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321B1 -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 Google Patents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321B1
KR101981321B1 KR1020180088641A KR20180088641A KR101981321B1 KR 101981321 B1 KR101981321 B1 KR 101981321B1 KR 1020180088641 A KR1020180088641 A KR 1020180088641A KR 20180088641 A KR20180088641 A KR 20180088641A KR 101981321 B1 KR101981321 B1 KR 10198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area
reading
user
electronic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현준
Original Assignee
최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준 filed Critical 최현준
Priority to KR102018008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3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3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06F17/2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an electronic document executed in a reading assistance device for an electronic document provides a reading area setting function setting a reading area in a part of a text area on which text of an electronic document is displayed and a text moving function moving the text in the text area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text located in the reading area of the text area is replaced with text located outside the reading area depending on user input. The reading assistance program may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a user.

Description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은 전자문서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전자문서 읽기를 보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assisting a user in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786호에는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가독성 향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전자책이나 인터넷 기사와 같은 콘텐츠 가독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가독 시간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배경 및 텍스트의 휘도 비율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며, 휘도 비율이 조절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가독 시간에 따라 콘텐츠 가독성이 향상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33786 disclos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readability of contents of a mobile terminal. This method counts the time of content readout such as an e-book or an internet article, sequentially adjusts the background of the content and the luminance ratio of the text according to the counted read time, and outputs the content whose luminance ratio is adjusted. Accordingly, the content readability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read time of the user under the display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한편, 일반적인 읽기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현재 읽고 있는 문맥이 이해가 되기 전에 다음 문장을 읽으려고 하여 무의식적으로 시선이 분산되고, 이렇게 상하좌우로 분산된 시선을 직전에 읽고 있던 문장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읽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는 종이문서 읽기의 경우보다 전자문서 읽기에서 시각적인 피로 누적도가 훨씬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와 일상생활을 분리하기 어려운 현 시대에서 효율적인 전자문서 읽기를 위해서는 시각적인 피로도를 개선하여 집중력을 높이는 방법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s for the general reading process, in general, the user tries to read the next sentence before understanding the current reading context, so that his / her eyes are unconsciously dispersed, Go back and repeat the process. This means that visual fatigue accumulation is much higher i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than in paper reading.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read electronic documents in the current era wher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smart devices from everyday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visual fatigue to improve concentration.

또한, 종이문서의 경우에는 시선이 글자가 시작하는 행의 좌측에서 시작하여 우측으로 이동한 후에 다음 글자행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기를 반복한다. 이와 달리, 일부 전자문서의 경우에는 텍스트를 상하 혹은 좌우로 스크롤하면서 읽어야 하는 바 시선이 분산된 후에 다시 읽고자 하는 부분을 찾아 시선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는 시각적인 피로도를 더욱 누적시켜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한다.Also, in the case of a paper document, the eyes repeatedly move from the left side of the line starting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and then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next line. On the other hand, in some electronic documents, it is necessary to scroll the text up or down or to the left or right to find the part to be read again after the line of sight is dispersed. This is because the visual fatigue is further accumulated, It causes problems.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786호 (2015년 4월 2일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33786 (published on April 2, 2015)

본 발명은 전자문서를 읽을 시에 시선의 분산과 고정이 반복되는 비중을 줄여 시각적인 피로도를 낮추고 집중력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ducing visual fatigue and improving concentra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repeatedly dispersing and fixing eyes when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일 양상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은 전자문서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텍스트 영역의 일부에 리딩 영역을 설정하는 리딩 영역 설정 기능,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텍스트 영역의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리딩 영역 외부에 위치한 텍스트로 교체되도록 텍스트 영역의 텍스트를 이동시키는 텍스트 이동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reading area setting function for setting a reading area in a part of a text area where text of an electronic document is displayed, A text moving function that moves the text of the text area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ated text is replaced with text located outside the reading area.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은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에 대해 강조 처리하며, 리딩 영역에서 리딩 영역 외부로 이동된 텍스트에 대해 강조 해제하는 텍스트 강조 기능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can further execute a text emphasis function for emphasizing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and emphasizing the text moved from the leading area to the outside of the reading area.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은 텍스트 영역과 별도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위한 드래그 박스를 설정하고, 드래그 박스에서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따라 리딩 영역에 위치한 첫 행의 텍스트에 대해 하이라이트 처리하되 드래그 정도에 맞춰 첫 행의 텍스트에 대해 하이라이트 처리하며, 사용자의 터치 해제 후 재터치시에는 하이라이트 대상을 다음 행의 텍스트로 지정하는 리딩 보조 기능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sets a drag box for the user's drag input separately from the text area and highlights the text of the first line located in the leading area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and drag input in the drag box, The text of the first line is highlighted,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again, a reading assistant function for designating the highlighted text as the text of the next line can be further executed in the computer.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은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에 대한 번역문을 표시하는 번역문 제공 기능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can further execute a function of providing a translation function for displaying a translation for text located in the reading area.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은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텍스트와 의미적으로 연관된 내용의 텍스트를 전자문서의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텍스트가 담긴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한 페이지 리스트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며, 페이지 리스트에 포함된 페이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로 이동하여 그 이동된 페이지의 텍스트를 텍스트 영역에 표시하는 페이지 찾기 보조 기능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searches the previous pages of the current page of the electronic document for texts that are semantically related to the text specified by the user among the texts located in the reading area, A list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page search assistant function for moving to a pag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pages included in the page list and displaying the text of the moved page in the text area can be further executed by the computer.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문서를 읽을 시에 시선의 분산과 고정이 반복되는 비중을 줄여 시각적인 피로도를 낮추고 집중력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visual fatigue and improves concentra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repetition of divergence and fixation when a user reads an electronic document.

또한, 번역문이 필요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번역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현재 읽고 있는 내용의 연관 내용을 이전 페이지들에서 다시 찾고자 할 때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Also,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 translation service even when a translation is required, and to make it easy to find the related content of the current reading when searching for the previous pages agai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전자문서 읽기 보조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creens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function. Fig.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는 전자문서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문서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전자책 리더기, 스마트 보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전자문서는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된 텍스트로 이루어진 콘텐츠를 말하는 것으로, 전자책(e-book)이나 인터넷 뉴스, 그 외에 각종 디지털 자료 등을 전자문서라 한다.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device displays an electronic document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read the electronic document. Examples of 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device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 desktop PC, an electronic book reader, and a smart board. An electronic document refers to a content composed of text written in an electronic form. An electronic book is an e-book, an Internet news, and various other digital material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2 내지 도 11은 전자문서 읽기 보조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는 입력부(100)와 표시부(200)와 저장부(3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표시부(200)는 사용자로의 시각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로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aply),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는 일체로 결합되어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11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function. 1, 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device may include an input unit 100, a display unit 200, a storage unit 300, and a control unit 500. The input unit 100 may be a touch panel, which provides a user input interface. The display unit 200 is a display for visual output to the user. Examples of the display unit 200 includ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d E-ink Display have. The touch panel and the display may be integrally combined and provided as a touch screen.

저장부(300)는 명령어,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300)에는 사용자의 전자문서 읽기를 보조하기 위한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이하에서는 편의상 ‘읽기 보조 매니저’라 한다)이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300)에는 전자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뷰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읽기 보조 매니저는 전자책 뷰어 프로그램의 일부로 이루어진다.The storage unit 300 is a medium for storing instructions, data, program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emories. In the storage unit 300,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ading assistant manager') for assisting a user in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is stored.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unit 300 stores an e-book viewer program for reading an e-book, and the reading assistant manager is a part of an e-book viewer program.

제어부(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O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같은 제어부(500)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읽기 보조 매니저(400)를 로딩하고 실행시킴에 의해 읽기 보조 매니저(400)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모듈들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에 전자문서 읽기 보조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읽기 보조 매니저(400)는 리딩 영역 설정부(410)와 텍스트 이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텍스트 강조부(430)와 리딩 보조부(440)와 번역문 제공부(450) 및 페이지 이동 보조부(4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include hardware and an operating system (OS)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The control unit 500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software functional modules of the read assistant manager 400 by loading and executing the read assistant manager 4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1, the reading assistant manager 400 for executing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function in 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device may include a reading area setting unit 410 and a text shifting unit 420,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ext emphasis unit 430, a leading auxiliary unit 440, a translation providing unit 450, and a page movement assisting unit 460.

리딩 영역 설정부(410)는 화면 내 전자문서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텍스트 영역의 일부에 리딩 영역을 설정하는 리딩 영역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리딩 영역은 텍스트 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으로서,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텍스트 영역(10)은 화면 전체일 수 있으며, 리딩 영역 설정부(410)에 의해 텍스트 영역(10)의 일부로 설정된 리딩 영역(20)은 박스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리딩 영역(20)은 도 2에서와 같이 텍스트 영역과는 상이한 바탕색을 가질 수 있다. 아니면 이와 달리 리딩 영역(20)은 박스의 테두리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같은 리딩 영역(20)은 텍스트 영역(1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지만, 사용자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딩 영역(20)의 모서리 등 지정된 부위를 터치 후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텍스트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 리딩 영역(20)을 두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리딩 영역은 도 3과 같이 박스 형상으로 지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3과 같이 화살표(30)만으로 지정된 행들일 수 있다. 화살표(30) 역시 사용자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다른 행들을 리딩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리딩 영역(20)을 지정하는 박스는 사용자에 의해 사이즈 조정될 수 있으며, 화살표 개수 역시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The leading area setting unit 410 provides a leading area setting function of setting a leading area in a part of a text area in which the tex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n the screen is displayed. The leading area is a part of the text area, and can be visually recognized. 2, the text area 10 in which the tex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displayed may be the entire screen, and the leading area 20 set by the leading area setting part 410 as a part of the text area 10 May be box-shaped. The leading area 20 may have a background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text area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leading area 20 may be made of only the rim of the box. Such a leading area 20 is fixed in the text area 10, but it can be mov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can touch and drag and move a designated area such as an edge of the leading area 20. Thus, the user can place the reading area 20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text area. On the other hand, the leading area is not limited to a box shape as shown in FIG. 3, but may be a line designated only by an arrow 30 as shown in FIG. The arrow 30 may also be positioned by the user to designate other rows as the leading area. The box designating the leading area 20 can be resized by the user, and the number of arrows can also be adjusted by the user.

텍스트 이동부(4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텍스트 영역(10)에 표시된 텍스트를 이동시키는 텍스트 이동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텍스트 이동부(420)는 텍스트 영역(10) 중에서 리딩 영역(2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리딩 영역에서의 사용자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따라 텍스트 영역(10)의 텍스트를 이동시킨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리딩 영역에서 터치 및 드래그 입력하면 그에 따라 텍스트가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된다. 즉, 리딩 영역(20)에 위치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는 비리딩 영역 외에 위치한 텍스트로 교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텍스트 이동부(420)는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에 마련된 별도의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하는 기기(예를 들어, 마우스, 펜, 패드)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텍스트 영역의 텍스트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딩 영역(20)에 시선을 고정시켜 둔 채 전자문서를 읽을 수 있게 된다. The text moving unit 420 provides a text moving function for moving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area 10 according to user input. In one embodiment, the text moving unit 420 moves the text of the text area 10 according to the user touch and drag input in the non-leading area, which is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leading area 20, . As can be seen from FIGS. 2 and 3, when the user inputs touch and drag in the non-reading area, the text moves up or down accordingly.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region 20 is replaced with text located outside the non-leading reg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text moving unit 42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input interface or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device (e.g., a mouse, a pen, or a pad) The text of the text area is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f the text area. Thereby, the user can read the electronic document while keeping his / her eyes fixed on the leading area 20.

참고로, 사용자가 비리딩 영역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통해 텍스트를 위로 올리면 아래의 텍스트는 위로 올라가고, 상위에 위치해있던 텍스트는 화면 밖으로 사라지며, 화면의 아래 부분은 여백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페이지 전환은 페이지 형태에 따라 사용자의 좌우 드래그 입력, 상하 드래그 입력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Note that if the user pushes the text up through the dragging input in the non-leading area, the text below will go up, the text above will disappear from the screen, and the bottom part of the screen will remain blank. The page switching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user's left and right drag input, up and down drag input, etc. according to the page type.

텍스트 강조부(430)는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에 대해서는 비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와 구별되도록 강조 처리하는 텍스트 강조 기능을 제공한다. 텍스트 강조부(430)는 도 4와 같이 리딩 영역(20)에 위치한 텍스트를 굵게 표시하거나 도 5 및 도 6과 같이 리딩 영역(20)에 위치한 텍스트 색상을 비리딩 영역과의 텍스트 색상과 구별되도록 달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텍스트 강조부(430)는 밑줄, 폰트 종류, 폰트 크기 등의 강조 방식을 통해서도 리딩 영역(20)의 텍스트를 강조할 수 있다. 밑줄의 경우에는 물결, 이중 밑줄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를 굵게 하면서 색상도 달리하는 등 둘 이상의 강조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같은 텍스트 강조부(430)에 의해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만이 강조된다. 물론, 비리딩 영역의 텍스트도 강조만이 되어 있지 않을 뿐 기존과 동일하게 읽는 데 전혀 문제가 없으나 리딩 영역이 강조되어 있으므로, 리딩 영역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The text emphasis unit 430 provides a text emphasis function for emphasizing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text located in the non-leading area. 4, the text emphasis unit 430 may display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20 in bold or the text color located in the leading area 20 as shown in FIGS. 5 and 6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text color of the non- Can be different. As another example, the text emphasis unit 430 can emphasize the text of the leading area 20 through an emphasis method such as underline, font type, font size, and the like. In the case of underline,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wave, double underline, and the like. You can also apply two or more emphasis methods, such as varying the color of the text while bolding it. Only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is emphasized by the text emphasis part 430 like this. Of course, the text in the non-reading area is not emphasized at all, and there is no problem in reading the same as before, but since the reading area is emphasized, readability of the reading area can be enhanc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텍스트 강조부(430)는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전체에 대해 제 1 방식으로 강조 처리하며,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중 일부에 대해 제 2 방식으로 강조 처리한다. 텍스트 중 일부는 리딩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문장들 중에서 어느 한 문장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초 문장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강조부(430)는 리딩 영역(20)에 위치한 텍스트를 굵게 하는 제 1 방식의 강조 처리를 하며, 리딩 영역(20)에 위치한 첫 번째 문장에 대해 색상을 달리하는 제 2 방식의 강조 처리를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텍스트 영역 또는 리딩 영역(20)에서 터치 입력을 하면 텍스트 강조부(430)는 첫 번째 문장의 색상을 원래대로 되돌리고 두 번째 문장에 대해 색상을 달리하는 강조 처리를 할 수 있다. 즉, 텍스트 강조부(430)는 텍스트 영역 또는 리딩 영역(20)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을 시에 제 2 방식의 강조가 적용된 문장에 대한 제 2 방식의 강조를 해제하고 그 다음 문장에 대해 제 2 방식의 강조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문장 단위는 마침표(period) 혹은 쉼표(comma)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즉, 텍스트 강조부(430)는 리딩 영역(20)에서 마침표 혹은 쉼표 식별을 통해 문장 단위를 구분하여 제 2 방식의 강조를 적용할 문장을 파악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xt emphasis unit 430 emphasizes the entir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in a first manner, and emphasizes a part of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in a second manner. Some of the text may be any one of a plurality of sentences located in the leading area, for example, the first sentence. 7, the text emphasis unit 430 performs emphasis processing of a first method of bolding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20, and performs color emphasis processing for the first sentence located in the leading area 20 Emphasizing processing of the second method is performed. When the user performs a touch input in the text area or the reading area 20, the text emphasis unit 430 can perform the emphasis processing of reversing the color of the first sentence and changing the color of the second sentence. That is, the text emphasis unit 430 releases the emphasis of the second scheme for the sentence to which the emphasis of the second scheme is applied when there i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n the text region or the leading region 20, Two-way emphasis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unit of sentence can be separated by a period or a comma. That is, the text emphasis unit 430 can identify a sentence to which the emphasis of the second scheme is to be applied by dividing the sentence unit by a period or a comma in the leading region 20.

한편, 텍스트 강조부(430)는 리딩 영역에 위치하여 강조되었다가 비리딩 영역으로 이동한 텍스트에 대해서는 강조 해제 처리한다. 리딩 영역 설정부(410)는 리딩 영역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딩 영역 설정부(410)는 리딩 영역 내 마지막 행에 구두점이 없는 경우에는 마지막 행의 문장에 대한 구두점도 포함되도록 리딩 영역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리딩 영역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달리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딩 영역은 리딩 영역 설정부(410)의 리딩 영역 설정시 혹은 사용자가 리딩 영역을 위치 조정하고자 할 시에만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표시되며, 이 외에는 도 8과 같이 리딩 영역은 별도로 표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text emphasis unit 430 emphasizes the text that is emphasized by being positioned in the leading region and moved to the non-leading region. The leading area setting unit 410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size of the leading area. In one embodiment, if there is no punctuation in the last row in the leading area, the leading area setting unit 410 automatically adjusts the size of the leading area to include punctuation for the sentence of the last row. And the leading area may not be visually recognized unlike in FIGS. For example, the leading area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only when setting the leading area of the leading area setting unit 410 or when the user intend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eading area.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It is not displayed.

리딩 보조부(440)는 사용자가 현재 읽고 있는 텍스트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리딩 보조 기능을 제공한다. 리딩 보조부(440)는 텍스트 영역과 별도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위한 드래그 영역을 설정하고, 드래그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따라 리딩 영역에 위치한 첫 번째 행의 텍스트에 대해 하이라이드 처리하되 드래그 정도에 맞춰 첫 번째 행의 텍스트에 대해 하이라이트 처리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드래그 영역에서 터치 해제 후 재터치시에는 하이라이트 대상을 다음 행의 텍스트로 지정하며, 드래그 입력에 따라 두 번째 행의 텍스트에 대해 하이라이트 처리한다.The reading assistant 440 provides a reading assistant function that assists the user in accurately ascertaining the text position currently being read. The leading auxiliary unit 440 sets a drag area for a drag input of the user separately from the text area and highlights the text of the first line located in the leading area according to the touch and drag input of the user in the drag area, To highlight the first line of text. When the user touches the drag region again and touched again, the highlighted object is designated as the text of the next line, and the text of the second line is highlighted according to the drag input.

이에 대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텍스트 영역의 아래에 위치한 드래그 영역(40)에서 터치하면 도 9의 (A)와 같이 하이라이트 처리할 리딩 영역의 첫 번째 행을 화살표(50)로 지정한다. 이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살표(50)와 같은 기호는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드래그 영역(40)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에서 우로 드래그하면, 드래그 정도에 따라 도 9의 (A), (B)와 같이 첫 번째 행의 텍스트가 하이라이트 처리된다. 하이라이트 처리는 색상 변경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9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나, 사용자가 드래그 영역(40)에서의 터치 해제 후에 재터치하면 하이라이트 처리할 리딩 영역의 행은 두 번째 행으로 지정된다.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When the user touches the drag area 40 located below the text area, the first row of the reading area to be highlighted is designated by an arrow 50 as shown in FIG. 9A. At this time, symbols such as the arrow 50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may not be displayed. When the user drags the drag region 40 from left to right while the drag region 40 is touched, the text of the first line is highlighted according to the drag degree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highlight processing is illustrated as a color chang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not shown in Fig. 9, if the user touches again after touch release in the drag area 40, the row of the leading area to be highlighted is designated as the second row.

번역문 제공부(450)는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원문을 번역문과 함께 표시하는 번역문 제공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문 제공부(450)는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원문의 적어도 일부를 타 언어로 변환하며, 변환된 번역문을 원문과 함께 표시한다. 번역 대상은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전체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텍스트만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문 제공부(450)는 번역 대상의 텍스트를 별도의 번역 소프트웨어에 전달하여 번역 요청하며, 번역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된 번역문을 텍스트 원문과 함께 표시한다. 번역 소프트웨어는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 내에 구성될 수도 있고, 아니면 별도의 기기에서 구동되는 것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전자문서 읽기 보조 장치는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번역문 제공부(450)는 통신 모듈을 통해 별도의 기기로 번역 대상 텍스트를 전달하면서 번역 요청하며, 통신 모듈을 통해 번역문을 수신하여 원문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translation controller 450 provides a translation function for displaying a text original text located in the reading area together with a translation. In one embodiment, the translation tutorial 450 converts at least a portion of the textual text located in the leading region into another language, and displays the translated translation with the original text. The translation target may be the entir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or the text specified by the user. 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lation providing unit 450 transmits the text of the translation target to another translation software to request translation, and displays the translation received from the translation software together with the text of the text. The translation software may be configur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id device, or may be driven by a separate device. In the latter case, 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the translation instructor 450 transmits a translation target text to a separate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The translation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original text.

도 10에 텍스트 변환 기능이 예시되어 있다. 텍스트 이동부(420)에 의해 비리딩 영역에 위치해있던 텍스트가 리딩 영역으로 이동하면, 번역문 제공부(450)는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원문에 대한 번역문을 도 10과 같이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 텍스트 원문은 영어이며, 번역문은 한글로 예시되어 있다.The text conversion function is illustrated in Fig. When the text located in the non-reading area is moved to the reading area by the text shifting unit 420, the translation providing unit 450 can display the translation of the text original text located in the reading area as shown in FIG. In Fig. 10, the original text of the text is in English, and the translation is illustrated in Korean.

페이지 이동 보조부(460)는 페이지 이동 보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지 이동 보조 기능은 사용자가 전자문서의 현재 페이지에서 텍스트를 읽다가 관련 내용을 이전 페이지들에서 다시 확인하고 싶을 때 이를 돕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는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단어나 구 혹은 문장을 리딩 영역에서 직접 드래그 등의 방식을 통해 지정하고 그 지정된 텍스트와 연관된 내용이 담긴 페이지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페이지 이동 보조부(460)는 지정된 텍스트에 대해 의미적으로 연관된 내용의 텍스트를 전자문서의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들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텍스트가 담긴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한 페이지 리스트를 생성한다.The page shift assisting unit 460 is for providing a page shift assisting function. The page navigation assistant is a configuration for helping the user to read the text on the current page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check the related contents again on the previous pages. The user can designate at least a part of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for example, a word, a phrase or a sentence, directly in the reading area through a method such as dragging, and request a page search containing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designated text. When there is such a page search request, the page shift assisting unit 460 searches the previous pages of the current page of the electronic document for the text semantically associated with the specified text, Create a page lis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문서의 단락별 의미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태그가 부여된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저장부(300)에 마련되고, 페이지 이동 보조부(460)는 리딩 영역이 포함된 단락에 부여된 태그와 일치하는 태그를 갖는 이전 단락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에 그 검색된 단락이 담긴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한 페이지 리스트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지 이동 보조부(46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텍스트에 대해 의미적으로 연관된 텍스트를 의미기반 검색(semantic search) 기법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이전 페이지들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연관 텍스트가 담긴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한 페이지 리스트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한다. 페이지 리스트에는 페이지별 연관 텍스트의 일부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가 선택되면 페이지 이동 보조부(460)는 그 선택된 페이지로 이동하여 이동된 페이지의 텍스트를 텍스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전 페이지들에서 읽었던 연관 내용을 쉽게 다시 찾아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내용 확인 완료를 입력하면, 페이지 이동 보조부(460)는 원래의 현재 페이지로 다시 되돌아와 현재 페이지의 텍스트를 텍스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atabase to which one or more tags are assigned is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300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ignificance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the page movement assisting unit 460 includes a tag attached to the paragraph including the leading region, After searching the database for previous paragraphs having matching tags, a page list for moving to the page containing the retrieved paragraph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another embodiment, the page-moving assistant 460 searches for text that is semantically related to the text specified by the user using the semantic search technique on previous pages, Generates a page list for moving to a page containing the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 part of the per-page related text may be recorded in the page list, and when a specific pag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age moving assistant 460 moves to the selected page and displays the text of the moved page in the text area .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find and re-examine the associations that were read on previous pages. When the user inputs the content confirmation completion, the page movement assisting unit 460 can return to the original current page and display the text of the current page in the text area.

도 11에 페이지 이동 보조 기능에 관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리딩 영역(20)에서 드래그 입력을 통해 스마트공장을 지정한 후에 그 지정된 부위를 터치하면 연관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한 팝업 창(60)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리스트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Fig. 11 shows a screen related to the page movement assist function. When the user designates the smart factory through the drag input in the reading area 20 and then touches the designated area, a pop-up window 60 for moving to the related page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list items, Page.

한편, 상술한 읽기 보조 매니저, 즉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read assistant manager, that is, the electronic document readout assistant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an be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입력부 200 : 표시부
300 : 저장부 400 : 읽기 보조 매니저
410 : 리딩 영역 설정부 420 : 텍스트 이동부
430 : 텍스트 강조부 440 : 리딩 보조부
450 : 번역문 제공부 460 : 페이지 이동 보조부
500 : 제어부
100: input unit 200: display unit
300: Storage unit 400: Read assistant manager
410: leading area setting unit 420: text moving unit
430: text emphasis unit 440:
450: translation tutorial 460: page shift assistant
500:

Claims (5)

전자문서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텍스트 영역의 일부 위치에 리딩 영역이 고정되도록 설정하는 리딩 영역 설정 기능;
텍스트 영역 중에서 리딩 영역을 제외한 비리딩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비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일부를 리딩 영역으로 이동 및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비리딩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텍스트 이동 기능;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에 대해 강조 처리하며, 리딩 영역에서 리딩 영역 외부로 이동된 텍스트에 대해 강조 해제하는 텍스트 강조 기능; 및
텍스트 영역과 별도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위한 드래그 박스를 설정하고, 드래그 박스에서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에 따라 리딩 영역에 위치한 첫 행의 텍스트에 대해 하이라이트 처리하되 드래그 정도에 맞춰 첫 행의 텍스트에 대해 하이라이트 처리하며, 사용자의 터치 해제 후 재터치시에는 하이라이트 대상을 다음 행의 텍스트로 지정하는 리딩 보조 기능;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
A leading area setting function for setting the leading area to be fixed at a part of the text area where the text of the electronic document is displayed;
Moving a part of the text located in the non-reading area to the reading area and moving at least a part of the text located in the reading area to the non-reading area according to user input in the non-reading area excluding the leading area in the text area;
A text emphasis function for emphasizing the text located in the leading area and emphasizing the text moved from the leading area to the outside of the leading area; And
Set a drag box for the user's drag input separately from the text area, highlight the text of the first line located in the leading area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and drag input in the drag box, A reading assistant function for designating a highlighted object as a text of the next line when the user touches again after the touch is released;
An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electronic document reading assistant program.
제 1 항에 있어서,
리딩 영역 설정 기능은 리딩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위한 입력이 있을시에 리딩 영역을 텍스트 영역 내에서 위치 이동시킨 후 고정 설정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ding area setting function is a function for reading an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o as to cause the computer to perform positioning and moving the reading area in the text area when there is an input for moving the use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ading area Supporting progra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에 대한 번역문을 표시하는 번역문 제공 기능;
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ranslation providing function for displaying a translation for text located in the reading area;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rther execute the progra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딩 영역에 위치한 텍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텍스트와 의미적으로 연관된 내용의 텍스트를 전자문서의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들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텍스트가 담긴 페이지로의 이동을 위한 페이지 리스트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며, 페이지 리스트에 포함된 페이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로 이동하여 그 이동된 페이지의 텍스트를 텍스트 영역에 표시하는 페이지 찾기 보조 기능;
을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전자문서 읽기 보조 프로그램.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ext of the contents semantically related to the text specified by the user among the texts located in the leading area is retrieved from the previous pages of the current page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a page list for moving to the page containing the retrieved text is generated, A page search assistant function for moving to a page selected by a user from pages included in a page list and displaying the text of the moved page in a text area;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rther execute the program.
삭제delete
KR1020180088641A 2018-07-30 2018-07-30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KR1019813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41A KR101981321B1 (en) 2018-07-30 2018-07-30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41A KR101981321B1 (en) 2018-07-30 2018-07-30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321B1 true KR101981321B1 (en) 2019-05-22

Family

ID=6668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641A KR101981321B1 (en) 2018-07-30 2018-07-30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3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133B1 (en) * 2019-06-03 2019-08-08 최현준 Electronic document touch control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457A (en) * 2003-10-03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retrieving document file
KR20070040206A (en)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US20110261030A1 (en) * 2010-04-26 2011-10-27 Bullock Roddy Mckee Enhanced Ebook and Enhanced Ebook Reader
KR20150033786A (en) 2013-09-23 2015-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adability of contents
KR20150127969A (en) * 2014-05-08 2015-11-18 네이버 주식회사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page by terminal apparatus, and web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page by web ser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457A (en) * 2003-10-03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retrieving document file
KR20070040206A (en) * 2005-10-11 2007-04-16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on mobile device
US20110261030A1 (en) * 2010-04-26 2011-10-27 Bullock Roddy Mckee Enhanced Ebook and Enhanced Ebook Reader
KR20150033786A (en) 2013-09-23 2015-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adability of contents
KR20150127969A (en) * 2014-05-08 2015-11-18 네이버 주식회사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page by terminal apparatus, and web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page by web ser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133B1 (en) * 2019-06-03 2019-08-08 최현준 Electronic document touch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2712B2 (en) Technologies for content analysis
US20190294654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analysis
EP3198481B1 (en) Productivity tools for content authoring
US7966558B2 (en) Snipping tool
JP689595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guide handwriting input
US9087046B2 (en) Swiping action for displaying a translation of a textual image
US8949729B2 (en) Enhanced copy and paste between applications
US9196227B2 (en) Selecting techniques for enhancing visual accessibility based on health of display
US20150149429A1 (en) Contextual information lookup and navigation
US20150301706A1 (en) Identifiable tabbing for bookmarks in electronic books
US117558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ocument
US20140115529A1 (en) Displaying information having headers or labels on a display device display pane
CN107977155B (en)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30063357A1 (en) Method for presenting different keypad configurations for data input and a portable device utilizing same
KR201600196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US90318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oking up words on a display screen by OCR comprising a set of base forms of recognized inflected words
KR101981321B1 (en) Reading assistance program for electronic document
US10706109B2 (en) Persona based content modification
Moustafa Improving PDF readability of scientific papers on computer screens
CN109445900B (en) Translation method and device for picture display
US8275620B2 (en) Context-relevant images
US20150370760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document on a screen
US20140026036A1 (en) Personal workspaces in a computer operating environment
US10872201B1 (en) Generation and presentation of electronic books for consumption in skim mode
US941188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