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159B1 -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159B1
KR100733159B1 KR1020060124022A KR20060124022A KR100733159B1 KR 100733159 B1 KR100733159 B1 KR 100733159B1 KR 1020060124022 A KR1020060124022 A KR 1020060124022A KR 20060124022 A KR20060124022 A KR 20060124022A KR 100733159 B1 KR100733159 B1 KR 10073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itrogen
air compressor
cooling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환
Original Assignee
한국에어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어로(주) filed Critical 한국에어로(주)
Priority to KR102006012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F25J3/04151Purification and (pre-)cooling of the feed air; recuperative heat-exchange with product streams
    • F25J3/04187Cooling of the purified feed air by recuperative heat-exchange; Heat-exchange with product stre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8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membrane, i.e. including a permeation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에 의해 공기를 압축할 때 발생되는 열로 질소발생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함과 동시에 공기압축시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질소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예열원이나 공기압축기의 냉각을 위한 냉각 수단을 따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어 구성이 단순해지며, 이렇게 구성이 단순해짐에 따라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는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공기압축기와 ; 상기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와 ; 상기 공기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냉각 및 건조시키는 냉각건조기와 ;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질소를 생성하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 및 ; 상기 공기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된 열로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고,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압축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압축기, 질소발생기, 예열, 냉각, 스크롤, 멤브레인

Description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air compressing and nitrogen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를 구성하는 공기 압축기의 냉각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종래의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공기압축기
11 : 고정스크롤
12 : 회전스크롤
13 : 공기흡입구
14 : 공기배출구
1a : 열교환부
11a : 냉각압축공기 흡입구
11b : 냉각압축공기 배출구
11c : 냉각핀
11d : 냉각유로
2 : 공기탱크
3 : 냉각건조기
4 : 멤브레인질소분리기
4a : PSA질소분리기
5 : 바이패스관
51 : 바이패스 열교환기
6 : 멤브레인산소분리기
본 발명은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압축기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로 질소발생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함과 동시에 질소발생기로 공급되는 차가운 압축공기로 공기압축시 가열된 공기압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질소 발생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예열원이나 압축기의 냉각을 위한 냉각 수단을 따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어 구성이 단순해지며, 이렇게 구성이 단순해짐에 따라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공기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축기는 압축된 공기를 공압 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질소를 생성하기 위한 멤브레인 등으로 공급하여 질소를 생성함에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의 일예를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공기압축기(100)와,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200)와, 압축된 공기를 냉각 및 건조시켜 해당 공압 장치나 멤브레인(membrane)(500)으로 보내는 냉각건조기(300)와, 냉각된 압축공기를 다시 가열하여 멤브레인(500)으로 보내는 히터(4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축기(100)에는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압축기(100)에서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고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110)을 가동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을 더 구비함으로서 전력 소비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멤브레인(500)에서 질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고온 및 고압을 유지하고 있어야 함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히터(400)를 더 구비하고 있 으며, 이러한 히터(400)의 가동을 위해서도 소정의 에너지원을 요구함으로 많은 에어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발명된 것으로,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되고 냉각건조기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가 공기압축기를 통과하여 멤브레인질소분리기에 공급되게 함으로서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질소발생기에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별도의 냉각 수단과 히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구성이 단순해지며, 이렇게 구성이 단순해짐에 따라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는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공기압축기와 ; 상기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와 ; 상기 공기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냉각 및 건조시키는 냉각건조기와 ;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질소를 생성하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 및 ; 상기 공기압축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된 열로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고,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압축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를 구성하는 공기 압축기의 냉각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질소발생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는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공기압축기(1)와,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2)와,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건조기(3)와, 질소를 생성하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압축기(1)는 외기를 흡입 및 압축하여 배출하는 수단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고정스크롤(11)과 상기 고정스크롤(11)과 대향되어 다수의 압축 날개를 갖으며 모터의 구동에 회전하는 회전스크롤(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공기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배출구(14)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공기압축기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압축기(1)는 두 개의 스크롤(11, 12)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열을 냉각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공기압축기(1)의 구동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열교환부(1a)가 공기압축기(1)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부(1a)는 상기 공기압축기(1)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4)를 감싸도록 공기압축기(1)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압축기(1)의 고정스크롤(11)의 외부에 방열핀을 갖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의 내부로 공기가 흐르게 함으로서 공기압축기(1)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다.
이러한 열교환부(1a)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함에 사용됨으로서 열교환부(1a)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된다.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공기압축기(1)를 보다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열교환부(1a)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열교환부(1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냉각 유로(11d)를 갖는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압축기(1)의 공기배출구(14)의 외주면과 인접되게 냉각압축공기 흡입구(11a)가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냉각압축공기 배출구(1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압축공기 흡입구(11a)로부터 냉각압축공기 배출구(11b)를 향하며 나선형으로 냉각핀(11c)이 형성되어 있어 이 냉각핀(11c)에 의해 냉각유로(11d)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냉각압축공기 흡입구(11a)를 공기압축기(1)의 압축 공기배출구(14)와 인접되게 즉, 공기압축기(1)와 인접되게 구성함으로서 보다 차가운 공기 가 먼저 공기압축기(1)와 접하여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게 하였다. 또한, 냉각유로(11d)를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생기게 함으로서 열교환부(1a)를 통과하는 공기가 충분히 열교환을 하여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충분히 가열되고, 공기압축기(1)는 충분히 냉각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를 구성하는 공기탱크(2)와 냉각건조기(3)는 통상적으로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에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공기탱크(2)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으며, 냉각건조기(3)는 내부에 열교환 코일을 구비하여 공기압축기(1)에서 발생된 열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냉각된 압축기체는 다른 공압 수단으로 공급되거나 상기한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들은 기존에 사용되던 것들과 유사한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 또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나, 본 발명이 이러한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그 요지로 하는 것으로 이를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질소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질소가 통과할 수 없는 미세한 홀(hole)을 갖는 분리막을 설치하여 질소보다 작은 산소는 홀에 침투하여 배출되고, 질소는 분리막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질소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구성된 분리막은 통상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고분자 재료로 구성되며, 약 50℃내 지 60℃의 고온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어야 보다 순도가 높고 많은 양의 질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는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공기압축기(1)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된 열교환부(1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부(1a)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압축기(1)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압축기(1)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압축기(1)에서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과 냉각건조기(3)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의 냉기를 열교환하여 공기압축기(1)는 냉각시키고 질소발생기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가열한다.
또한, 상기 냉각건조기(3)로부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관과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의 흡입구에 연결된 관 사이에는 바이패스관(5)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5)은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서 아주 높은 고온의 압축공기를 요구하지 않을 때 보다 낮은 온도의 압축공기를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의해 걸러지는 질소의 순도에 따라 또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의 상태에 따라 고온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렇게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서 고온을 요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냉각건조기(3)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를 바이패스관(5)을 통해 직접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냉각건조기(3)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는 지나치게 차거워 멤브레인질소발생기(4)에 의한 질소 발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바이패스관(5)을 통하여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한 다소 예열을 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상기 바이패스관(5)의 중단에는 바이패스 열교환부(51)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바이패스 열교환부(51)는 상기 공기탱크(2)의 배출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고압고온 가스의 열이 바이패스관(5)을 통과하는 압축공기에 전달되어 가열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의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서 발생된 질소의 순도는 약 99%정도에 불과하다.
이렇게 순도가 낮은 질소를 보다 고순도로 정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의 질소배출구에는 PSA질소분리기(4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SA질소분리기(4a)는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서 분리된 질소를 보다 순도가 높게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압력순환흡착(Pressure Swing Adsorption : PSA)방식질소분리기이다.
상기 PSA질소분리기(4a)는 활성탄이 충진된 흡착탑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압된 공기가 유입되면 상대적으로 분자가 작은 산소는 흡착되고, 질소는 그대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PSA질소분리기(4a)를 통과한 질소의 순도는 약99.9999%정도로 거의 100%에 가까운 순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된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의 멤브레인질소분리기(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산소는 분리막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질소만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분리막형의 질소발생수단으로서 질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산소가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산소를 수집하여 여과함으로서 산소를 얻을 수 있는 멤브레인산소분리기(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산소분리기(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에서 배출되는 산소 중에 잔류하는 질소나 이물질 등을 분리하여 순도가 높은 산소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와 역으로 작동되게 구성되며, 이러한 멤브레인산소분리기(6)의 구조 또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멤브레인의 하나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는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 및 산소분리기(4, 5)에 공급되는 공기 중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필터와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통상적으로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되고 냉각건조기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가 공기압축기를 통과하여 질소발생기에 공급되게 함으로서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질소발생기에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히터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이들의 구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히터가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전체 구성이 단순해지며, 이렇게 구성이 단순해짐에 따라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부품수가 감소함으로서 전체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질소 발생 과정에서 생성되는 산소를 정제하여 산소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제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5)

  1.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공기압축기(1)와 ; 상기 공기압축기(1)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2)와 ; 상기 공기탱크(2)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냉각하고 및 건조시키는 냉각건조기(3)와 ; 상기 냉각건조기(3)에 의해 냉각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질소를 생성하는 멤브레인질소분리기(4)를 포함하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기(1)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공기압축기(1)에서 발생된 열로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가열하고,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으로 공급되는 찬 압축공기로 공기압축기(1)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1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부(1a)는 상기 공기압축기(1)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4)를 감싸도록 공기압축기(1)의 일측에 냉각압축공기 순환형의 스크롤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부(1a)는 상기 공기압축기(1)의 공기배출구(14)의 외주면과 인접되게 구성된 냉각압축공기 흡입구(11a)로부터 냉각압축공기 배출구(11b)를 향하며 나선형으로 냉각핀(11c)을 형성하여 나선형의 냉각유로(11d)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건조기(3)로부터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관과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의 흡입구에 연결된 관 사이에는 바이패스관(5)이 더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관(5)의 중단에는 상기 공기탱크(2)의 배출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고압고온 가스의 열을 흡수하는 바이패스 열교환부(51)가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의 박막에 의해 산소가 분리된 질소가 배출되는 질소배출구에는 PSA질소분리기(4a)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질소분리기(4)의 박막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산소가 배출되는 산소배출구에는 멤브레인산소분리기(6)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KR1020060124022A 2006-12-07 2006-12-07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KR10073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022A KR100733159B1 (ko) 2006-12-07 2006-12-07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022A KR100733159B1 (ko) 2006-12-07 2006-12-07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159B1 true KR100733159B1 (ko) 2007-06-28

Family

ID=3837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022A KR100733159B1 (ko) 2006-12-07 2006-12-07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15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06B1 (ko) * 2010-10-05 2011-07-22 한국기계연구원 압축공기저장 발전시스템
KR101757690B1 (ko) * 2016-01-15 2017-07-14 이엠코리아주식회사 플랜트형 질소발생시스템
KR101767640B1 (ko) * 2016-11-21 2017-08-17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산소발생장치
KR20180049598A (ko) 2016-11-03 2018-05-11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질소 발생장치용 질소분리기
KR102003757B1 (ko) * 2018-03-09 2019-07-25 배종외 질소가스 게이트를 구비하는 질소가스 저온 치료기
KR102003741B1 (ko) * 2018-03-09 2019-07-25 배종외 질소가스 발생기를 구비하는 질소가스 저온 치료장치
KR20200070666A (ko) * 2018-12-10 2020-06-18 이승준 산소 발생기
KR20200114656A (ko) 2019-03-29 2020-10-07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질소분리기용 검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629A (ja) * 1995-08-04 1997-02-18 Anest Iwata Corp 窒素ガス発生装置の温度制御機構
JPH11153382A (ja) 1997-11-20 1999-06-08 Daido Hoxan Inc 空気分離装置
KR100210829B1 (ko) 1991-03-11 1999-07-15 마이클 위크햄 기체 분리에 의한 발전방법
KR20030090684A (ko) * 2001-03-19 2003-11-28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Cdo 통합 스크러버에 대한 산소 강화 cda 변형 방법
JP2004150685A (ja) 2002-10-30 2004-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窒素製造設備及びタービン発電設備
KR20050012920A (ko) * 2003-07-25 2005-02-02 주식회사 포스코 흡착기 방식의 공기분리장치용 에너지 절감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829B1 (ko) 1991-03-11 1999-07-15 마이클 위크햄 기체 분리에 의한 발전방법
JPH0947629A (ja) * 1995-08-04 1997-02-18 Anest Iwata Corp 窒素ガス発生装置の温度制御機構
JPH11153382A (ja) 1997-11-20 1999-06-08 Daido Hoxan Inc 空気分離装置
KR20030090684A (ko) * 2001-03-19 2003-11-28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Cdo 통합 스크러버에 대한 산소 강화 cda 변형 방법
JP2004150685A (ja) 2002-10-30 2004-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窒素製造設備及びタービン発電設備
KR20050012920A (ko) * 2003-07-25 2005-02-02 주식회사 포스코 흡착기 방식의 공기분리장치용 에너지 절감 운전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06B1 (ko) * 2010-10-05 2011-07-22 한국기계연구원 압축공기저장 발전시스템
KR101757690B1 (ko) * 2016-01-15 2017-07-14 이엠코리아주식회사 플랜트형 질소발생시스템
KR20180049598A (ko) 2016-11-03 2018-05-11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질소 발생장치용 질소분리기
KR101767640B1 (ko) * 2016-11-21 2017-08-17 주식회사 기원솔루텍 산소발생장치
KR102003757B1 (ko) * 2018-03-09 2019-07-25 배종외 질소가스 게이트를 구비하는 질소가스 저온 치료기
KR102003741B1 (ko) * 2018-03-09 2019-07-25 배종외 질소가스 발생기를 구비하는 질소가스 저온 치료장치
KR20200070666A (ko) * 2018-12-10 2020-06-18 이승준 산소 발생기
KR102147023B1 (ko) 2018-12-10 2020-08-21 이승준 산소 발생기
KR20200114656A (ko) 2019-03-29 2020-10-07 이엠코리아주식회사 질소분리기용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159B1 (ko) 공기압축장치 겸용 질소발생장치
US20200164301A1 (en) Compressor installation with drying device for compressed gas and method for drying compressed gas
EP2493593B1 (en) Device for compressing and drying gas and a method applied thereby.
CN112983848B (zh) 一种燃料电池电堆及供气装置
JP5314456B2 (ja) 空冷式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6194579A (ja) ターボ圧縮機を具備した冷凍装置
RU2009130609A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система компрессора/приводного механизма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ее в действие
JP3606854B2 (ja) 高湿度燃料ガスの圧縮供給装置
WO2011114787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CN106348250B (zh) 一种双作用罗茨泵制氧空压机和空气压缩排氮方法
CN100532851C (zh) 高压型涡旋式压缩机的油排出减少装置
JP4026747B2 (ja) 圧縮部と膨張部を備えた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US20150079486A1 (en) Fuel cell system
KR20120027726A (ko) 연료전지차량용 공기블로어
CN217904209U (zh) 一种散热型制冷压缩机电机
CN112076592B (zh) 静态烘干机
US20160114282A1 (en) Separation method and separation device
KR102314325B1 (ko) 엔진 구동 장치
CN110410298A (zh) E0级空气压缩处理系统
KR20120048077A (ko) 산소발생기용 유량조절 스크롤 압축기
CN221085128U (zh) 一种高效型制氧机
JP2015200243A (ja) コンプレッサ
CN116838602A (zh) 高承压半封闭双螺杆压缩机
JP2008223729A (ja) 圧縮機
CN115704397A (zh) 设置有压缩气体压力差应用冷却部的双级气体压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