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842B1 -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842B1
KR100735842B1 KR1020050080489A KR20050080489A KR100735842B1 KR 100735842 B1 KR100735842 B1 KR 100735842B1 KR 1020050080489 A KR1020050080489 A KR 1020050080489A KR 20050080489 A KR20050080489 A KR 20050080489A KR 100735842 B1 KR100735842 B1 KR 10073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change
conveying apparatus
postur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849A (ko
Inventor
가즈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츠바키 야마큐 체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바키 야마큐 체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바키 야마큐 체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Abstract

반송 시스템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비틀림 방향)으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거의 직교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를 적어도 구비하므로, 반송띠의 비틀림을 완만하게 설정할 수 있고, 반송물의 자세 제어를 무리 없이 행할 수 있고, 반송띠의 장력을 저감할 수 있다. 반송띠 자체의 부하나, 반송띠의 이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나, 소모 등을 억제할 수 있고, 경제적 부담도 저감되며, 구성이 간소하고, 메인터넌스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반송 효율도 좋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반송 시스템, 반송띠,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 보내기용 연장부, 받기용 연장부, 중간 반송장치, 반송면

Description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CONVEYING SYSTEM HAVING AN ATTITUDE CHAN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송입(送入) 컨베이어(E)로부터의 반송물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반송하고, 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로부터 보내기용 연장부(A1) 및 중계장치(D)를 통해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에 반송하고,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로부터 송출 컨베이어(F)에 반송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송입 컨베이어(E)로부터의 반송물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반송하고, 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로부터 보내기용 연장부(A1) 및 중간 반송장치(C) 및 받기용 연장부(B1)를 통해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에 반송하고,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로부터 송출 컨베이어(F)에 반송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송입 컨베이어(E)로부터의 반송물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반송하고, 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로부터 보내기용 연장부(A1) 및 중계장치(D)를 통해 중간 반송장치(C)에 반송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송 입 컨베이어(E)로부터의 반송물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반송하고, 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로부터 보내기용 연장부(A1)를 통해 중간 반송장치(C)에 반송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중간 반송장치(C)로부터의 반송물을, 받기용 연장부(B1) 및 중계장치(D)를 통해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에 반송하고,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로부터 송출 컨베이어(F)에 반송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중간 반송장치(C)로부터의 반송물을, 받기용 연장부(B1)를 통해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에 반송하고,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로부터 송출 컨베이어(F)에 반송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보내기용 연장부(A1) 및 중계장치(D)부분에 있어서의 반송물의 반송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일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중계장치(D)부분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중계장치(D)부분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며, 중계장치(D)부분을 도시한다.
도 11은,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예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며, 반송물이 정립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2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예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며, 반송물이 기운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은,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예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며, 반송물이 횡전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14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연계 수단을 예시하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15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연계 수단을 예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은,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레일 지지체(H1) 부분을 예시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가이드 레일(G) 부분을 예시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가이드 레일(G) 부분을 예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다른 주행 체인(20)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병, 캔, 페트병 등에 넣어진 음료품이나, 식품, 의약 품, 그 밖의 반송물을 반송하는 동시에, 이들 반송물의 자세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측부를 끼움으로써 유지되어 있는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비틀림 방향)에서의 자세를 점차 변경(예를 들면, 정립 상태로부터 횡전 상태로, 횡전 상태로부터 정립 상태로, 횡전 상태로부터 도립 상태로, 또는, 도립 상태로부터 횡전 상태로 등)시켜서 반송할 수 있고, 반송물의 자세 제어를 무리 없이 행할 수 있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평2-137321호 공보(도 1)에 개시된 것 같은 용기반전 장치가 있다. 이 용기반전 장치는, 입구 컨베이어와 출구 컨베이어의 각각의 단부 양측에 설치한 풀리에, 용기를 끼워 넣어 반송하는 엔드리스 평벨트를 비스듬히 교차하여 걸고(crossed belt or crossed belting), 연속 운전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용기반전 장치에 있어서는, 비스듬히 교차되는 엔드리스 평벨트는, 반송물이 되는 용기가 입구 컨베이어와 출구 컨베이어의 사이에서 반전(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180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히 비틀어진 상태로 비스듬히 교차하지 않으면 안 되고, 더군다나, 반송물이 되는 용기의 낙하를 막기 위해서도 엔드리스 평벨트의 장력을 높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엔드리스 평벨트 자체로의 부하나, 엔드리스 평벨트의 이동 저항이 커지고, 나아가서는, 소음이 생기기 쉽고, 소모가 심하고,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엔드리스 평벨트의 비틀림 상태를 완만하게 하면, 반전 장치부분의 길이가 길어져, 반송 시스템 전체의 레이 아웃이 한정되거나, 엔드리스 평벨트에 가해지는 장력을 크게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반송띠의 비틀림을 완만하게 설정하고, 반송물의 자세 제어를 무리 없이 행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송띠의 장력을 저감시켜, 반송띠 자체로의 부하나 이동 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소음이나 소모를 억제해서 경제적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소하며,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송 효율이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의 실현을 향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을 요지 구성으로 하는 발명에 생각이 미쳤다.
즉, 본 발명은,
(1)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挾壓)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 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적어도 구비하는 반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반송띠의 비틀림을 완만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반송물의 자세 제어를 무리 없이 행할 수 있고, 또한, 반송띠의 장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반송띠 자체로의 부하나, 반송띠의 이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나, 소모 등을 억제할 수 있고, 경제적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더군다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이 간소하게 되고,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송 효율도 좋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2)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의해 자세 변경한 반송물을, 그 자세 그대로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까지 반송하는 중간 반송장치을 적어도 구비하는 반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반송띠의 비틀림을 완만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반송물의 자세 제어를 무리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반송띠의 장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반송띠 자체로의 부하나, 반송띠의 이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나, 소모 등을 억제할 수 있고, 경제적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더군다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이 간소하게 되고,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송 효율도 좋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중간 반송장치에 의하여, 반송 시스템 전체의 레이 아웃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설치 조건에 따른 대응이 가능해 지고, 또, 반송 시스템 전체를 컴팩트하게 레이 아웃할 수 있고, 공간 절약화에 적합한 것이 된다.
또,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한 쪽의 반송띠의 일부를 연장한 보내기용 연장부를 적어도 설치하고,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한 쪽의 반송띠의 일부를 연장한 받기용 연장부를 적어도 설치하고, 이들 보내기용 연장부와 받기용 연장부의 각각을, 상기 중간 반송장치의 단부의 상방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의해 자세 변경된 반송물을, 보내기용 연장부에 의해 중간 반송장치에 스무스하게 보낼 수 있게 되고, 또, 중간 반송장치에서 반송된 반송물이, 받기용 연장부에 의해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스무스하게 받아지게 된다. 더군다나, 간소한 구성이며, 특별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동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 본 발명은,
(3)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의 일부를 연장한 보내기용 연장부 혹은 받기용 연장부를 설치하고,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의 일부를 연장한 받기용 연장부 혹은 보내기용 연장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반송체의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부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의 이동이나, 반송체의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부터 중간 반송장치로의 이동이나, 반송체의 중간 반송장치로부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의 이동이나, 반송체의 송입 컨베이어로부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의 이동이나, 반송체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부터 송출 컨베이어로의 이동 등을, 간소한 구성에 의해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군다나, 특별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동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4)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의 일부를 연장한 보 내기용 연장부를 설치하든지, 또는,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의 일부를 연장한 받기용 연장부를 설치하고,
상기 보내기용 연장부 혹은 받기용 연장부가,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 및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다른 쪽의 반송띠의 단부의 상방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시스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반송체의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부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로의 이동을, 간소한 구성에 의해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군다나, 특별한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동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상기 (1)∼(4)에 기재된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의 사이, 또는, 적어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중간 반송장치의 단부와의 사이, 또는, 적어도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중간 반송장치의 단부와의 사이에, 중계장치를 배치하고, 적어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다른 쪽의 반송띠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다른 쪽의 반송띠, 또는, 적어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다른 쪽의 반송띠와 중간 반송장치의 반송면 및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다른 쪽의 반송띠와 중간 반송장치의 반송면이,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각각 단차 없는 연속된 반송면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사이, 또는,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중간 반송장치 단부의 사이, 또는,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와 중간 반송장치 단부의 사이에 있어서, 반송물을 덜 컹거리지 않고, 보다 스무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에 대해서, 도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로, 음료품(예를 들면, 페트병에 충전된 음료품)이나, 식품(예를 들면, 포장용 용기에 넣어진 식품)이나, 의약품(예를 들면, 포장용 병에 넣어진 의약품)이나, 포장용 용기 자체나, 포장용 병 자체나, 그 밖의 반송물의 좌우측부를 끼우는 동시에, 이 끼워 유지한 상태의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비틀림 방향)에 있어서, 그 자세를 점차 변경(예를 들면, 정립 상태로부터 횡전 상태로, 횡전 상태로부터 정립 상태로, 횡전 상태로부터 도립 상태로, 또는, 도립 상태로부터 횡전 상태로 등)하면서 반송할 수 있도록 한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는, 비틀림 상태로 되는 1쌍의 반송띠(5, 6)로 반송물의 좌우측부를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정립 상태로부터 횡전 상태로 거의 90도의 자세 변경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도 1, 도 2, 도 3, 도 4 참조)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1쌍의 반송띠(5, 6)로 반송물의 좌우측부를 협압 유지함으로써, 횡전 상태의 반송물을 정립 상태로 거의 90도의 자세 변경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도 1, 도 2, 도 5, 도 6 참조)와,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의해 횡전 상태가 되는 반송물을, 횡전 상태 그대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까지 반송하는 중간 반송장치(C)(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참조)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즉,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에 있어서의 반송띠(5, 6)의 비틀림을 완만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반송띠(5, 6)의 장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반송띠(5, 6) 자체로의 부하나, 반송띠(5, 6)의 이동 저항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더군다나, 중간 반송장치(C)를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배치 상태를 자유롭게 레이 아웃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반송 시스템 전체를 콤팩트한 레이 아웃으로 설정할 수 있고, 한층 더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의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는,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중간 반송장치(C)의 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것 같은 보내기용 연장부(A1)(도 2, 도 3, 도 4 참조)를 설치하고,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는,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중간 반송장치(C)의 측을 향해서 연장된 받기용 연장부(B1)(도 2, 도 5, 도 6 참조)를 설치하고, 이들 보내기용 연장부(A1)와 받기용 연장부(B1)의 각각이, 중간 반송장치(C)의 단부의 상방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도 3, 도 5 참조).
즉, 횡전 상태의 반송물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로부터 중간 반송장치(C)로 스무스하게 보낼 수 있고, 또, 횡전 상태의 반송물을, 중간 반송장치(C)로부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로 스무스하게 받게 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중간 반송장치(C)의 단부와의 사이에 는, 중계장치(D)(도 3, 도 7 참조)가 배치되어 있고, 또,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와 중간 반송장치(C)의 단부와의 사이에도, 중계장치(D)(도 5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의 다른 쪽의 반송띠(6)와 중간 반송장치(C)의 반송면, 및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다른 쪽의 반송띠(6)와 중간 반송장치(C)의 반송면이, 중계장치(D)를 통해 각각 단차 없는 연속된 반송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즉, 횡전 상태의 반송물을,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로부터 중간 반송장치(C)로 덜컹거리지 않게 스무스하게 보낼 수 있도록, 또, 횡전 상태의 반송물을, 중계장치(D)로부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로 덜컹거리지 않게 스무스하게 받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의 여러가지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는, 예를 들면,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 즉, 비틀림 방향에 있어서, 반송물의 자세를 점차 변경하는 비틀림 부분이 설치된 반송로를 형성하고, 이 반송로에 있어서 반송물을 협지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1쌍의(또는, 1개로 연결된 것이라도 좋다) 반송띠(5, 6)와, 이 반송띠(5, 6)를 안내하는 동시에, 가대 등에 적절하게 장착되는 1쌍의 가이드 레일(G)과, 반송띠(5, 6)를 가이드 레일(G)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도 1∼도 4, 도 11∼도 13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띠(5, 6)가 반송물의 좌우측부를 협지해서 반송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반송물의 협지 간격에 따른 일정 간격 그대로 1쌍의 가이드 레일(G)이 비틀림 부분을 포함해서 대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가이드 레일(G)의 간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1쌍의 반송띠(5, 6)의 협지 간격을 반송물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송띠(5, 6)를 가이드 레일(G)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배치되는 1쌍의 모터(1)와,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상하에 위치해서 배치되는 동시에, 반송띠(5, 6)가 감아 걸리고, 모터(1)의 구동 회전력을 반송띠(5, 6)의 각각 전달하는 1쌍의 구동 스프로킷(2)과, 송입 컨베이어(E)의 측에 있어서 좌우에 위치해서 배치되는 동시에, 반송띠(5, 6)가 각각 감아 걸리는 1쌍의 종동 스프로킷(3)으로 구성된다(도 2, 도 3, 도 4 참조).
그리고, 한 쪽의 반송띠(5)의 구동 스프로킷(2)은,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되고, 다른 쪽의 반송띠(6)의 구동 스프로킷(2)은,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더군다나, 상기 보내기용 연장부(A1)는, 예를 들면,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한 쪽의 반송띠(5)의 구동 스프로킷(2)을, 중간 반송장치(C)의 측으로 이동하게 해서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반송물이 중간 반송장치(C) 상에 완전하게 이동할 때까지, 반송띠(5)의 반송력이 반송 물에게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는, 예를 들면,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 즉, 비틀림 방향에 있어서, 반송물의 자세를 점차 변경하는 비틀림 부분이 설치된 반송로를 형성하고, 이 반송로에 있어서 반송물의 좌우측부를 협지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1쌍의(또는, 1개로 연결된 것이라도 좋다) 반송띠(5, 6)와, 이 반송띠(5, 6)를 안내하는 동시에 가대 등에 적절하게 장착되는 1쌍의 가이드 레일(G)과, 반송띠(5, 6)를 가이드 레일(G)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도 1, 도 2, 도 5, 도 6, 도 11, 도 13 참조).
그리고, 반송띠(5, 6)가 반송물을 협지해서 반송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반송물 협지 간격에 따른 일정 간격 그대로 1쌍의 가이드 레일(G)이 비틀림 부분을 포함해서 대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쌍의 가이드 레일(G)의 간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1쌍의 반송띠(5, 6)의 협지 간격을 반송물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반송띠(5, 6)를 가이드 레일(G)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설치되는 1쌍의 모터(1)와,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상하에 위치해서 배치되는 동시에, 반송띠(5, 6)가 감아 걸리고, 모터(1)의 구동 회전력을 반송띠(5, 6)의 각각에 전달하는 1쌍의 구동 스프로킷(2)과, 송출 컨베이어(F)의 측에 있어서 좌우 위치해서 배치되는 동시에, 반송띠(5, 6)가 각각 감아 걸리는 1쌍의 종동 스프로킷(3)으로 구성된다 (도 2, 도 5, 도 6 참조).
그리고, 한 쪽의 반송띠(5)의 구동 스프로킷(2)은,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되고, 다른 쪽의 반송띠(6)의 구동 스프로킷(2)은,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더군다나, 상기 받기용 연장부(B1)는, 예를 들면, 중간 반송장치(C)의 측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한 쪽의 반송띠(5)의 구동 스프로킷(2)을, 중간 반송장치(C)의 측으로 이동하게 해서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즉, 반송물이 중간 반송장치(C) 상에 있을 때부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로 이동할 때까지, 반송띠(5)의 반송력이 반송물에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 반송장치(C)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서 거의 U자형으로 커브하는 것 같이 가대 등에 적절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로 안내되는 반송띠(7)와, 이 반송띠(7)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즉, 반송 시스템 전체의 레이 아웃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설치 조건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며, 공간 절약화가 가능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반송장치(C)는, 예를 들면, 직선적인 것이나, 상하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나, 기타 3차원적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 중간 반송장치(C)의 길이는, 짧아도 길어도 좋고, 이 길이는 자유롭게 설정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띠(7)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와, 가이드 레일 양단부분에 배치되는 동시에 반송띠(7)가 감 아 걸리는 스프로킷(8)으로 이루어지고, 이 스프로킷(8)의 어느 일방을 모터로 구동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3, 도 4, 도 5, 도 6 참조).
그런데, 상기 반송띠(7)는, 예를 들면, 거의 고리형상으로 연결되어 3차원적으로 이동가능한 주행 체인과, 이 주행 체인의 협지면측에 착탈 가능하게(혹은 착탈 가능하지 않아도 좋다) 고정되는 적절한 형상의 탄성 보유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 보유 부재는,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즉, 호환 가능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송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도시 생략).
그리고, 도 7, 도 8에 도시한 중계장치(D)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11)와, 프레임(10)의 반송 방향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1쌍의 환승 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롤러(11)의 상면과, 환승 플레이트(12)의 상면과,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다른 쪽의 반송띠(6)의 단부측의 상면과, 중간 반송장치(C)의 반송띠(7)의 단부측의 상면이 단차 없이 같은 높이로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반송물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중간 반송장치(C), 및 중간 반송장치(C)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와의 사이에서 스무스하게 반송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 도 9에 도시한 중계장치(D)는,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다른 쪽의 반송띠(6)의 구동 스프로킷(2)의 양옆에 배치되는 동시에, 중간 반송장치(C)의 스프로킷(8)의 양옆에 설치되는 풀리(13)와, 이 풀리(13)에 각각 감아 걸리는 중계 벨트(14)로 이루어지고, 더군다나, 풀리(13)는, 구동 스프로킷(2)이나 스프로킷(8)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그들 스프로킷과 동기 회전 할 수 있게 형성되고, 반송물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중간 반송장치(C),및 중간 반송장치(C)과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와의 사이에서 스무스하게 반송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중계장치(D)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11)와,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다른 쪽의 반송띠(6)의 구동 스프로킷(2)의 양옆에 배치되는 동시에, 중간 반송장치(C)의 스프로킷(8)의 양편에 배치되는 풀리(13)와, 이 풀리(13)에 각각 감아 걸리는 중계 벨트(14)로 이루어지고, 더군다나, 이 풀리(13)는, 구동 스프로킷(2)이나 스프로킷(8)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그들 스프로킷과 동기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고, 반송물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중간 반송장치(C), 및 중간 반송장치(C)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와의 사이에서 스무스에 반송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구체적 구성이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위치, 수량 등은, 상기한 도시예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은, 예를 들면,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 이외에, 3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나, 4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나, 그 밖의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적절한 수 편입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도시 생략).
또한, 본 발명의 반송 시스템의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나, 그 밖의 자세 변경 반송장치는, 보내기용 연장부(A1)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받기용 연장부(B1)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보내기용 연장부(A1)와 받기용 연장부(B1)의 양방을 구비한 것이어도 좋고, 그 밖에, 자유롭게 설정,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보내기용 연장부(A1)와 받기용 연장부(B1)의 양방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나, 그 밖의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조합해도 좋다(도시 생략).
거기에다,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나, 그 밖의 자세 변경 반송장치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 도 11∼도 19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자세 변경 반송장치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비틀림 방향에 있어서, 반송물의 자세를 점차 변경하는 비틀림 부분이 설치된 반송로를 형성하고, 이 반송로에 있어서 반송물을 협지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1쌍의(또는, 1개로 연결된 것이라도 좋다) 반송띠(5, 6)와, 반송띠(5, 6)를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G)과, 반송로를 따라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G)을 가대(K)(또는, 가대(K)에 고정한 복수의 지지부재(50))에 지지하는 복수의 레일 지지체(H1, H2)와, 반송띠(5, 6)를 가이드 레일(G)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반송띠(5, 6)가 반송물을 협지해서 반송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반송 물의 협지 간격에 따른 일정 간격 그대로, 1쌍의 가이드 레일(G)이 비틀림 부분을 포함해서 대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군다나, 이 1쌍의 가이드 레일(G) 중, 적어도 한 쪽의 가이드 레일(G)을 지지하고 있는 레일 지지체(H1)는, 가대(K)(또는, 가대(K)에 고정한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40))에 장착되는 고정부재(30)와, 가이드 레일(G)이 고정되는 동시에, 반송로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해 지도록 고정부재(30)에 장착되는 이동부재(35)와, 일단 부분이 이동부재(35)에 고정(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동시에, 고정부재(30)에 정역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회전 통(32)의 암나사 구멍(33)에 나사 장착되는 나사 봉(40)을 가지고 있다(도 11∼도 13, 도 16 참조).
또한, 복수의 레일 지지체(H1)의 이동부재(35)의 각각에 연계되는 연계 수단을 설치하고, 이 연계 수단은, 상기 회전 통(32)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로킷(41)과, 이 복수의 스프로킷(41)에 감아 걸리는 연계 체인(42)을 구비하고 있다(도 14∼도 16 참조).
그리고, 연계 체인(42)의 작동에 의해, 스프로킷(41)과 함께 회전 통(32)을 회전하게 하고, 나사 봉(40)의 진퇴에 의해 복수의 이동부재(35)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도 16 참조), 일방 혹은 양방의 가이드 레일(G)을 전체적으로 로 이동하게 해서, 1쌍의 가이드 레일(G)의 간격을 소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 레일 간격 조절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띠(5, 6)를 가이드 레일(G)을 따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 수단은, 예를 들면, 가대(K)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적절한 모터(1)와, 가대(K)의 일단측에 배치되 는 동시에, 반송띠(5, 6)가 감아 걸리고, 모터(1)의 구동 회전력을 반송띠(5, 6)에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과, 가대(K)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반송띠(5, 6)가 감아 걸리는 종동 스프로킷(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띠(5, 6)는, 거의 고리형상으로 연결되어 3차원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절한 주행 체인(20)과, 이 주행 체인(20)의 협지면측에 착탈 가능하게(또는, 착탈 가능하지 않아도 좋다) 고정되는 탄성 보유 부재(21)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 보유 부재(21)는,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즉, 호환 가능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 보유 부재(21)는, 반송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동시에, 반송물을 손상하지 않고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6, 도 18 참조).
또한, 상기 주행 체인(20)은,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G)에 미끄럼 접촉하는 복수의 합성 수지제의 체인 기체와, 비틀기 가능한 금속제의 연결용 체인(예를 들면, 심체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체인 기체가 연결용 체인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됨으로써, 체인 기체 상호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6, 도 18 참조).
또, 상기 반송띠(5, 6)의 주행 체인(20)과 탄성 보유 부재(21)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 플레이트(22)와, 회전 방향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복수의 구형 받이 시트(23)를 각각 끼워 장착하게 해서, 상하 방향의 어긋남이나 회전 방향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흡수하고, 반송물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도 19 참조).
상기 가이드 레일(G)은, 이동부재(35)에 연결 마스트(37) 및 고정 나사 등 을 통해 고정되는, 금속제의 거의 띠 판형상의 레일 기판(25) 혹은 거의 단면 홈형상의 레일 기체(27)와, 이 레일 기판(25) 혹은 레일 기체(27)의 반송띠(5, 6)와의 미끄럽 접촉 부분을 덮도록 장착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내열합성 수지제의 커버 레일(26)로 구성되어 있다(도 16∼도 18참조).
그리고, 상기 레일 기판(25) 혹은 레일 기체(27)는, 예를 들면, 탄성변형 가능한 스테인레스 스프링강이나, 형상기억 스틸 등에 의해 구성되고, 그 일부를, 예를 들면, 얇게 형성함으로써 비틀어지기 쉽고, 또한 비틀림 상태의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 기판(25) 혹은 레일 기체(27)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절결홈(28)(도 17 참조)이나 투공 등을 설치하여, 보다 비틀리기 쉽고, 또한 그 비틀림 상태의 변경을 보다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레일(26)은, 예를 들면, 레일 기판(25) 혹은 레일 기체(27)의 미끄럽 접촉 부분을 덮을 수 있는 단면 거의 각 C자 형상 혹은 단면 거의 리프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열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고, 반송띠(5, 6)의 주행 체인(20)의 체인 기체와의 미끄럽 접촉 저항이 적고, 체인 기체가 스무스하게 미끄럽 접촉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군다나, 탄성변형 가능하며 비틀리기 쉽고, 그 비틀림 상태의 변경을 보다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고, 비틀림 상태가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6∼도 18 참조).
그런데, 가이드 레일(G)은, 반송로에 있어서는, 1쌍의 가이드 레일(G)이 반송로의 중심선을 끼도록 대치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 1쌍의 가이드 레일(G)은, 레일 지지체(H1, H2)를 통해 가대(K)(또는, 지지 플레이트(40))에 고정되어 있지만, 반송로 이외의 부분(리턴 부분)에 있어서는, 가대(K)의 좌우측부에 레일 지지체(H3)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도 11∼도 13 참조).
상기 레일 지지체(H1)는, 예를 들면, 반송로에 있어서의 1쌍의 가이드 레일(G) 중, 한 쪽의 가이드 레일(G)을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G)을 향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른 쪽의 가이드 레일(G)은, 레일 지지체(H2)를 통해 가대(K)(또는, 지지 플레이트(40))에 고정할 수 있도록(이동 불능이라도 혹은 이동 가능이라도 좋다) 구성되어 있다(도 11∼도 13, 도 16 참조).
한편, 복수의 레일 지지체(H1, H2)는, 반송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기점마다 배치되어 있다(도 14, 도 15 참조). 그런데, 이들 기점은, 예를 들면, 비틀림 각도를 허용 압력각의 범위내로 등분 또는, 거의 등분으로 분할해서 확정한 수에 따라 설정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G)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 지지체(H1)는, 예를 들면,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가대(K)에 고착된 거의 만곡 띠 판형상의 금속제 지지부재(50)에, 볼트·너트 등을 통해 임의의 경사로, 또한 지지부재(50)의 만곡 방향을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금속제의 고정부재(30)를 장착하고, 이 고정부재(30)에 복수의 가이드 통(31)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통(31)안을 슬라이딩 가능한 복수의 가이드핀(36)을 이동부재(35)에 고정하고, 고정부재(30)의 중 앙부분에는, 회전 통 부착부를 설치하고, 이 회전 통 부착부내에 적절한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통(32)을 정역회전 자유롭게 장착하고, 이 회전 통(32)의 내주면에 설치한 암나사 구멍(33)에 나사 봉(40)을 나사 장착하는 동시에, 이 나사 봉(40)의 일단 부분을 고정부(38)를 통해 이동부재(35)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해서 구성되어 있다(도 16 참조).
또한, 복수의 레일 지지체(H1)의 이동부재(35)의 각각 연계되는 상기 연계 수단은, 예를 들면, 상기 회전 통(32)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로킷(41)과, 이 복수의 스프로킷(41)에 감아 걸리는 연계 체인(42)과, 이 연계 체인(42)이 스프로킷(41)에 확실하게 감아 걸리도록, 인접 설치하는 연계 체인(42)의 사이에 배치되는 텐션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있다(도 14∼도 16 참조).
즉, 연계 체인(42)의 작동에 의해, 복수의 스프로킷(41)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동시에, 각각의 회전 통(32)을 회전하게 하고, 복수의 나사 봉(40)을 소정량 진퇴시키는 동시에, 복수의 이동부재(35)도 동시에 동량 이동하게 하여, 한 쪽의 가이드 레일(G)을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나,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나, 그 밖의 자세 변경 반송장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반송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 구성이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위치, 수량 등은, 상기한 도시예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띠의 비틀림을 완만하게 설정하고, 반송물의 자세 제어를 무리 없이 행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반송띠의 장력을 저감시켜, 반송띠 자체로의 부하나 이동 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소음이나 소모를 억제해서 경제적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구성이 간소하며,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송 효율이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반송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2.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와,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의해 자세 변경된 반송물을, 그 자세 그대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까지 반송하는 중간 반송장치(C)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3.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연장 설치하는 보내기용 연장부(A1) 혹은 받기용 연장부(B1)를 설치하거나, 또는,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연장한 받기용 연장부(B1) 혹은 보내기용 연장부(A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4.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비틀림 상태로 되는 반송띠(5, 6)로 협압 유지함으로써, 반송물을 상기 방향에서 더욱 자세 변경 가능한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연장한 보내기용 연장부(A1)를 설치하든지, 또는,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에, 적어도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연장한 받기용 연장부(B1)를 설치하고,
    상기 보내기용 연장부(A1) 혹은 받기용 연장부(B1)가,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나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의 다른 쪽의 반송띠(6)의 단부의 상방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에,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연장한 보내기용 연장부(A1)를 적어도 설치하고,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에, 한 쪽의 반송띠(5)의 일부를 연장한 받기용 연장부(B1)를 적어도 설치하고, 이들 보내기용 연장부(A1)와 받기용 연장부(B1)의 각각이, 상기 중간 반송장치(C)의 단부의 상방에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와의 사이, 또는, 적어도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와 상기 중간 반송장치(C)의 단부와의 사이, 또는, 적어도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와 상기 중간 반송장치(C)의 단부와의 사이에, 중계장치(D)를 배치하고, 적어도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의 다른 쪽의 반송띠(6)와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다른 쪽의 반송띠(6), 또는, 적어도 상기 1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A)의 다른 쪽의 반송띠(6)와 상기 중간 반송장치(C)의 반송면 및 상기 2차 자세 변경 반송장치(B)의 다른 쪽의 반송띠(6)와 상기 중간 반송장치(C)의 반송면이, 상기 중계장치(D)를 통해 각각 단차 없는 연속된 반송면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KR1020050080489A 2004-10-15 2005-08-31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KR100735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1668A JP2006111416A (ja) 2004-10-15 2004-10-15 姿勢変更搬送装置を有する搬送システム
JPJP-P-2004-00301668 2004-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849A KR20060050849A (ko) 2006-05-19
KR100735842B1 true KR100735842B1 (ko) 2007-07-04

Family

ID=3638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489A KR100735842B1 (ko) 2004-10-15 2005-08-31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111416A (ko)
KR (1) KR100735842B1 (ko)
CN (1) CN17600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97629T5 (es) * 2011-11-21 2021-06-23 Beumer Group As Mecanismo de clasificación con descarga dinámica
CN106628384A (zh) * 2016-10-28 2017-05-10 温州瑞达机械有限公司 包装机包装盒的输送装置
CN109850251A (zh) * 2018-08-07 2019-06-07 安徽御流包装机械有限公司 纸尿裤包装机的翻转过渡设备及纸尿裤包装机
CN112722429B (zh) * 2020-12-31 2022-04-29 泉州市汉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分路码垛堆叠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413A (ja) 1985-12-09 1987-06-19 Toyo Seikan Kaisha Ltd 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H02137321U (ko) * 1989-04-19 1990-11-15
JPH08242757A (ja) * 1995-03-10 1996-09-24 Mitsuharu Takahashi ねじりベルトコンベアによる方法の材料運搬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413A (ja) 1985-12-09 1987-06-19 Toyo Seikan Kaisha Ltd 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JPH02137321U (ko) * 1989-04-19 1990-11-15
JPH08242757A (ja) * 1995-03-10 1996-09-24 Mitsuharu Takahashi ねじりベルトコンベアによる方法の材料運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849A (ko) 2006-05-19
JP2006111416A (ja) 2006-04-27
CN1760097A (zh)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9725B1 (en)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nd accumulating discrete products
EP1594778B1 (en) Article guide for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rticles
EP123572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rticles
KR100735842B1 (ko) 자세 변경 반송장치를 가지는 반송 시스템
EP1324934B1 (en) Article guide for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rticles
CA2331949C (en) A support railing for a curved conveyor path
CN112047023B (zh) 用于调整输送机构的引导宽度的装置
US8678174B2 (en) Method and device for buffering products
CN107709198A (zh) 具有在轴间可调节的距离的链式输送机
US5992615A (en) Curved conveyor section
US9022200B2 (en) Accumulation conveyor
US11639270B2 (en) Container transport machine for transporting containers, such as beverage bottles, cans, and similar containers, and packages of containers or other products
KR100885216B1 (ko) 컨베이어 장치
JP3903320B2 (ja) 姿勢変更搬送装置
CN107848719B (zh) 缓冲装置
JP5550037B2 (ja) 搬送装置
CN101160251B (zh) 用于驱动负载物输送机或运输机的装置
US8910779B2 (en) Conveyor means with concave belt
KR20080083503A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JP2022016975A (ja) 容器搬送装置
CN200992408Y (zh) 链板输送机
KR20200096585A (ko) 라벨링될 원통형 제품의 운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