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366B1 -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366B1
KR100732366B1 KR1020070035905A KR20070035905A KR100732366B1 KR 100732366 B1 KR100732366 B1 KR 100732366B1 KR 1020070035905 A KR1020070035905 A KR 1020070035905A KR 20070035905 A KR20070035905 A KR 20070035905A KR 100732366 B1 KR100732366 B1 KR 10073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in
pinion
jaw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70035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의 조립에 사용되는 강관을 견인할 때 상부조오가 플랜지의 상면에 물리도록 하여 물림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태엽스프링과 피니언 및 랙에 의해 상부조오와 핀고정턱을 상반된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로 하여 상부조오와 로케이트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철탑 조립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행거(30)에 형성된 클레비스절개부(34)에 피니언(55)을 설치하고, 피니언(55)의 일측에 맞물린 채 승강되는 제 1승강랙(62)을 행거(30)의 클레비스절개부(34) 내측벽면에 형성된 수직안내홈(37)에 미끄럼결합하며, 플랜지(22)의 상면을 압박하는 상부조오(60)를 제 1승강랙(62)의 상단에 역(逆)"L"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피니언(55)의 타측에 맞물려 제 1승강랙(62)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제 2승강랙(72)의 하단부에 로케이트핀(50)을 고정하기 위한 핀고정턱(70)을 일체로 형성하며, 행거(30)의 측면에 고정되는 스프링하우징(82)의 내측에 태엽스프링(80)의 외측단(84)을 걸어서 설치하고, 피니언(55)의 중심에 결합된 회전축(90)의 일측단에 태엽스프링(80)의 중심단(86)을 걸며, 로케이트핀(50)에 형성된 키홈(52)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스크류(54)를 행거(30)에 형성된 하부받침턱(32)의 측면에서 수직안내구멍(36)으로 관통되게 설치하고, 하부받침턱(32)의 하단에 걸리면서 제 1승강랙(62)과 제 2승강랙(7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핀(64)을 제 1승강랙(62)의 하단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철탑,강관,플랜지,스프링,조오,랙,피니언,로케이트

Description

철탑조립용 행거장치{Hanger for assembling a steel tower}
도 1은 종래 철탑조립용 행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탑조립용 행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탑조립용 행거장치를 상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탑조립용 행거장치를 하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탑조립용 행거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탑조립용 행거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탑조립용 행거장치가 강관의 플랜지에 물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탑조립용 행거장치가 강관의 플랜지로부터 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강관 22 : 플랜지
24 : 견인와이어 26 : 체결공
30 : 행거 32 : 하부받침턱
34 : 클레비스절개부 36 : 수직안내구멍
37 : 수직안내홈 40 : 회동암
42 : 힌지핀 50 : 로케이트핀
52 : 키홈 54 : 회전방지스크류
55 : 피니언 60 : 상부조오
62 : 제 1승강랙 64 : 멈춤핀
70 : 핀고정턱 72 : 제 2승강랙
80 : 태엽스프링 82 : 스프링하우징
84 : 외측단 86 : 중심단
90 : 회전축
본 발명은 철탑조립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탑의 조립에 사용되는 강관을 견인할 때 상부조오가 플랜지의 상면에 물리도록 하여 물림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태엽스프링과 피니언 및 랙에 의해 상부조오와 핀고정턱을 상반된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로 하여 상부조오와 로케이트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철탑 조립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전압이 승압되면, 송전을 위한 송전선로의 자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탑의 강성도 함께 증대되어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송접철탑 건설에 이용되는 L형강은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강관을 사용한 철탑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강관의 상단에 설 치된 플랜지에 행거를 끼운 다음 로프크레인을 이용 강관을 조립장소로 견인한 후 이미 설치되어 있는 다른 강관의 상단에 일직선으로 한 상태에서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볼트와 너트를 이용 체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강관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 철탑 조립용 행거(출원번호 제20-2006-0004634호, 등록번호 제20-0417181호)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모양으로 형성된 받침대(10)의 수직부(11) 상단에 고정편(12)이 힌지핀(1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었고, 고정편(12)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환(14)이 받침대(10)의 수평부(15)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환봉 형상의 훅(16) 상단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철탑 조립용 행거는 원운동하는 고정편(12)이 수직을 이루고 있는 훅(16)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고정편(12) 끝에 형성된 고정환(14)이 훅(16)에 결합되려면 고정환(12)에 형성된 구멍(17)을 훅(16)의 상단부 외경보다 여유를 두고 크게 형성하지 않으면,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정편(12)과 훅(16)의 결합 후 강관(18)을 견인할 때 작용되는 모멘트에 의해 훅(16)이 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더욱이 강관(18)을 견인할 때 고정편(12)이 강관(18)의 플랜지(19)에 접촉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한 물림이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철탑 조립용 행거는 물림을 해제할 때 견인와이어(19a)를 느슨하게 이완시킨 다음 바깥쪽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을 갖는 고정편(12)이 자중에 의해 바깥쪽으로 회동되면서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훅(16)이 변형된 경우에 는 고정환(12)에 걸려 이탈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강관을 견인하는데 이용되는 행거의 물림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물림의 해제가 원활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는 철탑조립용 행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거에 형성된 클레비스절개부에 피니언을 설치하고, 피니언의 일측에 맞물린 채 승강되는 제 1승강랙을 행거의 클레비스절개부 내측벽면에 형성된 수직안내홈에 미끄럼결합하며, 플랜지의 상면을 압박하는 상부조오를 제 1승강랙의 상단에 역L"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피니언의 타측에 맞물려 제 1승강랙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제 2승강랙의 하단부에 로케이트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고정턱을 일체로 형성하며, 행거의 측면에 고정되는 스프링하우징의 내측에 태엽스프링의 외측단을 걸어서 설치하고, 피니언의 중심에 결합된 회전축의 일측단에 태엽스프링의 중심단을 걸며, 로케이트핀에 형성된 키홈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스크류를 행거에 형성된 하부받침턱의 측면에서 수직안내구멍으로 관통되게 설치하고, 하부받침턱의 하단에 걸리면서 제 1승강랙과 제 2승강랙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핀을 제 1승강랙의 하단에 설치하여 철탑조립용 행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30)에 형성된 클레비스절개 부(34)에 피니언(55)을 설치하고, 피니언(55)의 일측에 맞물린 채 승강되는 제 1승강랙(62)을 행거(30)의 클레비스절개부(34) 내측벽면에 형성된 수직안내홈(37)에 미끄럼결합하며, 플랜지(22)의 상면을 압박하는 상부조오(60)를 제 1승강랙(62)의 상단에 역(逆)"L"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피니언(55)의 타측에 맞물려 제 1승강랙(62)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제 2승강랙(72)의 하단부에 로케이트핀(50)을 고정하기 위한 핀고정턱(70)을 일체로 형성하며, 행거(30)의 측면에 고정되는 스프링하우징(82)의 내측에 태엽스프링(80)의 외측단(84)을 걸어서 설치하고, 피니언(55)의 중심에 결합된 회전축(90)의 일측단에 태엽스프링(80)의 중심단(86)을 걸며, 로케이트핀(50)에 형성된 키홈(52)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스크류(54)를 행거(30)에 형성된 하부받침턱(32)의 측면에서 수직안내구멍(36)으로 관통되게 설치하고, 하부받침턱(32)의 하단에 걸리면서 제 1승강랙(62)과 제 2승강랙(7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핀(64)을 제 1승강랙(62)의 하단에 설치한다.
여기서 강관(20)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플랜지(22)의 밑면을 받치는 하부받침턱(32)이 행거(30)의 하단부에 "L"자형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견인와이어(24)에 연결된 회동암(40)이 행거(30)의 상단에 형성된 클레비스절개부(34)에 힌지핀(42)으로 결합되어 있고, 하부받침턱(32)에 형성된 수직안내구멍(3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로케이트핀(50)이 강관(20)의 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6)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부조오(60)의 측면에는 행거(30)의 클레비스절개부(34) 내측벽면에 형성된 수직안내홈(37)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드리브(63)를 형성하며, 상부 조오(60)에도 로케이트핀(50)이 진입하는 핀구멍(65)을 형성하여 로케이트핀(50)의 하단에 집중될 수 있는 휨모멘트를 분산하여 로케이트핀(50)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부조오(60)가 로케이트핀(50)에 걸리도록 하고, 제 1승강랙(62)의 하단에는 멈춤핀(64)이 압입되는 관통구멍(67)을 수평하게 형성한다.
또, 회동암(40)과 행거(30)의 상단에는 중심이 일치되어 힌지핀(42)이 삽입되는 홀(43)(69)을 형성하며, 회동암(40)의 단부에는 상부조오(6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미끄러지는 원형의 곡선접촉부(45)를 형성하고, 회동암(40)의 상단에는 견인와이어(24)에 연결된 아이쇄클(100)의 쇄클핀(102)이 걸리는 핀홀(47)을 형성한다.
한편, 행거(30)의 측면에는 회전축(90)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구멍(39)을 형성하고, 피니언(55)과 회전축(90)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키(92)를 회전축(90)과 피니언(55) 사이에 삽입하며, 행거(30)에는 회전방지스크류(54)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33)을 형성한다.
그리고, 스프링하우징(82)에 결합되는 스프링커버(88)를 렌치볼트(89)에 의해 행거(30)의 측면에 설치하고, 핀고정턱(70)에는 제 1승강랙(62)이 통과되는 장방형의 사각구멍(77)을 형성하며, 로케이트핀(50)의 삽입을 위한 핀고정구멍(78)을 형성한다.
또, 핀고정턱(70)에 형성된 핀고정구멍(78)에 로케이트핀(50)을 삽입한 다음 로케이트핀(50)의 하단을 핀고정턱(70)의 저면에 용접하여 영구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6,107,108은 상부조오(60)의 저면과 하부받침턱(32)의 상면, 행거(30)의 수직면에 설치된 경질패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20)을 견인하기 전에 견인와이어(24)를 강관(20)의 상단에 연결해야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행거(30)에 형성된 하부받침턱(32)을 강관(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2)의 밑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부받침턱(32)에 형성된 수직안내구멍(36)과 로케이트핀(50)의 중심을 일치시킨 다음 상부조오(60)와 핀고정턱(70)을 오므리게 되면, 핀고정턱(70)에 설치되어 있는 로케이트핀(50)이 플랜지(2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6)으로 삽입된다.
이때 로프크레인과 같은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와이어(24)를 당겨서 올리게 되면, 회동암(40)이 견인와이어(24)의 인장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회동암(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곡선접촉부(45)가 상부조오(60)의 상면을 누르게 되며, 상부조오(60)는 회동암(40)에 의해 하측으로 힘을 받아 하강되고, 상부조오(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 1승강랙(62)이 상부조오(60)와 함께 하강되면서 피니언(55)을 회전시켜 피니언(55)의 타측에 맞물려 있는 제 2승강랙(72)이 상승된다.
즉, 제 1승강랙(62)과 제 2승강랙(72)은 피니언(55)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물려 있기 때문에 피니언(55)를 통해 상반된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승강랙(62)은 행거(30)의 클레비스절개부(34)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안내홈(37)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안내되며, 제 2승강랙(72)은 하부받 침턱(32)에 형성된 수직안내구멍(36)에 삽입되어 있는 로케이트핀(5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때 로케이트핀(50)에 형성된 키홈(52)에 미끄럼결합되어 있는 회전방지스크류(54)에 의해 로케이트핀(50)은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제 2승강랙(72)이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 된다.
이후 상부조오(60)가 플랜지(22)의 상면에 접촉되고, 핀고정턱(70)이 하부받침턱(32)의 밑면에 접촉되는 순간 회동암(40)과 상부조오(60) 및 하부받침턱(32)의 움직임이 멈추면서 견인와이어(24)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강관(20)이 견인된다.
또한, 피니언(55)이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회전축(90)에 의해 태엽스프링(80)에 탄성에너지가 저장되기 때문에 상부조오(60)와 핀고정턱(70)은 제 1승강랙(62)과 제 2승강랙(72)을 통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받게 되지만 견인와이어(24)에 인장력이 작용되는 한 상부조오(60)를 가압하고 있는 회동암(40)에 의해 개방되지 못하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7 참조)
한편, 견인된 강관(20)의 하단을 이미 시공되어 있는 기초앵커나 다른 강관의 상단에 조립한 다음 견인와이어(24)를 느슨하게 이완시키게 되면, 태엽스프링(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니언(55)이 회전되면서 제 1승강랙(62)은 상승하고, 제 2승강랙(72)은 하강되면서 상부조오(60)와 핀고정턱(70)이 개방되는데, 이때 회동암(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곡선접촉부(45)가 상부조오(60)에 의해 밀리면서 부드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상부조오(60)의 움직임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핀고정턱(70)에 설치된 로케이트핀(50)이 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6)으로 부터 이탈되는 순간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부조오(60)와 하부받침턱(32)는 바깥쪽으로 편중된 무게중심에 의해 강관(20)의 플랜지(22)로부터 자연 이탈된다.
그리고, 제 1승강랙(62)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멈춤핀(64)이 하부받침턱(32)의 하단에 걸리는 순간 제 1승강랙(62)과 상부조오(60)의 상승운동은 멈추게 되어 제 1승강랙(62)과 제 2승강랙(72)이 피니언(5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강관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을 상부조오가 압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림이 종래보다 더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로케이트핀에 결합되는 상부조오가 직선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케이트핀과 상부조오의 결합과 분리가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부조오에 형성된 핀구멍과 로케이트핀을 매우 정밀하게 끼워맞출 수 있기 때문에 로케이트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견인와이어가 이완되었을 때 상부조오와 핀고정턱이 태엽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벌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관으로부터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부조오와 핀고정턱이 피니언에 의해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벌림을 크게 할 수 있어 플랜지로부터의 이탈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강관(20)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플랜지(22)의 밑면을 받치는 하부받침턱(32)이 행거(30)의 하단부에 "L"자형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견인와이어(24)에 연결된 회동암(40)이 행거(30)의 상단에 형성된 클레비스절개부(34)에 힌지핀(42)으로 결합되어 있고, 강관(20)의 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6)으로 삽입되는 로케이트핀(50)이 하부받침턱(32)에 형성된 수직안내구멍(3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철탑조립용 행거장치에 있어서,
    행거(30)에 형성된 클레비스절개부(34)에 피니언(55)을 설치하고, 피니언(55)의 일측에 맞물린 채 승강되는 제 1승강랙(62)을 행거(30)의 클레비스절개부(34) 내측벽면에 형성된 수직안내홈(37)에 미끄럼결합하며, 플랜지(22)의 상면을 압박하는 상부조오(60)를 제 1승강랙(62)의 상단에 역(逆)"L"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피니언(55)의 타측에 맞물려 제 1승강랙(62)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제 2승강랙(72)의 하단부에 로케이트핀(50)을 고정하기 위한 핀고정턱(70)을 일체로 형성하며, 행거(30)의 측면에 고정되는 스프링하우징(82)의 내측에 태엽스프링(80)의 외측단(84)을 걸어서 설치하고, 피니언(55)의 중심에 결합된 회전축(90)의 일측단에 태엽스프링(80)의 중심단(86)을 걸며, 로케이트핀(50)에 형성된 키홈(52)으로 삽입되는 회전방지스크류(54)를 행거(30)에 형성된 하부받침턱(32)의 측면에서 수직안내구멍(36)으로 관통되게 설치하고, 하부받침턱(32)의 하단에 걸리면서 제 1승강랙(62)과 제 2승강랙(7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핀(64)을 제 1승강랙(62)의 하단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KR1020070035905A 2007-04-12 2007-04-12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KR10073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905A KR100732366B1 (ko) 2007-04-12 2007-04-12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905A KR100732366B1 (ko) 2007-04-12 2007-04-12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366B1 true KR100732366B1 (ko) 2007-06-27

Family

ID=3837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905A KR100732366B1 (ko) 2007-04-12 2007-04-12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3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7957A (zh) * 2010-08-23 2010-12-29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吊装焦炉烟道弯管的方法
CN111285238A (zh) * 2020-02-28 2020-06-16 江西五十铃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轻卡动力电池箱体的吊装工具及吊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81Y1 (ko) 2006-02-20 2006-05-25 주식회사 삼원아이씨씨 철탑 조립용 행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181Y1 (ko) 2006-02-20 2006-05-25 주식회사 삼원아이씨씨 철탑 조립용 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7957A (zh) * 2010-08-23 2010-12-29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吊装焦炉烟道弯管的方法
CN111285238A (zh) * 2020-02-28 2020-06-16 江西五十铃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轻卡动力电池箱体的吊装工具及吊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577B1 (ko) 맨홀뚜껑 결합체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밸브실
KR100732366B1 (ko) 철탑조립용 행거장치
KR101422739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JP2019181121A (ja) 改善型の知能盗難防止装置
CN201266822Y (zh) 安全型隧道电缆支挂架
KR200417181Y1 (ko) 철탑 조립용 행거
CN201284775Y (zh) 轴向限位的挡销机构
JP5969341B2 (ja) 回転式鳥害防止具取付装置
CN210640646U (zh) 一种电缆挂钩
CN211598110U (zh) 一种紧急重锁机构
KR100916185B1 (ko) 앵커볼트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
RU53314U1 (ru) Люк смотрового колодца
KR200359836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140002416A (ko) 말뚝
CN110206496B (zh) 一种钩拉式水下快速连接器装置
CN2599376Y (zh) 支架固定装置
CN217151257U (zh) 一种房屋建筑支撑结构
CN101338774A (zh) 轴向限位的挡销机构
CN221141005U (zh) 一种便捷拆装的集成式电动晾衣架收线结构
KR100809905B1 (ko) 지지대 높낮이 조절장치
CN204529109U (zh) 吊钩
CN220022268U (zh) 一种通讯线缆固定装置
CN106907691B (zh) 一种吊装支架
CN220376222U (zh) 一种用于不停电作业的绝缘滑轮
JP3937227B2 (ja) 転落防止用梯子および転落防止用梯子を備えた地下構造物用蓋の受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