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743B1 -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743B1
KR100737743B1 KR1020050095653A KR20050095653A KR100737743B1 KR 100737743 B1 KR100737743 B1 KR 100737743B1 KR 1020050095653 A KR1020050095653 A KR 1020050095653A KR 20050095653 A KR20050095653 A KR 20050095653A KR 100737743 B1 KR100737743 B1 KR 10073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text
screen
displa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0206A (en
Inventor
강경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05009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743B1/en
Publication of KR2007004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2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문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은, (a) 문서 내에 텍스트 영역을 만나면 이지뷰어(Easy Viewer)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b) 텍스트 영역으로부터 화면에 표시될 텍스트를 읽어 미리 설정된 표시 단위로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단계; (c) 재구성된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되, 표시 단위 중 하나를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d)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강조하여 표시되는 표시단위를 변경하는 단계; 및 (e) 텍스트 영역을 벗어나면 이지뷰어(Easy Viewer)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표시 단위는 1줄 단위, 2줄 단위, 문장 단위 및 워드 랩 단위 중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면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가독성을 높이도록 문서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document on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document on a mobile device with a small screen siz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ing to Easy Viewer mode when a text area is encountered in a document; step; (b) reading tex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text area and reconstructing the text in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c) displaying the reconstructed text on the screen, but highlighting one of the display units on the screen; (d) changing the display unit to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e) releasing the Easy Viewer mode when leaving the text area, wherein the display unit is one line unit, two lines unit, sentence unit, or word wrap unit. Particularly preferred. Accordingly, the document may be displayed to improve readability on the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size.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splaying a document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줄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3A to 3E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on a line-by-lin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워드 랩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4A and 4E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word wrap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장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5A and 5B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sentence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줄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6A and 6D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units of two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의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문서 표시 방법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document in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cument display method for improving readability in a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size.

최근 인터넷 기술 및 유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전화는 물론,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라고 함), 소형 미디어 플레이어, 차량용 네비게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가 간편하도록 모바일 기기들의 소형화 추세가 뚜렷하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있어, 보통의 컴퓨터 모니터 보다 작은 크기의 화면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문제된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small media players, vehicle navigators, etc. are becoming more common. The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of mobile devices is clear. In displaying information on such a mobile device, a method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on a screen smaller than an ordinary computer monitor is a problem.

특히, 문서 중 텍스트 영역을 작은 크기의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표시되는 문서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고, 현재 읽고 있는 부분을 놓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작은 크기의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문서를 표시하는 경우 가독성(可讀性)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when displaying a text area of a document on a screen of a small sized mobile device,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grasp the content of the displayed document, and it is easy to miss a part that is currently being read. That is, when displaying a document on a screen of a small size mobile devic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improving readability.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가독성을 높이도록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to improve readability in a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size.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문서 내에 텍스트 영역을 만나면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b) 텍스트 영역으로부터 화면에 표시될 텍스트를 읽어 미리 설정된 표시 단위로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단계; (c) 재구성된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되, 표시 단위 중 하나를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d)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강조하여 표시되는 표시단위를 변경하는 단계; 및 (e) 텍스트 영역을 벗어나면 제1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표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a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size, the method comprising: (a) switching to a first mode when a text area is encountered in a document; (b) reading tex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text area and reconstructing the text in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c) displaying the reconstructed text on the screen, but highlighting one of the display units on the screen; (d) changing the display unit to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e) releasing the first mode once out of the text area.

여기서, 제1 모드는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텍스트 영역 중 사용자가 현재 읽고 있는 부분을 표시 단위별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이지뷰어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며,Here, the first mode is an easy viewer mode in which a portion of the text area that the user is currently reading is highlighted for each display unit in order to increase readability in a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size.

표시 단위는 1줄 단위, 2줄 단위, 문장 단위 및 워드 랩 단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is any one line unit, two lines unit, sentence unit, or word wrap uni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 의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splaying a document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 내에 텍스트 영역을 만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표시 모드인 이지뷰어(Easy Viewer) 모드로 전환한다(S102). 이지뷰어 모드에서는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를 화면 너비에 맞추어 단순히 표시하는 대신, 텍스트 영역으로부터 화면에 표시될 텍스트를 읽어 들여 미리 설정된 표시단위로 텍스트를 재구성한다(S104). 즉, 한 줄 단위, 워드 랩 단위, 문장 단위, 또는 두 줄 단위 등을 표시단위로 하여 디폴트로 설정된 단위로 읽어 들인 텍스트를 재구성한다. 모바일 기기의 환경 설정을 통해 디폴트로 설정된 표시단위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워드 랩(wordwrap) 단위란, 단어의 일부가 잘리지 않도록 한 줄에 포함되는 단어의 수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글 단어 보호를 위한 표시단위이다.Referring to FIG. 1, first, when a mobile device encounters a text area in a document, the mobile device switches to an easy viewer mode, which is a document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02). In the easy viewer mode, instead of simply displaying the text included in the document according to the screen width, the tex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read from the text area and the text is reconfigured in a preset display unit (S104). In other words, the read text is reconstructed in the unit set as the default by using one line unit, word wrap unit, sentence unit, or two line units as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set as a default can be changed through an environment setting of the mobile device. Here, the wordwrap unit is a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Korean words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a line so that a part of a word is not cut off.

이와 같이 디폴트로 설정된 표시단위로 재구성된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그 중 첫 번째 표시 단위를 강조하여 표시한다(S106). 즉, 첫 번째 한 줄, 첫 번째 워드 랩, 첫 번째 문장, 또는 첫 번째 두 줄을 하이라이트 되도록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마우스나, 포인터, 키패드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여 입력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이라이트 되도록 표시하는 표시단위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108).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텍스트 영역을 벗어나거나 또는 읽고 있던 문서를 닫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지뷰어(Easy Viewer) 모드를 해제하고 보통의 문서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S110).In this way, the text reconstructed in the display unit set as the defaul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first display unit is highlighted. That is, the first line, the first word wrap, the first sentence, or the first two lines are highlighted.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by using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a pointer, a keypad, or the like, th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is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S108). When the user exits the text area or closes the document that is being rea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Easy Viewer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nceled and the normal document display mode is switched (S110).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서도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를 사용자가 보다 읽기 쉽도록, 사용자가 읽고 있는 부분을 한 줄 단위, 워드 랩 단위, 문장 단위, 또는 두 줄 단위로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의 가독성을 더 높일 수 있다.This allows you to highlight the text you're reading in a single line, word wrap, sentence, or two lines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read the text in your document on smaller mobile devices. Can be. In other words, documents can be read more easily on mobile devices with smaller screen size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More specifically, FIG. 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한 줄 단위로 강조하여 표시하기 위한 문서 표시 방법이 도시된다. 이 때, 전제 조건으로서 1) 텍스트를 표시할 화면의 너비를 알고 있고, 2) 화면에 표시될 문자 각각의 너비 및 높이를 알고 있으며, 3)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최대 문자열의 수 N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문서 표시 방법을 살펴본다. Referring to FIG. 2,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cument display method for highlighting and displaying each line is illustrated. In this case, as a precondition, 1) the width of the screen to display the text is displayed, 2) the width and height of each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3) the maximum number of strings N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Let's look at how to display a document.

본 발명에 따른 이지뷰어 모드에서는 먼저, 문서로부터 화면에 표시할 텍스트를 읽어 들이고(S202), 읽어 들인 텍스트로부터 화면 너비를 초과하지 않는 문자열을 생성한다(S204). 앞서 전제 조건과 같이 화면의 너비를 LineWidth라 하고, 문자의 너비를 CharWidth라 가정하면, 화면의 너비(LineWidth)를 문자의 너비(CharWidth)로 나눈 최대 정수값을 구함으로써, 한 줄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문자수, 즉 문자열의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화면을 미려하게 표현하기 위해 화면의 여백과 글자간 간격 등을 고려하는 것 바람직하다. 계산된 문자열의 길이에 맞추어 읽어 들인 텍스트로부터 복수의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e easy viewer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ex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s read from the document (S202), and a character string not exceeding the screen width is generated from the read text (S204). Assuming that the width of the screen is LineWidth and the width of the character is CharWidth, as in the previous prerequisites, the maximum integer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width of the screen (LineWidth) by the width of the character (CharWidth) can be obtained. You can calculate the maximum number of characters, the length of a string. At this time, in order to express the screen more beautifully,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the margin of the screen and the space between letters. Multiple strings can be generated from the text read to fit the calculated string length.

전술한 과정은 읽어 들인 텍스트를 모두 문자열로 변환할 때까지 반복하고(S206), 모두 문자열로 변환되었으면 표시단위로 생성된 복수의 문자열에 각각 인덱스를 부여한다(S208). 인덱스는 일련의 정수를 이용하여 부여할 수 있다. 복수의 문자열 중 첫 번째 문자열에 인덱스의 초기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제, 복수의 문자열을 화면에 표시단위로 표시하고 디폴트로 첫 번째 인덱스를 갖는 문자열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한다(S210). 이 때,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전체 문자열의 수는 앞서 전제 조건의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최대 문자열의 수 N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패드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포커스를 이동함에 따라(S212) 강조 표시될 인덱스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강조 표시되는 문자열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읽기 편하도록 문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강조 표시될 다양한 표시단위, 즉 한 줄 단위, 두 줄 단위, 워드 랩 단위, 한 문장 단위의 각 문자열을 구분하는 식별정보가 된다. 또한, 현재 강조 표시될 문자열에 대한 구분 기준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폴트로 지정된 특정 인덱스의 문자열을 강조 표시하고, 그 후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강조 표시될 문자열의 인덱스 값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강조 표시될 해당 표시단위의 문자열을 변경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until all the read texts are converted to strings (S206). If all of the texts are converted to strings, the indexes are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strings generated in display units (S208). An index can be given using a series of integers. An initial value of an index may be assigned to the first string of a plurality of strings. Now, the plurality of character strings ar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on the screen and by default, the character string having the first index is highlighted (S2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number of strings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number N of strings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In addition, as the user moves the focus using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or a keypad (S212), the index to be highlighted may be changed. That is, by changing the highlighted text string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documen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the user to read more easily. The index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character string of various display units to be highlighted, that is, one line unit, two line units, word wrap units, or one sentence unit. In addition, it may be used as a criterion for the current string to be highlighted. Accordingly, the character string of the display unit to be highlighted can be easily changed by highlighting a character string of a specific index designated as a default and then changing the index value of the character string to be highligh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이상에서는 표시 단위 중 한 줄 단위로 강조하여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서술하였으나,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워드 랩 단위, 한 문장 단위, 또는 두 줄 단위로 표시 단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by highlighting it in one line unit among display units has been described. However, since the display unit can be changed in units of word wrap, single sentence, or two lines by a similar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줄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포커스를 이동시킴에 따라 한 줄 단위로 하이라이트 된 부분이 변경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3A to 3E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on a line-by-lin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A to 3E, an embodiment in which the highlighted portion is changed in units of lines as the user moves the focus using the pointing device is illustrated.

도 4a 및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워드 랩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포커스를 이동시킴에 따라 워드 랩 단위, 즉 한글 단어가 잘리지 않고 한 줄로 표시되는 만큼씩 하이라이트 된 부분이 변경되는 실시예가 도시 된다.4A and 4E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word wrap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4A through 4E, as the user moves the focus using the pointing device, an embodiment in which the highlighted portion is changed by word wrap units, that is, as many words are displayed as one line without being cut, is illustrated.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장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한 문장 단위로 하이라이트 된 부분이 변경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5A and 5B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sentence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hrough 5B, an embodiment in which the highlighted portion is changed in one sentence unit according to a user's input is illustrated.

도 6a 및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줄 단위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두 줄 단위로 하이라이트 된 부분이 변경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6A and 6D are referenc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in units of two l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n embodiment in which the highlighted portion is changed in units of two lines according to a user input is illustr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문서 표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문서 표시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cument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reated by a computer program.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a method for displaying a document on a mobile device.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가독성을 높이도록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to improve readability in a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size.

즉, 한 줄 단위, 워드 랩 단위, 문장 단위, 또는 두 줄 단위 등 표시 단위로 표시될 텍스트를 복수의 문자열로 변환하고, 전술한 표시단위 중 하나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이라이트 되는 표시단위를 변경함으로 써, 사용자가 보다 읽기 편리하도록 문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text to be displayed in a display unit such as one line unit, word wrap unit, sentence unit, or two lines unit is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character strings, one of the above display units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and the highlight is made according to a user input. By changing th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the documen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the user to read more easily.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of displaying a document on a mobile device with a small screen size, (a) 상기 문서 내에 텍스트 영역을 만나면 제1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a) switching to a first mode when a text area is encountered in the document; (b) 상기 텍스트 영역으로부터 화면에 표시될 텍스트를 읽어 들이고, 상기 읽어 들인 텍스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표시 단위의 문자열을 적어도 하나 생성하며, 상기 표시 단위별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상기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단계;(b) reading the tex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text area, generating at least one string of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from the read text, and assigning an index to the at least one string generated for each display unit to give the text Reconstructing; (c)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을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자열 중 특정 인덱스를 가지는 문자열을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c) displaying the generated at least one string on a screen, and highlighting the string having a specific index among the string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displaying the string; (d)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강조하여 표시될 문자열의 인덱스를 변경하며, 변경되기 전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문자열의 강조 표시를 해제하고 변경된 인덱스의 문자열을 강조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d) changing an index of a string to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releasing highlighting of the string corresponding to the index before the change and highlighting the string of the changed index on the screen; And (e) 상기 텍스트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제1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e) releasing the first mode when leaving the text area, 상기 표시 단위는 1줄 단위, 2줄 단위, 문장 단위 또는 워드 랩 단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표시 방법.And the display unit is any one line unit, two lines unit, sentence unit, or word wrap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모드는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텍스트 영역 중 사용자가 현재 읽고 있는 부분을 상기 표시 단위별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이지뷰어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표시 방법.The first mode is an easy viewer mode in which a portion of the text area currently read by the user is highlighted for each display unit in order to increase readability in a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siz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95653A 2005-10-11 2005-10-11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KR100737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53A KR100737743B1 (en) 2005-10-11 2005-10-11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53A KR100737743B1 (en) 2005-10-11 2005-10-11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206A KR20070040206A (en) 2007-04-16
KR100737743B1 true KR100737743B1 (en) 2007-07-10

Family

ID=3817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653A KR100737743B1 (en) 2005-10-11 2005-10-11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74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45A2 (en) * 2008-10-29 2010-05-06 Yoo Hye Kyung Section reader system for displaying selected section of document and display method using same
WO2013137566A1 (en) * 2012-03-13 2013-09-19 (주)지란지교소프트 Execution screen processing method for files that have been secure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is recorde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14098528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6907B2 (en) 2010-02-12 2015-05-05 Nicholas Lum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AU2011216152B2 (en) * 2010-02-12 2015-03-12 Nicholas Lum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KR101339084B1 (en) * 2012-01-03 2013-12-09 박세호 Method of displaying text data with annotation in information terminal
KR101968979B1 (en) * 2017-09-26 2019-04-15 (주)투비소프트 Method for configuring user interface
KR101981321B1 (en) * 2018-07-30 2019-05-22 최현준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048A (en) 2001-10-19 2003-05-09 Nec Access Technica Ltd Portable terminal and character display method
KR20050005522A (en) * 2002-05-31 2005-01-13 로버트 티. 마이어스 Computer-based method for conveying interrelated textual and image information
KR20050096883A (en) * 2005-09-13 2005-10-06 (주)드림투리얼리티 Auto ideal device in porta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048A (en) 2001-10-19 2003-05-09 Nec Access Technica Ltd Portable terminal and character display method
KR20050005522A (en) * 2002-05-31 2005-01-13 로버트 티. 마이어스 Computer-based method for conveying interrelated textual and image information
KR20050096883A (en) * 2005-09-13 2005-10-06 (주)드림투리얼리티 Auto ideal device in portable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45A2 (en) * 2008-10-29 2010-05-06 Yoo Hye Kyung Section reader system for displaying selected section of document and display method using same
KR100965377B1 (en) * 2008-10-29 2010-06-22 유혜경 Part reading system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 unit area of documents
WO2010050745A3 (en) * 2008-10-29 2010-08-05 Yoo Hye Kyung Section reader system for displaying selected section of document and display method using same
WO2013137566A1 (en) * 2012-03-13 2013-09-19 (주)지란지교소프트 Execution screen processing method for files that have been secure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is recorde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14098528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206A (en)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743B1 (en)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JP4532601B2 (en) Content edit protected view
US91046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multifunctional electronic books on portable readers
KR100959572B1 (en) Re-configuring the standby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US8605039B2 (en) Text input
KR100773553B1 (en) 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the display button
US20080122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Pointing Device
US8315852B2 (en) Electronic equipment equipped with dictionary function
GB2479756A (en) Auxiliary virtual keyboard for touch screen devices
US20080235563A1 (en) Document displaying apparatus, document display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070067646A (en)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CN1022394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ext strings to fit display sizes
KR1010308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text display when encoding is not available
CN105468256A (en) Input method keyboard switching method and device
WO2013045993A1 (en) Method and keyboar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aining the keyboard
JP2006216045A (en)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2013001A2 (en) Allocation of labels to associated user input elements
TWI475405B (en) Electronic device and text-input interfac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JP2008262506A (en)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and information extraction program
JPWO2006103830A1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JP2010015515A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dictionary function
KR1008550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frame for display
Garrett et al. Implementation of Dasher, an information efficient input mechanism
JP57822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