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007B1 -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 Google Patents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007B1
KR100732007B1 KR1020060050029A KR20060050029A KR100732007B1 KR 100732007 B1 KR100732007 B1 KR 100732007B1 KR 1020060050029 A KR1020060050029 A KR 1020060050029A KR 20060050029 A KR20060050029 A KR 20060050029A KR 100732007 B1 KR100732007 B1 KR 10073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ece
putter head
weight
groov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인
Original Assignee
이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인 filed Critical 이태인
Priority to KR102006005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Strengthening ribs
    • A63B53/0454Strengthening ribs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자성물질이 포함된 무게편; 및 상기 무게편을 삽입할 수 있는 요홈을 구비한 골프용 퍼터헤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은 상기 퍼터헤드바디에서 상기 요홈에 인접한 면으로부터 소정의 제1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며, 표면의 적어도 일부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편이 삽입될 때 상기 무게편을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1면; 및 상기 무게편이 상기 제1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무게편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소정의 제2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퍼용 퍼터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골프용 퍼터의 외관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 퍼터헤드의 무게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그린의 잔디상태, 사용자의 몸 컨디션에 따른 오차를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골프, 퍼터, 무게

Description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Putter head for golf having adjustable weight}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용 퍼터헤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지점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골프용 퍼터헤드의 단면도
도 4는 무게편 삽입을 위한 요홈이 퍼터헤드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요홈이 퍼터헤드바디의 측면에 3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요홈이 상부에 2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또다른 형태의 퍼터헤드바디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또다른 형태의 퍼터헤드바디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게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700 퍼터헤드(바디)
110, 210, 310, 410, 430, 510, 520, 610, 620, 710 무게편 삽입용 요홈
111, 211, 311, 411, 431, 511, 521, 611, 621, 711 제1면
112, 212, 312, 412, 432, 512, 522, 612, 622, 712 제2면
114, 214, 314, 414, 434, 514, 524, 614, 624, 714 자석
130, 330, 460, 530, 630, 730 샤프트
120, 320, 420, 440, 450, 800 무게편
801 비자성물질(층) 802 자성물질(층)
113 자석설치용 요홈
본 발명은 무게편을 이용하여 무게의 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및 그에 이용되는 무게편에 관한 것이다.
골프용 퍼터는 그린에서 골프공을 홀에 넣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퍼팅을 할 때에는 약간의 차이에 의해서도 공을 홀컵에 집어넣을 수 있느냐 없느냐가 결정되기 때문에, 정교한 힘조절이 요구된다.
그러나, 골프를 치는 사람이 항상 치는 힘과 동일한 힘으로 퍼팅을 한다고 느낄지라도 실지로는 골프를 치는 사람의 당일의 컨디션, 그린의 잔디 상태 등에 따라 공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골프를 치는 사람의 당일의 컨디션, 그린의 잔디 상태 등을 고려하여 치는 힘을 보정을 하여야 하는데, 사람의 감각만으로는 이러한 미세한 힘조절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무게편을 이용하여 퍼터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골프용 퍼터헤드 및 그 퍼터헤드에 삽입되는 무게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자성물질이 포함된 무게편; 및 상기 무게편을 삽입할 수 있는 요홈을 구비한 골프용 퍼터헤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은 상기 퍼터헤드바디에서 상기 요홈에 인접한 면으로부터 소정의 제1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며, 표면의 적어도 일부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편이 삽입될 때 상기 무게편을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1면; 및 상기 무게편이 상기 제1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무게편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소정의 제2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퍼용 퍼터헤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깊이는 상기 무게편의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홈은 상기 퍼터헤드바디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퍼팅면의 반대쪽 하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게편은 상기 요홈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은 자성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요홈에 비접촉하는 방향의 면은 비자성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터헤드는 동일한 부피에 질량이 다른 복수개의 무게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과 가까운 면의 깊이보다 상기 제1면과 먼 면 의 깊이가 더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골프용 퍼터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지점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퍼터헤드(100)는 샤프트(1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에 무게편(120)을 삽입할 수 있는 무게편 삽입용 요홈(11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요홈(110)의 바닥면은 제1면(111)과 제2면(112)의 두 개의 평행한 면으로 구성되며, 제1면(111)에는 자석(114)을 설치할 수 있는 자석설치용 요홈(113)이 구비되어 자석(114)이 설치되는 경우 자석(114)의 표면과 제1면(111)이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요홈(110)의 형상은 무게편(1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무게편(120)이 요홈(110)에 삽입될 경우, 무게편(120)과 요홈(110)에 인접한 퍼터헤드바디(100)의 표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게편(120)의 형상 및 무게편(12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요홈(110)의 형상은 도 1에서는 원형인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모양에 제한은 없다.
요홈(110)에 인접한 퍼터헤드바디(100)의 표면으로부터 제1면(111)까지의 깊이(이하 '제1깊이')는 기준이 되는 무게편(1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무게편(120)이 요홈(110)에 삽입된 경우 무게편(120)의 표면과 요홈(110)에 인접한 퍼터헤드바디(100)의 표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게편(120)은 사용되는 물질의 비중, 혼합비 등을 이용 하여 그 무게에 상관없이 두께가 일정하게 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그 무게에 따라 그 두께가 조금씩 다르게 제작될 수도 있다. 요홈(110)의 제1깊이는 무게편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에는 그 두께와 동일하게, 무게에 따라 그 두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무게편을 기준으로 형성된다.
또한, 무게편(120)의 표면은 퍼터헤드바디(100)와 동일한 방식의 무늬, 색상 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퍼터헤드바디(100)의 중앙에는 2개의 원(가운데에 2개의 직선이 그어진 형상)이 배열되어 있으며, 무게편(120) 삽입용 요홈(110)이 없다면 그 위치에 동일한 모양의 원이 있어야 자연스럽게 보인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퍼터헤드바디(100)에 삽입되는 무게편(120)은 그 표면에 퍼터헤드바디(100)에 배열된 원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원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터헤드에 홈을 파고, 그 홈에 추 등의 무게편을 삽입하는 경우 퍼터의 외관을 헤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요홈(110)의 제1면(111)까지의 깊이인 제1깊이를 기준이 되는 무게편(1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고, 무게편(120)의 표면 문양을 퍼터헤드바디(100)의 표면과 동일하게 하면, 무게편(120)을 퍼터헤드바디(100)에 삽입한 경우에도 퍼터헤드의 외관을 헤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면(112)은 제1면(111)보다 더 깊은 위치에 형성된다. 제1면(111)으로부터 제2면(112)까지의 깊이(이하 '제2깊이')는 특별히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퍼터헤드바디(100)에 무게편(120)이 삽입되어 무게 편(120)과 제1면(111)이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면(112)의 상부에 위치한 무게편(120)을 눌렀을 경우 무게편(120) 중 제1면(111)에 접촉하고 있던 부분의 접촉이 떨어지면서 그 부분이 위로 솟아올라 사용자가 쉽게 무게편(120)을 탈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효과가 발생할 정도이기만 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제2면(112)의 상부에 위치한 무게편(120)을 눌렀을 경우 제1면(111)과 접촉하고 있던 무게편의 하면의 끝부분과 요홈(110)에 인접한 퍼터헤드바디(100)의 표면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을 정도로 제2면(112)이 위치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깊이는 무게편의 크기, 두께, 제1면(111)과 제2면(112)의 비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제2면(112)은 제1면(111)과 평행한 면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제2면(212) 중 제1면(211)과 가까운 부분의 깊이보다 제1면(211)과 먼 부분의 깊이가 더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요홈(110)의 바닥면 중 제1면(111) 및 제2면(112)이 차지하는 각각의 비율은 자석(114)과 무게편(120)의 결합력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자석(114)과 무게편(120)의 결합력은 자석의 세기, 자석의 크기, 무게편(120)에 포함된 자성물질의 종류, 비율 등에 의해 결정된다.
자석(114)과 무게편(120)의 결합력이 강하다면 제1면(111)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다 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지만, 자석(114)과 무게편(120)의 결합력이 약하다면 약한 결합력을 보조하기 위해서 제1면(111)이 차지하는 비율 이 커질 필요가 있다.
제1면(111)의 비율이 50% 이상이 되면 자석(114)이 없어도 무게편(120)이 요홈(110)의 제1면(1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무게편(12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제1면(111)의 비율이 요홈(110)의 바닥면의 50% 이상을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는 무게편 삽입을 위한 요홈(110)이 하나만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요홈(110)의 개수, 즉 삽입 가능한 무게편(120)의 개수와 요홈(110)이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무게편 삽입용 요홈이 형성된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는 무게편 삽입을 위한 요홈(310)이 퍼터헤드바디(300)의 하부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요홈이 퍼터헤드바디의 측면에 3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요홈이 상부에 2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퍼터헤드가 후방저중심 구조를 갖는 경우, 즉 퍼팅면과 평행하게 퍼터헤드의 중간지점을 잘랐을 경우, 그 지점을 중심으로 퍼팅면의 반대방향의 하부쪽에 무게중심이 실리는 경우, 동일한 힘으로 골프공을 치더라도 더 멀리 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요홈(310)을 퍼터헤드바디(300)의 후방 하부에 형성하여 무게편(320)의 삽입을 통하여 퍼터헤드바디(300)의 후방하부 부분, 구체적으로 퍼터헤드바디(300)의 무게중심점을 중심으로 퍼팅면의 반대쪽 하부의 무게를 조절하는 경우 그 무게편의 삽입으로 인한 효과의 차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서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퍼터헤드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퍼터헤드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다양한 형상의 퍼터헤드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게편은 적어도 무게편 삽입용 요홈의 제1면에 접촉하는 부분은 자성물질로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자성물질이란 자석과 같이 항상 일정한 방향의 자기력을 구비한 강자성물질뿐만 아니라 철, 코발트, 니켈을 포함하는 전이금속물질과 같이 자기장에 들어서는 경우 자기장의 방향으로 자화되는 상자성물질을 포함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게편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용 퍼터헤드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아연, 나무 등의 자성이 없는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골프장 바닥에 있는 철가루 등의 이물질이 붙지 않는다. 그러나, 퍼터헤드에 자석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이 자석의 영향으로 바닥에 있는 자성물질이 사용자가 플레이를 하는 도중 퍼터에 붙게 되어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게편(800)은 전체가 자성물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성물질(802)과 비자성물질(801)로 구성되어 무게편(800)의 삽입시 요홈의 제1면과 접촉하는 면(802)은 자성물질로 구성하고, 표면에 드러나는 면(801)은 비자성물질로 구성하여 자기력으로 인해 이물질이 퍼터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무게편이 퍼터헤드의 하부에 삽입되는 형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레이를 할 때 무게편이 바닥을 향하고 있어서 만약 무게편 외부로 자기력이 있으면 외부 이물질이 달라붙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무게편의 표면(801)이 자성을 띠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무게편(800)의 부피는 그 무게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무게편에 사용되는 물질의 비중 등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피가 다른 무게가 되도록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부피로 만들기 불가능한 무게차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무게가 다른 무게편은 부피도 달라질 것이다. 또한, 무게에 따른 부피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무게편의 표면이 퍼터헤드바디의 외부로 약간 돌출되거나 약간 함몰된 형태로 보이더라도 외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무게편의 재료로 사용되는 물질의 비중, 복수 물질의 혼합비 등을 이용하여 무게가 다른 각각의 무게편의 부피가 가능하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경우가 외관의 변화를 더 적게 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무게편의 무게는 그 무게편에 사용되는 물질의 비중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무게편에 사용되는 물질의 비중을 이용하여 총 무게를 조절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자성물질층(802)과 비자성물질층(801)의 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비자성물질(801)로 플라스틱을 이용하고, 자성물질(802)로 철을 이용하는 경우 플라스틱의 비중이 철의 비중보다 낮으므로, 가벼운 무게편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비자성물질층(801)은 두껍고, 철로 구성된 자성물질층(802)은 얇은 형태의 무게편을 제작하고, 반대로 무거운 무게편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비자성물질층(801)은 얇고, 철로 구성된 자성물질층(802)은 두꺼운 형태의 무게편을 제작하면 된다.
다음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비중 자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자성물질 중에도 비중이 다른 물질이 있으므로 무거운 무게편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비중이 큰 자성물질을 이용하고, 가벼운 무게편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비중이 작은 자성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비중이 서로 다른 여러 물질을 혼합하여 자성물질층을 구성하고, 필요한 무게에 따라 자성물질층을 구성하는 각 물질의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비자성물질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된다.
위의 두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무게편을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무거운 무게편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비중이 큰 자성물질과 비자성물질을 이용하면서 자성물질과 비자성물질 중 비중이 큰 물질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무게편을 제작하고, 가벼운 무게편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반대의 방법으로 무게편을 제작하면 된다.
골프경기를 하는 사용자는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작된, 각각 무게가 다른 복수개의 무게편을 소지하고 있다가 당일 본인의 컨디션, 그린의 잔디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무게의 무게편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퍼터의 헤드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하여 퍼터헤드의 무게를 조절하여 경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아래의 특허청 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용 퍼터헤드의 무게를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 그린의 잔디상태, 사용자의 몸 컨디션에 따른 오차를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퍼터헤드에 무게편을 삽입하는 경우에도 퍼터의 외관에 변화를 주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일면에 자성물질이 포함된 무게편; 및
    상기 무게편을 삽입할 수 있는 요홈을 구비한 골프용 퍼터헤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은
    상기 퍼터헤드바디에서 상기 요홈에 인접한 면으로부터 소정의 제1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며, 표면의 적어도 일부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편이 삽입될 때 상기 무게편을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1면; 및
    상기 무게편이 상기 제1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무게편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소정의 제2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퍼용 퍼터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깊이는 상기 무게편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퍼터헤드바디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퍼팅면의 반대쪽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편은 상기 요홈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은 자성물질 로 구성되고, 상기 요홈에 비접촉하는 방향의 면은 비자성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터헤드는 동일한 부피에 질량이 다른 복수개의 무게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과 가까운 면의 깊이보다 상기 제1면과 먼 면의 깊이가 더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헤드.
  7. 적어도 일면에, 자성물질이 포함된 무게편을 삽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요홈을 구비한 골프용 퍼터헤드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퍼터헤드에서 상기 요홈에 인접한 면으로부터 소정의 제1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며, 표면의 적어도 일부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편이 삽입될 때 상기 무게편을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1면; 및
    상기 무게편이 상기 제1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무게편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소정의 제2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퍼용 퍼터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깊이는 상기 무게편의 두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퍼터헤드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퍼팅면의 반대쪽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과 가까운 면의 깊이보다 상기 제1면과 먼 면의 깊이가 더 깊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헤드.
  11. 적어도 일면에, 자성물질이 포함된 무게편을 삽입할 수 있고, 인접한 면으로부터 소정의 제1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며, 표면의 적어도 일부면이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무게편이 삽입될 때 상기 무게편을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제1면과, 상기 무게편이 상기 제1면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무게편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소정의 제2깊이로 들어가 형성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요홈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골프용 퍼터헤드에 사용되는 무게편에 있어서,
    상기 무게편은 상기 요홈의 제1면에 형성된 자석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요홈에 접촉되는 면이 자성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에 삽입되는 무게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편의 두께는 상기 제1깊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에 삽입되는 무게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편은 상기 요홈에 접촉하는 방향의 면은 자성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요홈에 비접촉하는 방향의 면은 비자성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헤드에 삽입되는 무게편.
KR1020060050029A 2006-06-02 2006-06-02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KR10073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29A KR100732007B1 (ko) 2006-06-02 2006-06-02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29A KR100732007B1 (ko) 2006-06-02 2006-06-02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077U Division KR200424191Y1 (ko) 2006-06-05 2006-06-05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007B1 true KR100732007B1 (ko) 2007-06-28

Family

ID=3837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029A KR100732007B1 (ko) 2006-06-02 2006-06-02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0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209A (ko) * 2018-05-23 2018-06-27 강연욱 골프 클럽
KR101960768B1 (ko) * 2018-08-28 2019-07-15 강연욱 골프 클럽
KR20200119026A (ko) 2019-04-09 2020-10-19 박영철 골프용 퍼터
KR102671179B1 (ko) * 2022-08-04 2024-05-30 나인용 골프 퍼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0863U (ja) 1984-04-04 1985-10-25 猪▲また▼ 快圓 移動重り入りゴルフクラブヘツド
JPH0399312U (ko) * 1990-01-30 1991-10-17
JPH06238022A (ja) * 1993-02-12 1994-08-30 Takehiko Oda ゴルフのパター
KR200174700Y1 (ko) 1997-04-04 2000-04-01 김대현 무게중심조정이 가능한 골프 퍼터
KR100285738B1 (ko) 1998-03-05 2001-04-02 박남일 총중량,무게중심및균형의조절이가능한골프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0863U (ja) 1984-04-04 1985-10-25 猪▲また▼ 快圓 移動重り入りゴルフクラブヘツド
JPH0399312U (ko) * 1990-01-30 1991-10-17
JPH06238022A (ja) * 1993-02-12 1994-08-30 Takehiko Oda ゴルフのパター
KR200174700Y1 (ko) 1997-04-04 2000-04-01 김대현 무게중심조정이 가능한 골프 퍼터
KR100285738B1 (ko) 1998-03-05 2001-04-02 박남일 총중량,무게중심및균형의조절이가능한골프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209A (ko) * 2018-05-23 2018-06-27 강연욱 골프 클럽
KR20190133593A (ko) * 2018-05-23 2019-12-03 강연욱 골프 클럽
KR102160654B1 (ko) 2018-05-23 2020-09-29 강연욱 골프 클럽
KR101960768B1 (ko) * 2018-08-28 2019-07-15 강연욱 골프 클럽
KR20200119026A (ko) 2019-04-09 2020-10-19 박영철 골프용 퍼터
KR102671179B1 (ko) * 2022-08-04 2024-05-30 나인용 골프 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780B2 (en) Putter heads and putters having adjustable, multi-sided ball striking face insert
US7404772B2 (en) Golf putter
US7666108B2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887432B2 (en) Golf putter heads and removable putter weights
EP1791607B1 (en) Ball striking device, e.g.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forming a ball striking device
EP2886168A1 (en) Golf ball
US20150343285A1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030083150A1 (en) Golf club head with insert
US20130203522A1 (en) Putter Heads and Putters
JP2012531257A (ja) 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CA2515168A1 (en) Golf putters and a golf putting training aid
KR20190021336A (ko) 자기 조정 가능 웨이팅 시스템을 갖는 골프 클럽 헤드
KR100732007B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US5643100A (en) Golf putter
KR200424191Y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헤드
KR101033722B1 (ko) 중량 조절이 가능한 골프 퍼터 헤드
US20110065525A1 (en) Golf putters having centrally aligned hosels
US20130178300A1 (en) Golf training accessory
US20090149273A1 (en) Modular golf putter
KR200377887Y1 (ko) 골프용 볼마크
KR200170827Y1 (ko) 골프용 퍼터
US20240066366A1 (en)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viewable weighting
US20120105797A1 (en) Eyeglasses with golf ball marker
KR20220126020A (ko) 무게중심 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
KR200363238Y1 (ko) 퍼팅용 골프채 그립에 마크 부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