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571B1 -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시스템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시스템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571B1
KR100736571B1 KR1020060045713A KR20060045713A KR100736571B1 KR 100736571 B1 KR100736571 B1 KR 100736571B1 KR 1020060045713 A KR1020060045713 A KR 1020060045713A KR 20060045713 A KR20060045713 A KR 20060045713A KR 100736571 B1 KR100736571 B1 KR 10073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frame number
communication network
user terminal
activ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은,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베어러 설정정보에 따라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프레임번호에 따라 통신망과 시간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선 베어러 설정 및 재설정 시 전송환경이 악화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간 동기 획득을 용이하게 하여 무선 베어러 변경에 따른 콜 드롭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SYSTEM SYNCHRONIZ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SYNCHRONIZ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이동통신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간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코어 네트워크
10 :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12 : RNC(Radio Network Controller) 14 : Node B
20 : UE (User Equipment) 30 : PHY(Physical)
32 : MAC(Medium Access Control)
34 : RLC(Radio Link Control)
36 : RRC(Radio Resource Control)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서는 유럽식 이동통신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를 기반으로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는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를 표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UMTS는 패킷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전송할 수 있다.
UMTS는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Node B) 간에 논리 채널인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설정하고 적절한 트래픽채널에 데이터 프레임을 맵핑하여 전송하며, 무선 베어러의 시간 동기는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 이하, CFN이라 함)를 통해 제어된다. CFN은 사용자 단말과 UMTS 망 사이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카운터로서 0에서 255까지를 단위로 10ms에 1프레임씩 증가하는 값을 갖는다. UMTS 망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시작점을 CFN으로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 동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UMTS 망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Radio Bearer Setup)메시지에 CFN을 첨부함으로써 시간 동기를 획득한다. 또한, 무선 베어러는 무선환경이 변화하는 경우 다양한 확산 펙터(Spreading Factor)에 따라 재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망에서는 무선 베어러를 재설정(Radio Bearer Reconfiguration)에 무선 베어러 재설정 시점 정보인 CFN을 첨부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그런데, 무선 베어러 설정/재설정 정보는 비교적 데이터량이 큰 편이기 때문에 전송환경 악화 등의 이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사용자 단말은 무선 베어러 설정/재설정 정보 및 CFN을 제공받지 못하게 되어,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지 못하거나 무선 베어러의 재설정 시점 또한 인식할 수 없게 되므로 콜이 드롭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은, 이동통신시스템 측에서 무선 베어러가 설정/변경되는 시점정보(CFN)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재설정정보를 사용자 단말 측에 전송한 후 무선 베어러를 변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무선 베어러 설정/재설정정보 수신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 측에서는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지 못하거나 이 전의 무선 베어러 설정을 유지하게 된다. 반면, 망에서는 이미 송신한 무선 베어러 설정/재설정정보에 따라 무선 베어러를 변경함으로 양자 간에 동기가 맞지 않아 콜이 드롭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무선 베어러 설정 및 재설정 시 전송환경이 악화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간 동기 획득을 용이하게 하여 무선 베어러 변경에 따른 콜 드롭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을 제 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은,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베어러 설정정보에 따라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프레임번호에 따라 통신망과 시간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 중인 베어러를 변경하기 위한 베어러 재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는, 0 내지 255의 범위를 가지고 10ms에 한 프레임씩 증가하여 256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중 상기 활성화 시간에 대응되는 접속프레임번호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통신망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 설정된 베어러에 대한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첨 부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새로 설정된 베어러에서 상기 접속프레임번호에 따라 시간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이전에 설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오류가 상기 기준값 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전에 설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통신망으로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재전송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시간 동기 획득을 재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베어러 설정정보에 따라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통신망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망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접속프레임번호에 따라 시간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 베어러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 중인 베어러를 변경하기 위한 베어러 재설정정보에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는, 0 내지 255의 범위를 가지고 10ms에 한 프레임씩 증가하여 256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중 상기 활성화 시간에 대응되는 접속프레임번호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통신망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첨부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UMTS는 크게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1) 및 UTMS 무선접속망(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라 함)(10)과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함)(20)로 구성된다.
UTRAN(10)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함)(12)와 이 RNC(12)에 의해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이하, Node B)(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RNC(12)는 무선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여 코어 네트워크(1)와의 접속점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Node B(14)는 RNC(12)에 의해 관리되어 UE(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UTRAN(10)의 접속점(Access Point)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망 구성요소들 사이에는 서로 간의 통신을 위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가 존재하는데, 코어 네트워크(1)와 RNC(1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u 인터페이스라 정의하고, RNC(12) 및 Node B(14)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ub 인터페이스라 정의한다. 그리고, Node B(14) 및 UE(20) 간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라 정의하며 Uu의 시간 동기는 CFN(Connection Frame Number)에 의해 제어된다. CFN은 10ms의 각 프레임을 위해 1씩 증가되고, CFN의 범위는 PCH를 제외한 모든 채널에 대하여 0 내지 255이며, 이 PCH의 범위는 0 내지 4095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은, 무선자원을 할당 및 관리하는 RNC(12)가 무선 베어러 설정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Radio Bearer Setup)메시지/무선 베어러 재설정(Radio Bearer Reconfiguration)메시지를 UE(20)에 전송함으로써 UTRAN(10) 및 UE(20) 간에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도록 한다. RNC(12)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베어러 설정/무선 베어러 재설정메시지에는 시간 동기의 획득을 위한 정보로서 활성화 시간정보가 첨부된다. 예컨대, 무선 베어러 재설정메시지일 경우 무선 베어러가 변경되는 타이밍이 ms(밀리 초)단위로 첨부되어 UE(20)에 전달된다.
이에, UE(20)는 무선 베어러 설정/무선 베어러 재설정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에 따라 UTRAN(10)과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한편, 활성화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CFN을 산출하여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Radio Bearer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와 함께 UTRAN(10)으로 송신한다.
즉, 본 발명은 UTRAN(10) 측에서는 동기획득을 위한 시간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UE(20)가 직접 동기획득을 위한 CFN을 산출하여 무선 베어러의 설정 후 UTRAN(10)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UTRAN(10)이 UE(20)가 전송한 CFN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UE(20)는 변경된 무선 베어러를 통한 데이터 수신 결과 기준치 이상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UTRAN(10)이 CFN을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변경 전 무선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UTRAN(10)과 다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CFN은 256주기로 반복됨으로, 변경 전 무선 베어러를 통해 UTRAN(10)과 다시 접속된 UE(20)는 변경할 무선 베어러에서 동기 획득을 위한 CFN을 다시 송신함으로써 무선 베어러를 재설정할 수 있다.
한편, UE(20)가 CFN을 첨부하여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 설정완료(Radio Bearer Complete) 메시지는 UTRAN(10) 측에서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 재설정(Radio Bearer Reconfiguration)메시지에 비해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PDU(Protocol Data Unit)의 개수도 적어 동기 획득을 위한 CFN의 전송 성공 확률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UE(20)와 UTRAN(10)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이다.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레이어(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레이어(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레이어(Network Layer)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의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도 2의 프로토콜 레벨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기준모델의 하위 3개 레벨을 바탕으로 제1레벨, 제2레벨 및 제3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레벨인 물리(Physical, 이하, PHY라 함)(30)레벨은 물리채널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정보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PHY(30)는 상위레벨인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32)레벨과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MAC(32)와 PHY(30)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PHY(30)는 프레임이라 불리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나뉘어서 데이터를 전달하며, UE(20)와 UTRAN(10)사이에 전송채널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 CFN(Connection Frame Number)이 사용된다.
제2레벨의 MAC(32)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레벨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함)(34)레벨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레벨의 RLC(34)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하여, 상위 레벨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분할 및 연결기능을 수행하여 PDU를 생성 및 조합한다. 페이징채널(PCH) 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채널의 경우 CFN 값의 범위는 0에서 255까지이고 256프레임을 주기로 반복 순환된다.
제3레벨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함)(36)레벨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여기서, 무선 베어러는 UE(20)와 UTRAN(10)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레벨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레벨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UE(20)의 RRC(36)레벨과 UTRAN(10)의 RRC(36)레벨이 서로 RRC(36)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을 경우 해당 UE(20)는 RRC(36) 연결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UE(20)의 RRC(36)레벨과 UTRAN(10)의 RRC(36)레벨이 무선 베어러 설정을 위한 프로토콜 레벨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기 위해, UTRAN(10) 측에서는 동기획득을 위한 시간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UE(20)가 직접 동기획득을 위한 CFN을 산출하여 UTRAN(10)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RAN(10)은 무선 베어러 재설정(Radio Bearer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UE(20)에 전송한다(S10). 무선 베어러 재설정메시지는 무선 베어러 설정을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와 함께, UE(20)와의 동기 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가 첨부된다. 여기서, 활성화 시간정보는 ms단위의 시간인 것이 가능하다.
이에, UE(20)는 무선 베어러 재설정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에 따라 UTRAN(10)과의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고(S12), 활성화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CFN을 산출한다(S14).
UE(20)는 산출된 CFN을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Radio Bearer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첨부하여 UTRAN(10)으로 전송한다(S16).
이에, UTRAN(10)은 UE(20)가 전송한 CFN에 맞춰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동기를 획득한다(S18).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UTRAN(10)으로부터 무선 베어러 재설정(Radio Bearer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수신되면(S20), 무선 베어러 재설정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베어러 설정을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무선 베어러를 설정한다(S22).
또한, UE(20)는 무선 베어러 재설정메시지에 포함된 활성화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해당하는 CFN을 산출한다(S24).
UE(20)는 산출된 CFN을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Radio Bearer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에 첨부하여 UTRAN(10)으로 전송한다(S26).
이 후, UE(20)는 산출된 CFN에 동기화하여 무선 베어러를 변경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S28), 변경된 무선 베어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 상태를 확인하 여 오류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여기서, UE(20)는 수신 데이터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오류가 정해진 수만큼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오류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무선 베어러 변경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S32), 변경된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오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UE(20)는 UTRAN(10)에서 CFN 수신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변경 전 무선 베어러를 통해 UTRAN(10)과 접속한다(S34). 이에 따라, UE(20)는 변경 전 무선 베어러를 통해 UTRAN(10)에 다시 CFN을 전송하여 무선 베어러 재설정하는 S26단계 내지 S30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무선 베어러 재설정을 시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베어러를 재설정하는 경우 망 측에서 동기획득을 위한 시간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망에서 제공한 시간정보에 따라 CFN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산출된 CFN으로 동기를 획득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은, 무선 베어러를 재설정하는 경우 망 측 에서 동기획득을 위한 시간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망에서 제공한 시간정보에 따라 CFN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산출된 CFN으로 동기를 획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베어러 설정 및 재설정 시 전송환경이 악화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시스템과 사용자 단말 간 동기 획득을 용이하게 하여 무선 베어러 변경에 따른 콜 드롭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베어러 설정정보에 따라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프레임번호에 따라 통신망과 시간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 중인 베어러를 변경하기 위한 베어러 재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 를 산출하는 단계는,
    0 내지 255의 범위를 가지고 10ms에 한 프레임씩 증가하여 256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중 상기 활성화 시간에 대응되는 접속프레임번호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 설정된 베어러에 대한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첨부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 설정된 베어러에서 상기 접속프레임번호에 따라 시간 동기를 획득하여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이전에 설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오류가 상기 기준값 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에 설정된 베어러를 통해 상기 통신망으로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재전송하여, 상기 통신망과의 시간 동기 획득을 재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8.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베어러 설정정보에 따라 베어러를 설정하고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통신망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망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접속프레임번호에 따라 시간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에서 베어러 설정정보와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 중인 베어러를 변경하기 위한 베어러 재설정정보에 상기 베어러에서의 동기획득을 위한 활성화 시간정보를 첨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 획득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를 산출하는 단계는,
    0 내지 255의 범위를 가지고 10ms에 한 프레임씩 증가하여 256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되는 접속프레임번호(Connection Frame Number)중 상기 활성화 시간에 대응되는 접속프레임번호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 획득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통신망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는,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에 상기 접속프레임번호를 첨부하여 상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 획득방법.
KR1020060045713A 2006-05-22 2006-05-22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시스템 동기화 방법 KR10073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713A KR100736571B1 (ko) 2006-05-22 2006-05-22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시스템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713A KR100736571B1 (ko) 2006-05-22 2006-05-22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시스템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571B1 true KR100736571B1 (ko) 2007-07-06

Family

ID=3850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713A KR100736571B1 (ko) 2006-05-22 2006-05-22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시스템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55B1 (ko) 2008-09-17 2013-02-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프레임 번호 동기화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810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프레임 동기유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810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프레임 동기유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55B1 (ko) 2008-09-17 2013-02-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프레임 번호 동기화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8660153B2 (en) 2008-09-17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rame number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793B1 (ko) 단말과 네트워크간 무선 접속 설정 변경 방법
EP194956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 measurement report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1037342B1 (ko) 랜덤 액세스 절차 실패 처리 방법 및 관련 통신 기기
EP328831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access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DK1943754T3 (en) PROCED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ACCESS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608779C1 (ru) Изменение конфигурации или состояния однонаправленного радиоканала
JPH10341488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リンクプロトコルの動的構成方法及び装置
KR20050120763A (ko) 낮은 지연의 통신망 액세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576081B2 (en) Link quality-based offloading method and device in dual connectivity
CN101940026B (zh) 增强上行链路fach的网络控制吞吐量
US2022022519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ity control
MX2011004538A (es) Método, dispositivo, y sistema de configuración de recursos.
US2005001324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WO2021210264A1 (ja) 移動局、基地局、受信方法及び送信方法
JP2022543228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の実行に関与するユーザ機器
RU2396712C2 (ru) Изменение настройки радиосвязи между терминалом и сетью
CN116709542B (zh) 波形切换方法及电子设备
EP34517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inter-rat cells
KR10073657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시스템 동기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의시스템 동기화 방법
JP2013507802A (ja) 共通制御チャンネルのharq情報の取得方法及び装置
KR2009005689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고 수신 상태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678965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olling management
GB2416963A (en) A tele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data uplink channel
WO2021070448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US20090279477A1 (en) Mobile st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