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039B1 - 충전식 휴대용 전등 - Google Patents

충전식 휴대용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039B1
KR100735039B1 KR1020050027998A KR20050027998A KR100735039B1 KR 100735039 B1 KR100735039 B1 KR 100735039B1 KR 1020050027998 A KR1020050027998 A KR 1020050027998A KR 20050027998 A KR20050027998 A KR 20050027998A KR 100735039 B1 KR100735039 B1 KR 100735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ttery
lid
storage groove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317A (ko
Inventor
석찬복
Original Assignee
석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찬복 filed Critical 석찬복
Priority to KR102005002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03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후방 내부에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충전기구보관홈이 형성되고, 충전기구보관홈에 보관되는 시거잭이나 플러그가 구비되며, 이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지가 격벽에 의해 고정된 충전식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충전기구보관홈의 격벽에는 통공관에 의해 축전지와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은 뚜껑에 부착된 고무마개에 의해 밀폐되고 개방되는 충전식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축전지의 충전시에는 발생하는 충전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고 충전 후 전등 사용시에는 완강히 밀폐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충전가스로 인해 몸체 변형 또는 파손의 염려가 전혀없는 효과가 있다.
통공관, 통공, 고무마개

Description

충전식 휴대용 전등{Portable electric lamp}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인 통공관과 고무마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로, 축전지의 충전시 뚜껑이 개방되어 통공관과 고무마개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로, 축전지의 충전후 뚜껑이 닫혀져 통공관과 고무마개가 밀착됨에 따라 통공이 폐쇄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등 10 : 통공
11 : 통공관 20 : 고무마개
21 : 고무마개끼움관 30 : 축전지
31 : 격벽 41 : 시거잭
42 : 플러그 50 : 몸체
51 : 충전기구보관홈 52 : 뚜껑
본 발명은 충전식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축전지의 충전시에는 발생하는 충전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고 충전후 전등 사용시에는 완강히 밀폐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충전가스로 인해 몸체 변형 또는 파손의 염려가 전혀없는 충전식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또는 배터리)는 전해액(황산과 증류수)에 의해 화학작용으로 전류를 일으켜 전기를 충전시키는 것으로, 사용중 특히, 충전 말기가 되면 충전 전류는 전해액 중 물의 분해에 소비되게 되어 양극판에서는 산소가스가, 음극판에서는 수소가스가 발생하여 그것과 함께 감액된다. 이때, 충전 중 축전지에 화기나 불을 가까이 가져가면 전기스파크가 일며 인화 폭발할 위험이 크므로 충분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이렇게 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화학반응에 의하여 물로 환원시켜 감액을 방지하는 위해서 촉매염을 사용한다
또한, 대표적인 건전지인 망간건전지는 전해액속에 아연이온이 녹으면서 산화,환원반응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다.
그러나, 만약 충전 할 때 건전지의 전압이 1.23V를 초과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반응이 가능하게 됩니다.
양극 : 2H2O -> 4H+ + O2 + 4e- (물분해, 산소 발생)
음극 : 2H+ + 2e- -> H2 (수소발생)
이렇게 대표적인 폭발성 가스인 수소와 연소의 기본물질인 산소가 발생하게 되어 위험하기 때문에 수용액계 건전지는 1.2V로 많이 제한된다. 그러나, 물의 산도(pH)와 첨가제를 조정함으로써 어느 정도까지는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이 아닌 유기용매를 매개로 하는 경우에는 유기용매의 안정화 전위영역이 현재는 약 4.2V로, 이론적으로는 7V 정도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리튬이온전지는 최대 4.2V까지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축전지나 건전지의 충전과정에서 불가분하게 발생되는 수소가스와 산소가스는 자연스럽게 대기로 방출되어 사용자가 그 생성여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자동차의 배터리나 가정의 콘센트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충전할 수 있도록 시거잭과 플러그가 장착된 방수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은, 축전지가 몸체 내부에 밀폐되게 장착된 구조로 인하여, 충전시 발생된 수소가스나 산소가스에 의해 축전지가 위치한 공간이 점차 팽창하여 파손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방수기능을 상실하여 휴대용 전등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전지의 충전시에는 발생하는 충전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고 충전후 전등 사용시에는 완강히 밀폐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충전가스로 인해 몸체 변형 및 파손의 염려가 전혀없는 충전식 휴대용 전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 후방 내부에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충전기구보관홈이 형성되고, 충전기구보관홈에 보관되는 시거잭이나 플러그가 구비되며, 이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지가 격벽에 의해 고정된 충전식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충전기구보관홈의 격벽에는 통공관에 의해 축전지와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은 뚜껑에 부착된 고무마개에 의해 밀폐되고 개방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뚜껑은 일면이 몸체 측방에 축회전하도록 부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인 통공관과 고무마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로, 축전지의 충전시 뚜껑이 개방되어 통공관과 고무마개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로, 축전지의 충전후 뚜껑이 닫혀져 통공관과 고무마개가 밀착됨에 따라 통공이 폐쇄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충전식 휴대용 전등(1)은, 몸체(50) 후방 내부에 뚜껑(52)에 의해 개폐되는 충전기구보관홈(51)과, 충전기구보관홈(51)에 보관되는 시거잭(41)이나 플러그(42)와, 격벽(31)에 의해 충전기수보관홈(51)과 구별되고 시거잭(41)이나 플러그(42)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지(30)와, 충전기구보관홈(51)의 격벽(31)에 축전지(30)와 통하는 통공(10)과, 통공(10)을 밀폐하고 개방시키는 고무마개(20)로 구성된다.
상기 통공(10)은 격벽(31)에서 돌출된 통공관(11)에 형성되고, 상기 고무마개(20)는 통공관(11)의 연장선상인 뚜껑(52)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고무마개끼움관(21)에 끼움결합된 고무재질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1)을 사용하다가 축전지(30)의 충전이 필요할 경우에는,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등(1) 후방측의 뚜껑(52)을 열어 충전기구보관홈(51)을 개방시키면, 밀폐된 통공관(11)이 개방되어 자연스럽게 통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자동차에서 충전할 때에는 시거잭(41)을 빼서 시거잭홈(도시않음)에 꽂으면 되고, 집 내부일 경우에는 플러그(42)를 콘센트(도시않음)에 꽂아 휴대용 전등(1) 내부의 축전지(30)를 완충전시키면 된다.
이때, 충전기구보관홈(51)과 격벽(31)에 의해 분리된 축전지(30)는 충전되면서 산소가스와 수소가스인 충전가스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충전가스는 격벽(31)의 일측에 상부로 돌출된 통공관(11)의 통공(10)을 통해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방출된다. 이로 인해 격벽(31) 내부의 축전지(30)가 보관된 공간에는 공기압이 상승하지 않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축전지(30)의 충전이 완료되면, 도 3과 같이, 충전기구보관홈(51) 내부에 사용한 시거잭(41)이나 플러그(42)를 삽입한 다음, 뚜껑(52)을 닫아 충전기구보관홈(51)을 폐쇄시키면 된다.
이때, 격벽(31)에서 상부로 돌출된 통공관(11)의 통공(10)은 뚜껑(52)의 내측면에서 통공관(11)의 연장선상에 돌출형성된 고무마개끼움관(21) 선단에 끼움결 함된 고무재질의 고무마개(20)와 밀착되면서 완강히 폐쇄된다. 이로 인해 통공관(11)의 통공(10)을 통해서는 이물질이나 물이 격벽(31) 내부로는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축전지의 충전시에는 발생하는 충전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시키고 충전후 전등 사용시에는 완강히 밀폐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충전가스로 인해 몸체 변형 또는 파손의 염려가 전혀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몸체 후방 내부에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충전기구보관홈이 형성되고, 충전기구보관홈에 보관되는 시거잭이나 플러그가 구비되며, 이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지가 격벽에 의해 고정된 충전식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충전기구보관홈의 격벽에는 통공관에 의해 축전지와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은 뚜껑에 부착된 고무마개에 의해 밀폐되고 개방되며,
    상기 뚜껑은 일면이 몸체 측방에 축회전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휴대용 전등.
KR1020050027998A 2005-04-04 2005-04-04 충전식 휴대용 전등 KR100735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98A KR100735039B1 (ko) 2005-04-04 2005-04-04 충전식 휴대용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998A KR100735039B1 (ko) 2005-04-04 2005-04-04 충전식 휴대용 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17A KR20060105317A (ko) 2006-10-11
KR100735039B1 true KR100735039B1 (ko) 2007-07-03

Family

ID=3763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998A KR100735039B1 (ko) 2005-04-04 2005-04-04 충전식 휴대용 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0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335Y1 (ko) * 2003-12-22 2004-03-18 석찬복 개량된 충전식 랜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335Y1 (ko) * 2003-12-22 2004-03-18 석찬복 개량된 충전식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17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3396B2 (ja) 空気金属二次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空気金属二次電池モジュール
ES2683360T3 (es) Pila de combustible reversible y sistema de pila de combustible reversible
WO2009082954A8 (en) Protection cover for end cap assembly of battery cell
WO2010053256A3 (e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an electrolyte refill
CN210006773U (zh) 纽扣型电池
KR100735039B1 (ko) 충전식 휴대용 전등
US6541153B2 (en) Electrical power generator
CN109742451B (zh) 圆柱形锂离子电池的注液方法
CN215578976U (zh) 一种圆柱形软包装钛酸锂电池
CN116613405B (zh) 一种电池盒
KR200429870Y1 (ko) 물을 투입하면 작동하는 전지 구조
KR20190060619A (ko) 아연-공기 전지를 탑재한 잠수함
CN220400746U (zh) 一种高续航的碱性电池
JP3109505U (ja) 微電量用電力供給バッテリー
KR101872280B1 (ko) 안전 벤트를 갖는 나트륨 이차전지
CN210156434U (zh) 椭圆形电池结构
CN216693128U (zh) 空气电池应急灯
CN219832695U (zh) 一种环保的无汞电芯
CN211376774U (zh) 具有泄压功能的电池
CN212765756U (zh) 交流充电柜
CN210140076U (zh) 一种电池运输包装箱
CN220692257U (zh)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KR200383710Y1 (ko) 충전이 용이한 배터리
KR101153715B1 (ko) 공기 금속 전지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금속 전지 충전 시스템
CN215896581U (zh) 金属空气电池插拔式链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