(160)를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의 삽입방향에 역방향으로 밀게 된다. 하지만, 중공으로 삽입된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의 고정력이 상기 탄발체(122)의 탄발력 보다 커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를 밀어내지 못하게 되고, 결국 제1플러그는 콘센트(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제1플러그를 콘센트(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당기면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 또한 이동하며, 이때 상기 이동블록(150) 및 지지대(160) 또한 상기 탄발체(122)에 의해 밀려 이동한다.
물론, 상기 걸림바아(125)는 제2회동축(127)의 복귀력으로 인해 이전 위치로 회동 복귀하여, 상기 걸리돌기(125a)가 지지대(160)의 배면을 걸어 지지하고, 상기 이동블록(150)의 돌기(151)의 전면은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가 제거됨으로서 상기 지지스프링(143)에 의해 내벽으로부터 밀려난 상기 제1단자(141)의 걸림홈(141c)과 맞물리면서 상기 이동블록(150)의 더 이상의 전진을 막게 된다.
참고로, 제1전선(191)은 제1단자(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110V의 전기를 통전시키고, 제2전선(192)은 제2단자(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220V의 전기를 통전시킨다.
상기 연동바아(124)의 중심홈(124a)은 연동바아(124)의 길이방향으로 다소 길게 형성되어서 연동바아(124)의 회동시 그 동작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제2실시모습을 동작순서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220V 전용 제2플러그의 통전바아(221)가 콘센트(100)에 삽입되기 전과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221)는 원형바아 형태를 이루고, 제1플러그 통전바아(211)보다 수직 폭이 좁다. 따라서, 제2플러그 통전바아(221)가 삽입구(131)로 삽입되면 상기 제1단자(141)와는 직접 접하지 못하고 그대로 제2단자(142)의 끼움홈(142a)으로 삽입되어 맞물린다. 물론, 상기 제1단자(141)가 중공의 내벽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연동바아(124) 및 걸림바아(125)는 회동하지 않아 이동블록(150) 및 지지대(160)를 상기 걸림돌기(125a)가 지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221)의 삽입 압력으로도 제2단자(142)는 현 위치를 고수하여 제2플러그는 콘센트(100)에 꽂아 통전시킬 수 있다.
미설명 인출번호 '141a'는 '절연부'로 상기 제1단자(141)를 절연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콘센트를 통해 110V/220V 플러그를 모두 꽂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해당하는 전압의 전기를 공급받아 당해 플러그의 모체인 전기구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어 콘센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면이 개구된 수용홈을 갖추고, 110V의 전기가 흐르면서 관형상으로 된 제1통전체와 220V의 전기가 흐르면서 상기 제1통전체의 내측 중심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2통전체로 된 통전소켓을 갖는 하우징;
    전면이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중공이 개구되고, 상기 전면이 공개되도록 벽면에 매설되며, 110V의 전기가 흐르는 제1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주면을 이루는 제1통전부재와 상기 제1통전부재와 절연체를 매개로 절연되며 중심에 삽입공을 갖는 제2통전부재로 된 통전단자를 갖추되, 상기 삽입공으로는 상기 제2통전체가 탈부착가능하게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통전부재는 상기 제1통전체의 안쪽으로 탈부착가능하게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서, 상기 수용홈을 삽입되거나 이탈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통전케이스;
    상기 개구부를 덮어 폐구하되, 원형바아형상인 220V 전용 제2플러그 통전바아가 긴밀히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된 삽입구와, 평판형상인 110V 전용 제1플러그 통전바아가 긴밀히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를 중심으로 상하로 연장된 연장구멍을 갖는 커버;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말단과 접하면서 220V 전기가 흐르는 제2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와, 상기 제2단자를 덮어 절연하면서 상기 제2단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내에서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의 배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단자를 절연하는 지지대;
    상기 이동블록 및 지지대를 상기 삽입구 쪽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
    상기 커버의 배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110V의 전기가 흐르는 제1전선과 통전용 제1,2접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단에 상기 돌기가 맞물려 걸리는 걸림홈을 갖추는 한편, 상기 중공의 벽면과 지지스프링을 매개로 탄발지지되되, 한 쌍의 상호 간격이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의 높이보다 좁고 상기 제2플러그 통전바아의 높이보다 크게 배치되며, 상기 통전용 제1접전체가 상기 제1플러그 통전바아의 삽입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전선의 말단에 위치한 상기 통전용 제2접전체와 접하거나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끊어지도록 된 제1단자;
    중심부가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제1단자와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연동바아; 및
    중심부가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은 상기 연동바아의 타단과 맞물리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의 배면과 맞닿도록 절곡된 걸림돌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제1단자가 제1플러그 통전바아로부터 밀리면서 상기 연동바아를 동작시키면 상기 동작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리되는 걸림바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20070007865A 2007-01-25 2007-01-25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KR10073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865A KR100738606B1 (ko) 2007-01-25 2007-01-25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865A KR100738606B1 (ko) 2007-01-25 2007-01-25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606B1 true KR100738606B1 (ko) 2007-07-11

Family

ID=3850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865A KR100738606B1 (ko) 2007-01-25 2007-01-25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674B1 (ko) 2012-09-13 2014-05-16 서성인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976Y1 (ko) * 1995-01-17 1998-09-15 강한승 110v/220v 겸용 콘센트
KR19990036494U (ko) * 1998-02-23 1999-09-27 정명식 110v/220v 겸용 콘센트
KR200236840Y1 (ko) * 2001-03-29 2001-10-10 박성일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KR20040050397A (ko) * 2002-12-10 2004-06-16 경기엔지니어링(주) 110/220v 겸용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976Y1 (ko) * 1995-01-17 1998-09-15 강한승 110v/220v 겸용 콘센트
KR19990036494U (ko) * 1998-02-23 1999-09-27 정명식 110v/220v 겸용 콘센트
KR200236840Y1 (ko) * 2001-03-29 2001-10-10 박성일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KR20040050397A (ko) * 2002-12-10 2004-06-16 경기엔지니어링(주) 110/220v 겸용 콘센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674B1 (ko) 2012-09-13 2014-05-16 서성인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2472B (zh) 一种多功能插座
US5967815A (en) Variable orientation switching type electrical receptacle
US20100124849A1 (en) Electrical Box
CN203707514U (zh) 一种多功能插座
KR10174266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CN108954086B (zh) 一种取电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灯具
JP2023116665A (ja) ワイヤレスヘアドライヤーシステム及びその充電ソケット
KR100738606B1 (ko)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KR200418469Y1 (ko) 전기 콘센트의 스위칭 장치가 부착된 멀티 콘센트
CN110676661A (zh) 一种插座
KR101217322B1 (ko) 전원 접속기구
KR100739125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단자
KR100756540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을 위한 배전구조
CN215266835U (zh) 一种插排
EP0621987A1 (en) Electrical adaptor
CN213093524U (zh) 一种可旋转插头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CN110752489B (zh) 一种可旋转的安全两脚插座
JP2012155871A (ja) 電力アダプタ
WO2007093967A1 (en) Safety electrical connector
JP3095215U (ja) スイッチ構造付きソケットアセンブリ
CN117220104B (zh) 一种插座
CN219247092U (zh) 轨道插座
CN115832757B (zh) 插座结构及插排
CN217545111U (zh) 便于安装的电源线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