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698B1 -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 Google Patents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698B1
KR100736698B1 KR1020060102526A KR20060102526A KR100736698B1 KR 100736698 B1 KR100736698 B1 KR 100736698B1 KR 1020060102526 A KR1020060102526 A KR 1020060102526A KR 20060102526 A KR20060102526 A KR 20060102526A KR 100736698 B1 KR100736698 B1 KR 10073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se frame
sprocket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112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06010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6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은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신장기는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양단부에서 돌출되는 제1,2지지대,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서 활주되는 평판형상의 활주대,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페달 및 일정한 강철 판재로 상부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이루고 일단은 상기 발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활주구에 고정되는 받침대 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사용자가 누워서 허리를 뒤로 젖힐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페달을 발로 작동하여 상기 받침대의 곡률이 변경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체육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의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젖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눕거나 일어설 때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허리, 근육, 신장기, 공원, 등산로

Description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A exerciser for the waist muscle in the public garde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근육 신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허리 근육 신장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허리 근육 신장기의 정면도.
도 4는 허리 근육 신장기의 단면도.
도 5a와 5b는 허리근육 신장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허리근육 신장기, 20: 지지프레임,
30: 제1지지대, 31: 제1세로바,
33: 제1가로바, 40: 제2지지대,
43: 제2가로바, 50: 발판,
55: 지지구, 57: 관통홀,
60: 활주대, 61: 활주구,
63: 체결구, 65: 볼트홈,
70: 회전축, 80: 베벨기어,
90: 스프로킷, 95: 페달,
본 발명은 허리 근육 신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육공원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워서 만곡된 허리 받침대의 곡률을 변경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양 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서 노약자나 여성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거의 모든 동작은 허리를 구부린 자세를 취하고 있다. 과거에는 인간이 보행을 많이 하여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현대인들은 사무실이나 학교에서 의자에 앉는 시간이 많고, 이동중에도 자동차 운전석에 앉아서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허리를 장시간 구부리면 허리 후방의 근간인대, 후종인대, 추간판, 윤상섬유 등의 조직이 지나치게 늘어져 허리의 근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허리 병이 발병된다.
즉, 허리 병의 가장 큰 원인은 위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현대인의 생활에서 오는 잘못된 자세(앞으로 구부린 자세)로 인해 허리근육 및 척추 운동이 허리 후방조직에만 편중되기 때문에 허리 후방조직이 늘어지면서 근력이 떨어져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허리근육의 긴장이나 강직 및 척추관절의 구축, 통증 등과 같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속에서 앞쪽으로 구부렸던 허리 운동을 반대로 젖히는 운동을 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필요에 따라 허리 근육을 신장시키 는 장비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허리를 뒤로 젖힐 수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허리 근육 신장기"(등록 20-0265485호, 20-0266329호)는 전문병원에 구비되어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환자만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인들이 허리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문병원에서 사용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등록 20-0265485호, 20-0266329호)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하기 위해서는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 스스로 허리를 뒤로 젖히는 정도를 조절할 수 없고, 곁에서 이를 조절해주는 보조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 병원에 비치되는 것이 아니라, 체육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의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젖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눕거나 일어설 때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병의 일면에 따라,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는 직사각 형상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기저프레임과; 상기 기저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세로바가 형성 되고, 상기 제1세로바에는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가로바가 형성되어 사다리 형상을 이루는 제1지지대와; 직사각형의 판재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대와 인접한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발판과;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서 활주되는 평판형상의 활주대와; 일정한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위에 형성된 볼트홀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활주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체결구와; 직사각형의 판재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활주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구를 감싸는 형상의 활주구와; 일정한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발판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지지구와; 환 봉 형상이고 외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지지구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구에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발판의 중공부에 안착되며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제1지지대의 장착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장착되어 페달과; 상기 발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1지지대에 장착되는 감속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감속스프로킷을 서로 연결하는 제1체인과; 상기 베벨기어의 일축에 형성되는 회전 스프로킷과; 상기 감속 스프로킷과 상기 회전 스프로킷을 서로 연결하는 제2체인과; 일정한 강철 판재로 상부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이루고 일단은 상기 발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활주구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상기 활주대 양측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세로바가 형성되고, 상기 제2세로바에는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가로바가 형성되어서 사다리 형상을 이루는 제2지지대로 구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사용자가 누워서 허리를 뒤로 젖힐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페달을 발로 작동하여 상기 받침대의 곡률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2세로바는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근육 신장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허리 근육 신장기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근육 신장기는 기저프레임(20), 제1,2지지대(30,40), 받침대(15), 회전축(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저프레임(20)은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이고 지면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저프레임(20)의 양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1지지대(30)와 제2지지대(4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대(30)는 상기 기저프레임(20)에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대(40)는 후술하는 활주구(61)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대(30)는 환봉 형상의 제1세로바(31)가 상기 기저프레임(20)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세로바(31)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부위에 북수의 제1가로바(33)가 연결되어서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30)와 연결되는 상기 기저프레임(20)의 상부면에는 발판(5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발판(50)은 직사각형의 판재를 "ㄷ"자로 절곡하여 상기 기저프레임(20)에 고정되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저프레임(20)의 타단부에는 활주대(60)가 형성되는데, 상기 활주대(60)는 평판형상이고 상기 기저프레임(20)의 상부에서 활주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활주대(60)의 상부면에는 사각형의 판재를 "ㄷ"로 절곡한 활주구(61)가 고정되어서 내부에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일단은 상기 발판(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활주구(61)에 고정되며, 상부로 볼록한 받침대(15)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받침대(15)는 일정한 강철 판재로 상부로 볼록한 아치 형상이고, 상부 면에 사용자가 누워서 허리를 뒤로 젖힐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대(15)의 일단은 상기 발판(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기저프레임(20)에서 활주 가능한 상기 활주구(61)에 장착되므로 상기 활주구(61)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로 볼록한 상기 받침대(15)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활주구(61)는 상기 제1지지대(30)에 안착되는 페달(95)의 구동에 의하여 활주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지지대(30)의 일정한 높이에는 스프로킷(9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킷(90)은 페달(95)에 의하여 구동되게 되며, 상기 제1지지대(30)의 하부의 상기 발판(50)과 인접한 부위에는 감속 스프로킷(9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킷(90)과 상기 감속 스프로킷(97)은 제1체인(81)에 의하여 연결되어서 전동되게 된다.
또한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축(70)이 장착되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70)의 일단은 상기 발판(50)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활주구(61)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발판(50)의 내부 공간에는 관통홀(57)이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지지구(55)가 상기 기저프레임(20)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70)이 상기 관통홀(57)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지지구(55)는 상기 회전축(95)을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활주구(61)의 내부 공간에는 체결구(63)가 안착되는데, 상기 체결구(63)는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홈(65)이 형성되며, 상기 활주대(6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홈(65)에 체결되는 회전축(7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활주대(60)가 좌우로 활주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70)은 베벨기어(80)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베벨기어(80)의 하나의 축에는 회전스프로킷(99)이 장착되게 된다. 상기 회전스프로킷(99)은 제2체인(82)에 의하여 상기 감속 스프로킷(97)과 연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활주구(61)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세로바(4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세로바(41)에는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가로바(43)가 형성되어서 사다리 형상을 이루는 제1지지대(40)가 장착되게 되며, 한 쌍의 상기 제2세로바(41)는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은 도 5a와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
사용자는 상기 제1지지대(30)와 상기 발판(50)을 이용하여서 상기 받침대(15) 상부에 누워서 허리를 젖히고 운동을 할 수 있는데, 상기 받침대(15)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지지대(30)에 장착된 상기 페달(95)을 이용하여서 상기 스프로킷(9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로킷(90)의 회전력은 상기 제1체인(81), 감속 스프로킷(97), 제2체인(82), 회전 스프로킷(99) 및 상기 베벨기어(80)로 전달되고, 상기 베벨기어(8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70)도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70)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70)과 나사산에 의하여 체결되는 상기 되는 상기 체결구(63)가 상기 활주대(6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활주대(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활주구(61)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활주구(61)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받침대(15)는 상기 활주구(61)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부로 볼록하여지거나 평평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받침대(15)의 상부면에 누워서 상기 페달(95)을 발로 작동하여 상기 받침대(15)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만곡된 상기 제2지지대(40)의 제2가로바(43)를 파지하여서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지지대(30)는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15)에 눕거나 일어날 때 파지하여 몸을 균형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2지지대(40)는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15)에 누운 상태에서 파지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대(40)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파지하기 쉽도록 사용자의 어깨를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그 작동에 따라, 체육공원, 산책로, 등산로 등의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젖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눕거나 일어설 때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허리를 뒤로 젖혀 누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젖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허리 근육 신장기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일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세로바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세로바에는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가로바가 형성되어 사다리 형상을 이루는 제1지지대;
    직사각형의 판재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대와 인접한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발판;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서 활주되는 평판형상의 활주대;
    일정한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위에 형성된 볼트홀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활주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체결구;
    직사각형의 판재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활주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구을 감싸는 형상의 활주구;
    일정한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위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형상이고, 상기 발판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지지구;
    환 봉 형상이고 외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지지구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구에 관통되면서 체결되는 회전축;
    상기 발판의 중공부에 안착되며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베벨 기어;
    상기 제1지지대의 장착되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에 장착되어 페달;
    상기 발판과 연결되는 상기 제1지지대에 장착되는 감속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감속스프로킷을 서로 연결하는 제1체인;
    상기 베벨기어의 일축에 형성되는 회전 스프로킷;
    상기 감속 스프로킷과 상기 회전 스프로킷을 서로 연결하는 제2체인;
    일정한 강철 판재로 상부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이루고 일단은 상기 발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활주구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상기 활주대 양측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세로바가 형성되고, 상기 제2세로바에는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가로바가 형성되어서 사다리 형상을 이루는 제2지지대로 구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사용자가 누워서 허리를 뒤로 젖힐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페달을 발로 작동하여 상기 받침대의 곡률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세로바는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KR1020060102526A 2006-10-20 2006-10-20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KR10073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526A KR100736698B1 (ko) 2006-10-20 2006-10-20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526A KR100736698B1 (ko) 2006-10-20 2006-10-20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112A KR20070042112A (ko) 2007-04-20
KR100736698B1 true KR100736698B1 (ko) 2007-07-12

Family

ID=3817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526A KR100736698B1 (ko) 2006-10-20 2006-10-20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526B1 (ko) * 2009-04-23 2011-06-10 박봉수 디스크 치료 및 허리근육강화 기능을 갖는 다목적 운동기구
CN111840908B (zh) * 2020-06-11 2021-09-24 滨州学院 一种用于舞蹈训练的形体辅助装置
CN112807621B (zh) * 2020-12-30 2021-11-19 南京林业大学 一种体育舞蹈用腰部训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101U (ko) * 1989-08-28 1991-04-16
JPH04200463A (ja) * 1990-11-30 1992-07-21 Yukiya Niitsu ストレッチ器具
KR100465424B1 (ko) 2001-09-27 2005-01-13 강 덕 이 허리의 근육 신장기
KR20060013334A (ko) * 2004-08-05 2006-02-09 대곤 남 싯업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101U (ko) * 1989-08-28 1991-04-16
JPH04200463A (ja) * 1990-11-30 1992-07-21 Yukiya Niitsu ストレッチ器具
KR100465424B1 (ko) 2001-09-27 2005-01-13 강 덕 이 허리의 근육 신장기
KR20060013334A (ko) * 2004-08-05 2006-02-09 대곤 남 싯업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112A (ko) 200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354B2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retching device
US7488282B2 (en) Exercise device
US4672697A (en) Tilting exercise bed actuated by a linear electromechanical device
US10772789B2 (en) Massage device
US10293202B2 (en) Fitness training system
US8714171B1 (en) Walker handrail extension
US6422982B1 (en) Chiropractic exerciser
FI123644B (fi) Selän hoitolaite
US5935050A (en) Back strengthening method and apparatus
US7648444B2 (en) Leg exercise device
KR100736698B1 (ko) 체육 공원에 설치되는 허리 근육 신장기.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US9155674B2 (en) Chair utilizing self-weight traction
US20220047442A1 (en) Chairs for facilitating stretching and active physical movement by a user
KR102584397B1 (ko) 고령친화 보행운동기기
US6761671B1 (en) Exercise system comprising rocking chair and footstool
KR100807361B1 (ko) 하체 근력 강화기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JP3130251U (ja) 足踏み健康歩行器
JP7312339B1 (ja) 座椅子型のシーソー運動用具
US20080064580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exercise using the same
KR20080103938A (ko) 안전성이 구비된 허리 근육 신장기.
JP7222572B1 (ja) シーソー運動用具
GB2449142A (en) Pivoting exercise apparatus
KR101322405B1 (ko) 복합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