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637B1 -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637B1
KR100736637B1 KR1020070009757A KR20070009757A KR100736637B1 KR 100736637 B1 KR100736637 B1 KR 100736637B1 KR 1020070009757 A KR1020070009757 A KR 1020070009757A KR 20070009757 A KR20070009757 A KR 20070009757A KR 100736637 B1 KR100736637 B1 KR 10073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filter device
main body
bag filte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학
Original Assignee
(주)코에어
강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에어, 강병학 filed Critical (주)코에어
Priority to KR102007000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및 냄새 등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집진 여과 장치는 응축기(200), 글래스 필터 장치(300), 백필터 장치(400)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글래스 필터 장치(300)는 상기 응축기(200) 연결되어 배출된 연기를 처리하고, 상기 백필터 장치(400)는 상기 글래스 필터 장치(300)와 연결되어 배출된 연기를 다시 처리하며, 상기 백필터 장치(400)의 연기 유출구 측에는 송풍기(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화장치, 응축기, 글래스 필터, 백필터, 집진 여과 장치, 약품, 규조토, 소석회, 연기, 냄새, 수분

Description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moke Discharged from Carboniz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응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응축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글래스 필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면을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백필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면을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탄화 장치 105, 205, 305, 405: 덕트
200: 응축기 210: 응축기 본체
220: 연기 유입구 230: 연기 유출구
240: 액체 배출구 250: 응축부
251: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 252: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
253: 순환수 파이프 254: 순환수 유입구
255: 순환수 배출구 260: 액체 저장조
300: 글래스 필터 장치 310: 글래스 필터 장치 본체
320: 연기 유입구 330: 연기 유출구
340: 글래스 필터 350: 하부 액체 저장조
360: 호퍼 400: 백필터 장치
410: 백필터 장치 본체 420: 연기 유입구
421: 연기 유입측 댐퍼 422: 약품 공급측 댐퍼
423: 약품 저장조 424: 약품 공급 파이프
430: 연기 유출구 440: 블로우 파이프
441: 노즐 442: 압축 탱크
450: 백필터 460: 호퍼
461: 로터리 밸브 470: 분진통
480: 약품 500: 송풍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탄화장치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화장치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응축기, 글래스 필터 장치 및 백필터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고온의 연기 및 냄새 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연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탄화장치는 목재, 음식물쓰레기, 하수 슬러지, 동물의 분뇨, 사체 등을 소각하여 유기물과 수분을 분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숯가마나 불가마와 같이 목재를 탄화시키는 장치에서는 냄새와 수분이 많이 함유된 연기가 방출된다.
특히, 참나무나 소나무를 가마 안에서 연소시키면 초기 연소기 20 내지 30분간 나무의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많은 연기와 냄새가 발생한다. 이러한 연기와 냄새를 대기 중으로 그대로 배출시키면 공해 및 이로 인한 주변 거주지의 민원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연기 및 냄새를 반드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세정식 집진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세정식 집진기는 설치 비용은 저렴하나, 초기 연소시 대량 배출되는 연기의 제거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정식 집진기는 많은 양의 폐수가 발생하므로 또 다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세정식이 아닌 건식 방법을 기초로하여, 응축기, 글래스 필터 장치 및 백필터 장치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처리 효율이 매우 높고 폐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장치의 운용이 보다 간편한 연기 제거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및 냄새의 처리 효율이 매우 높은 연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수가 발생하지 않아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없는 연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식 집진기 보다 운용 방식이 보다 간편한 연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는
응축기 본체(210), 상기 응축기 본체에 형성되어 탄화장치(100)에서 배출된 연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연기 유입구(220) 및 연기 유출구(230), 상기 응축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연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부(250), 및 상기 응축기 본체(210) 하부에 설치된 액체 배출구(240)와 연결되고 상기 응축부(250)에서 응축되어 낙하한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저장조(260)로 이루어지는 응축기(200);
글래스 필터 장치 본체(310),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어 연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연기 유입구(320) 및 연기 유출구(330),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연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글래스 필터(340) 및 상기 본체(31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액체 저장조(350)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필터 장치(300); 및
백필터 장치 본체(410), 상기 본체(410)에 설치되어 연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연기 유입구(420) 및 연기 유출구(430), 상기 본체(410) 내부에 중력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백필터(450), 상기 백필터(4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백필터(450)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441)을 통해 압축 탱크(442)에서 발생한 압축 공기를 상기 백필터(450) 내부로 분사하는 블로우 파이프(440)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진통(470), 약품 저장조(8)와 연결되고 상기 연기 유입구(420)의 일측에 설치된 약품 공급 파이프(424), 상기 연기 유입구(420)에 설치된 연기 유입측 댐퍼(421) 및 상기 약품 공급 파이프(24) 설치된 약품 공급측 댐 퍼(22)로 이루어진 백필터 장치(400);
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래스 필터 장치(300)는 상기 응축기(200) 연결되어 배출된 연기를 처리하고, 상기 백필터 장치(400)는 상기 글래스 필터 장치(300)와 연결되어 배출된 연기를 다시 처리하며, 상기 백필터 장치(400)의 연기 유출구 측에는 송풍기(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응축부(250)는 순환수가 유입되는 순환수 유입구(254)가 설치되는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251), 순환수가 배출되는 순환수 배출구(255)가 설치되는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252), 및 상기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251) 및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252)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수가 순환되는 복수개의 순환수 파이프(2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수 유입구(254)와 순환수 배출구(255)는 순환 펌프를 통해 연결되어 순환수가 순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순환 펌프의 일측에 순환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더 설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글래스 필터 장치 본체(310)의 하부에 호퍼(360)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백필터 장치(400)의 분진통(470)의 상부에 호퍼(460)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로터리 밸브(461)가 설치되어, 용량에 따라 이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백필터 장치(400)의 약품 공급 파이프(424)는 상기 백필터 장치 본체(410)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필터 장치(400)에 공급되는 약품(480)은 소석회 또는 규조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는 응축기(2), 글래스 필터 장치(300), 백필터 장치(400)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응축기(2)의 연기 유입구는 탄화장치(100)의 연기 유출구와 덕트(105)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글래스 필터 장치(300)의 연기 유입구는 응축기(2)의 연기 유출구와 연결되어 있고, 글래스 필터 장치(300)의 연기 유출구는 백필터 장치(400)의 연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있다. 백필터 장치(400)의 연기 유출구는 송풍기와 덕트(405)로 연결되어 있으며, 최종 처리된 연기는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탄화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는 응축기(200)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연기를 응축시켜 연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글래스 필터 장치(300)는 응축기에서 제거되고 남은 수분을 추가로 제거하며, 연기 중에 함유된 타르 등의 성분을 여과시켜 배출시킨다. 백필터 장치(400)는 글래스 필터 장치에서 여과된 연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잔여수분, 냄새 등을 최종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연기"란 용어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연기뿐만 아니라 탄화장 치에서 발생하는 냄새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응축기(20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응축기(200)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200)는 응축기 본체(210), 연기 유입구(220), 연기 유출구(230), 액체 배출구(240), 응축부(250) 및 액체 저장조(260)으로 이루어진다.
탄화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기는 덕트(105)를 지나 연기 유입구(220)를 통해 응축기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연기는 응축부(2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액화된 액체가 응축부(250)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응축부(250)는 도 3에서와 같이 좌우에 설치되는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251),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252)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순환수 파이프(253)로 이루어진다.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251)에 설치된(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순환수 유입구(254)를 통해 순환수가 유입되며, 이 순환수는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251),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252)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순환수 파이프(253)에 가득 차게 된다.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에 설치된(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순환수 배출구(255)를 통해 순환수가 배출되어 순환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지나 다시 순환수 유입구(254)로 유입된다. 한편, 순환수는 고온의 연기를 냉각 및 응축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그 온도는 연기의 온도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여야 한다. 통상, 가마 안에서의 연기의 온도는 대략 1,200∼1,300 ℃정도 이므로, 순환수는 상온 정도로 사용하여도 좋다. 한편, 순환수가 순환되면서 가열 되기 때문에, 상기 순환 펌프에 연결되는 파이프에 냉각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냉각장치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고온의 연기가 응축부(250)를 지나면서 액화된 액체는 본체(210)의 하부로 낙하하며, 액체 배출구(240)를 통해 액체 저장조(260)에 저장된다. 연기에 함유된 수분은 이와 같이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대략 70∼80 %정도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연기는 연기 유출구(230)를 통해 배출되어, 덕트(205)를 지나 글래스 필터 장치(300)로 유입된다.
이러한 글래스 필터 장치(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글래스 필터 장치(3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면을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필터 장치(300)는 글래스 필터 장치 본체(310), 연기 유입구(320), 연기 유출구(330), 글래스 필터(340), 하부 액체 저장조(350)로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호퍼(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에서 처리된 연기는 연기 유입구(320)를 통해 글래스 필터 장치 본체(3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연기는 글래스 필터(340)를 통과하면서 수분 및 타르 등의 성분이 제거되고, 처리된 연기는 연기 유출구(330)를 통해 배출된다.
글래스 필터(340)는 종래에 사용되는 글래스 필터를 원통형으로 감아 놓은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글래스 필터(340)를 복수개로 사용된다. 도 5에는 16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글래스 필터에서 여과된 타르나 수분 등은 본체의 하부로 낙하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낙하된 성분들은 하부 액체 저장조(350)에 저장된다. 처리되는 용량에 따라 글래스 필터(340) 하부에 호퍼(360)를 설치하여도 좋다. 연기는 글래스 필터 장치(300)를 통과하면서, 함유하고 있는 수분의 20∼30%가 제거되며, 타르나 냄새 성분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글래스 필터 장치(300)에서 처리된 연기는 연기 유출구(330)를 통해 배출되며, 덕트(305)를 지나 백필터 장치(400)로 유입된다.
백필터 장치(400)는 종래의 백필터 집진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종래의 백필터 집진기는 먼지나 분진 등의 처리에는 적합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글래스 필터 장치까지 2차 처리된 연기는 먼지나 분진이 아닌 수분이나 냄새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백필터 집진기를 사용하면 연기의 확실한 처리가 보장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자는 본 발명과 별도로 특허출원 제2007-8312호에서 연기 제거용 백필터 집진 여과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백필터 장치는 상기 특허출원에서 제안한 것과 동일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은 본 발명의 내용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 제거 장치에 사용되는 백필터 장치(4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면을 절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필터 장치(400)는 백필터 장치 본체(410), 연기 유입구(420), 연기 유출구(430), 블로우 파이프(440), 백필터(450), 분진통(470)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호퍼(460)를 더 포함한다.
백필터 장치 본체(410)의 일측에는 연기 유입구(420)가 설치되며, 이 연기 유입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글래스 필터 장치(300)에서 처리된 연기가 유입된다. 유입구의 위치는 본체 일측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체의 하부쪽과 같이 백필터(450)에 연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이 점은 글래스 필터 장치의 경우도 같다). 또, 유입구에는 연기 유입측 댐퍼(421)가 설치되어, 이 댐퍼(421)의 개폐에 따라 연기의 유입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 연기 유입구(420)의 일측에는 약품(480)을 저장하고 있는 약품 저장조(423)와 연결된 약품 공급 파이프(424)가 연결된다. 이 약품 공급 파이프(424)는 연기 유입구 쪽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체(410)의 일측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약품 공급 파이프(424)가 본체에 직접 연결될 경우, 그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약품(480)을 필터 표면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의 하부쪽이 바람직하다. 한편, 약품 공급 파이프(424)의 단부에는 약품 공급측 댐퍼(422)가 설치되어, 약품(8)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2가지 댐퍼(421, 422)는 관 내부의 유체 흐름을 차단 및 개폐하는 것으로서, 댐퍼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유체의 흐름을 차단 및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밸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입구(420)에 약품 공급 파이프(481)가 설치된 경우, 상기 2가지 댐퍼(421, 422)는 삼방밸브와 같은 하나의 밸브를 적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댐퍼는 수동으로 조작하여도 좋고, 별도로 전기적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여도 좋다.
백필터(450)는 장치 내부에 중력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데, 백필터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장치의 규모나 시설 등 주변 여건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된다. 이 백필터(450)는 표면에 여과포를 갖는 필터로 오염 기체가 백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포에 입자가 걸러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백필터의 여과포 자체는 연기나 냄새, 수분 입자를 필터링하는데 부적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백필터(450)의 표면에 약품(480)을 공급하여 사용한다. 도 7에 이 백필터의 배열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장치의 가동 중에는 백필터(450)의 표면에 약품(480)이 층을 이루면서 달라붙어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품(480)은 연기나 냄새, 수분입자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규조토나 소석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터 표면에 달라붙어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중이 적합한 규조토가 바람직하다.
백필터(450)를 통과한 여과된 공기는 연기 유출구(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 측에 송풍기(500)가 설치되어 있는데, 덕트(405)를 통하도록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백필터(450)의 상부에는 압축 공기를 발생하는 압축 탱크(442)와 연결된 블로우 파이프(4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블로우 파이프에는 각각의 백필터 상부 쪽에 복수개의 노즐(4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노즐(441)을 통해 압축 공기를 백필터 내부로 분사하면, 백필터 표면에 붙어있던 약품과 연기 등의 입자가 떨어져 나가 분진통(470) 내에 쌓이게 된다. 주의할 것은 본 발명의 분진통(470)은 "분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장치는 분진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 아니 고 냄새 및 수분을 함유한 연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분진통(470)은 처리 입자들을 쉽게 버리기 위해 본체 하부에 서랍 형태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호퍼(460)는 백필터 하부 및 분진통(47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호퍼(4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 형태로 사용되며, 처리 용량이 큰 시설일 경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460)의 하부에는 로터리 밸브(461)를 설치하여, 처리된 입자들을 배출할 때 로터리 밸브(461)를 개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백필터 장치(4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기 유입측 댐퍼(421)를 닫고, 약품 공급측 댐퍼(422)를 연 상태에서 연기 유출구(430) 측의 송풍기(500)를 가동시킨다. 송풍기가 가동되면 약품(480)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면서 백필터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백필터 표면에 약품층이 충분히 형성되면, 약품 공급을 중단하고 연기를 유입시킨다. 즉, 약품 공급측 댐퍼(422)를 닫고, 연기 유입측 댐퍼(421)를 개방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연기 제거 장치 전체를 가동한다.
연기는 백필터를 통과하여 연기 유출구 쪽으로 빠져나가는데, 백필터의 표면에 형성된 약품층에 연기 속의 냄새나 수분 입자들이 흡착된다. 따라서, 정화된 공기만이 장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은 3가지 장치를 통한 여과 과정을 통해, 탄화장치에서 발생하는 연기에 함유된 수분 및 냄새를 효율 높게 처리할 수 있으며, 최종 배출되는 연기는 수분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 미관에도 좋으며, 주변 민원을 야기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 세정식과 같이 폐수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 과정이 보다 간단하고 운전 비용도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및 냄새의 처리 효율이 매우 높으며, 세정식 집진기에 비하여 폐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없고, 운용 방식이 보다 간편한 연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응축기 본체(210), 상기 응축기 본체에 형성되어 탄화장치(100)에서 배출된 연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연기 유입구(220) 및 연기 유출구(230), 상기 응축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연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부(250), 및 상기 응축기 본체(210) 하부에 설치된 액체 배출구(240)와 연결되고 상기 응축부(250)에서 응축되어 낙하한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 저장조(260)로 이루어지는 응축기(200);
    글래스 필터 장치 본체(310), 상기 본체(310)에 설치되어 연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연기 유입구(320) 및 연기 유출구(330),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연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글래스 필터(340) 및 상기 본체(31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액체 저장조(350)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필터 장치(300); 및
    백필터 장치 본체(410), 상기 본체(410)에 설치되어 연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연기 유입구(420) 및 연기 유출구(430), 상기 본체(410) 내부에 중력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백필터(450), 상기 백필터(4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백필터(450)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441)을 통해 압축 탱크(442)에서 발생한 압축 공기를 상기 백필터(450) 내부로 분사하는 블로우 파이프(440)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진통(470), 약품 저장조(8)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420)의 일측에 설치된 약품 공급 파이프(424), 상기 유입구(420)에 설치된 연기 유입측 댐퍼(421) 및 상기 약품 공급 파이프(24) 설치된 약품 공급측 댐퍼(22)로 이루어진 백필터 장치(400);
    로 이루어지고, 상기 글래스 필터 장치(300)는 상기 응축기(200) 연결되어 배출된 연기를 처리하고, 상기 백필터 장치(400)는 상기 글래스 필터 장치(300)와 연결되어 배출된 연기를 다시 처리하며, 상기 백필터 장치(400)의 연기 유출구 측에는 송풍기(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250)는
    순환수가 유입되는 순환수 유입구(254)가 설치되는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251);
    순환수가 배출되는 순환수 배출구(255)가 설치되는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252); 및
    상기 순환수 공급측 저장조(251) 및 순환수 배출측 저장조(252)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수가 순환되는 복수개의 순환수 파이프(253);
    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수 유입구(254)와 순환수 배출구(255)는 순환 펌프를 통해 연결되어 순환수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펌프의 일측에 순환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필터 장치 본체(310)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 장치(400)의 분진통(470)의 상부에 호퍼(460)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로터리 밸브(46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 장치(400)의 약품 공급 파이프(424)는 상기 백필터 장치 본체(41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제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 장치(400)에 공급되는 약품(480)은 소석회 또는 규조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제거 장치.
KR1020070009757A 2007-01-31 2007-01-31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 KR100736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757A KR100736637B1 (ko) 2007-01-31 2007-01-31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757A KR100736637B1 (ko) 2007-01-31 2007-01-31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637B1 true KR100736637B1 (ko) 2007-07-06

Family

ID=3850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757A KR100736637B1 (ko) 2007-01-31 2007-01-31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6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452A (ja) 1998-05-13 1999-11-2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排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11333253A (ja) 1998-05-29 1999-12-07 Mitsubishi Heavy Ind Ltd 焼却設備の排煙処理装置
JP2001173936A (ja) 1999-12-16 2001-06-29 Plantec Inc ごみ焼却施設におけるダイオキシン類の除去設備及びその除去方法
JP2002129933A (ja) 2000-10-19 2002-05-09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排気ガス処理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排気ガス処理方法
KR100639261B1 (ko) 2005-04-30 2006-10-27 (주)대성공영환경 응축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식 배출가스 정화장치
JP2006297265A (ja) 2005-04-20 2006-11-02 Sintokogio Ltd 排ガス浄化設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452A (ja) 1998-05-13 1999-11-2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排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11333253A (ja) 1998-05-29 1999-12-07 Mitsubishi Heavy Ind Ltd 焼却設備の排煙処理装置
JP2001173936A (ja) 1999-12-16 2001-06-29 Plantec Inc ごみ焼却施設におけるダイオキシン類の除去設備及びその除去方法
JP2002129933A (ja) 2000-10-19 2002-05-09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排気ガス処理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排気ガス処理方法
JP2006297265A (ja) 2005-04-20 2006-11-02 Sintokogio Ltd 排ガス浄化設備
KR100639261B1 (ko) 2005-04-30 2006-10-27 (주)대성공영환경 응축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식 배출가스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497B1 (ko) 슬러지 처리를 위한 배기가스 정화 및 열 회수 시스템과 방법
KR100672908B1 (ko) 폐기물 처리용 진공 소각장치 및 소각장치의 진공유지 방법
KR101044929B1 (ko) 텐타기의 증기 배출장치
KR101292407B1 (ko) 진공 건조 장치
KR101532945B1 (ko) 악취 및 먼지와 유해가스 제거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파 방식의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0736637B1 (ko) 탄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연기 제거 장치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095219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필터조립체
WO2009082072A1 (en) Dust filtering collector for removing smoke and method for filtering smoke using same
KR20080070608A (ko) 연기 제거용 집진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기의 필터링방법
KR101334880B1 (ko)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기가스 방지장치
CN107206440A (zh) 磁分解装置及磁分解方法
CN205909418U (zh) 一种家庭用多级空气净化装置
KR1018369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냄새 제거 장치
KR200479084Y1 (ko) 유해가스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CN205909396U (zh) 一种家庭用单级空气净化装置
CN208287755U (zh) 一种工业废气热量回收装置
KR10074513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CN111318097A (zh) 一种放射性废物焚烧烟气过滤方法
KR20200024445A (ko) 열분해 가스 재생자원을 위한 고효율 스크러버
JP2011005405A (ja) 消臭装置及び消臭装置付磁気分解装置
KR100278840B1 (ko) 잔반 처리장치
KR10255133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장치 및 건조탄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