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730B1 -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730B1
KR100736730B1 KR1020060049254A KR20060049254A KR100736730B1 KR 100736730 B1 KR100736730 B1 KR 100736730B1 KR 1020060049254 A KR1020060049254 A KR 1020060049254A KR 20060049254 A KR20060049254 A KR 20060049254A KR 100736730 B1 KR100736730 B1 KR 10073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sponse
data
data transmission
block
respons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124A (ko
Inventor
김윤주
유광현
송경희
노경주
민승욱
이석규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6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2Protocol perform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a)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블록 응답 데이터이고,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이면, 블록 응답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 (b) 데이터 전송 목적지 별로, 전송된 블록 응답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최대 전송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 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전송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수와 최대 전송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 수가 일치하는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블록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생성 순서에 따른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과 블록 응답 프레임 교환과정을 데이터 전송 목적지에 따라 독립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최소화한다.
무선 랜, MAC, Block ACK

Description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Control Method of Block ACK Data Transmission on MAC}
도 1은 일반적인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하나의 송신기와 두 개의 수신기 간의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AC에 의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AC에 의해 수행되는 다수의 수신기를 위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칭함)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랜(Wireless LAN) 기술은 유선 케이블의 설치와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부담이 크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의 변경에 유연한 대처가 어려운 유선 랜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무 선 통신 단말의 증가로 인해, 유선 케이블의 설치 없이,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랜 기술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무선 랜 기술은 홈 네트워크, 기업 무선 네트워크 및 핫 스팟(Hot Spot)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사용자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기존 상용 무선 랜 기술은 이더넷 기술의 확장으로서 1999년에 발표된 IEEE 802.11b 표준을 근간으로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랜 사용자들은 전송 데이터의 손실이 전혀 없는 완전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의 전달을 요구하고, 이로 인해, 무선 랜 환경에서 비디오 또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함)의 고려가 필수적이다.
대역폭 확장을 통한 무선 랜 서비스의 QoS 향상은 전체 무선 네크워크의 혼잡도 증가와 상대적인 전송 속도의 감소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높은 혼잡도의 네트워크에서도 엄격한 QoS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기존의 무선 랜 기술에서 보다 향상된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칭함) 프로토콜을 연구하는 촉매가 되었다.
CSMA/CA 프로토콜은 패킷 데이터의 전송 중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손실 없는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케한다. 이러한 CSMA/CA 기술을 기반으로 IEEE 802.11 규격에서 정의되는 분산 정합 기능(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이하 DCF라 칭함) 프로토콜은 비동기식 전송방식으로 MAC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모든 무선 단말에 대하여 FIFO(First In First Out) 전송 큐(Queue)로 동작한다.
한편, IEEE 802.11e 표준에 의해 정의된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프로토콜은 DCF 프로토콜의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우선 순위의 트래픽에 따른 차별화된 채널 접속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EDCA에서는 우선적 QoS(Prioritized QoS)와 함께, 블록 응답(Block ACK) 형식의 데이터 송신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SIFS(Shorter Inter Frame Space)와 응답 프레임(ACK Frame)의 송신이 필요치 않아 전반적인 데이터 전송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신이 실패하면, 기설정된 블록 데이터의 송신 라이프 타이머의 종료 시까지 재전송이 계속되고, 이로 인해 데이터가 전송될 목적지가 다른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신이 지연되어 전체 시스템의 구동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고, QoS를 고려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은, (a)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블록 응답 데이터이고,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이면, 블록 응답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 (b) 데이터 전송 목적지 별로, 전송된 블록 응답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최대 전송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 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전송된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의 수와 최대 전송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 수가 일치하는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블록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신 프로토콜 구조는 IEEE 802.11e 표준에 의해 정의된 MAC에서 규정하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기 위해 송신기(110), 수신기(120) 및 송수신기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다른 단말(130)을 도시하였다. 도 1의 송신기(110)와 수신기(120) 및 송수신기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다른 단 말(130)은 동일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며 무선 매체 접근을 위하여 IEEE 802.11의 작업그룹(Task Group) e에서 정의하는 EDCA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송한다.
IEEE 802.11e EDCA 프로토콜은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이 동시에 동일한 무선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의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채널의 이용상태를 감지하고, 다른 무선 단말에 의해 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CSMA/CA(Collision Avoidance, 이하 CA라 칭함) 기반의 백 오프(Back Off) 기법을 이용하는 IEEE 802.11 DCF 프로토콜의 데이터 전송기법과 함께 우선적 QoS 및 블록 응답 데이터 송신 기술을 정의한 규격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도 1의 송신기(110)는 다른 무선 단말에 의해 채널이 점유 중이거나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실패가 발생하면 백 오프를 실시하고, 백 오프가 실시되는 동안 채널의 사용이 검출되지 않으면 수신기(120)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송신기(110)와 수신기(120) 및 송수신기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다른 단말(130)도 송신기(110)과 수신기(120)와 같이 CSMA/CA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채널 경쟁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DCF 프로토콜에서는 동일한 채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이 동시에 전송을 시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및 히든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신기(110)와 수신기(1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시작될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 값을 송신 기(110)과 수신지(120)를 제외한 다른 무선 단말(130)의 채널 값(Network Allocation Vector, 이하 NAV라 칭함)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값 동안 무선 채널이 유휴상태라고 하더라도 가상 채널이 사용 중이라고 판단하는 가상 채널 기법을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DCF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EDCA를 매체 접근 프로토콜로 사용하는 도 1의 다른 단말(130)은 송신기(110)와 수신기(120) 사이의 블록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이 진행되는 동안 NAV를 설정하며, 채널이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채널 경쟁에 참여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송신기(110)와 수신기(120) 및 송수신기와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다른 단말(130)은 무선 채널이 사용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되지 않는 유휴(Idle) 상태인 경우에만 전송을 시작하고, 패킷 데이터의 전송 중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손실 없는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무선 랜을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110, 120, 130)들은 이러한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DCF 채널 접근 방법을 통해 무선 채널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하며 경쟁에 의해 무선 매체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EDCA는 DCF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8개의 서로 다른 우선 순위(User Priority)를 갖는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 8개의 우선순위는 다시 4개의 우선 순위에 따라 구분되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 이하 AC라 칭함)로 분류되고, 해당 데이터가 분산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다. 서로 다른 우선 순위를 갖는 각 AC에 대한 송신 큐는 DCF 프로토콜의 DCF 인터프레임 스페이스(DCF Interframe Space: 이하 DIFS라 칭함)와 마찬가지로 우선 순위에 따라 각기 다른 임의의 IFS(Arbitration Interframe Space: 이하 AIFS라 칭함) 값과 윈도우(Contention Window, 이하 CW라 칭함) 값을 갖는다. 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 기회를 얻은 송신기(110)는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시간(Transmission Opportunity: 이하 TXOP라 칭함)이라는 일정한 시간 동안 각 송신 큐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AIFS(Arbitration Interframe Space)는 각각의 무선 단말의 데이터 전송 시 백 오프를 시작하기 전에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 간의 채널 감지를 위한 최소 시간 간격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AIFS의 값이 적을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IEEE 802.11e에서 정의하는 블록 응답 데이터 송신 프로토콜은 TXOP 구간 내에서 응답 프레임을 기다리지 않고 프레임의 최소 간격(Shorter Inter Frame Space: 이하 SIFS라 칭함)으로 다음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송신기(110)에 의해 마지막 블록 응답 데이터가 전송되면, 송신기(110)는 블록 응답 요청(Block Ack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수신기(120)는 블록 응답(Block Acknowledgement)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하, 송신기(110)의 블록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과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기(120)의 블록 응답 프레임의 전송을 블록 응답 교환 처리과정(Block ACK Exchange)이라고 칭한다. 여기에서, SIFS는 IEEE 802.11에서 규정하는 네 종류의 IFS 중 전송 데이터 프레임 간 시간 간격이 가장 적으며, 연속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SIFS는 물리계층에 따라 고정된 값을 가지며, 프레임을 전송한 무선 단말이 다른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최소 시간을 의미한다. 이때, 동일한 무선 채널을 사용하고 있 는 다른 단말(130)은 블록 응답 프레임 송신 프로토콜이 완료될 때까지 NAV 설정을 통해 채널을 사용하지 않으며, 도시한 132는 NAV 설정 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송신기(110)가 수신기(120)로 N개의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송신기(110)의 수신기(120)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 시간 T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 = N * (블록 응답 데이터 + SIFS) + 블록 응답 교환 처리 시간
+ 백 오프 타임
(여기에서, 백 오프 타임 = 백 오프 진행시간 + AIFS)
도 2는 일반적인 하나의 송신기와 두 개의 수신기 간의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송신기(110), 제 1 수신기(140) 및 제2 수신기(150)는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다. 송신기(110)는 블록 응답 데이터를 SIFS 간격으로 제1 수신기(140)에게 전송하고, SIFS 이후에 다른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제2 수신기(150)에게 전송한다. 송신기(110)의 제1 수신기(140)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 시, 제2 수신기(150)는 NAV 설정을 통해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반대로, 송신기(110)가 제2 수신기(150)로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에는 제1 수신기(140)가 NAV 설정을 통해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이로 인해 전송 데이터 상호간 의 충돌을 방지한다. 한편, 제1 수신기(140)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을 마친 송신기(110)는 블록 응답 요청 데이터를 제1 수신기(14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수신기(140)로부터 블록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록 응답 교환 처리과정을 실시한다. 이때, 데이터 송신 타이머의 종료 전에 제1 수신기(140)로부터 블록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수신할 때까지 제1 수신기(140)로 블록 응답 요청 데이터를 재전송하고, 제1 수신기(140)로부터 블록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면 비로서 블록 응답 교환 처리과정을 완료한다.
이때, 송신기(110)의 제2 수신기(150)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은 송신기(110)와 제1 수신기(140) 간의 블록 응답 교환 처리과정이 블록 응답 데이터 송신 타이머의 종료 전에 완료되거나 또는 송신 타이머의 종료로 인해 블록 응답 데이터가 전부 삭제된 이후에야 비로서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AC에 의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송신기(210), 제 1 수신기(220), 제2 수신기(230) 및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다른 단말(240)은 모두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다. 도 2로 도시한 것과는 달리, 송신기(210)는 제1 수신기(220) 또는 제2 수신기(230)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수신기(220)와 제2 수신기(230)로 전송할 블록 응답 데이터가 생성되는 순서에 따라 해당 블록 응답 데이터의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1 수신기(220)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송신기(210)는 제1 수신기(220)와의 블록 응답 교환 처리과정을 진행하고, SIFS 이후에 다른 수신기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을 계속한다. 이후, 제2 수신기(230)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송신기(210)는 제2 수신기(230)와의 블록 응답 교환 처리과정을 진행하고, SIFS 이후에 다시 다른 수신기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을 재개한다. 이때,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다른 단말(240)은 NAV 설정에 의해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IEEE 802.11e에서 정의된 EDCA에서 규정된 MAC 프로토콜의 서비스 접근 점에서의 데이터 프레임의 최대 전송 속도는 100 Mbps이다. 일반적으로 블록 응답 데이터는 1500 바이트(Byte)의 길이를 가지며, 수학식 1로 나타낸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 시간 T를 기반으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 속도 S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38752050-pat00001
(여기에서, M은 임의의 목적지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대 전송 횟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임의의 목적지에 대하여 요구되는 최대 전송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AC에 의해 수행되는 다수의 수신기를 위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송신기(도 3의 210)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블록 응답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1).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블록 응답 데이터이면, 송신기(도 3의 210)는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302). 여기에서,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는 백 오프를 통해 채널을 획득한 송신기(도 3의 210)가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한 시점부터 시작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지정되는 AC에 의해 그 지속시간이 결정된다. S301 단계의 판단 결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블록 응답 데이터가 아니면, 송신기(도 3의 210)는 S301 단계를 반복하여 다음 번 전송 데이터에 대해 블록 응답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송신기(도 3의 210)는 제1 수신기(도 3의 220)로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고(S303), 생성된 블록 응답 데이터가 전송될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4). 만약,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이미 종료되었다면, 송신기(도 3의 210)는 제1 수신기(도 3의 220)로 기전송한 블록 응답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고, 블록 응답 송신 프로토콜을 초기화한다(S310).
S304 단계의 판단 결과,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개수가 "1" 보다 크면, 송신기(도 3의 210)는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전송할 데이터 전송 목적지 번호를 "1" 증가시킨다(S305).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 목적지 번호를 증가시킨 송신기(도 3의210)는, S303 단계에서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전송한 목적지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수와 기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프레임 수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06). 이때, 데이터 최대 전송 횟수는 수학식 2로 나타낸 연산을 이용하여 송신기(도 3의 210)가 계산하여 기저장하고 있는 값이다. 한편, S304 단계의 판단 결과,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개수가 "1" 보다 크지 않다면, 송신기(도 3의 210)는 S305 단계를 거치지 않고, S306 단계를 진행한다.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수와 기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프레임 수가 일치하면, 제1 수신기(도 3의 220)에게 블록 응답 프레임의 전송을 요청하는 블록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S307). 반면,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수와 기설정된 최대 전송 데이터 프레임 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송신기(도 3의 210)는 제1 수신기(도 3의 220)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이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S302 단계 이후를 반복한다. 이때, 반복되는 S303 단계는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 목적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송신기(도 3의 210)의 블록 응답 데이터 생성 순서에 따라 해당 데이터 목적지로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한다. 즉, 하나의 데이터 목적지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 완료 후, 다음 데이터 목적지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전송 목적지에 관계없이 데이터가 생성되는 순서대로 각각의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블록 응답 데이터를 전송한다.
S307 단계에서, 송신기(도 3의 210)의 블록 응답 요청 프레임 전송은 반드시 제1 수신기(도 3의 220)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송신기(도 3의 210)의 제 1 수신기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이 다른 수신기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보다 먼저 시작되기 때문에 다른 수신기보다 송신기의 마지막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의 종료가 빠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제1 수신기(도 3의 220)를 예로써 언급한 것이다.
한편, S307 단계에서 송신기(도 3의 210)가 전송한 블록 응답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제1 수신기(도 3의 220)는 송신기(도 3의 210)로 블록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채널의 상태 또는 전송 오류가 발생함에 따라 송신기(도 3의 210)가 제1 수신기(도 3의 220)가 전송한 블록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므로, 송신기(도 3의 210)는 블록 응답 수신 타이머의 종료 이전에 블록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08). S308 단계의 판단 결과, 블록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송신기(도 3의 210)는 데이터의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9). 한편, S308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수신기(도 3의 220)로부터 블록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송신기(도 3의 210)는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S311),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S306 단계 이후를 반복한다.
만약, S309 단계의 판단 결과, 데이터의 목적지 수가 "1"이면, 송신기(도 3의210)는 블록 응답 데이터의 송신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데이터의 목적지 수가 "1" 보다 크면, 송신기(도 3의 210)는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를 하나 감소시키고(S312), S301 단계 이후를 반복한다.
한편, S310 단계에서, 블록 응답 송신 프로토콜을 초기화한 송신기(도 3의 210)는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가 "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S309 단계 이후를 진행한다. 또한, S311 단계에서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이미 종료되어 블록 응답 교환 처리과정에 실패한 송신기(도 3의 210)는 제1 수신기(도 3의 220)로 기전송한 블록 응답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고, 블록 응답 송신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S310 단계 이후를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데이터 생성 순서에 따른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과 블록 응답 프레임 교환과정을 데이터 전송 목적지에 따라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소개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을 통해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고, QoS를 고려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7)

  1. (a)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블록 응답 데이터이고,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이면,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전송하는 단계;
    (b) 데이터 전송 목적지 별로, 전송된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의 프레임 수를 기설정된 최대 전송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 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송된 블록 응답 데이터의 수와 상기 최대 전송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 수가 일치하는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블록 응답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가 아니면, 다음 번 전송 데이터에 대하여 블록 응답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이미 종료되었다면,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 지로 기전송한 데이터를 삭제하고, 블록 응답 송신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응답 송신 프로토콜을 초기화한 이후에,
    (d)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크면,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를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a) 단계 이후를 반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 수가 "1"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과정을 종료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의 사이에,
    (f) 상기 데이터의 전송 목적지 개수가 "1" 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개수가 "1" 보 다크면,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 개수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b) 단계 이후를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개수가 "1"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목적지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b) 단계를 진행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전송된 블록 응답 데이터의 프레임 수와 상기 최대 전송 블록 응답 데이터 프레임 수가 일치하는 데이터 전송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a) 단계의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 종료 여부 판단 이후를 반복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h)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부터 블록 응답 수신 타이머의 종료 전에 블 록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후에,
    (i)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j) 상기 (i)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크면,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를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a) 단계 이후를 반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 수가 "1"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과정을 종료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블록 응답 수신 타이머의 종료 전에 블록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c) 단계 이후를 반복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의 종료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상기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가 이미 종료되었다면,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기전송한 데이터를 삭제하고, 블록 응답 송신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응답 송신 프로토콜을 초기화한 이후에,
    (k)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l) 상기 (k)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가 "1" 보다 크면,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의 수를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a) 단계 이후를 반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k)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 수가 "1"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의 전송과정을 종료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응답 라이프 타이머는 상기 데이터 전송 목적지로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를 처음 전송한 시점부터 구동이 시작되고, 상기 블록 응답 데이터에 지정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구동 종료 시점이 결정되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60049254A 2005-12-08 2006-06-01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KR100736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182 2005-12-08
KR20050120182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24A KR20070061124A (ko) 2007-06-13
KR100736730B1 true KR100736730B1 (ko) 2007-07-09

Family

ID=3835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54A KR100736730B1 (ko) 2005-12-08 2006-06-01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13B1 (ko) * 2006-12-08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블록 응답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242A (ko) * 2003-09-18 2005-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데이터 전송 확인 메커니즘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및 방법
KR20050030338A (ko) * 2003-09-25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에이1 블록/언블록 메시지 재전송처리 방법
JP2005318487A (ja) 2004-04-02 2005-11-10 Toshiba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50265302A1 (en) 2004-05-28 2005-12-01 Yasuyuki Nishibayashi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242A (ko) * 2003-09-18 2005-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 데이터 전송 확인 메커니즘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및 방법
KR20050030338A (ko) * 2003-09-25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에이1 블록/언블록 메시지 재전송처리 방법
JP2005318487A (ja) 2004-04-02 2005-11-10 Toshiba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50265302A1 (en) 2004-05-28 2005-12-01 Yasuyuki Nishibayashi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24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940B1 (ko) 경쟁 윈도우 크기를 조정하고 선택된 이동국을 연관해제하여 무선 매체 혼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35976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목적지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213850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어 및 데이터의 분리 방법
JP4480563B2 (ja) 無線LAN基地局装置のQoS制御方法
JP4750644B2 (ja) 無線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050141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wireless and wired networks
JP200753317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帯の最適な再利用のための改良型ネットワークアロケーションベクトル機構
US7693175B1 (en) Prioritized access in a multi-channel MAC protocol
JP2009077402A (ja) 無線lanに基づく分散型サービス区分方法および装置
US7649911B2 (en) Method of data handling in a WLAN
US20040114562A1 (en) Wireless LA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072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express forwarding frames having multiple fragments
US8301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express retransmission of frames
KR101648556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의 패킷 송신 방법 및 장치
Joe et al. Reservation csma/ca for multimedia traffic over mobile ad-hoc networks
JP4760306B2 (ja) 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削除方法
KR100736730B1 (ko)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에서의 블록 응답 데이터 전송방법
KR100703826B1 (ko) 효율적인 블록 응답 송수신을 위한 매체 접근 제어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WO2008012789A1 (en) Method for reduced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 having reduced latency and increased range and handoff performance between different transmitting stations
KR100847013B1 (ko) 데이터 전송 지연 감소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프로토콜에서의 다중 재전송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재전송 처리 장치
KR100799584B1 (ko) 무선랜 환경에서의 매체접속 방법
KR100874265B1 (ko) 수신 데이터 프레임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100772401B1 (ko) 무선랜에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매체 접근 방법 및 장치
JP5653470B2 (ja) フレームの高速再伝送を実施する方法および装置
Al-Rousan et al. The impact of DCF and PCF protocols in mobile W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