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37B1 - 표면연소버너 - Google Patents

표면연소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937B1
KR100732937B1 KR1020060019807A KR20060019807A KR100732937B1 KR 100732937 B1 KR100732937 B1 KR 100732937B1 KR 1020060019807 A KR1020060019807 A KR 1020060019807A KR 20060019807 A KR20060019807 A KR 20060019807A KR 100732937 B1 KR100732937 B1 KR 10073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burner
ignition
unit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식
갈한주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어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2Flame diffusing means using perforate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염형성매트가 구비된 표면연소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화염형성매트에서 토출되는 예혼합기를 점화하는 점화부 및 점화된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화염감지부를 화염형성매트가 설치된 버너하우징에 내재시켜 점화부 및 화염감지부를 버너하우징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버너의 점화 또는 화염감지를 위해 버너 외측면에 별도의 점화장치나 화염감지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버너를 콤팩트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버너의 운반시 점화장치나 화염감지장치의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파일럿화염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버너 화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표면연소버너에 관한 것이다.
버너, 표면연소, 화염형성매트, 점화봉, 화염감지봉,

Description

표면연소버너{Surface combustion burner}
도 1은 종래의 평면형 표면연소버너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원통형 표면연소버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연소버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을 장착한 제1실시 예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과 점화단자가 장착된 제2실시 예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5의 실시 예의 버너가 원통형인 경우의 제3실시 예의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일럿화염장치가 장착된 제4실시 예의 부분단면도,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화염감지봉을 더 구비한 제5실시 예의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급기팬 2 : 연료노즐
3 : 벤튜리관 10 : 버너연소부
11 : 캡 12,12' : 버너하우징
20,27 : 화염형성매트 30 : 화염감지부
32 : 지지관a 32' : 지지관g
35,35' : 화염감지봉 42 : 지지관b
40 : 점화부 45 : 점화봉
46,46' : 점화단자 50 : 지지관c
51 : 지지관d 52 : 지지관e
53 : 지지관f 55 : 분사노즐
60,62,65,66 :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
70,71,72,73,74,75 : 점화장치부
100,110,120 : 화염 105 : 파일럿화염
본 발명은 가스와 공기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시킨 후 이를 버너하우징의 화염형성매트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표면연소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개구부에 화염형성매트가 설치된 버너하우징에 점화부 및 화염감지부가 구비된 점화장치부를 내재시켜 버너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화장치부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점화장치부를 버너하우징에 내재시킨 표면연소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나 각종공정 또는 기타 열기기에 사용하는 버너는 미리 공기와 가스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시킨 예혼합기를 버너하우징(매니폴드)의 화염형성매트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표면연소버너를 사용하였다.
이때, 종래에는 버너하우징의 외측에 별도의 점화장치와 화염감지장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파일럿화염 발생장치를 구비하여 버너의 점화, 화염감지 등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표면연소버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별도의 점화장치 또는 화염감지장치 등을 버너연소부의 버너하우징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버너의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버너의 콤팩트화가 곤란하며, 둘째, 버너의 제작,운반 또는 보수작업시 충격 또는 취급부주의로 인한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있었고, 셋째, 점화장치나 화염감지장치 등의 교체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화염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파일럿화염 발생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쉽지 않아 버너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점화부 및 화염감지부를 구비한 점화장치부를 버너하우징에 내재시켜 버너를 콤팩트하게 함으로써, 버너의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버너의 제작 또는 운반시 점화부 또는 화염감지부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버너 화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파일럿화염 발생장치를 버너하우징에 설치하여 화염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교 체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점화장치부가 버너하우징에 내재된 표면연소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급기팬에서 토출되는 급기에 연료를 혼합시킬 수 있게 연료노즐이 설치된 벤튜리관, 및 예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연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면연소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는,
하부의 외주면 일측에 예혼합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예혼합기를 토출할 수 있게 화염형성매트가 설치되는 버너하우징과, 상기 버너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화염형성매트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점화 및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점화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염형성매트는 상기 버너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부는 화염형성매트에서 토출되는 예혼합기를 점화 시키는 점화부와, 상기 점화부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점화부는 상단부가 화염형성매트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지관b와,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b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봉, 및 상기 점화봉의 상단부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상기 지지관b의 상단과 통전되게 설치된 점화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화염감지부는 상단부가 화염형성매트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지관a와,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a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화염감지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본발명의 상기 화염형성매트는 상기 버너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는부는 상기 화염형성매트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하나의 지지관c와, 상단부가 상기 화염형성매트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일측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c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염형성매트는 상기 버너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부는 상기 화염형성매트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하나의 지지관d와,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d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 및 상기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의 상단부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지지관d의 상단과 통전되게 설치된 점화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버너하우징은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캡이 결합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벽면의 외측면에는 상기 화염형성매트가 설치되며, 상기 점화장치부는 상기 캡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하나의 지지관e와, 상단부가 상기 화염형성매트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일측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e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본발명의 상기 화염형성매트는 상기 버너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부는 내측으로 예혼합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염형성매트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하나 의 지지관f와, 파일럿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게 상기 지지관f의 내측에 삽입결합된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에 관통결합되며 상단부가 지지관f의 내측면과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설치된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버너연소부는 상기 화염형성매트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지관g 및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g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화염감지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너연소부는 원형평면, 사각평면, 도넛형, 반구형, 원통형, 원뿔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버너연소부의 화염형성매트는 메탈화이버, 메탈폼, 세라믹화이버, 세라믹판, 세라믹폼, 스텐레스판 중 어느 하나의 다공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평면형 표면연소버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원통형 표면연소버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버너는 버너하우징(90,90')의 상단부나 외주면에 화염형성매트(93,93')를 구비하고, 버너하우징(90,90')의 외측에 점화부(91,91')와 화염감지를 위한 화염감지부(92.9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염형성매트(93.93')의 화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파일럿화염 발생장치는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버너는 점화부(91,91')나 화염감지부(92,92')가 외부에 노출된 구조로서 파손이나 변형의 염려가 있는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표면연소버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과,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노즐(2)이 설치된 벤튜리관(3)과, 버너연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벤튜리관(3)은 급기팬(1)과 버너연소부(10) 사이에 구비되며, 급기팬(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할 때, 외주면에 형성된 연료노즐(2)을 통해 연료가 분사되어 형성되는 예혼합기를 버너연소부(10)로 공급한다.
한편, 버너연소부(10)는 상단부에 화염형성매트(20)가 설치된 버너하우징(12)과 점화부(40) 및 화염감지부(30)가 구비된 점화장치부(70)로 구성된 것으로서, 원형평면, 사각평면, 도넛형, 반구형, 원통형, 원뿔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화염형성매트(20)는 메탈화이버(metal fiber), 메탈폼, 세라믹화이버, 세라믹판, 세라믹폼, 스텐레스판 등의 다양한 다공성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서, 버너하우징(12)의 예혼합기유입구(15)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된 예혼합기가 다공구멍을 통해서 분출되어 점화됨으로써, 표면전체에 화염을 형성한다.
한편, 점화부(40)는 버너하우징(12) 내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지관b(42)와 지지관b(42)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점화봉(45) 및 점화단자(46)로 구성된다.
지지관b(42)는 상단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화염형성매트(20)에 관통결합되고, 하단은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된다.
또, 점화봉(45)은 상단이 화염형성매트(20) 면 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 게 지지관b(42)에 삽입 설치되며, 하단은 버너하우징(12) 하단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전원장치와 연결된다.
또한, 지지관b(42)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점화봉(45)의 외주를 감싸면서 점화봉(45)이 지지관b(4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43)가 삽입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전압 방전을 위한 점화단자(46)가 통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화염감지부(30)는 버너하우징(12)의 내측에 직립 설치되는 또 하나의 지지관a(32)와 지지관a(32)의 내측에 설치된 화염감지봉(35)으로 구성된다.
이때, 화염감지봉(35)도 상단이 화염형성매트(20) 면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하단은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지지관a(32)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삽입결합된 지지대(33)에 의해 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화염감지봉(35)의 하단부는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콘트롤러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벤튜리관(3)을 통과한 예혼합기는 버너하우징(12)의 예혼합기유입구(15)로 유입되어 화염형성매트(20)를 통해 분출될 때, 점화부(40)의 점화봉(45)과 점화단자(46)의 고전압 방전에 의해 착화되어 연소되고, 화염감지부(30)의 화염감지봉(35)은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도 3의 점화부(40)의 점화봉(45)과 화염감지부(30)의 화염감지봉(35)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점화 및 화염감지를 겸용할 수 있는 점화및 화염감지겸용봉(60,65)이 설치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구성 외에는 도 3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변경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장치부(71)는 지지관c(50)와 지지관c(50)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0)으로 구성된다.
지지관c(50)는 버너하우징(12) 내측의 중앙에 상단부가 화염형성매트(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직립 설치되고, 점화 및 화염(100)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0)은 지지관c(50)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지지대(58)에 의해 지지관c(50)의 중앙부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0)의 상단부는 화염형성매트(20)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화염형성매트(20)의 표면에 인접되게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0)은 고전압 방전에 의한 착화와 화염(100) 감지 역할을 모두 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장치부(72)는 지지관d(51)와 지지관d(51)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5) 및 점화단자(46')로 구성된다.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5)은 상단이 지지관d(51)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점화단자(46')는 지지관d(51)와 통전될 수 있게 지지관d(51) 상단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원통형 표면연소버너에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2)을 설치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점화장치부(73)는 지지관e(52)와 지지관e(52)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 지겸용봉(62)으로 구성된다.
버너하우징(12')은 상단부에 캡(11)이 설치되어 밀폐되고, 다수의 배출공(13)이 형성된 측벽의 외측면에 화염형성매트(27)가 설치된다.
또한,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2)은 상단부가 화염형성매트(27)와 방전될 수 있게 버너하우징(12')의 둘레쪽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화염(110)은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2)이 화염형성매트(27)와 방전되어 착화됨으로서, 버너하우징(12')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인 도 5의 실시 예에 파일럿화염(105)을 발생시킬 수 있는 파일럿화염발생 장치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화염감지봉(35')이 부설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장치부(74)는 지지관f(53)와, 지지관f(53)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6), 및 분사노즐(55)로 구성된다.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6)은 지지관f(53) 내측에 삽입 설치하되, 상단은 지지관f(53)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게 삽입되어 지지관f(53)의 내측면과 방전을 일으킬 수 있게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관f(53)는 내측으로도 예혼합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하부의 일측에개구부(54)를 형성한다.
또한, 지지관f(53) 내측에 삽입된 분사노즐(55)은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6)을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관f(53) 내부로 유입되는 예혼합기를 배출할 수 있는 노즐구멍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버너하우징(12)의 내측으로 유입된 예혼합기는 화염형성매트(20)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일부는 지지관f(53)로도 유입되어 지지관f(53) 내측의 분사노즐(55)을 통해서도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6)의 상단부와 지지관f(53) 사이에 방전이 발생되면, 지지관f(53)를 통해 파일럿화염(105)이 발생되고, 이 파일럿화염(105)에 의해 화염형성매트(20)를 통과하는 예혼합기가 점화되어 화염(100)이 형성된다.
이때. 화염감지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6)이 감지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장치부(75)는 도 8의 실시 예의 점화장치부(74)의 구성에 지지관g(32')와, 지지관g(32')에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삽입설치되는 화염감지봉(35')을 더 구비한 것이다.
즉, 버너하우징(12)에 직립 설치되며 내측에 지지대(33')를 구비한 또 하나의 지지관g(32')에 화염감지봉(35')을 부설하여 화염형성매트(20)의 화염(120)을 감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일럿화염(105)은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6)이 감지하고, 화염형성매트(20)의 화염(120)은 화염감지봉(35')이 감지하게 된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화부와 화염감지부가 구비된 점화장치부를 화염형성매트가 설치된 버너하우징에 내재시킴으로써, 버너가 콤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어 버너의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버너의 제작 또는 운반시 점화부 및 화염감지부 등의 파손이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화장치부의 지지관을 이용하여 파일럿화염발생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버너의 화염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파일럿화염발생장치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점화봉 또는 화염감지봉 등의 교체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과 급기에 연료를 혼합시킬 수 있게 연료노즐(2)이 설치된 벤튜리관(3) 및 예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연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면연소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10)는,
    하부 일측에 예혼합기유입구(15)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예혼합기를 토출할 수 있게 다공성 화염형성매트(20,27)가 설치되는 버너하우징(12,12'); 및
    상기 버너하우징(12,12')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화염형성매트(20,27)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점화 및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점화장치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염형성매트(20)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부(70)는,
    화염형성매트(20)에서 토출되는 예혼합기를 점화 시키는 점화부(40)와, 상기 점화부(4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점화된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부(30)로 구성된 표면연소버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40)는,
    상단부가 화염형성매트(20)에 관통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지관b(42)와,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b(42)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봉(45), 및 상기 점화봉(45)의 상단부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상기 지지관b(42)의 상단과 통전되게 설치된 점화단자(46)로 구성되고,
    상기 화염감지부(30)는,
    상단부가 화염형성매트(20)에 관통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지관a(32)와,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a(32)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화염감지봉(3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연소버너.
  4.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과 급기에 연료를 혼합시킬 수 있게 연료노즐(2)이 설치된 벤튜리관(3) 및 예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연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면연소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10)는,
    하부 일측에 예혼합기유입구(15)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예혼합기를 토출할 수 있게 다공성 화염형성매트(20,27)가 설치되는 버너하우징(12,12'); 및
    상기 버너하우징(12,12')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화염형성매트(20,27)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점화 및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점화장치부(7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염형성매트(20)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부(71)는,
    상기 화염형성매트(20)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하나의 지지관c(50)와, 상단부가 상기 화염형성매트(20)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일측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c(50)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연소버너.
  5.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과 급기에 연료를 혼합시킬 수 있게 연료노즐(2)이 설치된 벤튜리관(3) 및 예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연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면연소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10)는,
    하부 일측에 예혼합기유입구(15)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예혼합기를 토출할 수 있게 다공성 화염형성매트(20,27)가 설치되는 버너하우징(12,12'); 및
    상기 버너하우징(12,12')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화염형성매트(20,27)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점화 및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점화장치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염형성매트(20)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부(72)는,
    상기 화염형성매트(20)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하나의 지지관d(51)와,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d(51)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5), 및 상기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5)의 상단부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지지관d(51)의 상단과 통전되게 설치된 점화단자(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면연소버너.
  6.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과 급기에 연료를 혼합시킬 수 있게 연료노즐(2)이 설치된 벤튜리관(3) 및 예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연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면연소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10)는,
    하부 일측에 예혼합기유입구(15)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예혼합기를 토출할 수 있게 다공성 화염형성매트(20,27)가 설치되는 버너하우징(12,12'); 및
    상기 버너하우징(12,12')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화염형성매트(20,27)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점화 및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점화장치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너하우징(12')은,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캡(11)이 결합되고, 다수의 배출공(13)이 형성되는 벽면의 외측면에는 상기 화염형성매트(27)가 설치되며,
    상기 점화장치부(73)는,
    상기 캡(11)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고 하단부는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하나의 지지관e(52)와, 상단부가 상기 화염형성매트(27)와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일측으로 하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e(52)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2)으로 구성된 표면연소버너.
  7.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과 급기에 연료를 혼합시킬 수 있게 연료노즐(2)이 설치된 벤튜리관(3) 및 예혼합기를 연소시키는 버너연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면연소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10)는,
    하부 일측에 예혼합기유입구(15)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예혼합기를 토출할 수 있게 다공성 화염형성매트(20,27)가 설치되는 버너하우징(12,12'); 및
    상기 버너하우징(12,12')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되, 상기 화염형성매트(20,27)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점화 및 화염을 감지할 수 있는 점화장치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염형성매트(20)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장치부(74)는,
    상기 화염형성매트(20)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며 내측으로 예혼합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하측에 개구부(54)가 형성된 하나의 지지관f(53)와, 파일럿화염(105)을 발생시킬 수 있게 상기 지지관f(53)의 내측에 삽입결합된 분사노즐(55), 및 상기 분사노즐(55)에 관통결합되며 상단부가 지지관f(53)의 내측면과 고전압 방전을 할 수 있게 설치된 점화및화염감지겸용봉(66)을 포함하여 구성된 표면연소버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부(74)는,
    상기 화염형성매트(20)에 상단부가 관통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버너하우징(12)의 하단면에 관통결합되게 직립 설치되는 지지관g(32') 및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게 상기 지지관g(32')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화염감지봉(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연소버너.
  9.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10)는 원형평면, 사각평면, 도넛형, 반구형, 원통형, 원뿔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연소버너.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연소부(10)의 화염형성매트(20,27)는 메탈화이버, 메탈폼, 세라믹화이버, 세라믹판, 세라믹폼, 스텐레스판 중 어느 하나의 다공성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연소버너.
KR1020060019807A 2006-03-02 2006-03-02 표면연소버너 KR100732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807A KR100732937B1 (ko) 2006-03-02 2006-03-02 표면연소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807A KR100732937B1 (ko) 2006-03-02 2006-03-02 표면연소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937B1 true KR100732937B1 (ko) 2007-06-27

Family

ID=3837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807A KR100732937B1 (ko) 2006-03-02 2006-03-02 표면연소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963A (ko) * 2011-05-06 2014-02-10 베카에르트 컴버스천 테크놀러지 비.브이. 온도 측정 기능을 갖춘 예혼합 가스 버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722A (ja) * 1995-05-02 1996-11-22 Samuson:Kk 予混合式ガスバーナのバーナプレート固定方法
JPH09170708A (ja) * 1995-12-19 1997-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燃焼装置
JP2001004109A (ja) 1999-06-23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燃焼器
EP1411573A2 (en) 2002-10-16 2004-04-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urner, hydrogen generator, and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JP2005195206A (ja) 2004-01-05 2005-07-21 Mitsubishi-Hitachi Metals Machinery Inc 予混合バー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722A (ja) * 1995-05-02 1996-11-22 Samuson:Kk 予混合式ガスバーナのバーナプレート固定方法
JPH09170708A (ja) * 1995-12-19 1997-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燃焼装置
JP2001004109A (ja) 1999-06-23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触媒燃焼器
EP1411573A2 (en) 2002-10-16 2004-04-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urner, hydrogen generator, and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JP2005195206A (ja) 2004-01-05 2005-07-21 Mitsubishi-Hitachi Metals Machinery Inc 予混合バー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963A (ko) * 2011-05-06 2014-02-10 베카에르트 컴버스천 테크놀러지 비.브이. 온도 측정 기능을 갖춘 예혼합 가스 버너
US20140080074A1 (en) * 2011-05-06 2014-03-20 Bekaert Combustion Technology B.V. Premix gas burner with temperature measurement
US9528699B2 (en) * 2011-05-06 2016-12-27 Bekaert Combustion Technology B.V. Premix gas burner with temperature measurement
KR101967006B1 (ko) * 2011-05-06 2019-04-08 베카에르트 컴버스천 테크놀러지 비.브이. 온도 측정 기능을 갖춘 예혼합 가스 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318B1 (ko) 가스보일러용 버너
CA2848898C (en) Can combustor for a can-annular combustor arrangement in a gas turbine
KR102281567B1 (ko) 역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소가스 연소장치
KR100784950B1 (ko) 자연연소식 표면연소버너
KR100732937B1 (ko) 표면연소버너
JP2007308312A (ja) 多種燃料燃焼器
CN203963931U (zh) 燃烧器和具有其的燃气灶
KR20100001731A (ko) 연소장치
KR0148092B1 (ko) 가스보일러의 고부하 가스연료연소용 초소형 예혼합장치
KR100864846B1 (ko) 예혼합 연소 버너
KR100844124B1 (ko) 링형 버너
JP5260211B2 (ja) 燃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グランドフレアー
US3825398A (en) Plural rate burner with flame enhancement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KR100881605B1 (ko) 성화봉
CN106537041A (zh) 用于涡轮发动机的燃料喷射系统
KR102619832B1 (ko) 예혼합 연소 방식의 메탈화이버 가스버너를 적용한 온풍 및 탄산가스 공급장치
KR102482769B1 (ko) 연료 개질기 버너
CN218269055U (zh) 燃烧器及燃烧系统
KR102649269B1 (ko) 예혼합 연소 방식의 메탈화이버 가스버너를 적용한 온풍 및 탄산가스 공급장치
CN214840798U (zh) 气体燃料的部分预混燃烧装置
KR102292891B1 (ko) 예혼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확산 연소형 수소 연소장치
CN217635602U (zh) 一种工业气喷燃烧机
KR102292893B1 (ko) 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소가스 연소장치
EP1711744B1 (en) Combustion system with low polluting e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