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009B1 -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 Google Patents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009B1
KR100737009B1 KR1020050122726A KR20050122726A KR100737009B1 KR 100737009 B1 KR100737009 B1 KR 100737009B1 KR 1020050122726 A KR1020050122726 A KR 1020050122726A KR 20050122726 A KR20050122726 A KR 20050122726A KR 100737009 B1 KR100737009 B1 KR 100737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ce
wheel
steering
damp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854A (ko
Inventor
이문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0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8Control of feed-back to the steering input member, e.g. simulating road feel in steer-by-wire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 바이 와이어(SBW)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으로서, 그 구성은 차량의 조향 휠과; 상기 조향 휠의 조향에 의한 반력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구동되는 반력모터와; 상기 조향 휠의 조향 축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조향 축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된 저항판, 상기 저항판을 둘러싸는 댐퍼커버 및 상기 저항판과 상기 댐퍼커버 사이에 채워진 유체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반력모터의 반력 구현시 댐핑 역할을 하는 수동댐퍼와; 상기 조향 휠의 조작에 따른 반력모터와 수동댐퍼의 구동 제어를 위한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력, 모터, 댐퍼, SBW

Description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reaction of steer by wire system using passive damper and damping compensation contr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BW 반력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BW 반력 제어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BW 반력 제어 방법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조향 휠 4 : 반력 전달 와이어
6 : 반력 모터 8 : 수동댐퍼
10 : 조향 축 12 : 고정 프레임
14 : 휠구동 모터 16 : 구동력 전달 기어
20 : 콘트롤러 25a, 25b : 차륜
본 발명은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일의 반력 모터와 수동댐퍼를 이용하여 자유구간에서는 댐핑특성이 상쇄되도록 하는 보상제어를 통해 최소의 비용 및 중량으로 핸들의 복합 하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 바이 와이어(SBW:Steer By Wire, 이하 SBW라 칭함)란 차량의 핸들과 휠의 상호조작 메커니즘에서 기존의 기계적 연결을 제거하고, 두 시스템을 분리하여 각각을 전기적 장치를 통해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SBW에서는 오작동 방지를 통한 안전성 확보와 핸들의 반력(active force와 passive force) 구현을 통해 운전자의 이질감을 제거하는 것을 가장 중요시한다.
종래에는 상기 반력 구현을 위해 모터(능동 구동기), MR 댐퍼 등의 자기유변유체(반능동 구동기), 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모터와 MR 댐퍼) 및 스토퍼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실제 핸들에서 발생하는 복합하중을 모두 고려하지 못해 반력의 구현에 한계가 있으며, 이와 동시에 비용 및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는 노이즈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진동 등에 의해 수동반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MR 댐퍼는 능동반력 구현이 어렵고 고가이며, 하이브리드 액츄에이터는 복합하중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두 개의 구동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중량 및 가격면에서 문제점을 갖으며, 끝으로 스토퍼는 항상 고정된 위치이므로 운동범위에 제한을 갖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반력 모터와 수동댐퍼를 이용하여 자유구간에서는 댐핑특성이 상쇄되도록 하는 보상제어를 통해 최소의 비용 및 중량으로 핸들의 복합 하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BW 반력 제어 시스템 구성은, 차량의 조향 휠과; 상기 조향 휠의 조향에 의한 반력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구동되는 반력모터와; 상기 조향 휠의 조향 축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조향 축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된 저항판, 상기 저항판을 둘러싸는 댐퍼커버 및 상기 저항판과 상기 댐퍼커버 사이에 채워진 유체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반력모터의 반력 구현시 댐핑 역할을 하는 수동댐퍼와; 상기 조향 휠의 조작에 따른 반력모터와 수동댐퍼의 구동 제어를 위한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시스템 구성을 통한 SBW 반력 제어 방법은, 차량의 핸들 조향여부 판단 단계; 핸들 조향이 이루어진 경우 반력모터 내 내장된 엔코더를 통해 조향 각 및 조향 각속도 산출 단계; 휠 구동모터를 통해 산출된 조향 각에 상응하는 휠 조향 단계; 휠 구동모터 내 내장된 엔코더를 통해 휠 조향각 및 휠 조향각속도 산출 단계;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단한 결과, 주행상태인 경우 차량 주행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을 이루지만, 정지상태인 경우에는 차량 정지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을 이루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반력 모터를 이용하여 SBW 시스템에서의 복합반력(active force와 passive force)을 구현한 것이고, 상기 모터를 통해 반능동 반력을 구현할 때 발생하는 속도정보 노이즈에 의한 떨림현상을 조향축과 고정 프레임간에 직접 연결 설치된 수동댐퍼를 통해 억제토록 한 것이며, 스위칭 보상제어를 통해 자유 운동시 발생하는 수동댐퍼에 의한 이질적인 반력이 상쇄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 바이 와이어(SBW)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SBW의 반력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조향 휠(2)과; 상기 조향 휠(2)의 조향에 의한 반력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구동되는 반력모터(6)와; 상기 조향 휠(2)의 조향 축(10)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12)과; 상기 조향 축(10)과 상기 고정 프레임(12)에 연결 설치된 저항판(8a), 상기 저항판(8a)을 둘러싸는 댐퍼커버(8b) 및 상기 저항판(8a)과 상기 댐퍼커버(8b) 사이에 채워진 유체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반력모터)6)의 반력 구현시 댐핑 역할을 하는 수동댐퍼(8)와; 상기 조향 휠(2)의 조작에 따른 반력모터(6)와 수동댐퍼(8)의 구동 제어를 위한 콘트롤러(20)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는 반력모터의 반력 전달을 위한 와이어, '14'는 휠 구동 모터, '16'은 휠 구동 모터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와이어, 그리고 '25a'와 '25b'는 좌,우 차륜을 의미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시스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SBW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블록 다이어그램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SBW시스템에서 조향 축상에 설치된 단일의 반력모터와 수동댐퍼 구성을 통해 복합반력의 전달 및 댐핑 보상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조향 휠에 일정토크(Tdriver)를 가하여 조향을 이루게 되면, 이는 조향 시스템의 콘트롤러에서의 역학모델 출력값(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1
)에 의해 휠의 조향이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에서 조향 휠의 각변위와 각속도 즉,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2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3
그리고, 휠의 각변위와 각속도 즉,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4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5
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 각각은 콘트롤러에서 디지털 데이터(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6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7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8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09
)로 샘플링 된다. 이렇게, 샘플링된 데이터와 그외 조건 즉, 차량의 주행조건 및 노면조건 등에 의해 미리 세팅되었거나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반력모델(V(z))의 복합반력(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0
)이 설정되며, 이 값은 ZOH(Zero Order Holder)에 의해 모터의 출력값(Tsimulated)으로 정해진다.
상기에서, 반력모델(V(z))에 포함된 수동 반력요소는 조향휠과 휠의 각속도 즉,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1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2
을 변수로 하여 정의되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엔코더의 출력값(각변위)으로부터 속도신호를 추정하는 한 노이즈성분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러한 노이즈성분에 의해 핸들이 떨이는 현상이 야기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조향 축과 고정프레임간에 설치된 수동댐퍼를 설치한 것이며, 이를 통해 조향 축에 고정된 저항판과 고정프레임상에 장착된 댐퍼 커버, 그리고 상기 두 구성수단간에 채원진 유체의 점성을 이용한 댐핑작용을 통해 차량의 주행시 핸들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에서 수동댐퍼의 진동억제 효과는 항상 고정된 저항력(
Figure 112006098345313-pat00013
×
Figure 112006098345313-pat00014
)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비정상적인 반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유운동시 또는 휠의 수동반력이 적은 구간에서는 반력모터를 통해 상기 수동댐퍼의 댐핑효과를 보상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SBW시스템의 복합 반력 구현 및 수동댐퍼를 통한 보상 제어 방법을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핸들 조향여부를 판단하여 핸들 조향이 이루어진 경우 반력모터 내 내장된 엔코더를 통해 조향 각(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5
) 및 조향 각속도(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6
)를 산출한다[S10, S50]. 하지만, 상기 S10 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의 핸들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현 차량의 주행상태를 판단하여, 주행중인 경우에는 차량 주행시의 능동반력을 산출하여 적용하지만, 정지상태인 경우에는 반력 모터 및 휠구동 모터의 구동상태를 오프시킨다[S20 ~ S40]. 상기 S30 단계에서 차량 주행시의 능동반력(Tsimulated) 산출 수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Tsimulated = -k2wheel × θwheel
상기에서, Tsimulated 은 반력
k2wheel 은 차량 주행시 능동 반력 계수를 의미한다.
다시 도 3의 흐름도로 돌아가서, 상기 S50 단계에서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를 산출한 후 휠 구동모터를 통해 산출된 조향 각에 상응하는 휠 조향을 이루고[S60], 상기 휠 구동모터 내 내장된 엔코더를 통해 휠 조향각(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7
) 및 휠 조향각속도(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8
)를 산출한다[S70].
상기 S70 단계에서 휠 조향각 및 휠 조향각속도를 산출한 후에는,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단하여 주행상태인 경우에는 차량 주행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을 이루며, 정지상태인 경우에는 차량 정지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을 이루도록 한다[S80 ~ S100]. 상기에서, 차량 정지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차량 주행시의 복합반력은 각각 아래 수학식 2와 3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112005072899497-pat00019
Figure 112005072899497-pat00020
Tsimulated = (-k1wheek × θwheel) + (Cdamper × ) - (C1wheel × )
상기에서, Tsimulated 은 반력
k1wheel 은 차량 정지시 능동 반력 계수
C1wheel 은 차량 정지시 반능동 반력 계수
Cdamper 은 수동댐퍼의 고정된 저항력을 의미한다.
Figure 112005072899497-pat00021
Figure 112005072899497-pat00022
Tsimulated = (-k2wheek × θwheel) + (Cdamper × ) - (C2wheel × )
상기에서, Tsimulated 은 반력
k2wheel 은 차량 주행시 능동 반력 계수
C2wheel 은 차량 주행시 반능동 반력 계수
Cdamper 은 수동댐퍼의 고정된 저항력을 의미한다.
참고로, 상기에서 각 계수 즉, 차량 주행시 능동 및 반능동 반력 계수와 차량 정지시 능동 및 반능동 반력 계수는 차량 주행시 노면조건, 타이어 공기압, 차량의 적재하중 조건 등에 따라 실험을 통해 미리 세팅된 값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반력모터를 통해 반력과 수동댐퍼의 보상력이 구현되도록 한 후, 이를 반력전달와이어를 통해 조향 축으로 전달하여 운전자가 반력 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와 동시에 휠 구동모터는 정확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고가의 MR 댐퍼나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단일의 반력모터와 수동댐퍼를 이용하여 SBW 시스템에서 복합반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수동댐퍼의 댐핑 보상제어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스티어 바이 와이어(SBW)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조향 휠과;
    상기 조향 휠의 조향에 의한 반력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구동되는 반력모터와;
    상기 조향 휠의 조향 축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조향 축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된 저항판, 상기 저항판을 둘러싸는 댐퍼커버 및 상기 저항판과 상기 댐퍼커버 사이에 채워진 유체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반력모터의 반력 구현시 댐핑 역할을 하는 수동댐퍼와;
    상기 조향 휠의 조작에 따른 반력모터와 수동댐퍼의 구동 제어를 위한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2. 스티어 바이 와이어(SBW) 시스템의 반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핸들 조향여부 판단 단계;
    핸들 조향이 이루어진 경우 반력모터 내 내장된 엔코더를 통해 조향 각 및 조향 각속도 산출 단계;
    휠 구동모터를 통해 산출된 조향 각에 상응하는 휠 조향 단계;
    휠 구동모터 내 내장된 엔코더를 통해 휠 조향각 및 휠 조향각속도 산출 단계; 및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단한 결과, 주행상태인 경우 차량 주행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을 이루지만, 정지상태인 경우에는 차량 정지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을 이루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차량의 핸들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차량의 주행상태를 판단하여, 주행중인 경우에는 차량 주행시의 능동반력을 산출하여 적용하지만, 정지상태인 경우에는 반력 모터 및 휠구동 모터의 구동상태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시의 능동반력은 아래 수학식과 같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방법.
    Tsimulated = -k2wheel × θwheel
    상기에서, Tsimulated 은 반력
    k2wheel 은 차량 주행시의 능동 반력 계수를 의미한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지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은 아래 수학식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방법.
    Tsimulated = (-k1wheek × θwheel) + (Cdamper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23
    ) - (C1wheel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24
    )
    상기에서, Tsimulated 은 반력
    k1wheel 은 차량 정지시 능동 반력 계수
    C1wheel 은 차량 정지시 반능동 반력 계수
    Cdamper 은 수동댐퍼의 고정된 저항력을 의미한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시의 복합반력 산출 및 수동댐퍼의 보상은 아래 수학식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반력 제어 방법.
    Tsimulated = (-k2wheek × θwheel) + (Cdamper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25
    ) - (C2wheel ×
    Figure 112005072899497-pat00026
    )
    상기에서, Tsimulated 은 반력
    k2wheel 은 차량 주행시 능동 반력 계수
    C2wheel 은 차량 주행시 반능동 반력 계수
    Cdamper 은 수동댐퍼의 고정된 저항력을 의미한다.
KR1020050122726A 2005-12-13 2005-12-13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073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726A KR100737009B1 (ko) 2005-12-13 2005-12-13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726A KR100737009B1 (ko) 2005-12-13 2005-12-13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854A KR20070062854A (ko) 2007-06-18
KR100737009B1 true KR100737009B1 (ko) 2007-07-09

Family

ID=3836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726A KR100737009B1 (ko) 2005-12-13 2005-12-13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98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07680A1 (en) * 2013-07-08 2016-04-21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control unit
JP6750341B2 (ja) * 2016-06-22 2020-09-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操舵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706A (ko) * 2000-12-26 2002-07-04 밍 루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엠알유체를 이용한 조타력 제어장치
JP2004231054A (ja) * 2003-01-30 2004-08-19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
JP2005033016A (ja) * 2003-07-04 2005-02-03 Ulvac Japan Ltd 低誘電率層間絶縁膜の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KR20050018114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조향 시스템에서의 반력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706A (ko) * 2000-12-26 2002-07-04 밍 루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엠알유체를 이용한 조타력 제어장치
JP2004231054A (ja) * 2003-01-30 2004-08-19 Honda Motor Co Ltd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
JP2005033016A (ja) * 2003-07-04 2005-02-03 Ulvac Japan Ltd 低誘電率層間絶縁膜の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KR20050018114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조향 시스템에서의 반력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98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854A (ko) 200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94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with motor controller
US9592849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with motor controller
EP1445132B1 (en) Electromagnetic suspension system
US9008911B2 (en) Electrical limitation of a steering gear travel path
US9545949B2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a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931256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reaction force using an electric motor to provide a steering assistance force in a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JP5976536B2 (ja) 運転中に車両の運転者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472780B (zh) 用于机动车的电动动力转向系统
RU2643018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улением
CN110901761B (zh) 线控转向系统和用于估计线控转向系统的齿条力的方法
KR10245199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토크 추정 방법
KR100737009B1 (ko) 수동댐퍼와 댐핑 보상제어를 통한 스티어 바이 와이어시스템의 반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방법
US11608107B2 (e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urishige et al. Static steering-control system for electric-power steering
CN109415086A (zh) 进出弯道时具有不同阻尼的线控转向系统
CN111688792B (zh) 车辆用转向系统
JP2021123231A (ja) 制御装置および車両
Loof et al. Component based modeling and validation of a steering system for a commercial vehicle
JP2021133776A (ja) 振動抑制装置および車両
JP2006521955A (ja) 自動車用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375489B1 (ko) Mr클러치를 이용한 sbw시스템
JP6034419B2 (ja) 運転中に車両の運転者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807314B2 (en) Steering device and steering unit device
EP1623910A1 (en) Automotive steering system
JP434906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