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308B1 -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308B1
KR100628308B1 KR1020040090919A KR20040090919A KR100628308B1 KR 100628308 B1 KR100628308 B1 KR 100628308B1 KR 1020040090919 A KR1020040090919 A KR 1020040090919A KR 20040090919 A KR20040090919 A KR 20040090919A KR 100628308 B1 KR100628308 B1 KR 10062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sing
content
dtv
markup languag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2313A (en
Inventor
이용희
신희숙
박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9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308B1/en
Publication of KR2006004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3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4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using alphanumeric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TV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크업(Markup) 언어를 통해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효과적인 브라우징(browsing)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browsing of contents provided through DTV.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ffective browsing of contents provided through DTV through a user interface markup language for DTV.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브라우징 구현 장치는 DTV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브라우징 실행 요청 신호로부터 DTV 화면에 제시된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를 판별하는 브라우징 종류 판별부;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를 해독하는 마크업 언어 코드 해독부; 및 상기 해독된 언어 코드에 의해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에 의한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브라우징 실행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The browsing implementation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browsing typ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browsing type assigned to content presented on a DTV screen from a browsing execu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 DTV user interface device; A markup language code decoding unit to decode a markup language code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browsing type; And a browsing execution unit that performs browsing by the type of browsing determined by the decrypted language code to achieve th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도 1a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치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Figure 1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invention disclosed herein.

도 1b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Figure 1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invention disclosed herein.

도 2a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제1 브라우징 종류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a first browsing typ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2A.

도 2c는 도 2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에 의한 일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using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2A.

도 2d는 도 2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에 의한 또 다른 일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implementation example by using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2A.

도 3a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제2 브라우징 종류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3A illustrates an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a second browsing typ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3A.

도 3c는 도 3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에 의한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using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3A.

도 4a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제3 브라우징 종류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a third type of browsing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4A.

도 5a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제4 브라우징 종류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5A illustrates an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a fourth browsing typ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5A.

도 5c는 도 5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에 의한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using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5A.

본 발명은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TV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크업(Markup) 언어를 통해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효과적인 브라우징(browsing)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browsing of contents provided through DTV.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ffective browsing of contents provided through DTV through a user interface markup language for DTV.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현재 DTV 방송 환경은 비디오나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부가적인 데이터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과 같은 형식으로 기술하여 TV 화면에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DTV 화면에 웹 컨텐츠를 보여주는 방식 또한 HTML 또는 XHTML(eXtended HTML)을 변형한 형식으로 기술하여 브라우징하고 있다.Currently, the DTV broadcasting environment displays video or audio data along with additional data in a format such as 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In addition, the way web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TV screen is described by browsing HTML or XHTML (eXtended HTML) in a modified format.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브라우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 방안에 관한 다수의 발명들이 출원 내지 등록되었는데, 그 예로 출원번호 10-1999-0061181 '텔레비전용 웹 브라우저를 위한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랭귀지 변환 방법'에서는 웹 브라우저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TV 환경에 맞게 HTML 문서를 파싱(parsing)하여 TV에서 지원할 수 없는 태그는 삭제하거나 다른 태그로 수정하여 보여주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A number of inventions have been filed or registered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browsing contents provided through DTV. For example, Application No. 10-1999-0061181, "Method for converting hypertext markup language for a television-only web browser." In this paper, we suggest parsing HTML documents that are displayed in a web browser according to the TV environment so that tags that cannot be supported by the TV are deleted or modified with other tags.

또 다른 예로, 출원번호 10-1999-0025570 '가정용 정보 단말기의 정보 브라우징 방법'에서는 HTML 문서에서의 링크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 HTML 문서를 파싱할 때 링크 태그가 나타나면 번호가 TV 화면에 보이도록 하여 리모콘의 숫자 버튼을 사용하여 해당 링크로의 이동을 쉽게 하고 있다.As another example, in Patent Application No. 10-1999-0025570 'Information Browsing Method of Home Information Terminal', when a link tag appears when parsing an HTML document to facilitate link movement in the HTML document, the number is displayed on the TV screen. You can easily navigate to the link using the number buttons.

그러나, 상기한 출원발명들은 기존의 HTML 언어를 이용하여 TV 환경에 맞추려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태그를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TV 컨텐츠의 내용이 삭제되거나 변경되어 TV 컨텐츠의 제시에 부적합한 면이 있는 등 DTV 환경에서 많은 제한사항이 있어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DTV 환경에 적합한 브라우징 방식의 구현이 필요하며,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DTV용 마크업 언어들이 정의되어 사용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mpt to fit the TV environment using the existing HTML language, when the tag is deleted or changed, the content of the TV content is deleted or changed,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presentation of the TV conten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the DTV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implementation of a browsing method suitable for a DTV environment, and therefore, markup languages for DTV for a user interface are defined and 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DTV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 한 마크업 언어에 새로운 태그(tag) 또는 속성(attribute)을 도입하여 DTV를 통해 제시되는 컨텐츠의 효과적인 브라우징을 위한 브라우징 구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and 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a new tag (tag) or attribute (tag) in the markup language for the user interface suitable for DTV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browsing for effective browsing of contents presented through DTV.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브라우징 구현 장치는 DTV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브라우징 실행 요청 신호로부터 DTV 화면에 제시된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를 판별하는 브라우징 종류 판별부;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를 해독하는 마크업 언어 코드 해독부; 및 상기 해독된 언어 코드에 의해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에 의한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브라우징 실행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the browsing implementation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browsing typ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browsing type assigned to content presented on a DTV screen from a browsing execu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 DTV user interface device; A markup language code decoding unit to decode a markup language code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browsing type; And a browsing execution unit that performs browsing by the type of browsing determined by the decrypted language code to achieve th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브라우징 구현 방법은 (a)DTV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브라우징 실행 효청 신호로부터 DTV 화면에 제시된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b)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를 해독하는 단계; 및 (c)상기 해독된 언어 코드에 의해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에 의한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the browsing implementation method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etermining the browsing type assigned to the content presented on the DTV screen from the browsing execu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TV user interface device; ; (b) decoding a markup language code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browsing type; And (c) executing the browsing according to the type of browsing determined by the decrypted language code to achieve the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을 우선 제시하면, 첫째, 링크 및 입력 폼 등(이하 '객체'라 칭한다)을 그룹으로 지정하여 포인터 (pointer)의 이동을 객체 단위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piri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presented. First, link and input for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bjects") are designated as a group to enable the movement of pointers in units of objects. will be.

둘째, DTV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별로 포인터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리모콘의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Secondly, by dividing the DTV screen, the pointer can be moved for each divided screen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move to a desired place by using the number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ler.

셋째, 컨텐츠를 DTV 화면에 보여줄 때 전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 생성자에 의해 나누어진 페이지 단위로 보여주게 하는 것이다.Third,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TV screen, the content is not displayed in whole but in units of pages divided by the content creator.

넷째,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DTV 화면에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제목(title)과 같은 정보만을 보여주었다가 사용자가 원할 때 전체의 내용이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다.Fourth, the entire contents of the contents are not shown on the DTV screen, but only the information such as the title is displayed, and the entire contents are displayed when the user wants to.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Hereinafter, in order to clarif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given even in different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components of other drawings may be cited when necessary in describing the drawings.

도 1a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장치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Figure 1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invention disclosed herein, Figure 1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invention disclosed herein.

브라우징 종류 판별부(11)는, 사용자가 DTV를 통해 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브라우징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를 이용하여 브라우징을 요청하면, 제시되고 있는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의 종류를 판별한다(S1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로는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콘)가 대표적이며,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공 하는 지정된 브라우징의 종류는 총 네 가지 즉,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사상의 핵심 네 가지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DTV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마크업 언어에 새로운 태그(tag) 또는 속성(attribute)을 도입하여 브라우징 방식을 정의 및 지정한다.When the user requests browsing by using the user interface device 10 for browsing the content presented through the DTV, the browsing type determination unit 11 determines the type of browsing specified in the presented content (S11). ). As the user interface device 10, a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is typically represented, and the type of specified browsing newl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tal of four, that is, the core four of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ideas. Introduce a new tag or attribute into the markup language for a user interface that is suitable for.

본 발명을 통하여 새로이 제공되는 브라우징 종류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the markup language code for the implementation of a new type of browsing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첫째로, 본 발명은 DTV용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DTV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객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을 위해, 객체를 그룹으로 지정하기 위한 'index' 라는 속성을 정의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로부터의 포인터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속성의 값 단위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 코드 방안을 제공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property called 'index' for designating objects in groups for implementing a markup language code for moving a pointer to an object unit displayed on a DTV screen using an input device for a DTV. And, according to the pointer movement command from the user interface device 10, a markup language code scheme for moving the pointer in units of the value of the attribute is provided.

둘째로, 본 발명은 다수의 컨텐츠가 DTV 화면에 분할되어 제시된 경우에, 각 분할 화면을 지정하기 위한 'block' 이라는 태그를 정의하고, 이 태그에, 상기 각 분할 화면을 구별하는 속성과 DTV용 입력장치의 숫자 버튼을 이용해 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index' 라는 속성을 정의한 마크업 언어 코드 방안을 제공한다.Secondly,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tag called 'block' for designating each divided screen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are divided and presented on a DTV screen, and in this tag, an attribute for distinguishing each divided screen and a DTV screen In order to enable the pointer to be moved in units of split screen by using the number buttons of the input device, a markup language code method that defines the attribute 'index' is provided.

셋째로, 본 발명은 컨텐츠를 일 화면에 최적으로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page' 라는 태그를 정의하고, 이 태그에, 상기 일 화면에 보여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크기의 조정을 위한 'scroll' 이라는 속성을 정의한 마크업 언어 코드 방안을 제공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tag called 'page' for optimally displaying content on one screen, and defines an attribute called 'scroll' for adjusting the page size of the content shown on the one screen. Provides markup language code schemes.

넷째로, 본 발명은 리스트를 가진 컨텐츠를, 컨텐츠의 제목만 DTV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경우와 제목과 리스트를 동시에 보여주는 경우를 나누어 제시한다. 이를 위해 'list' 라는 태그를 정의하고, 이 태그에, 상기 컨텐츠를 폴더 형식으로 제시하기 위한 'fold' 라는 속성을 정의한 마크업 언어 코드 방안을 제공한다.Fourthly,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case of showing a content having a list, the case of showing only the title of the content through the DTV screen and the case of simultaneously showing the title and the list. For this purpose, a tag called 'list' is defined, and a markup language code scheme is defined in which the attribute 'fold' is defined for presenting the contents in a folder format.

브라우징 종류의 판별(S11)은 구체적으로, 객체/속성 DB(14)에 DTV를 통하여 제시되는 다양한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에 포함된 객체 및 속성을 저장하여, DTV 화면에 제시된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에 규정된 객체 및 속성이 DB(14)에 저장되어 있는 지 판별하여 이루어진다.Determination of the browsing type (S11) specifically stores the objects and attributes included in the markup language codes of the various contents presented through the DTV in the object / attribute DB 14, and the markup language of the contents presented on the DTV screen. This is done by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s and attributes defined in the code are stored in the DB 14.

도 2a는 본 발명을 통하여 정의되는 브라우징 종류의 첫 번째 예에 대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그 언어 코드를 실현하는 과정을 제시한 도면이다.FIG. 2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arkup language code for a first example of a browsing type def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llustrates a process of realizing the language code.

그룹을 지정하기 위해 'index' 라는 속성을 정의하고(S21), 그 그룹을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각 분류별 인덱스 값을 지정하여, 리모콘의 버튼을 이용해 TV 화면에 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킬 때, 인덱스 값 단위로 이동시키되(S22), 우선 대분류의 인덱스 값으로 이동한 후 소분류의 인덱스 값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포인트의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To specify a group, define an attribute called 'index' (S21), divide the group into major and subclasses, and specify index values for each category, and use the buttons on the remote control to move the pointer presented on the TV screen. While moving to the unit (S22), first to move to the index value of the major category and then to the position of the desired point by moving to the index value of the minor category.

도 2a에 의하면, 마크업 언어 코드로 범용되는 HTML를 이용하여 이를 그룹 단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각 그룹을 이동하였을 때 가장 작은 분류의 인덱스 값에 해당하는 객체가 화면에 보여지고, TV 환경에 맞는 입력장치(대표적으로 리모콘)를 이용해 해당 링크나 입력 폼 등의 객체로 포인터를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대분류와 소분류의 분류 단계는 1단계 이상의 여러 단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FIG. 2A, it is possible to move a group unit by using HTML that is a general markup language code. When each group is moved,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dex value of the smallest category is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the input device (typically a remote control)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the pointer can be moved to an object such as a link or an input form.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stages of major and minor classifications may have more than one stage.

도 2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예에서 'index=1/2' 라는 것은, 그룹을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index를 정의한 것을 말하는데, 그 의미는 대분류의 index는 1이고 소분류의 index는 2임을 의미한다. 이는 먼저 대분류의 index에 해당하는 객체를 선택하게 되면, 화면에는 소분류의 index에 해당하는 객체가 디스플레이됨을 의미한다.In the example of the markup language code shown in FIG. 2A, 'index = 1/2' refers to defining an index by dividing the group into major and minor categories, which means that the major category is 1 and the minor category is 2. do. This means that when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large category index is first selected,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small category index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2c는 대분류 'index=1'을 선택했을 때 그 대분류의 index에 해당하는 소분류의 index가 DTV 화면에 보여지는 모습의 일례이며, 도 2d는 대분류 index=2을 선택했을 때 그 대분류의 index에 해당하는 소분류의 index가 DTV 화면에 보여지는 모습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를 이용해 포인터 이동 명령을 하면 도 2c와 도 2d에 제시된 번호 단위 즉, 객체 단위로 포인터가 이동된다.FIG. 2C is an example of how the small category index corresponding to the large category index is shown on the DTV screen when the major category 'index = 1' is selected, and FIG. 2D is the index of the major category when the major category index = 2 is selected. The subcategory index shows an example of how the DTV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user issues a pointer movement command using the user interface device 10, the pointer is moved in the number unit shown in FIGS. 2C and 2D, that is, in units of objects.

도 2a에 제시된 다른 속성(href, link, textarea,...)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속성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약한다.Other attributes (href, link, textarea, ...) shown in Figure 2a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weak.

도 3a는 본 발명을 통하여 정의되는 브라우징 종류의 두 번째 예에 대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A illustrates an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 for a second example of a browsing type def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llustrates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3A.

각 화면상에서의 링크 및 입력 폼 등 객체에 index를 가지게 하는 방법은 도 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현될 수 있다. 다만, DTV 화면을 리모콘의 숫자 버튼대 로 분할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점이 본 경우의 특징이다.The method of having an index on an object such as a link and an input form on each screen can be realized as in the case of FIG. 2A. In this case, however, the DTV screen is divided into the number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displayed to the user.

분할 제시를 위해, 그 예로 든 도 3a의 마크업 언어 코드에서는 일 분할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block' 이라는 태그를 정의하며(S31), 각 block 을 구별할 수 있도록 'id' 속성을 두었고, 'title' 속성을 두어 해당 블록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으며, 리모콘의 번호 버튼을 이용해 블록 단위(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 'block' 태그에 'index' 속성을 부여한다(S32). 도 3c에 DTV 화면상에 블록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의 일례가 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력장치의 숫자버튼을 누르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포인터가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the markup language code of FIG. 3A defines a tag called 'block' for displaying a split screen (S31), and sets an 'id' attribute to distinguish each block. A title 'attribute can be used to describe the block, and a' index 'attribute is assigned to each' block 'tag so that the pointer can be moved in units of blocks (split screen units) using the number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ler (S32). . 3C shows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displayed in units of blocks on the DTV screen. When the user presses a number button on the input device, the pointer moves to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도 4a는 본 발명을 통하여 정의되는 브라우징 종류의 세 번째 예에 대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A illustrates an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s for a third example of a browsing type def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llustrates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4A.

일 화면 단위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page' 라는 태그를 정의한다(S41). 도 3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페이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id' 속성을 부여하고, 각 'page' 태그에 'scroll' 속성을 부여하여 화면의 스크롤 가능 여부를 설정한다(S42). 이 때 스크롤의 속성 값을 off로 설정하여 화면상의 크기를 넘어가는 컨텐츠는 잘려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어 컨텐츠 생성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일 화면에 보여지는 페이지의 적정한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A tag 'page' is defined for display in one screen unit (S41). As in the case of FIG. 3A, 'id' attribute is assigned to distinguish each page, and 'scroll' attribute is assigned to each 'page' tag to set whether the screen can be scrolled (S42). In this case, by setting the property value of the scroll to off, the content beyond the size of the screen can be cut off so that the proper size of the page displayed on one screen can be adjusted to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creator.

도 5a는 본 발명을 통하여 정의되는 브라우징 종류의 네 번째 예에 대한 마크업 언어 코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의 구현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A illustrates an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 for a fourth example of a browsing type defin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llustrates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arkup language code illustrated in FIG. 5A.

이를 위해 'list' 라는 태그를 정의하며(S51), 'list' 태그에 'fold' 라는 속성을 부여하여 컨텐츠를 폴더(folder) 형식으로 보여줄 지를 나타낸다(S52). 'fold'가 'on' 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TV 화면상에 리스트의 제목만 보이며, 'off' 일 경우 리스트의 제목 및 그 리스트의 내용이 TV 화면상에 보이게 되는데(S53) 그 예가 도 5c의 좌측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a tag named 'list' is defined (S51), and a 'fold' attribute is given to the 'list' tag to indicate whether the contents are to be displayed in a folder format (S52). If 'fold' is set to 'on', only the title of the list is shown on the TV screen, and if 'off', the title of the list and the contents of the list are shown on the TV screen (S53). It is presented in the left figure.

도 5a와 도 5c에 의하면, 첫 번째 'list' 태그의 'fold'를 on으로 설정하여 화면에 '아름다운 산'이라는 리스트의 제목만 보이고 리스트의 내용(백두산, 한라산, 금강산)들은 보이지 않으며, 두 번째 'list' 태그에서는 'fold'를 off로 설정하여 화면에 '아름다운 강'이라는 리스트의 제목 및 리스트의 내용(두만강, 압록강, 한강)들도 화면에 제시된다. 'fold'를 위의 경우와 반대로 설정하면 '아름다운 강'이라는 리스트의 제목만 보이고 리스트의 내용(두만강, 압록강, 한강)들은 보이지 않으며, '아름다운 강'이라는 리스트의 제목 및 리스트의 내용(백두산, 한라산, 금강산)들도 화면에 제시된다(도 5c의 우측 예).5A and 5C, by setting 'fold' of the first 'list' tag to on, only the title of the list 'Beautiful Mountai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ontents of the list (Mt. Baekdu, Halla, and Geumgang) are not shown. In the 'list' tag, 'fold' is set to off so that the title of the list 'Beautiful River' and the contents of the list (Duman, Yalu, and Han) are also displayed on the screen. If 'fold' is set as opposed to the above, only the title of the list 'Beautiful river' is shown, the contents of the list (Duman, Yalu, and Han) are not visible, and the title of the list 'Beautiful river' and the contents of the list (Mt. Hallasan, Mt. Geumgang) are also displayed on the screen (example on the right of FIG. 5C).

마크업 언어 해독부(12)는 컨텐츠를 DTV 화면에 제시하기 위한 도 2a, 도 3a, 도 4a, 도 5a에 제시된 마크업 언어 코드를 해독하는데(S12), '해독'이라 함은 하이 레벨 언어(high level language, C++ 등)로 표현된 마크업 언어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시키는 컴파일링(compling)을 의미한다. 마크업 언어 코드의 대표적인 예는 HTML이며, 따라서 본 구성요소(12)는 HTML 컴파일러의 기능을 담당한다. 컴파일링은 기 공지된 여러 기법에 의하므로, 그 구체적인 방식의 설명은 약한다.The markup language decoding unit 12 decodes the markup language code shown in FIGS. 2A, 3A, 4A, and 5A for presenting the content on the DTV screen (S12). Compiling means converting markup language code expressed in (high level language, C ++, etc.) into machine languag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markup language code is HTML, so this component 12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HTML compiler. Since compilation is by several well-known techniques,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method is weak.

브라우징 실행부(13)는 마크업 언어 해독부(12)에 의해 해독된 마크업 언어 의 기계어 코드에 따른 브라우징을 실시한다(S13). 그 실시의 구체적인 태양은 도 2c, 도 3c, 도 5c에 설명한 바에 따른다.The browsing execution unit 13 performs browsing according to the machine code of the markup language decrypted by the markup language decryption unit 12 (S13). Specific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 are as described in FIGS. 2C, 3C, and 5C.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생성자가 원하는 순서대로 분류를 나누어 사용자 에게 보여주게 되므로 컨텐츠 생성자의 의도를 컨텐츠에 부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TV 화면에서의 포인트 이동을 더욱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reator divides the classification into the desired order and shows it to the user, so that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creator can be given to the content, and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move the point on the TV screen.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포인트의 이동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고 블록별로 나누어 index를 보여주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보기 좋고 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point quickly and easily and to show the index by dividing by block, thereby providing a user-friendly and comfortable inte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페이지 단위(일 화면 단위)로 TV 화면에 보여주게 되면 사용자에게 보기 좋은 모습으로 컨텐츠를 보여줄 수 있고 컨텐츠 생성자의 의도대로 적절한 화면 구성을 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V screen is displayed on a page basis (one screen unit), the content can be shown to the user in a good-looking manner and an effective screen configuration can be made as the content creator intends.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제목과 같은 정보만을 TV 화면상에 보여주고 다른 내용은 보여주지 않았다가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면 전체 내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TV 화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on the TV screen by showing only the same information as the title on the TV screen and not showing other contents but showing the entire contents when the user selects it.

즉, 본 발명은 태그에 따라 그룹을 지어 분류함으로써 링크 및 입력 폼 등의 포인트 이동을 쉽게 할 수 있으며 TV 화면상에 블록을 지정하여 구역별로 링크 및 입력 폼 등의 인덱스를 두어 포인트 이동을 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TV 화면상에 보여지게 될 컨텐츠를 페이지 별로 보여줌으로써 화면 구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내용을 보여주지 않았다가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면 보여주게 함으로써 TV 화면 구성 및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ve the points such as links and input forms by grouping them according to the tag, and by assigning blocks on the TV screen, indexes such as links and input forms for each zone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points. Can be. Also, the screen configur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showing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TV screen for each page.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are not shown but the user selects them, the contents of the TV screen and the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Claims (11)

DTV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크업(markup) 언어를 이용하여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browsing)을 구현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browsing) of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DTV using a user interface markup language for DTV, DTV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브라우징 실행 요청 신호를 검사하여, 마크업 언어 코드의 태그 정의 또는 속성 부여를 통하여 제공된 다양한 브라우징 종류들 중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의 종류를 판별하는 브라우징 종류 판별부;A browsing type determination unit which checks a browsing execu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n interface device of a DTV user and determines a type of browsing specified in the content among various browsing types provided through tag definition or attribute assignment of a markup language code;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를 해독하는 마크업 언어 코드 해독부; 및A markup language code decoding unit to decode a markup language code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browsing type; And 상기 해독된 언어 코드에 의해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에 의한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브라우징 실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And a browsing execution unit configured to execute browsing based on the type of browsing determined by the decoded language c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DTV를 통하여 제시되는 다수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에 포함된 객체 및 속성을 저장하는 객체/속성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의 판별은 상기 DTV 화면에 제시된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에 규정된 객체 및 속성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And an object / attribute DB that stores objects and attributes included in markup language codes of a plurality of contents presented through DTV, wherein the determination of the designated browsing type is defined in markup language codes of contents presented on the DTV screen. The apparatus for implementing browsing of contents provided through DTV,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and the attributes are stored in the DB.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DTV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객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browsing specified in the content is browsing that moves the pointer in units of objects displayed on the DTV screen. 상기 객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객체를 그룹으로 지정하기 위한 속성을 정의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포 인터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속성의 값에 해당하는 객체 단위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A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a browsing that moves a pointer in units of objects defines an attribute for designating the object as a group, and according to a pointer movement command from a user, an object unit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attribute. Apparatus for implementing browsing of content provided through a DTV,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move the poi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다수의 컨텐츠가 DTV 화면에 분할되어 제시된 경우, 상기 각 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the browsing type designated for the content is a browsing for moving a pointer to each divided screen unit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are divided and presented on a DTV screen. 상기 각 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각 분할 화면을 지정하기 위한 태그를 정의하고, 상기 태그에 DTV용 입력 장치의 숫자 버튼을 이용해 상기 각 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속성을 부여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The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for moving the pointer in each split screen unit defines a tag for designating the split screen, and uses the numeric button of the DTV input device to the tag to form the split screen unit. Apparatus for implementing content browsing through a DTV,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giving a property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poi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DTV의 일 화면에 상기 컨텐츠의 최적 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browsing type designated for the content is browsing for enabling optimal presentation of the content on one screen of the DTV. 상기 최적 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컨텐츠의 일 화면 단위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태그를 정의하고, 상기 태그에 상기 일 화면에 보여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크기의 조정을 위한 속성을 부여하 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The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to enable the optimal presentation defines a tag for displaying one screen unit of the content, and an attribute for adjusting the page size of the content shown on the one screen to the tag. Apparatus for implementing browsing of content provided through DTV,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grant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상기 컨텐츠가 리스트를 가진 경우, DTV 화면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제목만 보여주거나 상기 제목과 리스트를 동시에 보여주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the browsing type designated for the content is a browsing which shows only the title of the content or simultaneously shows the title and the list on the DTV screen when the content has a list. 상기 리스트를 가진 컨텐츠의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컨텐츠가 리스트를 가짐을 의미하는 태그를 정의하고, 상기 태그에 상기 컨텐츠를 폴더 형식으로 제시하기 위한 속성을 부여하며, 상기 속성을 'on' 또는 'off'로 설정하여 상기 리스트의 보여줌 여부를 가능하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The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of the content with the list defines a tag meaning that the content has a list, gives the tag an attribute for presenting the content in a folder format, and sets the attribute. Apparatus for implementing content browsing through a DTV,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is set to 'on' or 'off' to enable the display of the list. DTV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크업(markup) 언어를 이용하여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browsing)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of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DTV using a user interface markup language for DTV, (a) DTV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브라우징 실행 요청 신호를 검사하여, 마크업 언어 코드의 태그 정의 또는 속성 부여를 통하여 제공된 다양한 브라우징 종류들 중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a) checking a browsing execu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n interface device of a DTV user, and determining a type of browsing designated to the content among various types of browsing provided through tag definition or attribute assignment of markup language code; (b)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의 마크업 언어 코드를 해독하는 단계; 및(b) decoding a markup language code of the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determined browsing type; And (c)상기 해독된 언어 코드에 의해 상기 판별된 브라우징 종류에 의한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방법.and (c) executing the browsing according to the type of browsing determined by the decoded language cod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DTV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객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browsing specified in the content is browsing that moves the pointer in units of objects displayed on the DTV screen. 상기 객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객체를 그룹으로 지정하기 위한 속성을 정의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포인터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속성의 값에 해당하는 객체 단위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방법.The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a browsing for moving a pointer in units of objects defines an attribute for designating the objects in groups and in units of objects corresponding to a value of the attribute according to a pointer movement command from a user. Browsing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DTV,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to move the point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다수의 컨텐츠가 DTV 화면에 분할되어 제시된 경우, 상기 각 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the browsing type designated for the content is a browsing for moving a pointer to each divided screen unit when a plurality of contents are divided and presented on a DTV screen. 상기 각 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각 분할 화면을 지정하기 위한 태그를 정의하고, 상기 태그에 DTV용 입력 장치의 숫자 버튼을 이용해 상기 각 분할 화면 단위로 포인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속성을 부여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방법.The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for moving the pointer in each split screen unit defines a tag for designating the split screen, and uses the numeric button of the DTV input device to the tag to form the split screen unit. How to implement the browsing of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DTV,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giving a property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point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DTV의 일 화면에 상기 컨텐츠의 최적 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browsing type designated for the content is browsing for enabling optimal presentation of the content on one screen of the DTV. 상기 최적 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컨텐츠의 일 화면 단위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태그를 정의하고, 상기 태그에 상기 일 화면에 보여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크기의 조정을 위한 속성을 부여하여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방법.The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to enable the optimal presentation defines a tag for displaying one screen unit of the content, and an attribute for adjusting the page size of the content shown on the one screen to the tag. How to implement the browsing of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DTV,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granting.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컨텐츠에 지정된 브라우징 종류 중 일 종류는 상기 컨텐츠가 리스트를 가진 경우, DTV 화면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제목만 보여주거나 상기 제목과 리스트를 동시에 보여주는 브라우징이며,One type of the browsing type designated for the content is a browsing which shows only the title of the content or simultaneously shows the title and the list on the DTV screen when the content has a list. 상기 리스트를 가진 컨텐츠의 브라우징의 구현을 위한 마크업 언어 코드는 상기 컨텐츠가 리스트를 가짐을 의미하는 태그를 정의하고, 상기 태그에 상기 컨텐츠를 폴더 형식으로 제시하기 위한 속성을 부여하며, 상기 속성을 'on' 또는 'off'로 설정하여 상기 리스트의 보여줌 여부를 가능하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방법.The markup language code for implementing the browsing of the content with the list defines a tag meaning that the content has a list, gives the tag an attribute for presenting the content in a folder format, and sets the attribute. A method of implementing browsing of content provided through DTV,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is set to 'on' or 'off' to enable or disable the display of the list.
KR1020040090919A 2004-11-09 2004-11-09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KR100628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19A KR100628308B1 (en) 2004-11-09 2004-11-09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919A KR100628308B1 (en) 2004-11-09 2004-11-09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13A KR20060042313A (en) 2006-05-12
KR100628308B1 true KR100628308B1 (en) 2006-09-27

Family

ID=3714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919A KR100628308B1 (en) 2004-11-09 2004-11-09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3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615A (en) * 2007-02-09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broadcast and for displa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13A (en)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2985B2 (en) Screen reader with customizable web page output
US7761781B2 (en) Web browsing method an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83472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displaying web page elements
US20130262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reviewing patent documents
US20040230900A1 (en) Declarative mechanism for defining a hierarchy of objects
US20160034432A1 (en) Accessible processing method of webpage contents and accessible webpage device
US200702400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acquisition of data from HTML tables
US20130290889A1 (en) Data pasting method and apparatus
EP2786277A1 (en) Pagination and navigation of web content
CN104657451A (e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page
US201300936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CN1704935A (en) Simple input method for a web browser
KR20100013160A (en) Method for defining orders of focus movements and focus move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JP6322629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120254195A1 (en) Self-presenting report
KR100628308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rk-up language for user interface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KR101438198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of multi-screen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CA2452132C (en) Defining layout files by markup language documents
US20130125040A1 (en) Interstitial navigation panel for navigating data representing content and applications
JP5175951B2 (en) Video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management device,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display management method
KR101667266B1 (en) Adaptive web design system and method
KR20060061733A (en) Declarative mechanism for defining a hierarchy of objects
US20070118806A1 (en) Electronic apparatus, page display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95196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nd navigating bookmarks in a set of electronic reading material
JP20081173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nd displaying web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