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017B1 -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017B1
KR100736017B1 KR1020060110978A KR20060110978A KR100736017B1 KR 100736017 B1 KR100736017 B1 KR 100736017B1 KR 1020060110978 A KR1020060110978 A KR 1020060110978A KR 20060110978 A KR20060110978 A KR 20060110978A KR 100736017 B1 KR100736017 B1 KR 100736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mpensation
advertisement
reward
royal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이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우 filed Critical 이시우
Priority to KR102006011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017B1/ko
Priority to PCT/KR2007/005561 priority patent/WO20080569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공개되는 온라인 저작물에 대하여 이용자가 보상 선택을 하면 광고가 게재되어 광고주의 광고비로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보상하는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은, 광고주의 광고 정보를 전송받고 저장하는 수단; 저작자의 온라인 저작물 및 저작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수단; 온라인 저작물이 게시되고 보상 버튼들 및 보상 리스트를 구비하는 게시 페이지를 제공하는 수단;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맘에 들어 하거나 또는 스크랩하기를 원할 경우 1회의 선택만 가능한 보상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 보상 선택이 선택되면, 이용자 정보 및, 광고 키워드 및 온라인 저작물 키워드 비교에 의하여 선택되는 광고 정보를 게시 페이지내의 보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수단; 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의하여 광고주의 부담으로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보상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저작물의 이용자가 광고 게시 편집권을 가지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저작자의 창작 노고를 평가하여 자기부담 없이 온라인 광고를 이용하여 물질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System and its method for compensating royalty of copyright on online contents using user's editing rights of advertisement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료 보상 서버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등록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저작물 등록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시 페이지 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가 "보상하기" 선택시 제공받는 게시 페이지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가 "스크랩하기" 선택시 제공받는 스크랩된 게시 페이지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료 보상 방법의 전체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등록 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저작물 등록 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 선택 수신 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하기" 선택에 따른 보상 리스트 등록 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하기" 선택에 따른 보상 리스트 등록 단계의 상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시스템 2 : 저작료 보상 서버
3 : 광고주 단말 4 : 저작자 단말
5 : 이용자 단말 21 : 광고 정보 관리 수단
22 : 저작물 정보 관리 수단 23 : 게시 페이지 제공 수단
24 : 보상 선택 수신 수단 25 : 보상 리스트 등록 수단
26 : 저작료 보상 수단 200 : 홈페이지
210 : 광고 DB 220 : 저작물 DB
250 : 회원 DB
본 발명은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콘텐츠를 다수의 이용자에게 공개적으로 제공하고, 특정 이용자가 보상 여부를 결정하여 보상을 선택하면 그 콘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광고 문구가 저작물 게시 페이지에 삽입됨과 동시에 광고주의 광고비가 저작료에 대한 보상으로써 온라인 콘텐츠의 저작자에게 제공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원본의 손상 없이 무한 복제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디지털 음원, 디지털 영화, 디지털 사진, 디지털 이미지 등 디지털 창작물이 끝임 없이 생산되고 유통된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들 중 전문 저작자들로부터 생산되는 고급 콘텐츠는 대부분 전문 서비스업자에 의해 일반 이용자에게 유료로 공개 또는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인터넷 환경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는 온라인 저작물, 예를 들면, 블로그, 커뮤니티, 지식 답변 등에서 일반 사용자가 생산하여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공개적으로 제공되는 문자, 사진, 동영상 게시물 등(일명 UCC)은 대부분 게시자의 사상이나 감정, 지식을 독창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저작물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창작자의 권리가 보호되어야 마땅함에도 포털 등 인터넷 사업자들의 영업 이익만 될 뿐 실질적인 저작자에게는 아무런 대가가 지불되지 않고 있으며, 클릭 한번으로 너무나 쉽게 펌질(복제)해 올 수 있게 운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최근 1인 미디어로 불려지는 블로그 등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소비자에 대한 영향력이 증대(Attention Economy 이론)되면서 일반 사용자들의 저작권 보상에 대한 개념과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최근 온라인 저작물을 생산하는 블로그나 커뮤니티 등의 사이트 운영자(저작자 회원을 모집하여 계정을 부여하는 인터넷사업자 포함)가 인터넷 광고 중개업자의 광고(구글의 애드센스, 야후의 오버추어, 국내의 리얼클릭, 링크프라이스 광고 등)를 호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소스를 자신의 홈 또는 온라인 저작물의 출력부에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는, 광고 호출이 있을 때마다 광고 판매 수익의 일정한 수수료를 배당받아 간접적인 방법에 의하여 저작물 생산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CPC(cost per click)형 키워드 광고 시스템에서는 콘텐츠 이용자 입장에서 광고를 클릭하여 보상을 실시해도 보상 참여 표시를 볼 수 없다. 또 구독자와 무관하게 광고가 미리 표시되어 이용자로부터 거부감이 있고, 게시물 주제와 광고가 정확히 매칭되지 않고, 저작자 측면에서도 보상 단가나 보상 기록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 특히, 광고주 입장에서는 일반 사용자 수익 증대 목적 및 경쟁 사업체의 피해 유발 목적의 부정 클릭(Click Fraud) 문제가 심각하다. 즉, 일반 사용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기반으로 하는 사이트에서 클릭당 과금하는 특성과 일반 사용자들의 수익 증대 욕구가 맞물리는 경우, 광고주의 피해가 커질 우려가 있는 등 전반적으로 위와 같은 일반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소액의 직접적인 저작권 보상 수단으로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서 온라인상에서 타인의 저작물을 스크랩해 가는데에는 전혀 기능하지 못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보상 절차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저작자가 작성하여 공개한 온라인 저작물에 대하여 구독자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구독자가 자유롭게 콘텐츠를 이용하고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의 노고가 인정된다고 할 경우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여 광고 게시의 허락을 조건으로 저작자에게 보상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보상 종류로는 온라인 저작물 구독(감상) 후 감동, 공감 등의 감성적인 요인에 의하여 구독자가 보상 실시를 명령하면 보상이 실시되는 시스템을 만들고 아울러 구독자가 저작 재산권의 하나인 저작물을 복제(스크랩)하는데 따른 대가를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있다.
또한, 이때 지급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이용(구독) 또는 복제의 대가는 광고주의 광고를 온라인 저작물 출력부에 노출해 줌으로써 별도의 광고주 회원이 대신 지불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출력되는 광고는 온라인 저작물의 주제와 일치하는 유형의 광고를 매칭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에 따르면, 온라인 저작물을 제한없이 이용하는 이용자가 저작자의 노고를 인정하여 보상을 선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용자 정보 및 광고 정보를 게시 페이지의 보상 리스트에 삽입하고 광고주의 광고비로부터 지원되는 소정의 저작료를 저작자에게 보상하는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 보상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키워드, 광고 문구, 광고주명 및 광고 링크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전송받고 광고 DB에 저장하는 수단; 저작자 단말로부터 글, 음악, 이미지, 동영상 및 게임과 같은 게시물 콘텐츠를 포함하는 온라인 저작물, 저작물의 키워드, 저작물의 공개 여부 및 보상 여부를 포함하는 저작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작물 DB에 저장하는 수단;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온라인 저작물이 게시되고 보상 버튼들 및 보상 리스트를 구비하는 게시 페이지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게시 페이지에서 개별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맘에 들어 하거나 또는 스크랩하기를 원할 경우 1회의 선택만 가능한 보상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보상 선택이 선택된 경우, 이용자 정보 및, 상기 광고 키워드와 상기 온라인 저작물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순서에 의하여 특정 광고를 선택한 후 대응하는 광고 정보(광고 URL로 링크되는 광고주명 및 광고 문구에 한함)를 게시 페이지내의 보상 리스트에 추가 등록하는 수단; 및 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의하여 광고주의 부담으로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보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저작료 보상 서버를 구비하여 광고를 이용하여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방법에 따르면, 온라인 저작물을 제한없이 이용하는 이용자가 저작자의 노고를 인정하여 보상을 선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용자 정보 및 광고 정보를 게시 페이지의 보상 리스트에 삽입하고 광고주의 광고비로부터 지원되는 소정의 저작료를 저작자에게 보상하는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 보상 방법에 있어서, (S10)저작료 보상 서버가 홈페이지를 통하여 광고주 단말, 저작자 단말 및 이용자 단말로부터 회원 가입 신청을 전송받고 회원 DB에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S20)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정보를 등록받고 광고비를 결제받아 광고 DB에 저장하는 단계; (S30)상기 저작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저작물, 저작물의 키워드 및 그에 대응하는 저작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작물 DB에 저장하는 단계; (S40)상기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대응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게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S50)상기 게시 페이지상에서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맘에 들어 하거나 또는 스크랩하기를 원할 경우 1회의 선택만 가능한 보상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S60)보상 선택이 수신된 경우, 이용자 정보 및, 상기 광고 키워드와 상기 온라인 저작물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추출되는 특정 광고를 선택한 후 대응하는 광고 정보(광고 URL로 링크되는 광고주명 및 광고 문구에 한함)를 게시 페이지내의 보상 리스트에 추가 등록하는 단계; 및 (S70)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의하여 광고주의 부담으로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저작료 보상 서버의 웹페이지 인터페이스상에서 광고를 이용하여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1. 시스템 구성>
1.1 시스템 네트워크 구성
본 발명의 따른 저작료 보상 시스템(1)은 저작료 보상 서버(2), 광고주 단말(3), 저작자 단말(4), 이용자 단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작료 보상 시스템(1)이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저작료 보상 서비스는 저작자가 배포 목적으로 등록한 온라인 저작물을 다수의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평가하여 저작자의 수고가 인정된다고 판단할 경우 보상 선택을 하여 저작료 보상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저작료 보상금은 이용자 본인 부담 또는 광고주 대신 부담이 가능하다. 이용자 본인 부담의 경우, 이용자가 보상 선택을 하면 이용자 정보가 저작물 게시 페이지에 리스트 형태로 등록된다. 그리고 광고주 대신 부담의 경우, 이용자 정보와 더불어 저작물에 대응하는 광고가 선택되어 그 리스트에 등록된다. 등록된 광고는 게시 페이지에 접근하는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이용자 정보의 등록은 어느 이용자에 의하여 보상금이 발생하였는지 그 내역을 공개하는 것이다. 즉, 보상 실시의 주체는 반드시 이용자이나 저작료 부담의 주체는 이용자 또는 광고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의 보상 선택 여부에 따라 광고 게시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광고 게시 편집권을 갖는 이용자의 저작물 평가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물론, 보상 선택 여부와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은 아무련 관련이 없다.
홈페이지(201)에서는 광고를 희망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주 단말(3)을 이용하여 광고 키워드, 광고 문구, 광고주명 및 광고 링크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렇게 등록된 광고 정보는 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의하여 온라인 저작물이 제공되는 게시 페이지 내에 삽입되어 온라인 저작물의 이용자들에게 제공된다. 이용자의 보상 선택시마다 추가되는 광고는 게시 페이지 내에 위치하는 보상 리스트에 추가된다. 따라서, 온라인 저작물의 게시 페이지를 제공받은 이용자들은 보상 리스트를 통하여 어느 이용자가 보상을 실시하였고 어느 광고주가 저작료를 보상하였는지 그 내역들을 확인할 수 있다. 보상 리스트에는 매 건의 보상이 발생할 때마 다 이용자 정보(이용자의 저작료 부담시) 또는 이용자 정보 + 광고 정보(광고주의 저작료 대신 부담시)가 추가되기 때문에 많은 이용자로부터 보상이 선택될 때마다 그 데이터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보상이 많이 선택된 온라인 저작물은 다수의 이용자로부터 인기가 있거나 유용하다고 검증된 저작물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보상 리스트의 데이터가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보상 선택에 의하여 증가할 경우 게시 페이지를 브라우저상에 표시하는데 있어서 속도가 느려지거나 이용자의 이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지원하고자 무분별하게 광고의 게재를 허용하기보다는 저작료 보상의 주체로서 최소한의 광고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제한을 가한다. 따라서, 보상 리스트에 등록되는 1건의 광고 정보는 광고주명, 광고 문구만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보상 리스트에 등록될 수 있는 전체 데이터량에 제한을 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체 건수에 제한을 가하거나 저작자에게 제공되는 저작료에 제한을 가하고 이 제한이 초과되는 경우 더 이상의 보상은 불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광고의 선정은 광고주가 등록하는 광고 키워드와 저작자가 등록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그 일치 정도가 높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일치 정도를 먼저 비교하고, 일치 정도가 같은 경우라면 먼저 등록한 광고를 우선시하고 그 다음으로 저작료를 높게 책정한 광고를 우선시한다. 이 선정 작업은 사전 비교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를 차례로 선정할 수도 있으나 실시간 등록되는 광고를 포함하고자 실시간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사업 정책의 수립에 따라서 광고주가 특정 온라인 저작물을 선택하고 저작자가 이 에 동의하여 광고를 선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을 설계 변경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다만, 이 같은 경우에는 상업적 목적이 우선시되어 이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도 있다.
전술한 광고 등록이 선행되면 홈페이지(201)에서는 저작자로부터 온라인 저작물을 등록받는다. 본 발명에서의 온라인 저작물에는 글, 음악, 이미지, 애니메이션, 동영상 및 게임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이며 특정 제한을 두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가 있다. 등록시 저작자는 온라인 저작물의 키워드, 공개 범위, 보상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자가 보상 여부를 허용한 상태에서 공개 범위를 전체 회원 사용자로 확대할 경우 보다 많은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작자가 키워드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광고 선정시의 키워드 비교를 위하여 저작자가 등록한 온라인 저작물의 제목, 내용을 자동 검색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자동 키워드 추출은 저작자가 글을 작성하여 등록한 경우 보다 용이할 것이다.
1.2 저작료 보상 서버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료 보상 서버(2)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이 내부 구성의 설명에서 이해를 돕고자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료 보상 서버(2)는 광고 정보 관리 수단(21), 저작물 관리 수단(22), 게시 페이지 제공 수단(23), 보상 선택 수신 수단(24), 보상 리스트 등록 수단(25) 및 저작료 보상 수단(26)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 이 외에 DBMS 구축을 통하여 광고 DB(210), 저작물 DB(220), 회원 DB(250) 및 기타 다수의 DB들을 포함한다. 상기의 수단들은 홈페이지(20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광고주 단말(3), 저작자 단말(4) 및 이용자 단말(5)을 대상으로 전술한 저작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광고 정보 관리 수단(21)은 광고주 단말(3)이 전송하는 광고 정보를 전송받고 광고 DB(210)에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광고주는 광고 등록 페이지상에서 광고 키워드, 광고 문구 등을 입력한다. 광고 문구 또는 광고주명은 게시 페이지내의 보상 리스트에 추가되고 이들 각각에는 광고 링크 주소가 연결되어 있다. 광고 링크 주소는 광고 제품 페이지, 광고주 홈페이지, 광고 파일의 재생 페이지와 연계된다.
상기 저작물 정보 관리 수단(22)은 저작자 단말(4)이 전송하는 저작물 및 그 정보를 전송받고 저작물 DB(220)에 저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작자는 키워드를 등록하여 저작물의 검색 또는 광고 선정을 위한 키워드 비교를 위하여 사용되게 한다. 여기서, 저작자가 온라인 저작물의 등록시 키워드를 등록하지 않으면 키워드 자동 추출 기능에 의하여 저작물의 제목 및 내용으로부터 키워드를 자동 추출하여 저작물 DB에 등록한다. 또한, 저작자는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보상 여부, 스크랩 여부, 댓글 허용 여부, 검색 허용 여부 및 RSS 배포 여부 등을 설정한다.
상기 게시 페이지 제공 수단(23)은 이용자 단말(5)로부터 게시 페이지의 요청을 받고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응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게시 페이지를 통하여 이용자는 저작물을 조회, 재생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저작자가 글을 등록한 것으 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 등록이 가능하다. 게시 페이지 내에는 "댓글쓰기", "보상하기", "스크랩하기"와 같은 버튼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의 보상 선택은 "보상하기"와 "스크랩하기"가 존재한다. 양자 모두 이용자의 평가에 의하여 저작자의 수고가 인정되어 소정의 저작료가 저작자에게 보상되는 것을 유발한다. "보상하기"는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이용(파일 형식에 따른 구독, 감상, 재생, 실행 등)한 후 맘에 든다고 판단할 때 누르는 버튼이고, "스크랩하기"는 이용자가 자신의 게시 페이지로 스크랩하길 원할 경우 누르는 버튼이다. 사업 실시 정책의 수립에 따라 양자의 저작료 보상 요금을 차별화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들 버튼 각각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른 고유한 처리 루틴이 대응되고 각각의 버튼에 할당된 처리 루틴을 정의하는 소스는 외부로 배포될 수 있다. 만약, 외부 서버로 배포된 상태에서 특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대응되는 소스 실행에 따른 처리는 저작료 보상 서버(2)가 버튼 선택을 수신하여 보상을 수행한다.
상기 보상 선택 수신 수단(24)은 이용자 단말(5)로부터 게시 페이지에서 개별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맘에 들어 하거나 또는 스크랩하기를 원할 경우 1회의 선택만 가능한 보상 선택을 수신한다. 보상하기 버튼 수신 기능(241) 및 스크랩하기 버튼 수신 기능(242)은 이용자의 버튼 선택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업 실시 정책에 의하여 모든 저작료 부담은 무조건 광고주 대신 부담으로 할 수 있거나 또는 이용자가 저작료 부담의 주체를 선택(이용자 본인 또는 광고주)하게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라면 버튼 선택을 수신한 후 이용자 에게 저작료의 지불 주체를 선택하라는 안내를 제공하여 그 선택을 수신한다.
상기 보상 리스트 등록 수단(25)은 보상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보상 실시자 및 저작료 보상자의 정보를 게시 페이지내 하단의 보상 리스트에 추가한다. 이용자 정보 추출 기능(251)은 보상 선택을 한 이용자 정보를 회원 DB(250)로부터 추출한다. 이용자 정보 표시 여부 판단 기능(252)은 이용자가 보상 선택시 자신의 정보를 공개하지 말거나 일부 공개할 것으로 선택한 경우 그 공개 수위를 판단한다. 만약, 광고주 회원이 직접 광고를 등록하고자 보상을 선택한 경우 보상 실시자 정보를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 기능(253)은 저작물 DB(220)로부터 저작물의 키워드를 추출한다. 광고 선정 기능(254)은 추출된 저작물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 DB(210)내의 광고 키워드와 비교하여 그 일치 정도가 높은 광고를 선정한다. 여기서, 사업 실시 정책에 따라서 한번 선정된 광고는 다음번 선정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상 리스트 추가 기능(255)은 추출된 이용자 정보와 선정된 광고 정보를 보상 리스트에 추가한다. 도 6은 "보상자 표시부"에 이용자 정보로서 "구독자 ID" 및 광고 정보로서 "광고 문구", "광고주명"을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다. 여기서, "광고 문구" 또는 "광고주명"에는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 링크와 연계되어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팝업 광고창, 광고 파일의 재생과 같은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용자로부터 "스크랩하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보상 리스트 등록이 완료되면 당해 건의 보상 내역은 스크랩된 이용자의 페이지에 등록된다. 이 스크랩된 페이지에서도 "보상하기" 및 "스크랩하기" 버튼은 존재하며 방문자에 의하여 이 버튼이 눌려지면 원 게시 페이지에서 선택이 가능함을 알린 후 원 게시 페이지 링크를 표시한다. 그리고 방문자가 이 링크를 선택하면 원 게시 페이지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상 선택이 발생할 때마다 보상 리스트에 데이터가 추가되면 나중에 게시 페이지를 방문하는 이용자는 그 크기 때문에 화면 표시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또한, 온라인 저작물을 이용하는 것이 주목적인 대다수 이용자들은 보상 리스트에 등록된 수많은 보상 내역에 대하여 오히려 거부감이 들 수 있다. 이에 보상 리스트내의 용량을 관리하는 것이 선호된다. 예를 들면, 보상 리스트에 등재될 수 있는 데이터 건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용량을 초과할 경우 보상 리스트에 등재되지는 않으나 보상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작자가 제공받는 저작료에 상한치를 두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상한치가 초과되면 더 이상의 보상은 불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량 관리는 사업 실시 정책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보상 선택이 발생할 때 보상 내역 데이터의 추가에 따른 보상 리스트 화면을 예시하고, 도 7은 "스크랩하기"가 선택되어 저작자의 저작물이 이용자의 게시 페이지로 스크랩된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저작료 보상 수단은 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의하여 발생된 1회 건의 저작료를 저작자의 기존 저작료에 누적한다. 저작료의 지불 주체는 위에서 사업 실시 정책에 의하여 광고주 또는 이용자가 부담하는 것으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광고주 대신 부담 기능(261)은 광고주의 광고비로부터 1회 건의 저작료를 차감하고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보상한다. 또한, 이용자 본인 부담 기능(262)은 이용자의 적립금(본인의 저작료 보상 누적금)에서 1회 건의 저작료를 차감하고 저작자에게 보상한다.
1.3 화면 예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가 제공받는 광고 등록 화면을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자가 제공받는 온라인 저작물 등록 화면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가 제공받는 게시 페이지 화면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가 "보상하기" 선택시 제공받는 게시 페이지 화면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가 "스크랩하기" 선택시 제공받는 스크랩된 게시 페이지 화면을 예시한다.
상기 도 3 내지 도 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 기재한 도 2의 구성 요소 수단에서 이미 설명하였기에 생략한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방법은 전술한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1)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료 보상 방법의 전체 순서를 도시한다.
저작료 보상 서버(2)의 홈페이지(201)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고주 단말(3), 저작자 단말(4) 및 이용자 단말(5)의 접속을 수신하고 회원 가입 신청을 받아 회원 등록을 처리한다(S10).
광고주는 저작료 보상 서버(2)에 광고정보를 등록하고 광고비를 결제한 다(S20). 단계(S20)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광고주는 광고 안내 페이지를 통하여 광고 등록 방법 및 광고비에 대한 안내를 제공받는다(S21). 광고주가 광고 등록을 선택하면(S22), 도 3에서 예시한 광고 등록 페이지를 제공받는다(S23). 광고 등록 페이지를 통하여 광고주는 광고 키워드, 광고 문구, 광고주명 광고 링크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입력하고(S24), 확인 버튼을 누르면(S25) 당해 광고 정보가 광고 DB(210)에 저장되고 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키워드 비교된다(S26).
저작자는 저작료 보상 서버(2)에 온라인 저작물 및 저작물 정보를 등록한다(S30). 단계(S30)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서 예시한 저작물 등록 페이지를 제공받고(S31) 온라인 저작물 키워드를 입력한다(S32). 그리고 저작물 공개 여부(비공개, 이웃공개, 전부공개), 보상 허용 여부, 스크랩 보상 허용 여부, 댓글 허용 여부, 검색 허용 여부, RSS 배포 여부를 포함하는 저작물 정보를 선택하여 입력한다(S33). 데이터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S34) 저작물 정보를 저작물 DB(220)에 저장하고 온라인 저작물이 게재되는 게시 페이지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한다(S35). 만약, 상기 단계(S32)에서 저작자가 온라인 저작물의 키워드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저작물의 제목 및 내용으로부터 키워드를 자동 추출하여 저작물 DB에 등록한다.
이용자가 저작료 보상 서버(2)에 로그인한 후 특정 온라인 저작물의 제공을 요청하면 도 5에서 예시한 게시 페이지를 제공받는다(S40). 게시 페이지는 온라인 콘텐츠가 게시되며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이용(구독, 감상, 재생, 실행 등)한 후 맘에 들 경우 선택하는 보상하기 버튼 및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자신의 웹페이지로 스크랩하고자 선택하는 스크랩하기 버튼(스크랩 보상하기 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보상하기 버튼 또는 스크랩하기 버튼이 눌러지는 보상 선택이 발생하면 이용자 정보 및 광고 정보가 추가되는 보상 리스트를 구비한다.
게시 페이지를 제공받은 후, 이용자는 온라인 저작물을 평가하여 저작자의 수고를 인정할 경우 보상 선택을 한다(S50). 단계(S50)를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용자는 보상 선택으로서 보상하기 또는 스크랩하기 버튼을 선택한다(S51). 버튼이 선택되면 각각의 보상에 대한 안내문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S52). 안내문을 확인한 이용자가 보상을 최종 승인하면(S53) 보상 선택의 정보가 저작료 제공 서버(S54)로 전송된다. 여기서, 보상 선택이 이루어진 후 저작료 보상 서버(2)는 이용자가 보상 선택을 하면 저작료 부담을 광고주가 대신 부담하는 것으로 할 것인지 또는 이용자 본인 부담으로 할 것인지를 문의한다. 이용자가 본인 부담으로 할 것을 선택하면 이용자의 적립금으로 저작자에게 보상 처리한다.
보상 선택이 발생한 후, 저작료 보상 서버(2)는 저작물의 키워드로 광고 DB(210)에 저장된 광고 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서 특정 광고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광고 정보와 이용자 정보를 게시 페이지내의 보상 리스트에 등록한다(S60). 상기 단계(S60)에서 보상하기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저작료 보상 서버(2)는 이용자 단말(5)로부터 보상하기 명령을 수신한다(S61). 그리고 저작물 키워드와 광고주 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 정도를 판단한다(S62). 일치도가 가장 높은 특정 광고가 선택되면 당해 광고 또는 광 고주가 게시 페이지에 처음 등록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S63). 처음 등록되는 경우 보상을 실시하는 이용자가 이전에 동일한 저작물에 대하여 보상을 실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 처음으로 실시하는 이용자라면, 이용자 정보(이용자명) 및 해당 광고의 광고주명, 광고 문구와 같은 광고 정보를 보상 리스트에 추가한다(S65). 물론, 보상 리스트에 추가되는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표시가 생략(일부 표시 가능)될 수 있고, 이용자가 자신의 부담으로 저작료를 지불할 것을 선택한 경우, 광고 정보 등록없이 이용자 정보만이 보상 리스트에 등록된다. 보상 선택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데이터량이 증가하는 보상 리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용량 관리가 요구된다. 여기서, 보상 선택이 발생할 때마다 이용자는 최초의 보상 실시일 것이 요구되고 광고주 또한 중복을 배제하는 광고 등록만이 요구되기 때문에 저작자나 광고주가 이용자의 입장에서 보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물론,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저작자나 광고주가 이용자로서 보상 선택을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S60)에서 스크랩하기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저작료 보상 서버(2)는 이용자 단말(5)로부터 스크랩하기 명령을 수신한다(S601). 그리고 저작물 키워드와 광고주 키워드를 비교하여 특정 광고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602), 광고가 선택되지 않으면 이용자는 본인 부담으로 스크랩하기를 할 수 있다. 광고가 선택되면 보상을 실시하는 이용자가 이전에 동일한 저작물에 대하여 스크랩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3). 처음으로 스크랩하는 이용자라면, 이용자 정보(이용자명) 및 해당 광고의 광고주명, 광고 문 구와 같은 광고 정보를 보상 리스트에 추가하고, 저작물이 스크랩되는 이용자의 게시 페이지에도 이용자 정보와 광고 정보를 등록한다(S604). 이 게시 페이지에서 다른 방문자가 보상하기 또는 스크랩하기를 선택할 경우 스크랩된 온라인 저작물임을 알리고 원 저작물이 제공되는 게시 페이지로 링크시킨다.
보상 또는 스크랩이 완료되면 당해 발생된 보상 선택 건에 대하여 저작료를 산정하여 저작자에게 보상한다(S70).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광고주 대신 부담을 원칙으로 하기에 광고주의 광고비(적립금)를 차감하여 저작자에게 제공한다. 만약, 이용자가 본인 부담을 선택한 경우라면 이용자의 적립금(본인의 저작료 보상 누적금)을 차감하여 저작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광고주가 직접 보상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광고주가 직접 특정 온라인 저작물을 선택하고 보상실시 또는 스크랩하기의 보상 선택을 한 후 소정의 광고비를 지불하여 자신의 광고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광고주에게는 보다 높은 비용의 저작료 보상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은, 온라인 콘텐츠의 이용자가 객관적인 입장에서 저작자의 창작 노고를 평가하여 자기부담 없이 온라인 광고 삽입 여부를 판단하여 물질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저작 재산권의 대상이 되는 온라인 저작물의 스크랩(복제) 행위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상이 발생되면 그 보상을 야기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권 보상 실시자와 저작료 부담자를 명확하기 표시하고 광고 정보를 등록하여 CPA(Cost Per Attachment) 형식의 새로운 광고형태를 제공한다.
또한, 이용자와는 무관하게 광고를 미리 노출하는 종래의 광고 방식이 아니라 이용자의 온라인 저작물 보상 선택에 의하여만 광고가 게재되게 하여 이용자의 저작물 이용을 보호하는 거부감 없는 광고 실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광고주 입장에서는 보상을 실시한 이용자 및 게시물이 특정되어 투명하고 효율적인 광고 집행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일반 네티즌이 작성한 온라인 저작물을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하고, 또 스스로 타인의 저작물 소비에 대하여 보상을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 문화를 전파하고 고취시킨다.

Claims (17)

  1. 온라인 저작물을 제한없이 이용하는 이용자가 저작자의 노고를 인정하여 보상을 선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용자 정보 및 광고 정보를 게시 페이지의 보상 리스트에 삽입하고 광고주의 광고비로부터 지원되는 소정의 저작료를 저작자에게 보상하는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 보상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키워드, 광고 문구, 광고주명 및 광고 링크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전송받고 광고 DB에 저장하는 수단;
    저작자 단말로부터 글, 음악, 이미지, 동영상 및 게임과 같은 게시물 콘텐츠를 포함하는 온라인 저작물, 저작물의 키워드, 저작물의 공개 여부 및 보상 여부를 포함하는 저작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작물 DB에 저장하는 수단;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온라인 저작물이 게시되고 보상 버튼들 및 보상 리스트를 구비하는 게시 페이지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게시 페이지에서 개별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맘에 들어 하거나 또는 스크랩하기를 원할 경우 1회의 선택만 가능한 보상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보상 선택이 선택된 경우, 이용자 정보 및, 상기 광고 키워드와 상기 온라인 저작물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순서에 의하여 특정 광고를 선택한 후 대응하는 광고 정보(광고 URL로 링크되는 광고주명 및 광고 문구에 한함)를 게시 페이지내의 보상 리스트에 추가 등록하는 수단; 및
    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의하여 광고주의 부담으로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보상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저작료 보상 서버를 구비하여 광고를 이용하여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료 보상 서버는,
    이용자가 상기 보상 선택을 한 상태에서 자신의 부담으로 저작료를 지불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 광고 정보 등록없이 상기 이용자 정보만을 상기 보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 DB에 저장하는 수단은,
    저작자가 온라인 저작물의 등록시 키워드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저작자가 등록한 제목, 온라인 저작물의 내용으로부터 키워드를 자동 추출하여 저작물 DB에 등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은,
    상기 게시 페이지에서,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이용(구독, 감상, 재생, 실행 등)한 후 맘에 들 경우 선택하는 보상하기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는 기능; 및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자신의 웹페이지로 스크랩하고자 선택하는 스크랩하기 버튼의 선택을 수신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선택을 수신하는 수단은,
    이용자의 보상 선택 이후에 저작료 부담을 이용자 부담으로 할 것인지 또는 광고주 대신 부담으로 할 것인지 여부를 추가로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수단은,
    회원 DB로부터 보상을 선택하는 이용자의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추출된 이용자 정보를 보상 리스트에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를 생략(일부 표시 가능)하는 기능;
    광고 DB로부터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고 저작물 DB로부터 저작물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능;
    추출된 상기 광고 키워드와 온라인 저작물 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순서에 의하여 게재될 특정 광고를 선택하는 기능; 및
    추출된 상기 이용자 정보 및 선택된 상기 광고의 광고 정보를 보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수단은,
    보상 리스트에 추가되는 데이터 제한을 위하여
    보상 리스트의 전체 데이터 건수를 초과하거나 또는 이미 저작자에게 정해진 한도 저작료를 초과하는 경우 보상을 불허하고 불허 이유를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저작료를 보상하는 수단은,
    이용자가 본인 부담 보상을 선택할 경우, 이용자의 적립금(본인 저작료 보상 누적금)을 차감하여 소정의 저작료를 저작자에게 보상하는 기능; 및
    이용자가 광고주 대신 보상을 선택할 경우, 광고주의 광고비로부터 소정의 저작료를 차감하여 저작자에게 보상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료 보상 서버는,
    이용자가 저작자의 게시 페이지로부터 온라인 저작물을 스크랩한 경우, 이용자의 스크랩된 게시 페이지에는 스크랩된 온라인 저작물과 스크랩 당시의 보상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 정보가 등록되고, 타 이용자가 스크랩된 게시 페이지에서 보상 선택을 하면 원 게시 페이지로 링크하여 보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시스템.
  10. 온라인 저작물을 제한없이 이용하는 이용자가 저작자의 노고를 인정하여 보상을 선택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용자 정보 및 광고 정보를 게시 페이지의 보상 리스트에 삽입하고 광고주의 광고비로부터 지원되는 소정의 저작료를 저작자에게 보상하는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 보상 방법에 있어서,
    (S10)저작료 보상 서버가 홈페이지를 통하여 광고주 단말, 저작자 단말 및 이용자 단말로부터 회원 가입 신청을 전송받고 회원 DB에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S20)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정보를 등록받고 광고비를 결제받아 광고 DB에 저장하는 단계;
    (S30)상기 저작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저작물, 저작물의 키워드 및 그에 대응하는 저작물 정보를 전송받아 저작물 DB에 저장하는 단계;
    (S40)상기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대응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게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S50)상기 게시 페이지상에서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맘에 들어 하거나 또는 스크랩하기를 원할 경우 1회의 선택만 가능한 보상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S60)보상 선택이 수신된 경우, 이용자 정보 및, 상기 광고 키워드와 상기 온라인 저작물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추출되는 특정 광고를 선택한 후 대응하는 광고 정보(광고 URL로 링크되는 광고주명 및 광고 문구에 한함)를 게시 페이지내의 보상 리스트에 추가 등록하는 단계; 및
    (S70)이용자의 보상 선택에 의하여 광고주의 부담으로 저작자에게 저작료를 보상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저작료 보상 서버의 웹페이지 인터페이스상에서 광고를 이용하여 온라인 저작물의 저작료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는,
    상기 저작료 보상 서버가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선정을 위한 광고 키워드, 광고 문구, 광고주명, 광고 링크 및 광고비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전송받고 광고 DB에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는,
    상기 저작료 보상 서버가 상기 저작자 단말로부터 온라인 저작물 파일, 광고 키워드와 비교되는 저작물 키워드, 저작물 보상 허용 여부, 스크랩 보상 허용 여부를 포함하는 저작물 정보를 전송받고 저작물 DB에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13.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는,
    저작자가 온라인 저작물의 등록시 키워드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저작자가 등록한 제목 및 온라인 저작물의 내용으로부터 키워드를 자동 추출하여 저작물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는,
    상기 저작료 보상 서버는,
    온라인 콘텐츠가 게시되며,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이용(구독, 감상, 재생, 실행 등)한 후 맘에 들 경우 선택하는 보상하기 버튼 및 이용자가 온라인 저작물을 자신의 웹페이지로 스크랩하고자 선택하는 스크랩하기 버튼을 구비하고,
    이용자에 의하여 보상이 선택될 때마다 이용자 정보 및 광고 정보가 추가되는 보상 리스트를 구비하는 상기 게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0)는,
    상기 저작료 보상 서버가 보상 선택을 수신하면, 저작료 부담을 광고주 대신 부담으로 할 것인지 또는 이용자 본인 부담으로 할 것인지를 문의하고, 이용자 본인 부담일 경우 본인 적립금(본인 저작료 누적 보상금)으로 보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0)는,
    상기 보상 리스트에 추가되는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표시가 생략(일부 표시 가능)될 수 있고, 이용자가 자신의 부담으로 저작료를 지불할 것을 선택한 경우, 광고 정보 등록없이 상기 이용자 정보만을 상기 보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70)는,
    광고주가 직접 특정 온라인 저작물을 선택하고 보상 선택을 선택한 후 소정의 광고료를 지불하여 보상 리스트에 광고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료 보상 방법.
KR1020060110978A 2006-11-10 2006-11-10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 KR100736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978A KR100736017B1 (ko) 2006-11-10 2006-11-10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
PCT/KR2007/005561 WO2008056922A1 (en) 2006-11-10 2007-11-05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royalty of copyright on online contents using user's editing rights of advertis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978A KR100736017B1 (ko) 2006-11-10 2006-11-10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017B1 true KR100736017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978A KR100736017B1 (ko) 2006-11-10 2006-11-10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36017B1 (ko)
WO (1) WO200805692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44A (ko) * 2000-05-03 2001-11-14 김성원 유료콘텐츠 제공방법 및 유료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010114002A (ko) * 2000-06-20 2001-12-29 허명구 인터넷상의 유료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6003B1 (en) * 2000-06-22 2005-12-13 Wk Networks, Inc. Advertising, compensation and service hos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44A (ko) * 2000-05-03 2001-11-14 김성원 유료콘텐츠 제공방법 및 유료콘텐츠 제공시스템
KR20010114002A (ko) * 2000-06-20 2001-12-29 허명구 인터넷상의 유료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56922A1 (en)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807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JP4959788B2 (ja) コンテキスト広告/情報のマッピングのヒット率の向上のための広告/情報露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キスト広告/情報推薦サービスシステム
Dvir et al. When less is more: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consumer behavior and information provision on commercial landing pages
US20110173102A1 (en) Content sensitive point-of-sale system for interactive media
WO2009046434A1 (en) Collaborative production of rich media content
JP2010511961A (ja) 広告仲介サイトを利用した電子広告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60080154A (ko) 경쟁 광고 운영 방법
JP2008040788A (ja) Rss広告配信方法、rss広告配信装置
JP2014041596A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08287721A (ja) ブログのレビューログを用いたppp方法及びpppシステム
US201001313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and content interactions
JP2007065951A (ja) 広告ポイント預託方法、および広告ポイント預託システム
JP2006195974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広告の目標とされた表示を管理するプラットフォーム
JP4764224B2 (ja) 有料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閲覧による報酬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1098977A1 (fr) Systeme de signets
KR101070604B1 (ko)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용 맞춤형 광고 방법
KR100736017B1 (ko) 이용자의 광고 게시 편집권을 이용하는 온라인 저작물의 보상 시스템 및 그 저작료 보상 방법
KR20110024313A (ko) 에스크로 결제 방식을 이용한 쌍방향 선택 온라인 광고 시스템
Karson et al. THE BROADENED CONCEPT OF DIRECT MARKETING ADVERTISING.
KR101070741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을 이용하는 광고 방법
KR100379977B1 (ko) 인터넷상의 유료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24686A (ko)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92787A (ko) 키워드 광고 콘텐츠를 호출할 수 있는 상업적 태그 집합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디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Abd Halim Matching Contextual Ads and Web Page Contents through Computational Advertising: Getting the Best Match
Work et al. The Law Firm Internet Marketing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