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868B1 -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868B1
KR100736868B1 KR1020060117816A KR20060117816A KR100736868B1 KR 100736868 B1 KR100736868 B1 KR 100736868B1 KR 1020060117816 A KR1020060117816 A KR 1020060117816A KR 20060117816 A KR20060117816 A KR 20060117816A KR 100736868 B1 KR100736868 B1 KR 10073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ter
reinforcing
delete dele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재
Original Assignee
미래피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피앤씨(주) filed Critical 미래피앤씨(주)
Priority to KR1020060117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29C53/845Heating or cooling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being turned inside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평판 섬유재의 일단부에 제 1 연결부와 타단부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치하여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시킨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양단부의 연결부는 남겨두고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시킨 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튜브 판을, 섬유층이 내주면이 되게 원형으로 구부리고 튜브 판의 양단부의 연결부를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일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위를 고정하여 원형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의 원형 튜브 외주면 일부에 합성수지로 라미네이팅이 안된 부위를 상기 (a)의 합성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b)의 원형 튜브를 외주면이 섬유층이 되도록 뒤집는 단계; 및 (d) 상기 (c)의 원형 튜브에 바인더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및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평판 섬유재의 일단부에 제 1 연결부와 타단부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치하여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시킨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양단부의 연결부는 남겨두고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시킨 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튜브 판을, 섬유층이 내주면이 되게 원형으로 구부리고 튜브 판의 양단부의 연결부를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일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위를 고정하여 원형 튜 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의 원형 튜브 외주면 일부에 합성수지로 라미네이팅이 안된 부위를 상기 (a)의 합성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b)의 원형 튜브를 외주면이 섬유층이 되도록 뒤집는 단계; 및 (d) 상기 (c)의 원형 튜브에 경화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e) 상기 (b)의 원형 튜브와 동시에 유도용 폴리발포비닐 필름을 보강용 튜브 하단부분에 일치시키고 보강용 튜브와 동시에 견인하는 단계; (f) 상기 (d)의 원형 튜브를 상·하수관에 투입하고, 보수 관로 위치로 견인하는 단계; 및 (g) 보수 관로 내부에 물을 주입하여 채운 다음, 물을 60∼90℃로 가열하여 2∼5 시간 동안 보수 관로와 원형 튜브를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섬유층, 합성 수지층, 이음매,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Description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Tube for reinforcing deteriorated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의 공정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수지 함침용 기계에서 맨홀과 보수할 관로를 연결한 비닐형 유도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발명의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10 : 섬유층 11 : 부직포
12 : 유리 섬유 20 : 합성수지층
40 : 경화 수지 수조 50 : 롤러
60 : 급랭장치 71, 72 : 하수관
80 : 비닐형 유도관
본 발명은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사용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내부에 합성 수지층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평판 섬유재의 양단부에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도록 특정 연결부를 제조하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과 이를 현장 수지 함침용 기계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에폭시 수지를 함침하고 연속적으로 견인하는 방법을 통해 상·하수관에 삽입하고 물을 보수할 관 내부에 투입하고 물 온도를 60∼90℃로 가열시켜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후화된 상·하수관을 비굴착식 방식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하수도인 경우에는 부직포 튜브를 이용한 수압 반전 삽입 공법, 공기압 반전 삽입 공법, 견인 삽입 공법이, 상수도인 경우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관을 이용한 변형관 견인 삽입 공법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중, 수압 반전 삽입 공법은 경화를 위해 높은 온도의 물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걸리고 반전가대의 설치 등으로 인한 준비 시간 및 교통 방해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기압 반전 삽입 공법은 수압 반전 삽입 공법과 마찬가지로 반전가대가 필요한데, 공기압과 더불어 증기열로 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야하므로, 수압 반전 삽입 공법에 비하여 그 장치가 매우 커서 반전가대 설치에 따른 설치 문제점과 더불어 좁은 골목이나 작은 길에서는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수도에 사용되는 변형관 삽입 공법은 폴리에틴렌 특성상 열에 약한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나중에 연결관 결합 공사 시 관이 변형될 수 있고 부직포와 같이 구부러진 관로에서는 기존 관로와 일치되지 않고 들뜨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종래 부직포를 이용한 원형 튜브를 삽입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를 원형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음매가 돌출되어 관로에 밀착시켜 접착할 경우, 돌출된 부위로 인하여 장기간 사용 시 관로에서 떨어져 나가기 쉬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는 이음매에 돌출 부위가 없어서 상·하수관에 삽입 시 안전하게 밀착하여 접착이 가능하여 쉽게 떨어지지 않고, 내부에는 폴리에틸렌,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수지로 라미네이트되어 있어 에폭시 수지가 튜브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상·하수관의 열악한 조건에서도 60∼90℃의 낮은 온도에서 경화 및 접착되면서 튜브의 강도를 형성할 수 있는 바인더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상· 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수지 함침용 기계를 이용하여 경화 수지를 함침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상·하수관로에 삽입시켜 종래 함침 후 보수관을 냉동 보관하는 불편함을 개선시킨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평판 섬유재의 일단부에 제 1 연결부와 타단부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치하여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시킨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양단부의 연결부는 남겨두고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시킨 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튜브 판을, 섬유층이 내주면이 되게 원형으로 구부리고 튜브 판의 양단부의 연결부를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일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위를 고정하여 원형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의 원형 튜브 외주면 일부에 합성수지로 라미네이팅이 안된 부위를 상기 (a)의 합성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b)의 원형 튜브를 외주면이 섬유층이 되도록 뒤집는 단계; 및 (d) 상기 (c)의 원형 튜브에 경화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a) 섬유층의 평판 섬유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섬유층의 평판 섬유재는 복수개의 부직포 단독 또는 보강 섬유를 겹쳐서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하는 부분은 부 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 섬유는 유리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또는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와 (b)의 합성 수지는 폴리에틴렌(PE),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PUT)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합성 수지층은 180∼220℃의 온도에서 라미네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층은 두께가 0.3∼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a)의 튜브 판 연결 고정은 바느질 또는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의 경화 수지는 수중 경화용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a)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길이는 양단부에서 3∼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평판 섬유재의 일단부에 제 1 연결부와 타단부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치하여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시킨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양단부의 연결부는 남겨두고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시킨 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튜브 판을, 섬유층이 내주면이 되게 원형으로 구부리고 튜브 판의 양단부의 연결부를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일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위를 고정하여 원형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의 원형 튜브 외주면 일부에 합성수지로 라미네이팅이 안된 부위를 상기 (a)의 합성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b)의 원형 튜브를 외주면이 섬유층이 되도록 뒤집는 단계; 및 (d) 상기 (c)의 원형 튜브에 경화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e) 상기 (b)의 원형 튜브와 동시에 유도용 폴리발포비닐 필름을 보강용 튜브 하단부분에 일치시키고 보강용 튜브와 동시에 견인하는 단계; (f) 상기 (d)의 원형 튜브를 상·하수관에 투입하고, 보수 관로 위치로 견인하는 단계; 및 (g) 보수 관로 내부에 물을 주입하여 채운 다음, 물을 60∼90℃로 가열하여 2∼5 시간 동안 보수 관로와 원형 튜브를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d)의 주입하는 단계는 경화 수지 수조에 함침하거나 경화 수지를 충전한 스프레이 건의 분사에 의해 균일하게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d)의 원형 튜브를 상·하수관에 투입하기 전까지 액화 질소로 급랭한 다음, -10∼15℃에서 냉장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내지 (e) 단계는, 상기 원형 튜브의 이동 경로를 순차적으로 경화 수지 수조, 롤러, 급랭장치 및 하수관에 연결시켜 연속적으로 이루 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 수지는 보강 및 보수용 튜브에서 물이 흐를 내면에 라미네이팅하는 수지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경화 수지는 평판 섬유재로 이루어진 연성 원형 튜브의 강도를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수지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는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평판 부직포(11)와 평판 유리 섬유(12)를 겹쳐서 결합하여 일단부의 제 1 연결부(a)와 타단부에 상기 제 1 연결부(a)와 일치하여 연결할 수 있는 제 2 연결부(b)를 형성시킨 튜브 판을 원형으로 구부려서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양단부를 일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위를 고정 부재 로 고정시켜 형성한 섬유층(10)과; 상기 섬유층(10)의 내주면에 합성수지로 라미네이팅(laminating, 적층)한 합성 수지층(20)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튜브에 경화 수지를 주입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판 섬유재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비용적 측면과 내구성, 내마모성 및 바인더 수지와의 접착성 등의 측면에서 노후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로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섬유재로, 통상적으로 관로의 보수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합성 수지와의 결합력과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 섬유(12)를 부직포(11)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보강 섬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하는 부위는 보강 섬유가 아닌 부직포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 섬유로 유리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또는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하수의 내화학성과 내구성 등의 측면에서 합성 수지는 폴리에틴렌(PE),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PU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과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의 혼합물인 경우에는 혼합성, 가공성 및 점도 등의 측면에서 폴리에틸렌 수지와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를 6:4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성을 고려하여 180∼220℃에서 라미네이팅되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경화 수지는 노후화된 상·하수관 내의 열악한 환경에서 관로와 접착하면서 튜브의 강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중이나 습기에 경화될 수 있는 수중 경화용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함침에 의해 보강 및 보수용 튜브에 균일하게 스며들기에 적합한 저점도의 경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경화 속도의 조절을 위해 주제에 수중 경화제 또는 습기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이액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선택적으로 경화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경화제는 고온에서 경화될 수 있는 고온 경화형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고, 폴리 아민계나 지방족 아민계의 중온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액형 에폭시 수지에서 주제로는 국고화학 YD-128, YD-115CA 및 YD-114 및 다우케미칼 828, 경화제로 JEFFAMINE D-230, 국도화학 KH-602, G-A0432 및 G-A0533, 수용성 경화제로 국도화학 H-23, H-4121, H-4148-3, KH-700 및 H-21, 경화촉진제로 ACCELALATOR A-399, K-54 및 DMP-30, 습기경화형 아민경화제로 에어프로덕트사 SUR-WET R 및 ANCAMINE 240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경화 수지의 경화 온도에 맞게 습기나 수중의 조건에서 60∼90℃의 온도에서 경화하면서 관로와 부직포 사이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화 수지가 상술한 경화 수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그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튜브 판을 고정하기 위해, 양단부의 연결부를 일치하여 연결한 다음, 재봉틀(미싱) 또는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방식에 의하여 바늘 질로 고정하거나 바인더를 이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원형 튜브에 바인더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는 경화 수지 수조에 함침하거나 바인더 수지를 충전한 스프레이 건의 분사에 의해 균일하게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도 3 (A)는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평판 섬유재를 겹쳐서 결합하여 섬유층(10)을 구비하되, 원형으로 구부려서 양단부를 연결할 시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일치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제 1 연결부(a)를 형성시키고 타단부에는 이에 대응하여 일치되는 제 2 연결부(b)를 형성시키고, 상기 섬유층 일면(12)에 양단부의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된 합성 수지층(20)으로 이루어진 튜브 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도 3의 섬유층은 부직포와 유리 섬유를 겹쳐서 결합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2개의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수할 상·하수관의 크기나 수압 등의 조건에 따라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1개 또는 3개 이상의 평판 섬유재를 겹쳐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튜브 판은 섬유층(10)이 내주면이 되게 원형으로 구부리고 양단부의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도록 겹쳐서 결합한 다음, 상기 겹친 부위를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이음매에서 돌출 부위가 없이 제조한 원형 튜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a)와 제 2 연결부(b)는 평판 섬유재를 엇갈리게 겹쳐서 결합하여 형성시키거나 별도로 양단부의 단면을 서로 일치하여 겹칠 수 있는 형태로 각각 대응되게 절단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곡면에서의 합성 수지층 형성의 문제점과 연결부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양단부로부터 3∼8㎝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3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층(20)이 형성되지 않는 원형 튜브 부분에 상기한 합성 수지를 라미네이팅하여 원형 튜브의 외주면 전체에 합성 수지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라미네이팅한 합성 수지층(20)이 유입되는 물과 대면되게 하기 위하여, 도 3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튜브를 뒤집어서 튜브의 외주면이 섬유층(10)이 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합성 수지층(20)은 상·하수 관로 내에 유입되는 물과 접촉하되, 매끄럽고 평탄도가 종래 부직포보다 우수하여 물 유입에 따른 마찰력 등으로 인한 관로 내부의 손상 정도를 저감하여 내구성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또한, 에폭시 수지가 부직포와 보강 섬유를 통과하여 튜브 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라미네이팅한 합성 수지층(20)은 섬유층에서 두께가 0.3∼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3mm 미만으로 라미네이팅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2mm를 초과하여 두껍게 하면 상·하수관 직경에 작아져서 물의 유량 및 유속에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도 3 (E)는 상기 도 3(D)의 원형 튜브에 수중 경화용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 는 방법 중에서 에폭시 수지 수조에 함침한 다음, 2단 롤러에 1∼2회 통과시켜거나 진동롤러를 통과시켜서 찌그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을 간략하게 공정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1)를 경화 수지(40)에 함침시키고 롤러(50)를 통과시켜 연속적으로 보수할 작업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경화 수지의 경화를 지연시키기 위해 급랭 장치(60)을 통과시킨 다음, 하수관(71, 72)을 통해 투입하고, 보수할 관로에 위치로 견인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보수 방법의 (d) 내지 (e)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튜브의 이동 경로를 순차적으로 경화 수지 수조(40), 롤러(50), 급랭장치(60) 및 하수관(71, 72)에 연결시켜야 한다. 그리고, 저점도 경화수지를 사용하므로 수지가 견인과정에서 옆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도용 폴리발포비닐 필름을 보강용 튜브 하단부분에 일치시키고 보강용 튜브와 동시에 견인하고 견인 방법으로는 보수할 관로에 라이너나 팩카를 이용하여 견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보강용 튜브를 보수할 장소로 견인하는 방법이 상술한 방법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견인하여 보수할 관로에 위치시킨 튜브 부위에 물을 채워 넣어 보강 및 보수용 튜브가 보수할 관로에 밀착되게 한 다음, 물의 온도를 60∼90℃로 2∼5 시간동안 유지하여 경화 수지가 수중에서 경화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경화 수지 함침 후 보수관을 냉동 보관하는 불편함을 없앰으로써 냉동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연속적으로 연성 튜브를 경화 수지에 함침하고 급랭 장치를 통과시킨 다음 이를 바로 보수 관로에 투입할 수 있음으로써 공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실시예]
1. 합성 수지 제조
폴리에틸렌 수지(대한유화공업 P-300S A-015E, SK 6100 6610, 호남석유제) 40중량%와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코오롱 유화 K-1020) 6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2. 경화 수지 제조
YD-128(에폭시 수지, 국도화학) 50g에 BGE(Butyl glycidyl ether, 희석제, 국도화학) 7.5g를 넣어 15% 희석하고, 불소계 습윤제 0.6g과 BYK-065(소포제, BYK-chemie, 한국)1g을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수중 경화제 SUR-WET R(에어프로덕트, 미국) 40g을 상기 주제에 혼합하여 수중 경화용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였다.
3. 본 발명의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
평판 부직포와 평판 유리 섬유를 겹쳐서 결합하고 일단부에 5㎝ 길이의 "ㄱ" 자형 형태의 제 1 연결부와 타단부에 제 1 연결부와 일치하여 연결할 수 있는 5㎝ 길이의 "ㄴ" 자형 형태의 제 2 연결부(b)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양단부의 연결부를 제외한 부위에 상기 (1)의 합성수지를 200℃로 가열하여 1.5mm의 두께로 도포하여 라미네이팅하여 튜브 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튜브 판을 원형으로 구부려서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양단부를 일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위를 니들 펀치로 바느질하여 고정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된 튜브 판에 합성 수지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다시 상기 (1)의 합성 수지를 라미네이팅하고, 이를 상기 (2)의 바인더 수지 수조에 함침하고 2단 롤러를 통과시켜 본 발명의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제조하였다.
4. 본 발명의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상기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를 라이너를 통해 보수할 하수관 위치에 견인하고, 물을 채워 넣어서 하수관과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부직포 부분이 대접되게 부풀린 다음, 물을 85℃로 가열하여 3시간 동안 경화시키면서 하수관과 밀접하게 접착시켰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는 이음매에 돌출 부위가 없어서 상·하수관에 삽입 시 안전하게 밀착하여 접착이 가능하여 쉽게 떨어지지 않고, 내부에는 물이 흐를 표면에 폴리에틸렌,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수지로 라미네이트되어 있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 면서, 상·하수관의 열악한 조건에서 접착과 강도를 보강 및 보수용 튜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를 종래 냄새가 심한 불포화 수지를 대체하여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스칠렌 모노머와 같이 냄새가 시공 후에 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보수할 관로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 평판 섬유재의 일단부에 제 1 연결부와 타단부에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치하여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형성시킨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일면에 양단부의 연결부는 남겨두고 합성 수지로 라미네이팅 하여 형성시킨 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튜브 판을, 섬유층이 내주면이 되게 원형으로 구부리고 튜브 판의 양단부의 연결부를 이음매가 돌출되지 않게 일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연결 부위를 고정하여 원형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의 원형 튜브 외주면 일부에 합성수지로 라미네이팅이 안된 부위를 상기 (a)의 합성 수지와 동일한 수지로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b)의 원형 튜브를 외주면이 섬유층이 되도록 뒤집는 단계; 및
    (d) 상기 (c)의 원형 튜브에 경화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e) 상기 (b)의 원형 튜브와 동시에 유도용 폴리발포비닐 필름을 보강용 튜브 하단부분에 일치시키고 보강용 튜브와 동시에 견인하는 단계
    (f) 상기 (d)의 원형 튜브를 상·하수관에 투입하고, 보수 관로 위치로 견인하는 단계; 및
    (g) 보수 관로 내부에 물을 주입하여 채운 다음, 물을 60∼90℃로 가열하여 2∼5 시간 동안 보수 관로와 원형 튜브를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의 주입하는 단계는 경화 수지 수조에 함침하거나 경화 수지를 충전한 스프레이 건의 분사에 의해 균일하게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의 원형 튜브를 상·하수관에 투입하기 전까지 액화 질소로 급랭한 다음, -10∼15℃에서 냉장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내지 (e) 단계는,
    상기 원형 튜브의 이동 경로를 순차적으로 경화 수지 수조(40), 롤러(50), 급랭장치(60) 및 하수관(71, 72)에 연결시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KR1020060117816A 2006-11-27 2006-11-27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KR10073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816A KR100736868B1 (ko) 2006-11-27 2006-11-27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816A KR100736868B1 (ko) 2006-11-27 2006-11-27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868B1 true KR100736868B1 (ko) 2007-07-10

Family

ID=3850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816A KR100736868B1 (ko) 2006-11-27 2006-11-27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96B1 (ko) 2008-12-31 2009-10-21 탑환경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보수재의 제조장치
KR102290027B1 (ko) * 2021-03-05 2021-08-17 (주)이왕코리아 광경화튜브를 이용하는 노후관로의 비굴착 보수보강공법 및 그것에 이용되는 광경화튜브
KR20220126877A (ko) * 2021-03-10 2022-09-19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배수구의 하자보수를 위한 보수용 배관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159B1 (ko) 1997-12-02 1999-12-01 롤프 에취 켈러 하수관 보수용 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49475B1 (ko) 2000-10-25 2002-08-21 주식회사 나노테크닉스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28455A (ko) * 2003-09-18 2005-0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후 상ㆍ하수관 보강용 부직포 튜브
KR20050041766A (ko) *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열경화성 튜브의 제조방법
KR20050108492A (ko) *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로지텍 비굴착식 상·하수관 보수용 튜브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159B1 (ko) 1997-12-02 1999-12-01 롤프 에취 켈러 하수관 보수용 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49475B1 (ko) 2000-10-25 2002-08-21 주식회사 나노테크닉스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튜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28455A (ko) * 2003-09-18 2005-0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후 상ㆍ하수관 보강용 부직포 튜브
KR20050041766A (ko) *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열경화성 튜브의 제조방법
KR20050108492A (ko) * 2004-05-12 2005-11-17 주식회사 로지텍 비굴착식 상·하수관 보수용 튜브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96B1 (ko) 2008-12-31 2009-10-21 탑환경주식회사 관로 보수용 보수재의 제조장치
KR102290027B1 (ko) * 2021-03-05 2021-08-17 (주)이왕코리아 광경화튜브를 이용하는 노후관로의 비굴착 보수보강공법 및 그것에 이용되는 광경화튜브
KR20220126877A (ko) * 2021-03-10 2022-09-19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배수구의 하자보수를 위한 보수용 배관 및 그 설치방법
KR102643734B1 (ko) * 2021-03-10 2024-03-05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배수구의 하자보수를 위한 보수용 배관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4776B (zh) 永久性带压堵漏的方法
US10683960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pair the junction of a sewer main line and lateral pipe
KR20130040797A (ko) 기설관 갱생용 라이닝재 및 이를 이용한 기설관 갱생 공법
US20050161100A1 (en) Inversion liner and liner components for conduits
CA2490231A1 (en) Inversion liner and liner components for conduits
US10975996B2 (en) Pipe section joining member, pipe joint and elongated pipe
CN105257947B (zh) 一种大直径管道翻转内衬施工方法
JPH10323898A (ja) 可撓性管状ライニング材
IE91389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lining of passageways
EP1532390A1 (en) Inversion liner and liner components for conduits
KR100736868B1 (ko) 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용 튜브,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상·하수관 보강 및 보수 방법
US201300985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ating on a lining of a conduit in situ
KR102075320B1 (ko) 접착제를 핫멜트로 이용한 관로 갱생 보수용 함침튜브, 그 함침튜브의 제조방법 및 그 함침튜브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KR20120046693A (ko) 지관 라이닝 공법 및 지관 라이닝 장치
JP2020506349A (ja) パイプライン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継手要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5152A (ko) 비굴착식 관로 보수 및 보강방법
KR101339748B1 (ko) 상수관로 및 하수관거 보수보강용 강화 복합섬유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208828A (ja) ライニング材
US8418728B1 (en) Method of adhering structural elements to polyethylene and like materials
KR101703192B1 (ko) 보수보강용 튜브를 이용한 노후관로 보수공법 및 보수장치
US20040016467A1 (en) Method of forming repair material for conuit interface area and for repairing a non-linear conduit with a fiber repair material
KR20130006313A (ko) 지관 라이닝재, 그 제조 방법, 및 지관 라이닝 공법
JP2012126129A (ja) ライニング材
JP2011042164A (ja) 既設管の更生工法
RU192354U1 (ru) Рукав для ремо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