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392B1 -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392B1
KR100736392B1 KR1020050133045A KR20050133045A KR100736392B1 KR 100736392 B1 KR100736392 B1 KR 100736392B1 KR 1020050133045 A KR1020050133045 A KR 1020050133045A KR 20050133045 A KR20050133045 A KR 20050133045A KR 100736392 B1 KR100736392 B1 KR 10073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stination
node module
transmi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465A (ko
Inventor
황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05013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3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노드모듈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부를 갖추고 이러한 전시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 또는 수신된 정보들 중 자신을 도달목적지로 하는 정보를 전시시킴으로써 주변의 물리적 환경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주변인들이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Description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UBIQUITOUS WIRELESS NETWORK SYSTEM, NODE MODULE AND OPERATION METHOD OF NODE MODULE}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3은, 도2의 노드모듈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5는, 도4의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모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6은, 도5의 노드모듈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410 : 관리서버
120, 420 : 베이스모듈
130, 430 : 노드모듈
131, 431 : 무선통신수단
132, 433 : 정보변환수단
133 : 목적지판단수단
134, 434 : 전시수단
135, 435 : 전원공급수단
136, 436 : 제어수단
432 : 감지수단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관련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과학기술, 특히,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일반인들에게 생활 속의 편리함으로 급격히 접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주변의 생활환경에 대한 정보 등을 컴퓨터 및 통신기술과 연계하여 다양한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유비쿼터스에 관한 기술이 날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그러한 유비쿼터스에 관한 기술들 중에는 상호간에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노드모듈 및 베이스모듈과 관리서버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노드모듈은 주변의 물리적 환경(온도, 습도 등)을 감지한 후, 감지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고, 이웃하는 노드모듈은 다시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과정들을 지속적으로 거쳐 어느 특정 노드모듈이 감지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최종단의 베이스모듈에서 수신하게 되면, 베이스모듈은 이를 관리서버 측으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관리서버에서는 다수의 노드모듈들이 위치한 주변의 물리적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서버로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각 노드모듈들이 위치한 주변의 물리적환경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각 노드모듈이 위치한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수동 또는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출원번호 10-2005-0017720호(발명의 명칭 : 유에스비 포트를 구비한 센서 네트워크 모듈)에서 이전 기술보다 더 바람직한 기술을 제안한 바도 있다.
상기한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노드모듈과 베이스모듈이 서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상의 이점 및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유리한 점이 있어서 유비쿼터스 분야의 중심개발 기술로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노드모듈이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관리서버로 보냄으로써 관리서버에서 각 노드모듈이 위치한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파악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각 노드모듈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이 주변 의 물리적 환경을 파악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은 각 사람마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개별화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고려 없이 관리자에 의한 일방적인 환경의 제어가 감행되도록 하는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각 노드모듈 및 베이스모듈은 궁극적으로 감지된 정보를 관리서버로 보내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의 활용도가 단순히 주변의 물리적 환경들에 대한 수집 정도의 개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 노드모듈이 위치한 주변의 사람들이 노드모듈을 통해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며, 또한, 각 노드모듈이 관리서버로부터 오는 정보를 노드모듈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노드모듈은, 이웃하는 노드모듈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무선통신수단;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도달목적지를 판단하는 목적지판단수단; 상기 목적지판단수단에 의해 도달목적지가 자신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전시시키는 전시수단; 상기 목적지판단수단의 판단에 따라 도달목적지가 자신일 경 우 상기 전시수단을 통해 정보를 전시시키고,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노드모듈은, 이웃하는 노드모듈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무선통신수단;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시하는 전시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시수단을 통해 전시시키고,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출력시키는 관리서버;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인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전시시키고,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모듈;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수신한 후,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베이스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서버; 감지된 정보를 전시하며, 감지된 정보 및 수신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모듈; 및 상기 다수의 노드모듈 중 이웃하는 노드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베이스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노드모듈의 작동방법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를 판단하는 목적지판단단계; 상기 목적지판단단계에서 도달목적지가 자신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전시시키는 정보전시단계; 및 상기 목적지판단단계에서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정보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노드모듈의 작동방법은,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감지하는 정보감지단계; 상기 정보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시하는 정보전시단계; 상기 정보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정보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관리서버(110), 다수의 노드모듈(130) 및 베이스모듈(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11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베이스모듈(120) 측으로 출력시킨다. 여기서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각 노드모듈(130, 베이스모듈을 포함한다)에서 전시될 정보들로서, 해당 정보들은 관리서버(110)로부터 베이스모듈(120)을 거쳐 각 노드모듈(130)로 도달된다. 따라서 관리서버(110)는 각 노드모듈(130)로 보내고자 하는 정보와 각 노드모듈(130)에 대한 고유아이디와 같은 어드레스 정보를 함께 베이스모듈(120)로 보내게 된다.
상기 다수의 노드모듈(130)은 이웃하는 노드모듈(130)들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넓게는 베이스모듈(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의 노드모듈(130)에 대하여는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하나의 노드모듈(13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모듈(130)은 무선통신수단(131), 정보변환수단(132), 목적지판단수단(133), 전 시수단(134), 전원공급수단(135), 제어수단(1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131)은 이웃하는 노드모듈(130) 간, 베이스모듈(120)과 이에 이웃하는 노드모듈(130) 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RF송수신기로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변환수단(132)은, 상기 무선통신수단(131)으로부터 수신되는 RF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통신수단(131)을 통해 송신될 디지털정보를 RF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A/D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및 D/A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지판단수단(133)은 상기 무선통신수단(131)을 통해 이웃하는 노드모듈(13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상기 정보변환수단(132)을 거쳐 디지털정보로 출력되면, 해당 정보의 도달목적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달목적지는 관리서버(10)에서 보내온 어드레스정보에 의해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시수단(134)은 상기 목적지판단수단(133)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자기 노드모듈)인 경우 해당 정보를 출력시킨다. 이러한 전시수단(134)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 등으로 구비되면 족하다.
상기 전원공급수단(135)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AC전원을 수용하여 공급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지만, 설치상의 편리함 등을 고려할 때 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한 목적지판단수단(133)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판단되면, 해당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자기 노드모듈)일 경우에는 상기 전시수단(134)을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시키고, 해당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자기 노드모듈)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정보변환수단(132)을 거쳐 무선통신수단(131)을 통해 이웃하는 노드모듈(13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모듈(120)은 기본적인 구성이 상기한 각 노드모듈(130)과 동일하지만, 추가적으로 관리서버(110)와 유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적인 유선통신수단(미도시)을 더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드모듈(130)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도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131)은 이웃하는 노드모듈(130)로부터 오는 정보를 수신한다<S301>. 여기서 이웃하는 노드모듈(130)에서 수신되는 정보는 관리서버(110)를 통해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와 해당 정보를 전시할 특정된 노드모듈(120)에 대한 어드레스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변환수단(132)은 상기 무선통신수단(131)을 통해 수신한 아날로그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한다<S302>.
계속하여 상기 목적지판단수단(133)은 상기 정보변환수단(132)에서 변환된 디지털정보에서 어드레스정보를 파악한 후, 해당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어디인지, 즉, 해당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자기 노드모듈)인지 아니면 타 노드모듈인지를 판단한다<S303>.
상기 목적지판단수단(133)에 의해 도달목적지가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136)은 자신(자기 노드모듈)이 도달목적지라고 판단된 정보를 상기 전시수단(134)을 통해 전시시킨다<S304>.
한편, 상기 제어수단(136)은 상기 목적지판단수단(133)에 의해 도달목적지가 자신(자기 노드모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정보변환수단(132)을 거쳐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시킨 후, 상기 무선통신수단(131)을 통해 이웃하는 타 노드모듈로 송신한다.
<제1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술이 구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를 살핀다.
예를 들어, 대형 할인마트와 같은 곳에서는 전시장의 전시프레임 등에는 다수의 상품들이 빼곡히 전시되어 있고, 전시된 각 상품의 상측 또는 하측 등에는 전시된 상품들의 가격, 원산지, 상표변동사항 등과 같은 전시된 상품에 대한 정보들이 기재되어 있는 표찰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전시프레임 등에 전시되는 상품들은 상품의 변동에 따라서 동일 전시공간 상에서 전시되는 상품종류가 달라질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수동적으로 표찰의 위치를 바꾸거나 표찰에 기재된 정보를 변경하거나 하는 방법을 취해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해당 전시프레임에 각 노드모듈(130)들을 배치한 후 특정 전시공간에 전시되는 상품이 타 상품으로 교체되는 등의 일이 발생된 경우, 또는 새로운 특정 전시공간들을 확보하고 해당 특정 전시공간들에 다수의 노드모듈(130)들을 배치한 경우, 관리자는 관리서버(110)를 통해 해당 특정 전시공간의 상품정보를 전시하는 노드모듈(130)을 특정(어드레스 특정)한 후, 해당 노드모듈(130)에서 새로이 교체되어나 진열되어 전시된 새로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후 이를 발송하면, 해당 정보는 베이스모듈(120) 및 각 노드모듈(130)들을 거쳐 관리자가 원하는 대상인 상기 특정 전시공간의 상품정보를 전시하는 노드모듈(130)로 도달하게 되고, 해당 노드모듈(130)에서는 해당 정보를 수신한 후 도달목적지를 판단한 다음, 자신이 도달목적지로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전시수단(134)을 통해 전시시키게 된다. 물론, 노드모듈(130)에서 수신한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궁극적으로 특정 노드모듈(130)에서 전시되어질 특정 정보들은 해당 특정 노드모듈(130)에 도달된 후, 해당 특정 노드모듈(130)을 통해서 전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다수의 전시공간에 대한 상품의 교체나, 새로운 전시 등이 필요할 경우, 관리자는 관리서버(110)에 정보들을 입력 후 발송시키는 것만으로, 입력된 정보들은 자신이 전시되어야 할 각 노드모듈(130)로 이동하여 해당 각 노드모듈(130)에서 전시됨으로써 소비자들이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위와 같은 구체적인 예 외에도 상기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본 개념을 따르는 많은 활용예들이 도출될 수 있음을 자명한 사실이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되, 편의상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은, 관리서버(410), 다수의 노드모듈(430) 및 베이스모듈(4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410)는, 베이스모듈(420)을 통해 각 노드모듈(430)로부터 오는 정보를 수집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다수의 노드모듈(430)은, 이웃하는 노드모듈(430)들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넓게는 베이스모듈(420)을 포함한다. 그리고 감지된 정보를 전시하며, 감지된 정보 및 수신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430)로 송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베이스모듈(420)을 통해 관리서버(410)로 정보를 발송한다. 이를 위해 각 노드모듈(43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수단(431), 감지수단(432), 정보변환수단(433), 전시수단(434), 전원공급수단(435), 제어수단(4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431)은 이웃하는 노드모듈(430) 간, 베이스모듈(420)과 이에 이웃하는 노드모듈(430) 간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RF송 수신기로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수단(432)은 주변의 온도, 습도, 연기, 가스 등 물리적 환경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수단(432)은 단순히 온도만을 감지하거나 습도만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물리적 환경만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복수의 물리적 환경들을 감지하도록 여러 개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변환수단(433)은, 상기 감지수단(432)에 의해 감지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하거나, 디지털정보를 아날로그(RF) 정보로 변환한다.
상기 전시수단(434)은 상기 정보변환수단(43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정보를 전시시킨다.
상기 전원공급수단(435)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수단(436)은 상기 감지수단(432)에 의해 감지된 후 상기 정보변환수단(43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정보를 상기 전시수단(434)을 통해 출력시키고, 또한, 정보변환수단(433)에 의해 디지털정보에서 아날로그정보로 변환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수단(431)을 통해 이웃하는 노드모듈(430)로 송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관리서버(410)로 해당 정보를 발송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수단(431)을 통해 이웃하는 노드모듈(430)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다시 이웃하는 타 노드모듈(430)로 송신시킨다.
한편, 상기 베이스모듈(420)은 기본적인 구성이 상기한 각 노드모듈(430)과 동일하지만, 추가적으로 관리서버(410)와 유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통신수단( 미도시)을 더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드모듈(430)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도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431)은 이웃하는 노드모듈(430)로부터 오는 정보를 수신한다<S601>. 여기서 이웃하는 노드모듈(430)에서 수신되는 정보는 임의의 노드모듈(430)에서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감지수단(432)은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감지한다<S602>. 그리고 상기 정보변환수단(433)은 상기 감지수단(432)에 의해 감지된 아날로그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한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수단(436)은 상기 감지수단(432)에 의해 감지된 후 상기 정보변환수단(433)에 의해 변환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디지털정보를 상기 전시수단(434)을 통해 전시<S603>시키며, 또한, 디지털정보를 상기 정보변환수단(433)을 거쳐 다시 아날로그정보로 변환시킨 후, 상기 무선통신수단(431)을 통해 이웃하는 타 노드모듈로 송신시킨다<S604>.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수단(431)에 의해 수신된 정보도 이웃하는 타 노드모듈(430)로 송신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실시예로 나누어 설명되었지만, 제1 및 제2실시예가 함께 구현되는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 노드모듈들이 전시수단을 가지게 됨으로써 자신이 감지한 정보를 전시시켜 주변의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위치한 공간의 물리적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 노드모듈들이 관리서버로부터 발송되어 오는 정보를 전시시킴으로써 기존의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수집의 개념과는 다른 개념을 기술로 구현시킴으로써 다양한 새로운 활용도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웃하는 노드모듈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무선통신수단;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도달목적지를 판단하는 목적지판단수단;
    상기 목적지판단수단에 의해 도달목적지가 자신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전시시키는 전시수단;
    상기 목적지판단수단의 판단에 따라 도달목적지가 자신일 경우 상기 전시수단을 통해 정보를 전시시키고,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노드모듈.
  2. 이웃하는 노드모듈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무선통신수단;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시하는 전시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시수단을 통해 전시시키고,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노 드모듈.
  3.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출력시키는 관리서버;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인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전시시키고,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모듈;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수신한 후,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베이스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4. 정보를 수집하는 관리서버;
    감지된 정보를 전시하며, 감지된 정보 및 수신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다수의 노드모듈; 및
    상기 다수의 노드모듈 중 이웃하는 노드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베이스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5.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정보의 도달목적지를 판단하는 목적지판단단계;
    상기 목적지판단단계에서 도달목적지가 자신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전시시키는 정보전시단계; 및
    상기 목적지판단단계에서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정보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노드모듈의 작동방법.
  6.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감지하는 정보감지단계;
    상기 정보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시하는 정보전시단계; 및
    상기 정보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웃하는 노드모듈로 송신하는 정보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네트워크 노드모듈의 작동방법.
KR1020050133045A 2005-12-29 2005-12-29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0736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045A KR100736392B1 (ko) 2005-12-29 2005-12-29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045A KR100736392B1 (ko) 2005-12-29 2005-12-29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465A KR20070070465A (ko) 2007-07-04
KR100736392B1 true KR100736392B1 (ko) 2007-07-09

Family

ID=3850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045A KR100736392B1 (ko) 2005-12-29 2005-12-29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96B1 (ko) * 2007-07-13 2009-02-24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능동적 상황 처리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793A (ko) * 2002-06-07 2003-12-18 기한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793A (ko) * 2002-06-07 2003-12-18 기한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465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Mil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neric energy-harvesting framework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a large-scale electronic shelf-labeling wireless sensor network
US20160234799A1 (en) Information broadcasting and interaction system
US67763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device within a wireless network
JP6277856B2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KR20080109128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시스템
WO2012157269A1 (ja) 機器マップ表示装置および機器マップ表示方法
JP2010224701A (ja) センサ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収集方法
KR20150072934A (ko) 전자 태그, 전자 선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2064181A (ja) センサ内蔵無線通信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US81644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communication abnormality in a multi-type air conditioner
KR100736392B1 (ko)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20080096937A (ko)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KR20120035358A (ko) 전자 가격 표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010377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マネージャ及び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タグ収容方法
KR20080068969A (ko) 온도 감지 및 제어 시스템
KR102027281B1 (ko)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반의 고객 요청 사항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10988A (ko) 매장에서 사용되는 고객 디바이스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140052302A1 (en) Method and sensor node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EP3499928A1 (en) Determining signal quality in a low-power wide-area network
JP5174761B2 (ja) 配線端末設定システム
US20080294767A1 (en) Ubiquitous Wireless Network System, Node Modu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Node Module
JP5028319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1268254B1 (ko) 센서노드를 이용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KR100396123B1 (ko) 농수산물.곡물 건조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JP2003309494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並びに状態表示装置及び状態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