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674B1 -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674B1
KR101396674B1 KR1020120101284A KR20120101284A KR101396674B1 KR 101396674 B1 KR101396674 B1 KR 101396674B1 KR 1020120101284 A KR1020120101284 A KR 1020120101284A KR 20120101284 A KR20120101284 A KR 20120101284A KR 101396674 B1 KR101396674 B1 KR 10139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type
unit
interi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021A (ko
Inventor
서성인
Original Assignee
서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인 filed Critical 서성인
Priority to KR102012010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6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이미지 월은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을 구비하며, 교체가 가능한 인테리어 블록유닛; 및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극과 (-)전극이 배선되는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이 마련되며, 인테리어 블록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유닛 결합부를 구비하는 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Interior imag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기공사를 요하지 않으면서도 또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테리어 블록유닛을 얼마든지 교체하여 보드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벽면에 대한 인테리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밋밋하고 단조로운 실내 환경에서 벗어나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고자 인테리어 자재를 벽면에 부착하거나 설치하는 경우가 날로 확대되고 있다.
이때의 인테리어 자재로서 금속 패널, 목재 패널, 벽지, 시트지, 타일 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실제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소개한 통상적인 인테리어 자재의 경우, 단순히 벽면을 화려하게 연출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할 뿐 그 패턴을 임의로 변경시키기 곤란하다.
쉽게 설명하여 인테리어를 위해 벽면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벽지나 시트지를 임으로 또한 수시로 바꾸기는 곤란하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인테리어 자재는 벽면 그 자체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데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이다.
때문에, 인테리어 자재가 시공된 벽면에 예컨대, 전자 액자와 같이 전기의 공급이 요구되는 전자장치로서의 인테리어 블록유닛을 설치하려 하는 경우에는 인테리어 블록유닛으로 전기 공급을 위한 전기공사를 별도로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항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타입의 인테리어 이미지 월(interior image wall)의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289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기공사를 요하지 않으면서도 또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테리어 블록유닛을 얼마든지 교체하여 보드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벽면에 대한 인테리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을 구비하며, 교체가 가능한 인테리어 블록유닛; 및 상기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극과 (-)전극이 배선되는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이 마련되며,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유닛 결합부를 구비하는 보드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돌기형 통전 소켓과 상기 그루브형 통전 소켓 간의 결합 방식은 나사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돌기형 통전 소켓과 상기 그루브형 통전 소켓 간의 결합 방식은 후크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돌기형 통전 소켓은, 소켓 몸체; 상기 소켓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돌기형 결합부; 일단부는 상기 돌기형 결합부의 관통홀 내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켓 몸체를 경유하여 상기 돌기형 결합부의 반대편인 상기 소켓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의 내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용 유닛 전도체; 및 상기 통전용 유닛 전도체에 연결되고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 내에 매립되어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에 대해 상기 소켓 몸체를 지지하되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는 비전도성 유닛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 몸체와 상기 통전용 유닛 전도체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형 통전 소켓은, 상기 보드에 매립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는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 상기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의 노출면에 형성되되 상기 돌기형 결합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그루브형 결합부; 상기 그루브형 결합부의 내부에서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돌기형 결합부의 관통홀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일단부는 상기 보드 내에서 상기 (+)전극 및 상기 (-)전극과 통전되고 타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삽입부의 단부로 노출되되 상기 통전용 유닛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통전용 보드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은 스피커, 스마트기기의 연결 독, 전자 앨범, LED 조명, 콘센트, 인테리어 마감용 패널, 벽걸이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는,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이 배선되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이 마련되는 보드 바디; 및 상기 보드 바디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금속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인테리어 블록유닛에 마련되는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을 보드의 유닛 결합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인테리어 블록유닛 결합단계; 및 상기 보드의 둘레면에 금속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금속 프레임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보드의 둘레면에 금속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금속 프레임 결합단계; 및 인테리어 블록유닛에 마련되는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을 상기 보드의 유닛 결합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에 후크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인테리어 블록유닛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공사를 요하지 않으면서도 또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테리어 블록유닛을 얼마든지 교체하여 보드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벽면에 대한 인테리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이미지 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드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3은 보드와 인테리어 블록유닛 간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돌기형 통전 소켓과 그루브형 통전 소켓 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이미지 월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인테리어 블록유닛의 다양한 변형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이미지 월에 대한 보드와 인테리어 블록유닛 간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이미지 월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이미지 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드의 내부 투영도, 도 3은 보드와 인테리어 블록유닛 간의 부분 분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돌기형 통전 소켓과 그루브형 통전 소켓 간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결합도, 도 6은 인테리어 이미지 월 시공방법의 플로차트, 그리고 도 7은 인테리어 블록유닛의 다양한 변형예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인테리어 이미지 월은, 인테리어 블록유닛(110)과,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유닛 결합부(140)를 구비하는 보드(130)를 포함한다.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은 전기가 인가될 때 동작되는 제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a)는 스피커(110a), 도 7의 (b)는 스마트기기의 연결 독(110b), 도 7의 (c)는 전자 앨범(110c), 도 7의 (d)는 LED 조명(110d), 도 7의 (e)는 콘센트(110e), 도 7의 (f)는 인테리어 마감용 패널(110f), 그리고 도 7의 (g)는 벽걸이 텔레비전(110g)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은 도 7에 도시된 스피커(110a), 스마트기기의 연결 독(110b), 전자 앨범(110c), LED 조명(110d), 콘센트(110e), 인테리어 마감용 패널(110f) 및 벽걸이 텔레비전(110g) 그 자체일 수도 있고, 아니면 스피커(110a), 스마트기기의 연결 독(110b), 전자 앨범(110c), LED 조명(110d), 콘센트(110e), 인테리어 마감용 패널(110f) 및 벽걸이 텔레비전(110g)의 후벽에 벽도로 결합되는 블록 구조물일 수도 있는데, 어떠한 경우일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도 7에 도시된 스피커(110a), 스마트기기의 연결 독(110b), 전자 앨범(110c), LED 조명(110d), 콘센트(110e), 인테리어 마감용 패널(110f) 및 벽걸이 텔레비전(110g)으로 소개하였지만 전기가 인가될 때 동작되면서 벽에 걸기에 적합한 제품들은 모두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에 포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보드(130)에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은 선택적으로 혹은 그 종류별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보드(130)의 대부분에 인테리어 마감용 패널(110f, 도 7 참조)을 배치하고, 하나만 전자 앨범(110c)으로 적용하는 등의 변경이 충분히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수행될 수 있어 편리하다.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보드(130)의 유닛 결합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에는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120)이 마련된다.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으로 (+)전극과 (-)전극이 인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돌기형 통전 소켓(120)은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보드(130)는 다수의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결합되는 장소로서 보드(130)는 인테리어를 요하는 벽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보드(130)에 결합되는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개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보드(130)에는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유닛 결합부(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닛 결합부(140)들 각각에는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돌기형 통전 소켓(12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극과 (-)전극이 배선되는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150)이 마련된다.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에 마련되는 돌기형 통전 소켓(120)들의 개수와 하나의 유닛 결합부(140)에 마련되는 그루브형 통전 소켓(150)들의 개수는 동일하다.
보드(130)의 구조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보드(130)는 (+)전극과 (-)전극이 배선되고 그루브형 통전 소켓(150)들이 마련되는 보드 바디(131)와, 보드 바디(131)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금속 프레임(132)을 포함한다.
보드 바디(131)는 예컨대 MDF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작 시 내부에는 (+)전극과 (-)전극이 도 2처럼 미리 배선될 수 있다.
금속 프레임(132)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일 수 있으며,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결합 부분을 가림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이때, 금속 프레임(132)은 돌기형 통전 소켓(120)의 결합 방식에 따라 그 조립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보드(130)의 유닛 결합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앞서 기술한 것처럼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에는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120)이, 그리고 유닛 결합부(140)에는 역시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15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120)과 보드(130)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150) 간의 결합 방식은 나사 방식이다.
따라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것들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돌기형 통전 소켓(120)은 소켓 몸체(121), 돌기형 결합부(122),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 그리고 비전도성 유닛 지지블록(124)을 포함한다.
소켓 몸체(121)는 돌기형 통전 소켓(120)의 외관을 형성한다.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돌기형 결합부(122)는 소켓 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홀(122a)이 형성된다. 돌기형 결합부(122)가 보드(130)의 그루브형 결합부(15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때, 돌기형 결합부(122)와 그루브형 결합부(152)가 나사 결합 방식을 취한다.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는 그 일단부는 돌기형 결합부(122)의 관통홀(122a) 내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소켓 몸체(121)를 경유하여 돌기형 결합부(122)의 반대편인 소켓 몸체(121)의 타측에 배치되며,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내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쉽게 표현하여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는 전기적인 도선일 수 있다.
이때, 소켓 몸체(121)와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결합 조작이 쉬워질 수 있다.
비전도성 유닛 지지블록(124)은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에 연결되고 인테리어 블록유닛(110) 내에 매립되어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에 대해 소켓 몸체(1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와 달리 비전도성 유닛 지지블록(124)은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루브형 통전 소켓(150)은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151), 그루브형 결합부(152), 삽입부(153), 그리고 통전용 보드 전도체(154)를 포함한다.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151)은 보드(130) 즉 보드 바디(131) 내에 매립되는 부분이다.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151)은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루브형 결합부(152)는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151)의 노출면에 형성된다. 그루브형 결합부(152)는 돌기형 통전 소켓(120)의 돌기형 결합부(122)가 삽입 결합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형 결합부(122)와 그루브형 결합부(152)가 나사 결합 방식을 취한다.
삽입부(153)는 그루브형 결합부(152) 내부에서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어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에 마련되는 돌기형 결합부(122)의 관통홀(122a)에 삽입된다.
통전용 보드 전도체(154)는 그 일단부는 보드(130) 내에서 (+)전극 및 (-)전극과 통전되고 타단부는 삽입부(153)의 내부를 경유하여 삽입부(153)의 단부로 노출되되 도 5처럼 보드(130)에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결합될 때,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와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이처럼 도 5처럼 보드(130)에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결합될 때, 보드(130)의 통전용 보드 전도체(154)와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가 통전되기 때문에 보드(130)의 (+)전극 및 (-)전극으로 인가된 전원이 통전용 보드 전도체(154)와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를 통해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동작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LED 조명인 경우, 조명이 온(on)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종류들 중 하나의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도 1처럼 보드(130)의 유닛 결합부(140)에 배치하고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의 돌기형 통전 소켓(120)을 나사 방식으로 보드(130)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150)에 결합시킨다(S11).
그런 다음, 보드(130)의 둘레에 금속 프레임(132)을 결합시킴으로써(S12), 손쉽게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결합시키고 나서 보드(130)에 전원을 공급하면, 보드(130)의 (+)전극 및 (-)전극으로 인가된 전원이 통전용 보드 전도체(154)와 통전용 유닛 전도체(123)를 통해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동작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이 LED 조명인 경우, 조명이 온(on)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공사를 요하지 않으면서도 또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테리어 블록유닛(110)을 얼마든지 교체하여 보드(130)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벽면에 대한 인테리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이미지 월에 대한 보드와 인테리어 블록유닛 간의 부분 분해도, 도 9는 도 8의 결합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이미지 월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인테리어 블록유닛(210)의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220)과 보드(230)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250) 간의 결합 방식은 후크 방식이다.
이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손쉽게 인테리어 블록유닛(120)을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것들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후크 방식인 경우, 인테리어 블록유닛(210)의 돌기형 결합부(222)와 보드(230)의 그루브형 결합부(252)의 형상만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를 뿐 나머지 구성과 작용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처럼 인테리어 블록유닛(210)의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220)과 보드(230)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250) 간의 결합 방식이 후크 방식인 경우에는 도 10처럼 금속 프레임(132, 도 2 참조)을 결합시킨 연후에(S21) 인테리어 블록유닛(210)을 결합시키는(S22) 시공 순서를 따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별도의 전기공사를 요하지 않으면서도 또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테리어 블록유닛(210)을 얼마든지 교체하여 보드(230)에 설치할 수 있어 실내 벽면에 대한 인테리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인테리어 블록유닛 120 : 돌기형 통전 소켓
121 : 소켓 몸체 122 : 돌기형 결합부
122a : 관통홀 123 : 통전용 유닛 전도체
124 : 비전도성 유닛 지지블록 130 : 보드
131 : 보드 바디 132 : 금속 프레임
140 : 유닛 결합부 150 : 그루브형 통전 소켓
151 :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 152 : 그루브형 결합부
153 : 삽입부 154 : 통전용 보드 전도체

Claims (10)

  1.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을 구비하며, 교체가 가능한 인테리어 블록유닛; 및
    상기 다수의 돌기형 통전 소켓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극과 (-)전극이 배선되는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이 마련되며,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유닛 결합부를 구비하는 보드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형 통전 소켓은,
    소켓 몸체;
    상기 소켓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돌기형 결합부;
    일단부는 상기 돌기형 결합부의 관통홀 내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켓 몸체를 경유하여 상기 돌기형 결합부의 반대편인 상기 소켓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의 내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용 유닛 전도체; 및
    상기 통전용 유닛 전도체에 연결되고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 내에 매립되어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에 대해 상기 소켓 몸체를 지지하되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는 비전도성 유닛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형 통전 소켓과 상기 그루브형 통전 소켓 간의 결합 방식은 나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형 통전 소켓과 상기 그루브형 통전 소켓 간의 결합 방식은 후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와 상기 통전용 유닛 전도체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형 통전 소켓은,
    상기 보드에 매립되며,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되는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
    상기 비전도성 보드 매립블록의 노출면에 형성되되 상기 돌기형 결합부가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그루브형 결합부;
    상기 그루브형 결합부의 내부에서 상기 인테리어 블록유닛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돌기형 결합부의 관통홀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일단부는 상기 보드 내에서 상기 (+)전극 및 상기 (-)전극과 통전되고 타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삽입부의 단부로 노출되되 상기 통전용 유닛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통전용 보드 전도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상기 (+)전극과 상기 (-)전극이 배선되고 상기 다수의 그루브형 통전 소켓이 마련되는 보드 바디; 및
    상기 보드 바디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이미지 월.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01284A 2012-09-13 2012-09-13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KR10139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84A KR101396674B1 (ko) 2012-09-13 2012-09-13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84A KR101396674B1 (ko) 2012-09-13 2012-09-13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21A KR20140035021A (ko) 2014-03-21
KR101396674B1 true KR101396674B1 (ko) 2014-05-16

Family

ID=5064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284A KR101396674B1 (ko) 2012-09-13 2012-09-13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6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730A (ja) * 1993-09-30 1995-04-18 Inax Corp 金属基板を備えたタイ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取付構造
KR20040104299A (ko) * 2004-01-16 2004-12-10 김석배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KR100738606B1 (ko) 2007-01-25 2007-07-11 (주)우일전기설계감리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KR20100101696A (ko) * 2008-01-10 2010-09-1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타일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730A (ja) * 1993-09-30 1995-04-18 Inax Corp 金属基板を備えたタイ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取付構造
KR20040104299A (ko) * 2004-01-16 2004-12-10 김석배 발광체를 이용한 건축용 타일형태 외장재
KR100738606B1 (ko) 2007-01-25 2007-07-11 (주)우일전기설계감리 전압조정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KR20100101696A (ko) * 2008-01-10 2010-09-1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명 타일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21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0261B1 (en) Data cable powered sensor fixture
KR20130103350A (ko) 인테리어 마감패널
CN101782199A (zh) 照明装置,尤其是壁挂照明装置
AU200321513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orporating printing circuit board
KR101396674B1 (ko)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CN105958283B (zh) 嵌入式快充插座
SG10080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20210081069A (ko) 인테리어 이미지 월 및 그 시공방법
JP5234343B2 (ja) 遠隔制御用監視端末器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CN104896429B (zh) 安装结构、包括该安装结构的照明装置及其安装方法
CN206004005U (zh) 卡缘连接器
AU2003286824A1 (en) Board-to 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04406587U (zh) 被动红外探测器
TWM525007U (zh) 可拆組式電源線
CN113678323A (zh) 可释放紧固装置
CN201060969Y (zh) 发光饰条用连接器
CN203706935U (zh) 用于低压室内供电系统的墙壁开关
JP2009259597A (ja) モジューラ式電気器具
CN221009431U (zh) 一种通电安装机构、安装墙板组件及其通电系统
CN216143609U (zh) 一种灯带及家居产品用灯
CN109546480B (zh) 开关插座面板
CN211572918U (zh) 一种把手及厨房电器
CN208794363U (zh) 可多方向接线灯具
CN207938472U (zh) 一种面板开关
JP2005184912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