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781B1 - 광정보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광정보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781B1
KR100731781B1 KR1020050061685A KR20050061685A KR100731781B1 KR 100731781 B1 KR100731781 B1 KR 100731781B1 KR 1020050061685 A KR1020050061685 A KR 1020050061685A KR 20050061685 A KR20050061685 A KR 20050061685A KR 100731781 B1 KR100731781 B1 KR 10073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ulse
condition
length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984A (ko
Inventor
미쯔오 세키구치
히로야 카키모토
이사오 마쯔다
요시카즈 사토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7Power calib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6Recording strategies, e.g. pulse sequen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11B7/0062Overwriting strategies, e.g. recording pulse sequences with erasing level used for phase-change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4Recording involving phase-chan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 펄스(12)와 후속 펄스(14)로 구성되는 기록펄스(10)의 조건결정을 소정의 순서, 즉 먼저 기록품위(紀錄品位)의 검사와 파워 및 펄스 폭의 조건변경을 수반하는 테스트 기록을 함으로써 mT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고, 그 후 그 mT 펄스의 조건을 고정한 테스트 기록을 함으로써 m'T/(n-m)T 비율을 결정하고, 그 후 상기 비율을 토대로 nT 펄스를 구성하며, 마지막으로 이 nT 펄스를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함으로써 위상의 편차를 보정 한다.
미디어, 편차, 펄스, 보정

Description

광정보기록장치{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펄스의 구성과 기록조건결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브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보인 mT 결정 흐름의 상세한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4는 도 3에 보이는 기준 문턱값의 결정단계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5는 도 4에 보인 흐름의 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도 4에 보인 흐름의 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드라이브마다 문턱값을 구할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실행한 기록품위검사의 결과 계곡형 패턴이 얻어진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도 3의 S120 단계에서 실행한 기록품위검사 결과 우하강 패턴이 얻어진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실행한 기록품위검사 결과 우상승 패턴이 얻어진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계곡형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 S122 단계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영역 결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2는 도 3의 S120 단계에서 우하강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 S122 단계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영역 결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3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우상승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 S122 단계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영역 결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도 3의 S120 단계에서 8 개의 패턴을 이용하여 실행할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도 3의 S122 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워 레인지를 곡선 근사에의해 구한 방법을 설명한 개념도.
도 16은 도 3의 S122 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워 레인지를 곡선 근사에 의해 구한 다른 예를 설명한 개념도.
도 17은 도 3의 S122 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워 레인지를 샘플링에 의해 구한 예를 설명한 개념도.
도 18은 도 1(b)에 보인 S200 단계에서 비율결정에서 사용하는 테스트용 기록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9는 도 1(b)에 보인 S200 단계에서 비율결정 흐름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20은 도 19에 보인 테스트 기록으로부터 재생 데이터의 계수까지의 동작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1은 도 19에 보인 계수결과의 격납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2는 도 19에 보인 히스토그램 작성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3은 도 19에 보인 문턱값 결정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4는 도 23에 보인 방법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5는 피트 밸런스에 의한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26은 피트 밸런스 편차 검출에서 사용되는 특정 패턴 검색용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7은 계수결과의 절대비교에 의해 길이의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의 구체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8은 도 19에 보인 제어량 예측의 실행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29는 PWD를 변화시키는 경우의 기록조건 S1, S2의 변화와 편차량(D1, D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0은 싱글 펄스의 형상에 관한 직선 근사를 이용한 길이의 편차 보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1은 멀티 펄스의 형상에 관한 직선 근사를 이용한 길이의 편차 보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2는 보정량(PWD, Tmp)을 격납하기 위한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3은 도 1의 S300 단계에서 실행되는 nT 펄스의 구성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4는 도 1(b)에 보인 S400 단계에서 위상 편차 보정에서 사용하는 테스트용 기록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5는 도 1(b)에 보인 S400 단계의 위상조건 결정 흐름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36은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 앞쪽 위상의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 및 재생 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7은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 뒤쪽 위상의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 및 재생 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8은 열 간섭에 의한 피트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
도 39는 피트 앞쪽 위상 편차 검출과 뒤쪽 위상 편차 검출에서 사용되는 특정 패턴 검색용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0은 피트 간섭 편차 검출에서 사용되는 특정 패턴 검색용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1은 계수결과의 상대 비교에 의해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의 구체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2는 도 35에 보인 제어량 예측에 의한 Ttopr, Tlast 결정의 실행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43은 기록조건(S1, S2)의 변화와 편차량(D1, D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4는 직선 근사를 이용한 앞쪽 위상의 편차 보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5는 직선 근사를 이용한 뒤쪽 위상의 편차 보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6은 보정량(Ttop, Tlast)를 격납하기 위한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7은 보정 후 싱글 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8은 보정 후 멀티 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주요 부호의 설명>
10…기록펄스 12…톱 펄스
14…후속 펄스 16…후단 펄스
50…미디어 100…드라이브
101…인코더 102…스트레티지 회로
103…레이저 발진기 104…렌즈
105…하프 미러 106…렌즈
107…렌즈 108…수광부
109…동기신호 검출회로 110… 2치화회로
111…디코더 112…기록 편차 검출부
113…연산식 도출부 114…스트레티지 결정부
115…기억영역 200…테스트 영역
202…재생 특성 204…기록조건
206…근사곡선 208…기준조건
본 발명은 광정보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라이브(drive)와 미디어의 상성(相性)에 부응하여 기록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CD-R이나 DVD-R 등으로 대표되는 광정보 기록매체(이하 ‘미디어’라고 한다)의 기록에 있어서는 기록대상이 되는 미디어와 기록에 사용하는 기록장치(이하 ‘드라이브’라고 한다)의 상성이 개개의 조합에 따라 다르다. 그 원인으로서는 미디어를 구성하는 기록재료의 종류의 차이나 제조시의 성막(成膜)의 불균일로 인해 최적의 기록조건이 변화한다는 미디어 측의 요인과,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픽업(pickup)이나 반도체 레이저의 종류의 차이나 제조시 조립 불균일로 인해 최적의 조건이 변화한다는 등 드라이브 측의 요인을 생각할 수 있으며, 실제로는 이들의 복합 요인으로서 각 조합에 맞는 기록조건이 존재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미디어 측에 당해 미디어의 종류가 드라이브 측으로부터 식별 가능하도록 ID 정보를 격납하여 두는 동시에, 드라이브 측에는 미디어의 종류마다 미리 준비된 기록조건을 격납하여 두고, 실제로 기록을 하는 경우에는 드라이브에 장전(裝塡)된 미디어로부터 당해 미디어의 ID 정보를 읽어 들여 당해 ID 정보와 관련된 기록조건(이하 ‘기록 스트레티지’라고 한다)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미리 검증된 기지(旣知)의 미디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적정한 기록조건을 선택할 수 있으나 검증되지 않고 있는 미지의 미디어에 대해서는 준비된 기록조건에서는 대응할 수 없을 경우도 있으며 또한 기지의 미디어라고 하더라도 기록환경의 변화, 예를 들면 기록속도, 외란(外亂), 경시변화(經時變化)로 인해 준비된 기록조건으로서는 대응할 수 없을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미지 미디어에 대한 대응을 도모하는 방법으로서는 하기 문헌에 기재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공개번호 제2003-30837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번호 제2004-110995호 공보("특허문헌 2")
상기 특허문헌 1의 단락 0020에는 “…기록패턴마다 채널클록(channel clock)과의 위상오차를 검출한다. 기록보상 파라미터 조정부(12)는 위상오차 검출부(11)에 있어서 검출결과를 토대로 발광파형규칙을 최적화한다.…”는 기재가 있어 채널클록과의 비교에 의해 위상오차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문헌의 단락 0024에는 “다음으로 발광파형규칙을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을 기록한다. 그리하여 상기 테스트 패턴(test pattern)을 기록한 영역을 재생하고 미리 준비한 발광파형규칙과 위상오차량과의 관계를 검사한다. 즉 각종 마크(mark)의 길이와 그 마크 직전의 각종 스페이스(space)의 길이의 각각의 조 합에 있어서 위상오차량을 측정한다. 측정한 위상오차량으로부터 위상오차량이 0이 되는 발광파형규칙을 예측하여 원하는 발광파형규칙을 결정한다. ……”라는 기재가 있어, 마크와 스페이스의 조합마다 위상오차량을 측정하고 위상오차량이 0이 되는 발광파형규칙을 예측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도 8 및 도 12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면 기록패턴의 위상오차를 토대로 보정하기 때문에 스트레티지 최적화에 유효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단락 0045에는 “…3T 기간에 상당하는 톱 펄스와 8T 기간에 상당하는 논 멀티펄스(non-multipulse)가 일체적(연속적)으로 생성되는…”라는 기재가 있으며, 또한 이 문헌의 단락 0046에는 “…기록 펄스는 2단계에서 레이저 파워(laser power)가 조정되고, 레이저 파워(톱 펄스의 파고치) Ph와 레이저 파워(논 멀티펄스의 파고치) Pm의 비가 최적인 경우 최적 파워를 얻을 수 있는…”이라는 기재가 있어 Ph/Pm의 비율을 최적화하는 것의 유용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종래와 같이 미리 드라이브에 기억된 스트레티지를 미세 조정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미리 기억된 스트레티지에 적합하지 않은 미디어에 대하여는 양호한 기록품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는 이 문헌의 단락 0067에 기재된 것처럼 드라이브 또는 미디어에 기억된 값을 토대로 Ph와 Pm의 초기 값을 가설정하고 그 후 Ph/Pm 비율을 구하고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설정 값에 적합하지 않은 미디어에 대하여는 양호한 기록품위를 만족시키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드라이브와 미디어의 상성에 부응한 기록조건의 최적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수단은, 톱 펄스(top pulse)와 후속 펄스로 구성된 기록펄스를 토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media)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후속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톱 펄스는 가장 출현빈도가 높고 기록이 곤란한 최단 피트에 대응시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CD-R과 같이 3T~11T의 피트 열이 정의되어 있을 경우나 DVD-R과 같이 3T~11T 및 14T가 정의되어 있을 경우에는 3T 피트에 대응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속 펄스는 논 멀티펄스와 멀티 펄스 중 어느 형태든 취할 수 있으며, 논 멀티펄스의 경우에는 톱 펄스와 후속 펄스의 파워 비(比)로 기록펄스의 최적화를 하고, 멀티 펄스의 경우에는 후속 펄스를 복수의 분할 펄스로 구성하여 각 분할 펄스의 듀티(duty)를 조정함으로써 기록펄스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톱 펄스의 조건과 후속 펄스의 조건은 펄스 파워, 펄스 폭, 듀티의 어느 것이나 조합해 정의하여도 되며 바람직하게는 톱 펄스와 후속 펄스의 비를 조정함으 로써 기록펄스를 최적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고 나서 후속 펄스의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안정한 기록품위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기록품위에 대한 영향은 기록펄스의 톱 쪽이 후속 측보다 크고, 특히 출현빈도가 높은 3T 펄스를 톱 펄스로 설정한 경우에는 그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톱 펄스의 최적조건을 구해 둠으로써 보다 최적의 톱 펄스조건을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후 후속 펄스의 조건을 구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처럼 톱 펄스와 후속 펄스의 비율의 최적화를 먼저 수행하는 방법에서는 톱 펄스의 최적해(最適解)를 얻을 수 없을 경우가 있어 미지 미디어의 대응력이 저하한다.
한편 보다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톱 펄스조건의 결정과 후속 펄스조건의 결정을 몇 차례 반복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수단은, 톱 펄스와 후속 펄스로 구성된 기록펄스를 토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하여 기록품위(記錄品位)를 검사하는 수단과, 상기 검사결과를 토대로 기록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톱 펄스 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후속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기록품위의 검사는 실제로 기록 대상이 되는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함으로써 드라이브와 미디어의 상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며, 그 검 사 결과 얻어진 기록품위를 토대로 최적 기록조건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높은 영역을 목표로 하여, 이 영역에 초점을 두어 테스트 기록을 하여 보다 적은 테스트 회수로 최적의 톱 펄스조건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기록조건으로서는 기록펄스의 파워 및 폭 모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수단은, 톱 펄스와 후속 펄스로 구성되는 기록펄스를 토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후속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톱 펄스 및 후속 펄스의 조건을 사용한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기록펄스의 위상조건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얻어진 기록조건을 이용하면서 테스트 기록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적은 테스트 회수로 최적해를 도출하는 확률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 확률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결정 순서로서 톱 펄스조건, 후속 펄스조건, 기록펄스의 위상 조건의 순서를 권장한다.
기록펄스의 위상조건은 그 기록펄스 전단 및 후단의 위치 관계로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전의 랜드(Land) 길이나 후속의 랜드 길이, 또한 그 전의 피트 길이 등 전후 관계를 고려해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제4 수단은, 소정 주기의 클록(clock) 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기록펄스 열(列)을 토대로 하여 레이저광의 펄스를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펄스 열은 그 기록펄스 열 가운데 가장 최단(最短)인 m'T의 길이를 갖는 mT 펄스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n'T의 길이를 갖는 nT 펄스를 포함하는 것이고,
n'T=m'T+(n-m)T
(T:클록 신호의 주기, m':최단 펄스의 클록 수, n':해당 펄스의 클록 수, mT:최단 피트(pit)의 데이터 길이, nT:최단 피트보다 긴 피트의 데이터 길이)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한 테스트 기록을 수반하는 다음 단계의 실행에 의해 상기 nT 펄스의 기록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1) mT 펄스의 조건결정
(2) m'T/(n-m)T 비율의 결정
(3) nT 펄스의 조건결정
상기 단계를 거쳐 결정된 mT 펄스와 nT 펄스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의 기록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nT 펄스는 CD-R이라면 3T~11T까지의 피트 및 랜드에 대응한 베리에이션(variation)을 가지며 DVD-R이라면 3T~11T 및 14T의 피트 및 랜드에 대응한 베리에이션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3T가 최단 길이가 되기 때문에 mT=3T가 된다.
일반적인 광디스크 시스템에서는 m 및 n은 자연수이며 m≤n의 관계를 갖는다. 한편 상기 클록 신호는 재생 신호에 포함된 워불(wobble) 신호나 프리피트(pre-pit) 신호를 이용한 주지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mT 펄스를 톱 펄스로 하고, (n-m)T 펄스를 그 톱 펄스의 뒤를 잇는 후속 펄스로 하고, 이들을 연속시킨 펄스를 nT 펄스로 한다. mT 펄스는 최단 펄스가 되기 때문에 기록이 가장 어렵고 그 조건을 결정하는 것이 다른 펄스조건을 결정하는 것보다 우선한다.
mT 펄스의 길이는 m'T로 정의되고 최단 피트의 데이터 길이인 mT 로부터 변화시킨 펄스로 하고 있다. 이는 최단 피트를 기록했을 때의 이상적인 상태로부터의 편차를 고려해 최적의 기록펄스 길이를 구한 결과로서, nT 펄스의 길이도 이 m'T의 영향을 받아 n'T가 된다.
예를 들면 최단 길이의 3T 데이터를 2T의 기록펄스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mT=3T, m'T=2T가 되기 때문에 5T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펄스 n'T는 2T+(5-3)T=4T가 된다.
m'T/(n-m)T 비율은 mT 펄스와 (n-m)T 펄스의 조건비율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논 멀티펄스면 mT 펄스의 파고치(波高値)와 (n-m)T 펄스의 파고치과의 비율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멀티 펄스면 mT 펄스의 폭과 (n-m)T 펄스의 폭 또는 (n-m)T 펄스를 구성하는 분할 펄스의 듀티비의 비율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mT 펄스의 조건을 고정한 상태로 (n-m)T 펄스의 조건을 변화시켜 테스트 기록을 함으로써 mT/(n-m)T 비율을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비율은 양 펄스의 에너지 비율, 즉 m'T 펄스에 의한 에너지와 (n-m)T 펄스에 의한 에너지와의 비율을 토대로 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에너지 비율은 파워 및/또는 펄스 폭을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록펄스를 멀티 펄스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펄스 길이의 비율로 정의하 고, 논 멀티펄스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파워 비율로 정의한다.
nT 펄스의 조건은 상기 비율을 만족하는 mT 펄스의 조건과 (n-m)T 펄스의 조건을 조합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록펄스 전단과 후단의 위치를 정의한 위상조건을 고려해 둔다.
본 발명의 제5 수단은, 단위 시간의 길이 T를 기준으로 하는 기록펄스 열을 토대로 레이저광을 펄스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펄스 열은 상기 미디어에 기록되는 최단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mT 펄스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n'T의 길이를 갖는 nT 펄스를 포함하는 것이고,
n'T=m'T+(n-m)T
m'T:최단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기록펄스의 길이
n'T:최단 피트보다 긴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기록펄스의 길이
mT:최단 피트의 데이터 길이
nT:최단 피트보다 긴 피트의 데이터 길이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한 테스트 기록을 수반하는 하기 단계의 실행에 의해 상기 nT 펄스의 기록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1) mT 펄스의 조건결정
(2) m'T/(n-m)T 비율의 결정
(3) nT 펄스의 조건결정
상기 단계를 거쳐 결정된 mT 펄스와 nT 펄스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의 기록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국한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록펄스의 구성과 기록조건 결정의 전체 흐름(flow)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록펄스(10)는 그 기록펄스 선단에 위치하는 톱 펄스(12)와 그 톱 펄스에 뒤를 잇는 후속 펄스(1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기록펄스(10)의 길이를 n'T라고 하면 톱 펄스(12)는 m'T의 길이를 가지며 후속 펄스(14)는 (n-m)T의 길이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m=3, n=3~11 및 14의 값을 취하는 것으로 한다. T는 광디스크 시스템에서 정의된 단위시간이며 그 주기는 클록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기록펄스(10)의 조건은 동 도(b)에 보이는 일련의 흐름을 실행함으로써 결정된다. 이 흐름은 광정보 기록장치(이하 ‘기록장치’ 또는 ‘드라이브’라 한다)에 광정보 기록매체(이하 ‘미디어’ 또는 ‘디스크’라고 한다)를 장전한 상태에서의 테스트 기록을 수반하여 실행된다.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록펄스(10)의 조건을 결정하는 때에는 먼저 m'T 길이의 펄스조건을 결정하고(S100 단계) 그 후 이 m'T 길이의 조건을 이용하여 m'T 길이의 펄스조건과 (n-m)T 길이의 펄스조건과의 비율이 되는 m'T/(n-m)T를 구한다(S200 단계). 그 후 이 비율을 토대로 nT 펄스를 구성하여(S300 단계) 최후로 위상의 편차를 보정하여 n'T 길이의 기록펄스조건을 결정한다(S400 단 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드라이브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이 드라이브(100)는 레이저 발진기(103)로부터 출력된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미디어(50)에 대한 정보의 기록재생을 한다.
미디어(50)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을 할 경우에는 원하는 기록정보에 대응한 기록신호를 인코더(encoder)(101)에서 EFM 방식으로 부호화하고 부호화한 기록 데이터를 스트레티지 회로(102)에 가한다.
이 스트레티지 회로(102)에는 원하는 스트레티지의 각종 설정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 스트레티지 회로(102)는 스트레티지의 각종 설정 파라미터를 보정하고, 레이저 발진기(103)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의 강도나 펄스 폭을 제어해, 원하는 기록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기록펄스를 생성한다.
스트레티지 회로(102)에서 형성된 기록펄스는 레이저 발진기(103)에 가해지고 레이저 발진기(103)는 이 기록펄스에 대응해 출력 레이저광을 제어하며, 이 제어된 레이저광을 렌즈(104), 하프 미러(half mirror)(105), 렌즈(106)를 개재해 선속도 또는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회전하는 미디어(50)에 조사하고 이에 따라 미디어(50)에는 원하는 기록 데이터에 대응한 피트, 랜드 열로 이루어진 기록패턴이 기록된다.
한편 미디어(50) 위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 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발진기(103)로부터 동일한 재생 레이저광이 렌즈(104), 하프 미러(105), 렌즈(106)를 개재해 선속도 또는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회전하는 미디어(50)에 조사된다.
이 때 재생 레이저광은 기록 시에 레이저 발진기(103)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보다 강도가 약한 재생 레이저광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재생 레이저광에 의한 미디어(50)로부터의 반사광은 렌즈(106), 하프 미러(105), 렌즈(107)를 개재해 수광부(108)에서 수광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수광부(108)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미디어(50)에 기록된 피트, 랜드로 구성되는 기록패턴에 대응하고 있다. 이 수광부(108)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동기신호 검출회로(109)에서 그 전기신호에 포함되는 워불 성분으로부터 소정주기의 클록 신호가 생성되며, 그 후 2치화회로(110)에서 2치화되고, 디코더(111)에서 디코드되어 재생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와 미디어로 구성되는 기록 시스템의 기록품위는 드라이브의 특성 불균일과 미디어의 특성 불균일에 좌우되는데, 상술한 스트레티지가 그 영향을 흡수함으로써 기록품위가 향상된다. 한편 미디어로서는 CD-R나 DVD-R로 대표되는 색소형 미디어나 CD-RW나 DVD-RW로 대표되는 상변화형 미디어 등 각종 광정보 기록매체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드라이브가 실행하는 도 1(b)에 보인 기록펄스조건결정의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m'T 조건의 결정)
도 3은 도 1에 보인 m'T 결정흐름의 상세한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flow chart)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처럼 상술한 드라이브(100)는 그 드라이브의 초기 설정을 할 때까지 S110~S114 단계를 실행하고, 다음으로 테스트 기록조 건을 정할 때까지 S116~S122 단계를 실행하고, 그 후 결정한 조건으로 테스트 기록을 할 S124 단계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mT 펄스조건을 결정하는 S126 단계를 실행한다. 이하 이들 각 단계의 상세를 설명한다.
(기준조건의 결정)
도 3에 보이는 S110 단계에서는 먼저 임의의 표준적인 미디어를 사용해 기록속도를 변화시키면서 테스트 기록을 수행하고 1 개의 펄스 폭과 3개의 파워 값을 기준조건으로서 구한다. 3 개의 파워 값으로서는 상기 테스트 기록 결과 지터(jitter)가 최소가 된 값과 그 전후에 위치하는 2 개의 파워 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2 개의 파워 값으로서는 지터 양부(良否)의 기준이 되는 문턱(threshold) 값 근방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구한 기준조건이 후의 기록품위검사 때에 이용된다.
(기준 문턱값의 결정)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터의 문턱값 이하의 영역을 테스트 기록조건 범위(이하 ‘테스트 영역’이라 한다)로 설정하려고 의도하고 있기 때문에 그 판단기준이 되는 문턱값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문턱값으로서는 드라이브나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표준적인 값을 준비해 두어도 되지만 지터 허용영역의 미니멈 라인(minimum line)을 나타내는 문턱값은 도 2에 보인 픽업을 구성하는 광학계 부품이나 다른 요소의 상태에 따라 변화하고 또한 미디어를 기록하는 속도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따라서 이 문턱값도 실제로 사용하는 드라이브와 미디어의 조합마다 구하여 보다 정확한 판단 기준을 갖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테스트 영역의 설정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 문턱값을 드라이브와 미디어의 조합마다 설정하는 것은 기록공정의 증가 요인이 되기 때문에, 드라이브 개체마다 특성이 상이한 것이 문턱값 변동의 주 요인인 것으로 가정해 드라이브 제조시 개체마다 적합한 문턱값을 기억영역(115)에 격납해 두어도 된다.
도 4는 도 3에 보이는 기준 문턱값 결정단계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 문턱값의 결정은 소정의 기록조건에 의한 기록재생을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으로서의 기준치를 결정하고 그 기준치로부터 소정의 마진(margin)을 확보한 값을 테스트 영역 결정시에 사용하는 문턱값으로 결정하여 수행한다. 이하 각 단계를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기록조건을 설정하는 S150 단계를 실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펄스 폭, 파워, 기록 재생 속도, 기록 어드레스(address) 등 기록재생에 필요한 조건을 소정의 패턴으로 준비하고 이 기록조건을 드라이브에 설정한 뒤 그 드라이브 내에 기준 미디어를 장전한다. 기준 미디어로서는 각종 미디어 중 특성이 표준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S150 단계에서 설정한 기록조건을 장전한 기준 미디어에 대해 기록과 재생을 하는 S152 단계를 실행하여 각 기록조건에 있어서의 기록재생 특성치, 예를 들면 지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취득하는 특성치로서는 기록품위를 나타내는 값을 선택한다.
뒤이어 상기 S152 단계에서 취득한 기록 재생 특성치에서 최량의 값, 예를 들면 지터의 최소 값을 구해 이를 시스템 기준치로 하는 S154 단계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당해 드라이브에서 최적치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지터 값이 기준치로 설정된다. 한편 이 기준치는 지터의 최적점이 아니라 소정의 문턱값과 교차하는 2점의 중간치, 즉 파워 마진의 중간치로 정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S154 단계에서 결정한 시스템 기준치에 대해 소정의 계수α(α>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를 곱한 값을 문턱값으로 산출하는 S156 단계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시스템 기준치에 대하여 소정의 마진을 갖도록 하는 형태로 판단이 이루어진다. 즉 시스템 기준치를 사용한 문턱값의 산출은, 문턱값=시스템 기준치×α로 이루어지고 계수α로서는 약 1.5 정도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계수α는 드라이브나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설정해도 되며 α=0.8~1.2와 같이 시스템 기준치에 가까운 값을 설정해도 되고 α=2.0~3.0과 같이 약간 크게 설정해도 무방하다.
도 5는 도 4에 보인 공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예는 기록품위를 나타내는 특성치로서 지터 값을 사용하고 W1~W4까지의 각 펄스 폭에 대해 파워를 P1~P6까지 변화시켜 재생 특성(202-1~202-4)을 얻었을 때의 예이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펄스 폭(W1~W4)과 파워(P1~P6)가 기록조건이 되고 가장 낮은 지터 값을 얻을 수 있는 재생 특성(202-3)의 극이 시스템 기준치가 되며 이 시스템 기준치에 예컨대 1.5를 곱해 얻어진 값이 문턱값이 된다. 한편 동 도 가운데 매트릭스(matrix) 안에 보인 화살표는 테스트 조건을 변화시키는 방향을 표시하며 이하 설명에 있어서도 동일한 뜻으로 사용한다.
도 6은 도4에 보인 공정 중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예는 기록품위를 나타내는 특성치로서 지터 값을 사용하고 W1~W4의 각 펄스 폭마다 파워의 변화 범위를 바꿔 재생 특성 (202-1~202-4)을 얻었을 때의 예이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가장 낮은 지터 값을 얻은 재생특성(202-2)의 극이 시스템 기준치가 되고 이 시스템 기준치에 예컨대 1.5를 곱해 얻은 값이 문턱값이 된다. 이와 같이 문턱값의 결정은 펄스 폭마다 파워 조건을 변경하여 구할 수도 있다.
도 7은 드라이브마다 문턱값을 구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드라이브의 개체 불균일에 대응한 문턱값 설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각 드라이브(100-1~100-5)의 각각에서 공통의 기준 미디어(50)를 기록재생하고, 각 드라이브마다 고유한 문턱값(1~5)을 기억시켜 둔다.
한편 문턱값의 설정 공정을 간이화하고 싶을 경우에는 표준적인 드라이브 몇 개에서 각각 공통의 기준 미디어를 기록재생하여 얻은 문턱값(1~5)의 평균을 취해, 이 평균 문턱값을 다른 드라이브의 문턱값으로 사용해도 된다.
이 때 평균 문턱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한 드라이브는 동일 설계의 것이거나 완전히 동일 설계의 것이 아니라 유사 설계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 드라이브의 문턱값으로서 평균 문턱값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일단 구한 평균 문턱값을 이후 제조되는 동일 또는 유사 설계의 드라이브 문턱값으로 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드라이브를 의도적으로 준비하 고 이들의 평균치를 구해도 된다.
(기록장치의 초기설정)
이상 설명한 도 3의 S110 및 S112 단계에서 구한 기준조건과 기준 문턱값을 드라이브(100) 안의 기록영역(115)에 격납하는 S114 단계를 실행한다. 이 공정은 드라이브(100) 제조시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 대상 미디어의 장전)
뒤이어 S114 단계의 초기 설정을 완료한 드라이브(100) 안에 정보를 기록할 미디어(50)를 장전하기 위한 S116 단계를 실행한다.
(기준조건에 의한 기록재생)
다음에 S114 단계에서 설정한 조건을 사용해 S116 단계에서 장전한 미디어(50)에 기록하는 S118 단계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준조건으로서 정의된 하나의 펄스 폭과 3 종류의 파워 값을 사용해 3 회의 기록재생을 하여 3 점의 지터 값을 얻는다. 이 3 점의 지터 값을 파워 축과의 관계로 플롯(plot)하면 드라이브(100)와 미디어(50)의 조합에 따른 기록특성의 경향이 명백하게 된다.
(기록품위의 검사)
도 8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실행한 기록품위검사 결과 계곡형 패턴을 얻을 수 있었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록품위의 검사는 상술한 내용까지의 단계에서 얻은 각 기준조건에 대한 지터 값과 문턱값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동 도에 보이는 예는 기준조건으로서 파워 P1, P2, P3을 사용했을 때의 예이며 각 파워 값에서 얻어진 지터 값을 연결한 가상선은 계곡형의 패턴이 된다. 이러한 계곡형의 패턴을 얻었을 때에는 S110 단계에서 사용한 기준 미디어와 S116 단계에서 장전한 기록대상 미디어가 같은 감도이며 기록 특성이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동 도(a)는 계곡형 패턴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하가 되는 예이며 동 도(b)는 계곡형 패턴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상이 되는 예로서 어느 패턴에 있어서도 기준 미디어와 기록 대상 미디어는 동일한 감도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기준 미디어와 기록 대상 미디어가 동일한 감도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스트기록에서 사용하는 조건은 기준조건을 중심으로 파워×펄스폭의 면(面) 영역으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동 도(a)와 (b)에서는 각 기록점 P1, P2, P3에서 각기 얻어진 재생 값과 재생 기준치와의 차분량, 즉 동도의 예에서는 지터 값과 지터 문턱값과의 차분량이 다르며 동 도(a) 에서 얻은 재생 값이 재생 기준치에 가깝게 된다.
이는 동 도(a)가 동 도(b)보다 최적조건의 발견이 쉽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동 도(a)의 기록특성을 얻었을 때가 동 도(b)의 기록특성을 얻었을 때보다 적은 테스트 회수로 보다 적합한 해답을 찾아낼 수 있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다.
즉 재생 값과 재생 기준치와의 차분량이 적었을 경우에는 최적조건이 상술한 기준조건에 근접하게 되고 재생 값과 재생 기준치와의 차분량이 많았을 경우에는 최적조건이 상술한 기준조건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테스트 회수를 보다 적게 하고 싶을 경우에는 재생 값과 재생 기준치와의 차분량에 따라 테스트 회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3의 S120 단계에서 실행한 기록품위검사 결과 우하강인 패턴을 얻은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P1, P2, P3와 파워가 상승함에 따라 지터 값이 내려가는 우하강인 패턴이 된다. 이와 같이 우하강인 패턴을 얻었을 때에는 기준 미디어보다도 기록 대상 미디어 쪽이 저감도인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동 도(a)는 우하강 패턴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하가 되는 예이며 동 도(b)는 우하강 패턴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상이 되는 예로서 어느 패턴에 있어서도 기준 미디어보다 기록 대상 미디어 쪽이 저감도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기록 미디어 쪽이 저감도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기준조건을 중심으로 파워×펄스폭의 면 영역으로 구획(區劃)된 테스트 영역을 높은 파워, 넓은 펄스 쪽으로 옮겨 테스트 기록을 한다.
또한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우하강 패턴을 얻은 경우에는 지터의 최소 값이 보다 높은 파워 측에 존재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P3보다도 높은 파워로 추기(追記)하여 재차 기록 특성을 확인해도 된다. 이 경우 기록 회수는 1 회 증가하지만 기록품위의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 패턴을 얻은 경우에도 상술한 계곡형 패턴을 얻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 값과 재생 기준치과의 차분량에 따라 테스트 회수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은 우하강 패턴을 얻은 경우에는 상술한 도 8에 보인 계곡형의 패턴보다 최적해가 기준조건으로부터 멀어진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계곡형 패턴의 경우보다도 테스트 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실행한 기록품위검사 결과 우상승 패턴을 얻 은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P1, P2, P3와 파워가 상승함에 따라서 지터 값이 올라가는 우상승 패턴이 된다. 이와 같은 우상승 패턴을 얻었을 때에는 기준 미디어보다도 기록대상 미디어 쪽이 고감도인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동 도(a)는 우상승 패턴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하가 되는 예이고 동 도(b)는 우상승 패턴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상이 되는 예이며 어느 패턴에 있어서도 기준 미디어보다 기록 대상 미디어 쪽이 고감도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기록 미디어 쪽이 고감도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기준조건을 중심으로 파워×펄스 폭의 면 영역으로 구획된 테스트 영역을 낮은 파워, 좁은 폭 측으로 옮겨 테스트 기록을 한다.
또한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우상승 패턴을 얻은 경우에는 지터의 최소 값이 보다 낮은 파워 측에 존재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P1보다도 낮은 파워로 추기하여 재차 기록특성을 확인해도 된다. 이 경우 기록회수는 1 회 증가하지만 기록품위의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 패턴을 얻은 경우에도 상술한 계곡형 패턴을 얻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생 값과 재생 기준치와의 차분량에 따라 테스트 회수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우상승 패턴을 얻은 경우에는 상술한 도 8에 보인 계곡형의 패턴보다도 최적해가 기준조건으로부터 멀어진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계곡형 패턴의 경우보다 테스트 회수를 증가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 영역의 결정)
도 11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계곡형 패턴을 얻은 경우 S122 단계에서 실행 되는 테스트 영역 결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계곡형 패턴을 얻은 경우에는 P1, P2, P3에서 각기 얻은 지터 값이 그리는 근사 곡선(206)과 문턱값과의 교차점을 테스트 기록으로 사용할 파워의 변화영역으로 하고 이 변화영역이 파워 레인지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제로 테스트 기록에서 사용하는 파워의 범위를 ‘파워 레인지’로 정의하고 지터가 문턱값 이하가 되는 파워의 범위를 ‘파워 마진’으로 정의한다.
여기에서 근사 곡선(206)은 펄스 폭마다 다르기 때문에 기준조건으로 사용한 펄스 폭을 W4라 하면 이 W4를 중심으로 한 펄스 폭 W1~W6의 각각에 대해서 파워 P1, P2, P3에서 기록하고 그 결과 얻은 근사 곡선(206)과 문턱값과의 교차점을 확인해 나간다. 이에 따라 동 도의 매트릭스 이미지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각 펄스 폭마다 문턱값 이하가 되는 파워 레인지를 얻을 수 있고 동 도의 해치(hatch)로 나타난 영역이 테스트 영역이 된다. 여기에서 기준조건으로서 사용한 P1, P2, P3의 파워 3 가지 조건과 펄스 폭 W4를 매트릭스 중의 이미지로 나타내면 동 도의 208-1, 208-2, 208-3이 되고 결정된 테스트 영역은 기준조건을 중심으로 파워×펄스 폭의 면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펄스 폭마다 파워 레인지를 구함으로써 문턱값 이하가 되는 영역을 집중하여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테스트 회수로 보다 알맞은 조건을 찾아낼 수 있다.
한편 파워 마진이 넓게 취해진 경우에는 파워 변화의 단계를 좀 크게 설정하고 파워 마진이 좁은 경우에는 파워 변화의 단계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테스트 회수 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 마진이 취해진 경우에는 러프하게 테스트를 하더라도 최적의 값을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하여 2㎽ 단계로 5 회 테스트하고, 1㎽의 마진이 취해진 경우에는 보다 정밀한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0.1㎽ 단계로 10 회 테스트하는 것과 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도 12는 도 3의 S120 단계에서 우하강 패턴을 얻은 경우에 S122 단계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영역 결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우하강 패턴을 얻은 경우에는 최적조건이 보다 높은 파워 측에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P3보다 높은 파워 값 P+로 추가 기록을 하여 P1, P2, P3, P+ 각각에서 얻은 지터 값이 그리는 근사 곡선(206)과 문턱값과의 교차점을 파워 레인지로 한다. 이 처리를 펄스 폭(W1~W6)의 각각에서 수행하여 동 도의 매트릭스 이미지에 보이는 것과 같은 테스트 영역을 얻는다.
여기에서 상기 순서에 따라 결정된 테스트 영역은 기준조건 208-1, 208-2, 208-3을 중심으로 파워×펄스폭의 면 영역이 높은 파워 측으로 옮긴 형태가 된다. 이 예에서는 계곡형 패턴으로 사용한 W1~W6을 그대로 사용했으나 우하강 패턴의 경우에는 낮은 감도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W1~W6보다 넓은 펄스 폭 영역으로 옮겨 파워 레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도 13은 도 3의 S120 단계에서 우상승 패턴을 얻은 경우 S122 단계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영역 결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우상승 패턴을 얻을 수 있은 경우에는 최적조건이 보다 낮은 파워 측에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P1보다도 낮은 파워 값 P+로 추가 기록하고 P+, P1, P2, P3 각각 에서 얻은 지터 값이 그리는 근사 곡선(206)과 문턱값과의 교차점을 파워 레인지로 한다. 이 처리를 펄스 폭W1~W6 각각에서 실행하여 동 도의 매트릭스 이미지에 보이는 것과 같은 테스트 영역을 얻는다.
여기에서 상기 순서에 따라 결정된 테스트 영역은 기준조건 208-1, 208-2, 208-3을 중심으로 파워×펄스폭의 면 영역이 낮은 파워 측으로 옮긴 형태가 된다. 이 예에서도 계곡형 패턴으로 사용한 W1~W6을 그대로 사용했으나 우상승 패턴의 경우에는 높은 감도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W1~W6보다도 좁은 펄스 폭 영역으로 옮겨 파워 레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즉 상술한 방법에서는 각 펄스 폭마다 기록품위의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각 펄스 폭마다 테스트 회수가 결정되기 때문에 테스트 회수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기록품위의 검사는 기준조건에서의 기록에 따른 지터 변화를 패터닝하여 실행한 예이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하기와 같이 8 개의 패턴을 사용해 실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도 14는 도 3의 S120 단계를 8 개의 패턴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패턴(1)은 계곡형, 우상승, 우하강 등 어떤 패턴이더라도 지터의 최대치가 문턱값 이하가 되었을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을 얻었을 때에는 기준 미디어와 동일한 정도의 감도라고 간주하는 동시에 문턱값 이하인 마진이 넓게 취해질 것으로 판단하여 파워 조건을 낮은 파워 측과 높은 파워 측으로 각각 확장한다. 즉 패턴(1)에서는 문턱값 근방의 값이 취해지지 않기 때문에 낮은 파워 측과 높은 파워 측 양쪽에 추가 기록을 하게 된다.
그 후 추가 기록의 결과 얻어진 지터 특성을 곡선에 근사시키고 이 근사 곡선이 지터 문턱값과 교차하는 대소 2점의 간격을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로 한다.
또한 이 패턴을 얻었을 때에는 기준치±0.2T의 펄스 폭 영역을 테스트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테스트 기록 시에는 이 테스트 영역 내를 0.2T 마다 변화시켜서 최적기록조건을 검출한다. 한편 T는 기록 피트의 단위시간 길이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기준치가 되는 펄스 폭을 펄스조건(1)으로 하고 확장한 2점을 펄스조건(2) 및 (3)으로 하면 패턴(1)의 펄스조건(2) 및 (3)은 ± 0.2T 확장된 후의 펄스 폭이 된다. 이 펄스 폭의 조건변경에 따라 테스트 조건으로서 사용하는 파워 레인지도 약간 변경한다.
즉 펄스 폭을 0.1T 변경했을 때에는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1) ㎽를 그 펄스 폭에 있어서 파워 레인지로 하고, 펄스 폭을 0.2T 변경했을 때에는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를 그 펄스 폭에 있어서의 파워 레인지로 하며, 펄스 폭을 -0.1T 변경했을 때에는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1)) ㎽를 그 펄스 폭에 있어서의 파워 레인지로 한다.
따라서 패턴(1)에 해당한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 세트가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3)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1)에 보인 기준조건은 실제의 테스트 기록에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패턴(2)는 계곡형 패턴이 얻어진 경우로서 지터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하일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는 기록대상 미디어가 기준 미디어와 동일한 감도인 것으로 판단하여 기준치±0.1T를 펄스 폭 조건으로 하여 선택한다. 그 후 패턴(1)과 같은 순서에 따라 이들 펄스조건마다 파워 레인지의 설정을 한다. 그 결과 이 패턴(2)에 해당한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 세트가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1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1)) ㎽
(3) 펄스 폭의 기준치+0.1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1)) ㎽
패턴(3)은 계곡형 패턴을 얻어진 경우로서 지터의 최소 값이 문턱값을 초과했을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는 기록대상 미디어가 기준 미디어와 동일한 감도로서 미디어의 소성차(素性差)가 크다고 판단하여 기준치±0.2T를 펄스 폭 조건으로서 선택한다. 그 후 패턴(1)과 같은 순서에 따라 이들 펄스조건마다 파워 레인지의 설정을 한다. 그 결과 패턴(3)에 해당한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세트로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3)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패턴(4)는 우하강 패턴이 얻어진 경우로서 지터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하일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는 기록대상 미디어가 기준 미디어보다 다소 낮은 감도라고 판단하여 기준치, +0.1T 및 +0.2T의 3점을 펄스 폭 조건으로서 선택한다. 그 후 패턴(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이들 펄스조건마다 파워 레인지의 설정을 한다. 그 결과 이 패턴(4)에 해당한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 세트가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1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1)) ㎽
(3)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패턴(5)는 우하강 패턴을 얻어진 경우로서 지터의 최소 값이 문턱값을 초과했을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는 기록대상 미디어가 기준 미디어보다 상당히 낮은 감도라고 판단하고 기준치, +0.2T 및 +0.4T의 3점을 펄스 폭 조건으로서 선택한다. 그 후 패턴(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이들 펄스조건마다 파워 레인지의 설정을 한다. 그 결과 패턴(5)에 해당했을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 세트가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3) 펄스 폭의 기준치+0.4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4)) ㎽
패턴(6)은 우상승 패턴이 얻어진 경우로서 지터의 최소 값이 문턱값 이하가 되었을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는 기록대상 미디어가 기준 미디어보다 다소 높은 감도라고 판단하여 기준치, -0.1T 및 -0.2T의 3 점을 펄스 폭 조건으로서 선택한다. 그 후 패턴(1)과 같은 순서에 따라 이들 펄스조건마다 파워 레인지의 설정을 한다. 그 결과 패턴(6)에 해당한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 세트가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1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1)) ㎽
(3)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패턴(7)은 우상승 패턴이 얻어진 경우로서 지터의 최소 값이 문턱값을 초과했을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는 기록대상 미디어가 기준 미디어보다 상당히 높은 감도라고 판단하여 기준치, -0.2T 및 -0.4T의 3 점을 펄스 폭 조건으로서 선택한다. 그 후 패턴(1)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이들 펄스조건마다 파워 레인지의 설정을 한다. 그 결과 패턴(7)에 해당했을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세트로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3) 펄스 폭의 기준치-0.4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4)) ㎽
패턴(8)은 산형 패턴이 얻어진 경우로서 지터의 최대치가 문턱값을 초과했을 때에 적용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이 얻어진 경우에는 이상(異常) 패턴이라고 판단하여 기준치± 0.2T를 펄스 폭 조건으로서 선택한다. 그 후 패턴(1)과 같은 순서에 따라 이들 펄스조건마다 파워 레인지의 설정을 한다. 그 결과 패턴(8)에 해당했을 경우의 테스트 조건은 하기 3 세트가 된다.
(1) 펄스 폭의 기준치,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
(2)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3) 펄스 폭의 기준치+0.2T, 파워 레인지의 기준치×(1-0.05×(+2)) ㎽
한편 이상 설명한 8 가지 패턴 가운데 기준 미디어에 가장 가깝게 되는 패턴(2) 이외의 패턴이 검출된 경우에는 재생 오동작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이 패턴의 토대가 된 기록 결과를 재차 재생하고 지터를 재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다시 재생하여 패턴(2) 이외의 특성이 검출된 경우에는 도 14에 보이는 조건에 따라 기록조건의 추가와 확장을 하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생 오동작의 확인을 한 결과 패턴(8)이 검출된 경우에는 기록 오동작의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기록 및 펄스 폭의 확장을 하기 전에 펄스 폭의 기준치로 다시 기록을 한다. 재차 기록 결과를 재생하더라도 패턴(8)이 된 경우에는 추가 기록, 즉 펄스조건(1)의 마진 측정을 하기 위한 파워 확장은 하지 않고, 펄스조건의 확장, 즉 펄스조건(2) 및 (3)의 확장을 한다. 이들 펄스조건(2) 및 (3)의 확장에 따른 파워 확장은 상술한 방법으로 하면 된다.
즉 패턴(8)의 경우 펄스조건(1)에서는 마진이 취해지지 않아 확장의 기준이 되는 파워 레인지를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 파워 조건범위를 기준이 되는 파워 레인지로 설정한다.
(테스트 영역의 결정:근사법에 의한 파워 레인지의 결정)
상술한 순서를 실행함으로써 적은 테스트 회수로 최적해를 얻는데 유효한 테스트 영역이 결정되지만 이 테스트 영역을 결정할 때 중요하게 되는 파워 레인지 결정 방법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가능한 한 적은 테스트 회수로 최적해를 발견하기 위해 정밀도를 올리려는 것으로서 문턱값 이하의 영역에 테스트 조건을 집중시킨다는 것은 상술한 대로이다. 그러한 생각을 토대로 하면 테스트 기록을 할 때 사용하는 파워 레인지는 문턱값에 대한 마진을 나타내는 대소 2점의 파워 값으로부터 구하면 된다. 여기에서 문턱값에 대한 마진이라는 것은 이 영역인 경우 문턱값 이하의 특성치를 얻을 수 있는 폭을 의미하고 대소 2점의 파워 값이란 그 마진 폭을 결정하는 낮은 파워 측의 값과 높은 파워 측의 값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각종 미디어의 테스트 기록시간 단축 및 라이트 원스 미디어(write-once media)처럼 테스트 기록영역에 제한이 있는 미디어에 있어서 테스트 영역의 효율화를 생각한다면 테스트 기록에 필요한 기록점은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서 구하는 파워 레인지는 최적기록조건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워 레인지를 높은 정확도로 구한다는 것은 보다 선택된 영역에 집중하는 테스트를 의미하기 때문에 테스트 회수의 저감에도 기여한다. 예를 들면 0.1㎽에 1회의 빈도로 테스트 기록을 할 경우, 파워 레인지가 1㎽라면 10회의 테스트 기록을 하고, 2㎽라면 20회의 테스트 기록을 하여 파워 레인지를 좁힘으로써 테스트 회수 저감에 기여하는 것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록 재생 신호의 기록품위가 기록 파워에 대하여 최적점을 극치(極値)로 하는 2차 곡선적인 변화를 그린다는 것에 착안해 몇 개의 기록점을 사용, 특성곡선을 근사적으로 산출하여 구하려고 하는 마진량을 얻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근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몇 개의 기록점으로 파워 레인지를 높은 정확도로 용이하게 구할 수 있게 되어 테스트 회수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3의 S122 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워 레인지를 곡선근사에 의해 구하는 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근사시키는데 있어서는 먼저 기록 특성의 판단 기준이 되는 지터 값이 문턱값 근방이 되는 낮은 파워 측의 a 및 높은 파워 측의 c인 2점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이들 a, c 및 문턱값의 어느 값보다도 작은 지터 값이 되는 b를 선택한다. 즉 여기에서 선택되는 a, b, c는 하기의 관계를 갖게 된다.
a>b, c>b, 문턱값>b
여기서 상기 문턱값 근방은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문턱값으로부터 특정 폭을 가진 상한치와 하한치의 사이로 정의하며 바람직하게는 상한치를 문턱값의 40%, 하한치를 문턱값의 5%로 설정한다. 그 후 이들 a, b, c의 값을 2차 함수로 근사시켜 그 2차 함수와 문턱값이 교차하는 대소 2점의 차분(差分)을 파워 레인지로 한다. 한편 문턱값 근방이라고 정의하는 범위는 -5%~+40% 또는 -10%~30% 등 기록점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은 도 3의 S122 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워 레인지를 곡선근사에 의해 구하는 다른 예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A, B, C의 3 조건만으로는 상술한 “a>b, c>b, 문턱값>b”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관계를 얻지 못할 경우 높은 파워 측의 D를 추가로 기록하여 문턱값 근방의 값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B>C의 관계의 경우에는 B를 사용하지 않고 A, C, D의 3점으로 근사식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기록점 3점과 문턱값의 관계는 “A>C, D>C, 문턱값>C”가 되어 근사 곡선을 그리는데 적합한 관계가 되기 때문에 3점 근사로 고정도의 근사곡선을 얻을 수 있다. 한편 D에 보인 추가 기록조건은 추가로 기록하기 전의 기록점이 나타내는 A>B, B>C 및 문턱값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
또한 도 15와는 반대로 낮은 파워 측에 문턱값 근방의 값이 없는 경우에는 A보다 낮은 파워 조건으로 추가 기록을 하면 되고 기록점과 문턱값의 관계에 따라서는 적절하게 1점 이상의 기록조건을 추가해도 된다.
또한 추가 기록조건으로 이용하는 파워의 범위는 소정의 파워 단계에 대하여 일정한 변화를 갖도록 해도 되며 미리 파워의 변동에 대한 지터 변동의 관계를 구해 두고 그 관계로부터 파워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한편 상기 기록조건을 추가하더라도 파워 레인지를 구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기록점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재차 기록조건을 추가하여 기록한다.
또한 라이트 원스 미디어와 같이 테스트 기록 영역에 제한이 있는 경우나 방대한 테스트 시간을 피하기 위해 상기 재차 기록조건의 추가 회수에 상한치를 주어도 되며, 기록조건의 추가에 의해 기록 파워가 레이저 출력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추가 기록 파워의 상한치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3점 근사에 의해 파워 레인지를 구했으나 문턱값에 가장 가까운 2점을 선택하고 이들 2점이 각기 나타내는 대소 2점의 파워 값의 차분으 로부터 파워 레인지를 결정해도 된다.
기타 문턱값 근방의 2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는 문턱값에 걸친 대소 2점이 발견될 때까지 파워를 변화시켜서 기록하고 그 기록한 가운데에서 가장 문턱값에 가까운 2점을 선택하거나 그 2점을 그대로 선택해도 된다. 이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한 설명을 첨가한다.
(테스트 영역의 결정:샘플링에 의한 파워 레인지의 결정)
도 17은 도 3의 S122 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워 레인지를 샘플링에 의해 구하는 예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상술한 3점 근사가 아니고 문턱값에 가까운 값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파워를 서서히 변화시켜 문턱값에 가까운 대소 2점의 파워 값을 기준으로 파워 레인지가 구해진다.
즉,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록 파워를 P1으로부터 P2, P3…로 순차적으로 증가시켜서 기록 재생을 하고 문턱값 이상의 값을 얻은 파워 값 P6까지 기록 재생을 반복한다. 이 처리의 이미지를 매트릭스로 나타내면 파워 변화는 P1~P6 실행되며 파워 레인지는 문턱값에 가장 가까운 낮은 파워 측 P2와 높은 파워 측 P6의 사이가 된다. 이와 같이 문턱값에 걸친 2점을 선택함으로써 파워 레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턱값에 가까운 대소 2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는 하기와 같은 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1) 파워 마진을 이루는 대소 2점을 선택하는 방법, 즉 재생 기준치를 만족하는 파워 영역 내에서 재생 기준치와 가장 가까운 2점을 선택
2) 파워 마진에서 약간 벗어나지만 재생 기준에 가장 가까운 2점을 선택
3) 낮은 파워 측에서 재생 기준치에 걸친 대소 2점을 선택
4) 높은 파워 측에서 재생 기준치에 걸친 대소 2점을 선택
5) 낮은 파워 측 및 높은 파워 측에서 재생 기준치에 걸친 형태가 되는 2점으로서, 재생 기준치와 가장 가까운 2점을 선택
또한 상기 각 방법에 의해 선택한 2점을 이용하여 기록 특성을 근사시켜 재생 기준치와 교차하는 대소 2점을 구해도 된다.
(m'T/(n-m)T 비율의 결정)
도 18은 도 1(b)에 보인 S200 단계의 비율결정에서 사용하는 테스트용 기록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는 하나의 펄스 패턴으로 구성된 싱글 펄스(single pulse)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이며 동 도(b)는 복수의 펄스 패턴으로 구성된 멀티 펄스(multi-pulse)를 사용할 경우의 예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싱글 펄스(10-1) 및 멀티 펄스(10―2)는 기록펄스의 선두에 배치된 톱 펄스(12)와 그 뒤를 잇는 후속 펄스(14)로 구성되고 후속 펄스(14)는 기록펄스의 가장 끝머리에 배치된 후단 펄스(16)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메인 파워(PW)가 나타내는 높이로 기록펄스 전체의 에너지량이 규정되고, 톱 펄스 폭(Ttop)이 나타내는 길이에서 기록 피트 선단에 부여되는 에너지량이 규정된다. 이 메인 파워(PW)는 기록펄스(10-1, 10―2) 중 가장 높은 값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톱 펄스의 폭(Ttop)은 3T의 길이를 갖는 최단 기록 피트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최단폭인 기록펄스가 가장 출현 확률이 높고 기록품위에 대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우선은 상술한 m'T 조건결정의 흐름에 따라 톱 펄스(12)의 파워(PW)와 폭(Ttop)의 최적조건을 확정시킨다.
뒤이어 m'T/(n-m)T 비율 결정 흐름에 따라 후속 펄스(14)의 조건결정을 한다. 후속 펄스의 조건으로서는 싱글 펄스(10-1)의 경우에는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메인 파워(PW)보다 PWD만큼 낮은 파워 영역을 설치하고 이 양을 규정함으로써 기록 피트가 누형(淚形)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멀티 펄스(10-2)의 경우에는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선두 펄스(12)와 후단 펄스(14)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펄스의 폭(Tmp)을 규정하든지 또는 Tmp와 Tsmp의 듀티비를 규정함으로써 기록 피트가 누형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후속 펄스의 조건결정은 톱 펄스의 조건을 기준으로서 수행한다.
도 19는 도1(b)에 보인 S200 단계의 비율결정 흐름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도 2에 보인 드라이브는 우선 스트레티지 회로(102)가 실행하는 기록 스트레티지의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때문에 미디어(50)에 대하여 (n-m)T의 조건을 변경한 복수의 기록패턴에 따라 테스트 기록을 한다(S210 단계). 이 때 mT 펄스의 조건은 상술한 m'T 조건결정 흐름에서 얻은 값으로 고정한다. 그 후 상기 테스트 기록에 의해 형성된 기록패턴을 재생하고(S212 단계), 그 결과로서 2치화회로(110)에서 얻어진 재생 2치화신호를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서 소정의 클록에 동기한 카운터(counter)로 계수(計數)하여(S214 단계), 상기 재생 2치화신호에 포함된 피트 및 랜드의 길이를 계수 데이터로서 기록 영역(115)에 격납한다(S216 단계).
그 후 기록 편차 검출부(112)는 기록 영역(115)에 축적된 계수 데이터를 사용해 계수치마다 출현빈도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작성하고(S218 단계), 상기 히스토그램으로부터 피트 길이와 랜드 길이의 판정 기준이 되는 계수결과의 문턱값을 결정한다(S220 단계).
그 후 기록 편차 검출부(112)는 상기 문턱값을 기준으로 기록 영역(115)에 격납된 계수 데이터 중에서 특정의 피트/랜드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특정 패턴을 검색하고(S222 단계), 이 특정 패턴에 포함된 동일 피트 길이라고 생각되는 계수결과를 평균화함과 동시에 동일 랜드 길이라고 생각되는 계수결과를 평균화하여 특정 패턴을 구성하는 각 피트와 각 랜드의 평균 길이를 구한다(S224 단계).
그 후 기록 편차 검출부(112)는 추출한 복수의 특정 패턴 가운데 하나를 추출 패턴으로 설정하고 이 추출 패턴에 포함되는 대상 기록 피트의 길이를 기준 길이와 비교하여(S226 단계), 기록펄스에 대한 피트의 길이 편차량을 검출한다(S228 단계).
그 후 연산식 도출부(113)는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서 검출한 편차량을 토대로 최적 스트레티지를 결정하기 위한 연산식을 도출하고 스트레티지 결정부(114)는 이 연산식 도출부(113)가 도출한 연산식을 사용해 각종 파라미터의 제어 결과를 예측하고(S230 단계), 이 예측 결과를 토대로 도 18에 보인 PWD 또는 Tmp을 결정하여 이를 스트레티지 회로(102)에 설정한다(S232 단계).
도 20은 도 19에 보인 테스트 기록으로부터 재생 데이터의 계수까지의 동작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우선, 테스트 기록을 하면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은 기록 피트가 광디스크 위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 기록 피트를 재생하면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이 기록 피트에 대응한 재생 RF 신호가 얻어진다. 이 재생 RF 신호를 2치화하면 동 도(c)에 보인 것과 같은 재생 2치화신호를 얻을 수 있고 이 2치화신호의 극성 반전 사이의 펄스 길이를 동 도(d)에 보이는 것과 같은 클록 신호로 계수하면 동 도(e)에 보인 것과 같은 계수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1은 도 19에 보인 계수결과의 격납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클록 신호로 계수된 2치화신호는 극성 반전부를 구획하여 그 계수결과를 피트, 랜드의 구별과 함께 기억영역(115)에 설치된 테이블(table) 내에 순차 시계열로 격납된다. 동 도에 보이는 테이블은 후에 검색 가능한 어드레스(address)가 붙은 상태로 격납된다.
도 22는 도 19에 보인 히스토그램 작성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계수치의 출현빈도를 그래프화하면 히스토그램을 얻고 피트와 랜드를 각각 구별하여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면 동 도(a)에 보인 피트의 계수경향을 나타내는 피트 히스토그램과 동 도(b)에 보인 랜드의 계수경향을 나타내는 랜드 히스토그램의 2종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디스크에서는 기준 클록에 대한 각 단위 길이 nT(n=3, 4, 5,…14)가 필연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각 단위 길이 nT에 대하여 출현빈도분포의 산(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도 19에 보인 문턱값 결정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히스토그램 중의 각 산과 산 사이에 형성된 계곡 부분을 각 단위 길이 nT의 길이를 판정하는 문턱값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피트 히스토 그램 및 랜드 히스토그램의 각각에 대하여 피트 길이의 판단기준이 되는 피트 길이 문턱값과 랜드 길이의 판단 기준이 되는 랜드 길이 문턱값을 설정한다.
도 24는 도 23에 보인 방법에 의해 얻어진 문턱값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각 피트 길이의 경계마다에 피트 길이의 문턱값이 정의되고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각 랜드 길이의 경계마다 랜드 길이의 문턱값이 정의된다. 동 도(a)에 보이는 예에서는, 2T와 3T의 경계가 되는 문턱값은 「계수치=2」이 되고, 3T와 4T의 경계가 되는 문턱값은 ‘계수치=9’가 되고 이후 14T와 15T의 경계까지 설정된다. 또한 동 도(b)에 보이는 예에서는 2T와 3T의 경계가 되는 문턱값은 ‘계수치=2’가 되며 3T와 4T의 경계가 되는 문턱값은 ‘계수치=10’이 된다. 이후 14T와 15T의 경계까지 설정된다.
다음으로 도 19에 보인 특정 패턴의 검색(S222 단계)에서 편차량의 검출(S228 단계)까지 각 공정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 공정은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 있어서 각종 편차의 검출 원리를 토대로 실행된다.
도 25는 피트 밸런스(balance)에 의한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여기에서 피트 밸런스란 상술한 톱 펄스와 후속 펄스의 밸런스를 말한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피트 밸런스에 의한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에는 동 도(a)에 보이는 기록펄스를 사용해 테스트 기록을 한다. 이 기록펄스는 랜드(LxT), 피트(PyT), 랜드(LzT)가 연속하는 패턴을 포함하고 고정 랜드(LxT)의 랜드 길이 및 고정 랜드(LzT)의 랜드 길이를 고정하여 가변 피트(PyT)의 피트 길이를 동 도(b)로부터 동 도(f)에 보이는 것과 같이 3T, 4T,…7T로 변화시킨 것이 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별 랜드 길이의 변화는 14T까지 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이 기록패턴의 가변장인 피트(PyT) 길이는 이상적인 기록 상태에서는 각각 이상적인 피트 길이에 대응해야 한다.
그러나 이 가변장인 피트(PyT) 길이가 이상적인 규정의 길이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랜드(LxT)의 랜드 길이 및 랜드(LzT)의 랜드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가변장인 피트(PyT)의 규정 길이로부터의 편차량은 기록시의 스트레티지에 있어서 3T, 4T,…14T 각각의 피트 P3T, P4T,…P14T의 기록펄스에 대한 길이의 편차량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스트레티지를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고 이 기록펄스에 의한 테스트 기록의 재생 패턴으로부터 동 도(b)~(f)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가변장인 피트(PyT) 기록 결과와 각 피트의 기준 길이를 비교하여 각 피트 길이의 이상적인 길이로부터의 편차량을 검출하면 각 피트 길이의 편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6은 피트 밸런스의 편차 검출에 사용되는 특정 패턴 검색용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피트 밸런스 편차 검출을 할 경우에는 특정 패턴마다 설정된 랜드(LxT), 피트(PyT), 랜드(LzT)에 관한 문턱값 범위를 기준으로 도 2의 기억영역(115) 내에 격납된 데이터를 검색하여(도 19의 S222 단계에 상당) 그 문턱값을 충족하는 데이터 열을 추출한다.
그 후 랜드(LxT), 피트(PyT), 랜드(LzT) 각각에 해당하는 계수결과를 분별하고 랜드(LxT), 피트(PyT), 랜드(LzT)마다 평균치를 구한다 (도 19의 S224 단계에 상당). 이 계수결과의 평균치를 사용하여 도 25에 보인 패턴비교를 수행하면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 앞쪽 위상의 편차량을 얻을 수 있다.
도 27은 계수결과의 절대비교에 의해 길이의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이상적인 기준 길이와의 비교로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에는 우선 기억 영역 내에 격납된 데이터 그룹 속에서 동 도(a)에 보인 특정 패턴을 검색 추출하고 동 도(b) 및 (c)에 보이는 것과 같이 비교 대상이 되는 부위에 대한 양자의 계수치를 비교한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피트 3T가 비교 부위로 되기 때문에, 특정 패턴의 계수결과인 동 도(b)에 보이는 ‘9’와 기준 길이에 상당하는 계수결과인 동 도(c)에 보이는 ‘8’과의 차분 ‘1’이 3T 피트의 편차량이 된다.
도 28은 도 19에 보인 제어량 예측의 실행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어량의 예측은 기록조건이 다른 S1과 S2의 2종 이상의 조건으로 테스트 기록을 하고(S250 단계), 그 결과 얻어진 기록 피트를 재생하고(S252 단계), 그 결과 얻어진 재생 패턴을 비교하여 조건(S1)에 대응하는 편차량(D1)과 조건(S2)에 대응하는 편차량(D2)을 구하고(S254 단계), 이들 S1 및 S2와 D1 및 D2와의 관계를 직선 근사시켜(S256 단계), 그 직선을 사용하여 최적 보정량을 결정하는(S258 단계) 일련의 순서를 실행함으로써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검출되는 편차량(D1 및 D2)은 스트레티지의 각종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 변동한다. 그리고 스트레티지의 각종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 변동하는 편차량(D1 및 D2)은 해석 결과 거의 직선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상기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테스트 기록에 있어서 편차량은 최소자승법을 토대로 근사된 직선상의 변화로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2회의 테스트 기록을 했을 경우에는 스트레티지의 각종 설정 파라미터와 검출한 편차량(D1 및 D2)과의 직선관계에 착안하여 최적인 스트레티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선 근사 대신 곡선으로 근사해도 된다.
즉 싱글 펄스의 경우에는 PWD가, 멀티 펄스의 경우에는 Tmp가 기록조건(S1 및 S2)으로 변화시키는 대표적인 파라미터가 되며, 이들 파라미터를 S1, S2로 변화시켜 그 영향을 D1, D2로 검출하여 이들 4점을 사용하여 직선 근사를 하고 그 직선을 사용하여 편차를 상쇄할 수 있는 보정량을 얻는다.
도 29는 PWD를 변화시킬 경우의 기록조건(S1, S2)의 변화와 편차량(D1, D2)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여기에서 동 도(a)에 보이는 기록펄스는 PWD를 S1만큼 변화시킨 기록펄스S1이고 동 도(b)에 보이는 기록펄스는 PWD를 S2만큼 변화시킨 기록펄스S2로서 이들의 2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한다.
그 결과 동 도(a)의 기록펄스에 대응하여 동 도(a1)에 보이는 패턴S1이 얻어지고 동 도(b)의 기록펄스에 대응하여 동 도(b1)에 보이는 패턴S2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패턴S1은 제어량(S1)에 대응한 편차량(D1)이 발생하고 패턴S2는 제어량(S2)에 대응한 편차량(D2)이 발생한다.
제어량(S1, S2)에 대한 편차량(D1, D2)을 알면 어느 파라미터에 관해 어느 정도의 제어량을 가지면 어느 정도의 편차가 생기는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관계를 이용하여 제어량의 예측과 보정 값을 결정한다.
도 30은 싱글 펄스의 형상에 관한 직선 근사를 이용한 길이의 편차를 보정하는 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당해 길이의 편차에 대한 보정량(PWD)을 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이 되는 펄스 길이를 기준파형 nT로 했을 때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PWD만큼 펄스의 중앙이 함몰한 파형으로 테스트 기록을 하고 그 결과 동 도(c)에 보이는 것과 같이 얻어진 재생 신호의 편차 Δ를 검출한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이 PWD의 변화를 S1=+0.3과 S2=+0.1의 2 종류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길이의 편차 Δ를 편차량 D1=+0.1 및 D2=-0.1로서 얻는다. 그리하여 이들 얻어진 S1, S2, D1, D2를 사용하여 동 도(e)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어량(PWD)에 대한 제어 결과(Δ)의 관계를 직선으로 근사시키고 이 직선을 이용하여 길이의 편차를 상쇄할 수 있는 보정량 PWD=+0.2를 최적의 보정 값으로 결정한다. 이 때 톱 펄스의 조건은 변화시키지 않고 고정해 둔다.
이와 같이 스트레티지의 변화(S1, S2)와 편차량의 변화(D1, D2)와의 관계는 적어도 변화점을 2점 구하면 직선 또는 곡선에 의한 근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 직선을 이용하여 편차량이 0이 되는 최적 보정량을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티지(S)를 몇 점 변화시켰을 때의 편차량(D)을 구하고 이 때의 스트레티지(S)와 편차량(D)과의 관계를 일반식 ‘D=a×S+b’에 대입하여 연립방정식을 풀어 정수(a), (b)를 구하고, 마지막으로 이상적인 상태로부터의 편차량(D)에 대응하는 스트레티지(S)를 구하여 이 스트레티지(S)를 도 1에 보인 스트레티지 회로(102)에 설정함으로써 기록펄스의 최적보정을 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보이는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서 특정 스트레티지(S1)를 사용한 테스트 기록의 재생 패턴으로부터 검출한 편차량이 D1, 다른 스트레티지(S2)를 사용한 테스트 기록의 재생 패턴으로부터 검출한 편차량이 D2라고 하면,
D1=a×S1+b
D2=a×S2+b
에서 a 및 b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a및 b를 사용한 함수
S= (D-b)/a
를 구하고, 이 함수에 기록품위를 개선시키기 위해 예컨대 이퀄라이저 등에서 생기는 초기적인 출력의 편차 등을 보정하기 위한 출력의 편차량(D)을 대입함으로써 최적 스트레티지(S)를 결정한다.
도 31은 멀티 펄스의 형상에 관한 직선 근사를 이용한 길이의 편차 보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당해 길이 편차에 대한 보정량(Tmp)을 정할 경우에는 먼저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이 되는 펄스의 길이를 기준파형(nT)으로 했을 때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중간 펄스의 길이를 Tmp으로 한 파형에서 테스트 기록을 하고 그 결과 동 도(c)에 보이는 것과 같이 얻어진 재생 신호의 길이의 편차(Δ)를 검출한다. 이 때 톱 펄스의 조건은 변화시키지 않고 고정해 둔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이 Tmp의 변화를 S1=+0.3과 S2=+0.1의 2 종류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길이의 편차(Δ)를 편차량 D1=+0.1 및 D2=-0.1로 얻는다. 그리하여 이들 얻어진 S1, S2, D1, D2를 사용하여 동 도(e)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어량(Tmp)에 대한 제어결과(Δ)의 관계를 직선으로 근사시키고 이 직선을 이용해 길이의 편차를 상쇄할 수 있는 보정량 Tmp=+0.2를 최적 보정량으로 결정한다.
도 32는 보정량(PWD, Tmp)을 격납하기 위한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보정량(PWD, Tmp)은 보정 대상이 되는 피트 길이마다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보정 대상 피트가 3T일 경우의 보정량(PWD)은 그림 중 ‘PW3’으로 나타낸 영역에 격납되고 보정량(Tmp)은 그림 중 ‘Tm3’으로 나타낸 영역에 격납된다. 이하 4T, 5T,…14T까지 3T와 동일하게 격납된다.
도 33은 도 1의 S300 단계에서 실행되는 nT 펄스의 구성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5T 피트를 형성할 경우의 기록 데이터는 클록 신호 5주기 분의 길이를 가지고 nT의 길이를 갖는 펄스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기록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후의 펄스는 동 도(b) 및 (c)에 보이는 것과 같이 m'T의 톱 펄스로 시작하여 n'T의 길이를 갖는 펄스 신호로 출력되며 싱글 펄스의 경우에는 (n-m)T 펄스 내에서 PWD가 정의되고 멀티 펄스의 경우에는 (n-m)T 펄스 내에서 Tmp가 정의된다.
이 때 PWD 및 Tmp는 톱 펄스의 조건을 고정하여 구한 값이기 때문에 mT 펄스의 조건을 기준으로 한 최적의 m'T/(n-m)T 비율에 준거한 값이 된다. 그 결과 톱 펄스와 후속 펄스로 구성되는 nT 펄스는 기록품위의 향상에 바람직한 값이 된다. 다만 이 시점에서는 아직 위상조건이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후술하는 위상조건 결정에 관한 흐름을 다시 실행함으로써 최적화된 스트레티지를 얻는다.
(위상 편차 보정)
도 34는 도 1(b)에 보인 S400 단계의 위상 편차 보정에서 사용하는 테스트용 기록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는 단일 펄스 패턴으로 구성된 싱글 펄스를 사용할 경우의 예이며 동 도(b)는 복수의 펄스 패턴으로 구성된 멀티 펄스를 사용할 경우의 예다.
각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싱글 펄스(10-1)와 멀티 펄스(10-2)의 어느 쪽의 경우에도 기록펄스의 위상조건으로서 톱 펄스(12)의 개시 위치를 조정하는 Ttopr과 후단 펄스(16)의 종료 위치를 조정하는 Tlast를 설정한다. 이들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기록 후의 피트 길이가 보다 최적화된다. 한편 이들 위상조건은 상술한 단계까지의 흐름에서 결정된 톱 펄스의 조건과 후속 펄스의 조건을 기준으로 한 테스트 기록을 함으로써 결정된다.
도 35는 도 1(b)에 보인 S400 단계의 위상조건결정 흐름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도 2에 보인 드라이브는 우선 미디어(50)에 대해 mT 펄스와 (n-m)T 펄스로 구성되는 nT 펄스의 위상조건을 변경한 복수의 기록패턴에 의한 테스트 기록을 한다(S410 단계). 이 때 mT 펄스의 조건 및 (n-m)T 펄스의 조건은 상술한 단계까지의 흐름에서 얻어진 값으로 고정해 둔다.
그 후 이 테스트 기록에 의해 형성된 기록패턴을 재생하고(S412 단계), 그 결과로서 2치화회로(110)로부터 얻어진 재생 2치화신호를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서 소정 클록으로 동기한 카운터로 계수하고(S414 단계), 그 재생 2치화신호에 포함된 피트 및 랜드의 길이를 계수 데이터로서 기록영역(115)에 격납한다(S416 단계).
그 뒤 기록 편차 검출부(112)는 기록 영역(115)에 축적된 계수 데이터를 사용해 계수치마다 출현빈도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작성하고(S418 단계) 이 히스토그램으로부터 피트 길이와 랜드 길이의 판정 기준이 되는 계수결과를 문턱값으로 결정한다(S420 단계).
그 뒤 기록 편차 검출부(112)는 상기 문턱값을 기준으로 기록 영역(115)에 격납된 계수 데이터 중 특정한 피트/랜드 패턴을 포함한 복수 종의 특정 패턴을 검색하고(S422 단계), 이 특정 패턴에 포함된 동일 피트 길이로 생각되는 계수결과를 평균화함과 동시에 동일 랜드 길이라고 생각되는 계수결과를 평균화하고 특정 패턴을 구성하는 각 피트와 각 랜드의 평균길이를 구한다(S424 단계).
그 뒤 기록 편차 검출부(112)는 추출한 복수의 특정 패턴 중 하나의 기준 패턴을 설정하고 이 기준 패턴과 다른 패턴과를 비교하여(S426 단계), 하기의 편차량을 각각 독립적으로 검출한다(S428 단계).
1) 기록펄스에 대한 피트 앞쪽 위상의 편차량
2) 기록펄스에 대한 피트 뒤쪽 위상의 편차량
3) 열 간섭에 의한 기록펄스로부터의 피트의 편차량
그 뒤 연산식 도출부(113)는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서 검출한 편차량을 토대로 최적 스트레티지를 결정하기 위한 연산식을 도출하고 스트레티지 결정부(114)는 이 연산식 도출부(113)에서 도출된 연산식을 사용하여 각종 파라미터의 제어 결과를 예측하고(S430 단계), 이 예측 결과를 토대로 도 34에 보인 Ttopr 및 Tlast를 결정하여 이를 스트레티지 회로(102)에 설정한다(S432 단계).
여기에서 S410 단계의 테스트 기록에서부터 S424 단계의 평균화까지의 순서는 상술한 도 20~도 24까지 보인 방법과 동일하게 실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6은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 앞쪽 위상의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 및 재생 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 앞쪽 위상의 편차량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동 도(a)로 보이는 기록펄스를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한다. 이 기록펄스는 고정 피트(PxT), 고정 랜드(LyT), 가변 피트(PzT)가 연속하는 패턴을 포함하고 고정 피트(PxT)의 피트 길이와 고정 랜드(LyT)의 랜드 길이를 고정하고 가변 피트(PzT)의 피트 길이를 동 도(b)로부터 (f)에 보이는 것과 같이 3T, 4T,…7T로 변화시킨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가변 피트 길이의 변화는 14T까지 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이 기록패턴의 고정 랜드(LyT)의 길이는 이상적인 기록 상태에서는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고정 랜드(LyT)의 길이가 이상적인 규정의 길이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피트(PxT)의 피트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 랜드(LyT) 길이의 이상적인 규정 길이의 편차량은 기록시의 스트레티지에 있어서 3T, 4T,…14T의 각각의 피트 P3T, P4T,…P14T의 기록펄스에 대한 앞쪽 위상의 편차량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 피트(PzT)가 3T가 되는 동 도(b)의 패턴을 기준 패턴으로 설정하고 동 도(c)~(f)의 나머지 패턴을 비교 패턴으로 설정하고 이들 비교 패턴의 고정 랜드(LyT)의 길이와 기준 패턴의 고정 랜드(LyT)의 길이와 비교하면 동 각도(各 圖)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 패턴에 대한 앞쪽 위상의 편차량(FPS4T~FPS7T)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편차량(FPS3T~FPS7T)는 어떤 부위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값으로서 검출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기준 패턴 앞쪽 편차량(FPS3T)은 0으로 정의해도 되고 또한 이상적인 길이로부터의 편차량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또한 동 도(b)의 패턴을 대신해 동 도(c)~(f)에 보인 패턴 중 하나를 기준 패턴으로 설정해도 된다.
도 37은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의 뒤쪽 위상의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 및 재생 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 뒤쪽 위상의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에는 동 도(a)에서 보이는 기록펄스를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한다. 이 기록펄스는 가변 피트(PxT), 고정 랜드(LyT), 고정 피트(PzT)가 연속하는 패턴을 포함하고, 고정 랜드(LyT)의 랜드 길이와 고정 피트(PzT)의 피트 길이를 고정하고 가변 피트(PxT)의 피트 길이를 동 도(b)로부터 (f)에 보이는 것과 같이 3T, 4T,…7T로 변화시킨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가변 피트의 길이의 변화는 14T까지 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이 기록패턴의 고정 랜드(LyT)의 길이는 이상적인 기록 상태에서는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고정 랜드(LyT)의 길이가 이상적인 규정의 길이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피트(PzT)의 피트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 랜드(LyT) 길이의 이상적인 규정 길이의 편차량은 기록 시의 스트레티지에 있어서 3T, 4T,…14T의 각각의 피트 P3T, P4T,…P14T의 기록펄스에 대한 뒤쪽 위상의 편차량에 대응 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 피트(PxT)가 3T가 되는 동 도(b)의 패턴을 기준 패턴으로 설정하고 동 도(c)~(f)의 나머지의 패턴을 비교 패턴으로 설정하여 이들 비교 패턴의 고정 랜드(LyT)의 길이와 기준 패턴의 고정 랜드(LyT)의 길이를 비교하면 동 각 도(各圖)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 패턴에 대한 뒤쪽 위상의 편차량(RPS4T~RPS7T)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편차량(RPS3T~RPS7T)은 어떤 부위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값으로서 검출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기준 패턴의 뒤쪽 위상의 편차량(RPS3T)은 0으로 정의해도 되며 또한 이상적인 길이로부터의 편차량으로서 검출해도 된다. 또한 동 도(b)의 패턴을 대신해 동 도(c)~(f)에 보인 패턴 중 하나를 기준 패턴으로 설정해도 된다.
도 38은 열 간섭에 의한 피트의 편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패턴의 한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열 간섭에 의한 피트의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에는 동 도(a)에 보이는 기록펄스를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한다. 이 기록펄스는 랜드(LxT), 피트(PyT), 랜드(LzT)가 연속하는 패턴을 포함하고 고정 피트(PyT)의 피트 길이 및 고정 랜드(LzT)의 랜드 길이를 고정하고, 가변 랜드(LxT)의 랜드 길이를 동 도(b)로부터 동 도(f)에 보이는 것과 같이 3T, 4T,…7T로 변화시킨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가변 랜드 길이의 변화는 14T까지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이 기록패턴의 고정 피트(PyT) 길이는 이상적인 기록 상태에서는 일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고정 피트(PyT)의 길이가 이상적인 규정의 길이에서 벗어나 있으면, 랜드(LzT)의 랜드 길이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 피트(LyT)의 이상적인 규정 길이의 편차량은 가변 랜드(LxT)의 직전에 형성된 피트의 열 간섭에 의한 편차량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 랜드(LxT)가 3T가 되는 동 도(b)의 패턴을 기준 패턴으로 설정하고 동 도(c)~(f)의 나머지의 패턴을 비교 패턴으로 설정하여 이들 비교 패턴의 고정 피트(PyT)의 길이와 기준 패턴의 고정 피트(PyT)의 길이를 비교하면 동 각도(各圖)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 패턴에 대한 앞쪽 위상의 편차량(HID3T~HID7T)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편차량(HID3T~HID7T)은 특정 부위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값으로서 검출할 수 있으면 되므로 기준 패턴 앞쪽 위상의 편차량(HID3T)은 0으로 정의해도 되고 또한 이상적인 길이로부터의 편차량으로 검출해도 된다. 또한 동 도(b)의 패턴을 대신해 동 도(c)~(f)에 보인 패턴 중 하나를 기준 패턴으로 설정해도 된다.
도 39는 피트 앞쪽 위상 편차 검출과 뒤쪽 위상 편차 검출에 사용되는 특정 패턴 검색용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피트 앞쪽 위상 편차를 검출할 경우에는 특정 패턴마다 설정된 피트(PxT), 랜드(LyT), 피트(PzT)에 관한 동 도(a)에 보인 문턱값 범위를 기준으로 도 2의 기억영역(115) 내에 격납된 데이터를 검색해(도 35의 S422 단계에 상당) 그 문턱값을 충족시키는 데이터 열을 추출한다.
그 뒤 피트(PxT), 랜드(LyT), 피트(PzT)의 각각에 해당하는 계수결과를 분별 하고 피트(PxT), 랜드(LyT), 피트(PzT)마다 평균치를 구한다 (도 35의 S424 단계에 상당). 이 계수결과 평균치를 사용해 상술한 패턴을 비교하면 각 피트 길이에 있어서 앞쪽 위상의 편차량을 얻을 수 있다. 동 도(b)는 피트 뒤쪽 위상 편차를 검출할 경우의 문턱값의 예이고, 사고방식과 동작은 피트 앞쪽 위상 편차를 검출할 경우와 같다.
도 40은 피트 간섭 편차 검출에서 사용되는 특정 패턴 검색용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피트 간섭의 편차 검출은 도 39를 사용하여 설명한 피트 앞쪽 위상 편차 및 뒤쪽 위상 편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다.
도 41은 계수결과의 상대 비교에 의해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는 피트 앞쪽 위상 편차를 검출할 경우의 예지만 다른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편차량을 검출할 경우에는 먼저 기억 영역 내에 격납된 데이터의 무리 중 동 도(a) 및 (b)에 보인 기준 패턴과 비교 패턴을 검색, 추출하고, 동 도(c) 및 (d)에 보이는 것과 같이 원래 고정 길이어야 할 부위에 대한 계수치를 비교한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랜드(LyT)가 비교 부위가 되기 때문에 기준 패턴의 계수결과인 동 도(c)에 보이는 ‘12’와 비교 패턴의 계수결과인 동 도(d)에 보이는 ‘11’과의 차분을 구해 얻어진 차분 ‘1’이 편차량(FPS4T)의 값이 된다.
도 42는 도 35에 보인 제어량 예측에 의한 Ttopr, Tlast 결정의 실행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동 도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어량의 예측은 기록조건이 다른 S1과 S2의 2종 이상의 조건으로 테스트 기록을 하고(S450 단계), 그 결과 얻 어진 기록 피트를 재생해(S452 단계), 그 결과 얻어진 재생 패턴의 비교에 의해 조건(S1)에 대응하는 편차량(D1)과, 조건(S2)에 대응하는 편차량(D2)을 구하고(S454 단계), 이들 S1 및 S2와 D1 및 D2와의 관계를 직선 근사하여(S456 단계) 그 직선을 이용해 최적의 Ttopr와 Tlast를 결정하는(S458 단계) 일련의 순서로 실행한다.
도 43은 기록조건(S1, S2)의 변화와 편차량(D1, D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에 보이는 기록펄스를 ‘PzT=3T’의 기준 펄스라 하고, 비교 대상이 되는 ‘PzT=4T’의 기록펄스는 PzT의 선단을 S1 변화시킨 동 도(b)의 기록펄스S1과 PzT의 선단을 S2 변화시킨 동 도(c)의 기록펄스S2의 2조건에서 테스트 기록을 한다.
그 결과 동 도(a)의 기록펄스에 대응하여 동 도(a1)에 보이는 기준 패턴이 얻어지고 동 도(b)의 기록펄스에 대응하여 동 도(b1)에 보이는 비교 패턴S1이 얻어지며 동 도(c)의 기록펄스에 대응하여 동 도(c1)에 보이는 비교 패턴S2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비교 패턴S1은 제어량(S1)에 대응한 편차량(D1)이 생기고 비교 패턴(S2)은 제어량S2에 대응한 편차량(D2)이 생긴다.
제어량(S1, S2)에 대한 편차량(D1, D2)을 알면 어느 파라미터에 관해서 어느 정도의 제어량을 가지면 어느 정도의 편차가 생길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관계를 이용하여 제어량의 예측과 보정 값을 결정한다.
도 44는 직선 근사를 이용한 앞쪽 위상의 편차 보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앞쪽 위상의 편차에 대한 보정량(Ttop)을 정할 경우에는 먼저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이 되는 펄스 위치를 기준위상(φ)으로 했을 때 동 도(b) 에 보이는 것과 같이 Ttop만치 펄스의 위치를 지연시킨 파형에서 테스트 기록을 하고〔기록조건(S1), (S2)에 상당〕그 결과 동 도(c)에 보이는 것과 같이 얻어진 재생 신호의 위상 편차(Δφtop)을 검출한다〔편차량(D1), (D2)에 상당〕.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Ttop의 변화를 S1=+0.1과 S2=+0.3의 2종류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검출 위상(Δφtop)을 편차량 D1=-0.1 및 D2=+0.1로서 얻는다. 그리하여 이들 얻어진 S1, S2, D1, D2를 사용하여 동 도(e)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어량(Ttop)에 대한 제어결과(Δφtop)의 관계를 직선으로 근사하고 이 직선을 이용하여 위상의 편차가 상쇄될 수 있는 보정 위상 Ttop=+0.2를 최적 보정 값으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스트레티지의 변화(S1, S2)와 편차량의 변화(D1, D2)와의 관계는 변화점을 적어도 2점 구하면 직선 또는 곡선에 의한 근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 직선을 이용하여 편차량이 0으로 되는 최적 보정 값을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티지(S)를 수 회 변화시켰을 때의 편차량(D)을 구하고 이 때의 스트레티지(S)와 편차량(D)과의 관계를 일반식 ‘D=a×S+b’에 대입하고 연립방정식을 풀어 정수(a), (b)를 구하고, 최종적으로는 이상적인 상태로부터 편차량(D)에 대응하는 스트레티지(S)를 구하여, 이 스트레티지(S)를 도 1에 보인 스트레티지 회로(102)에 설정함으로써 기록펄스의 최적 보정을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보인 기록 편차 검출부(112)에서 특정 스트레티지(S1)를 사용한 테스트 기록의 재생 패턴으로부터 검출한 편차량이 D1, 다른 스트레티지(S2)를 사용한 테스트 기록의 재생 패턴으로부터 검출한 편차량을 D2라고 하면
D1=a×S1+b
D2=a×S2+b
로부터 a 및 b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a및 b를 사용한 함수
S= (D-b)/a
를 구해 이 함수에 기록품위를 개선시키기 위한, 예를 들면 이퀄라이저 등에 있어서 발생하는 초기적인 출력의 편차 등을 보정하기 위한 출력의 편차량(D)을 대입하여 최적 스트레티지(S)를 결정한다.
한편 이 최적 스트레티지(S)를 구하는 함수는 3T, 4T,…14T의 각각의 피트 P3T, P4T,…P14T에 대응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이 최적 스트레티지(S)를 구하는 함수는 기록속도에 대응해서 각각 구할 수도 있다.
도 45는 직선 근사를 이용한 뒤쪽 위상 편차 보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뒤쪽 위상 편차에 대한 보정량(Tlast)을 정할 경우에는 먼저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기준이 되는 펄스 위치를 기준위상(φ)으로 했을 때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Tlast만치 펄스의 위치를 지연시킨 파형에서 테스트 기록을 하고 그 결과 동 도(c)에 보이는 것과 같이 얻어진 재생 신호의 위상 편차(Δφlast)를 검출한다.
동 도에 보이는 예에서는 이 Tlast의 변화를 S1=-0.1과 S2=-0.3의 2종류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진 검출 위상(Δφlast)을 편차량 D1=+0.1 및 D2=-0.1로서 얻는다. 그리하여 이들 얻어진 S1, S2, D1, D2를 사용해 동 도(e)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어량(Tlast)에 대한 제어결과(Δφlast)의 관계를 직선으로 근사시키고 이 직선을 이용하여 위상의 편차가 상쇄될 수 있는 보정 위상 Tlast=-0.2를 최적 보정 값으로 결정한다.
도 46은 보정량(Ttop, Tlast)를 격납하기 위한 테이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에 보이는 것과 같이 보정량(Ttop)은 보정 대상이 되는 피트 길이마다 각 피트의 전방 랜드의 길이와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보정 대상 피트가 3T이고 그 피트의 전방 랜드가 3T일 경우에는 그림 중 ‘3-3’으로 나타낸 영역에 보정량이 격납되고 보정 대상 피트가 4T이며 그 피트 전방 랜드가 3T인 경우에는 그림 중 ‘3-4’로 나타낸 영역에 보정량이 격납된다. 이하 5T,…14T까지 3T 및 4T와 동일하게 격납된다.
또한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보정량(Tlast)는 보정 대상이 되는 피트 길이마다 각 피트의 후방 랜드 길이와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보정 대상 피트가 3T이며 그 피트의 후방 랜드가 3T일 경우에는 그림 중 ‘3-3’으로 나타낸 영역에 보정량이 격납되고 보정 대상 피트가 4T이며 그 피트의 후방 랜드가 3T일 경우에는 그림 중 ‘3-4’로 나타낸 영역에 보정량이 격납된다. 이하 5T,…14T까지 3T 및 4T와 동일하게 격납된다.
도 47은 보정 후의 싱글 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동 도(a)에 보이는 기록 데이터를 광디스크 위로 기록할 경우에는 각 피트 길이마다 최적의 보정 값이 적용된 스트레티지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3T 피트를 기록할 경우에는 동 도(b)에 보이는 것과 같이 도 46에 보인 테이블의 전방의 랜드 길이에 응해 3T 피트 전단의 보정 값(Ttop)을 읽어냄과 동시에 후방 랜드 길이에 응하여 3T 피트 후단의 보정 값(Tlast)을 읽어내 기록펄스 전단 및 후단을 당해 Ttop 및 Tlast으로 보정한다.
또한 4T 피트 이상을 보정하는 경우에는 동 도(c)~(f)에 보이는 것과 같이 Ttop 및 Tlast에 더하여 해당 피트 길이의 PWD 보정 값을 도 32의 테이블로부터 읽어내 당해 PWD의 값에 따른 펄스 형상을 보정한다.
도 48은 보정 후의 멀티 펄스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멀티 펄스의 경우에는 상술한 도 47에 보인 싱글 펄스의 PWD 보정 값을 대신해 Tmp 보정 값을 도 32의 테이블로부터 읽어내 당해 Tmp의 값에 응한 펄스 형상을 보정한다. 기타는 싱글 펄스의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최적 스트레티지(S)를 구하는 함수에 편차량(D)을 대입함으로써 최적 스트레티지(S)를 결정했으나, 그 대신에 상기 함수로부터 구한 보정 테이블을 준비해 그 보정 테이블을 토대로 최적 스트레티지(S)를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최적 스트레티지의 설정 처리는 광디스크의 종별을 변경할 때마다 또는 기록속도를 변경할 때마다 실시해도 되고 또한 상기 최적 스트레티지의 설정 처리에서 결정된 최적 스트레티지 조건을 광디스크의 종별 및 기록속도에 대응시켜서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재차 동일한 종별의 광디스크에서 기록을 할 경우 또는 동일한 기록속도로 기록을 할 경우에는 그 메모리에 기억된 최적 스트레티지를 읽어내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각 구성요소는 일반 연산장치에서 수행이 가능한 것이므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합되어 구현되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드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톱 펄스(top pulse)와 후속 펄스로 구성된 기록펄스를 토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media)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된 톱 펄스의 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후속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인데, 톱 펄스 조건 결정 수단과, 후속 펄스의 조건 결정수단이 하나의 연산장치에 구현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된 장치에 구현되거나 모두 실질상 동일성 범주에 드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브에 있어서 특히 미지의 미디어라도 보다 최적에 가까운 기록조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까다로운 기록 환경에 대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톱 펄스(top pulse)와 후속 펄스로 구성된 기록펄스를 토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media)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된 톱 펄스의 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후속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2. 톱 펄스와 후속 펄스로 구성된 기록펄스를 토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하여 기록품위(記錄品位)를 검사하는 수단과,
    상기 검사 수단의 검사 결과를 토대로 기록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된 톱 펄스 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후속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3. 톱 펄스와 후속 펄스로 구성되는 기록펄스를 토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해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톱 펄스의 조건을 사용하여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후속 펄스의 조건 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톱 펄스 및 후속 펄스의 조건을 사용한 테스트 기록을 하여 상기 기록펄스의 위상조건을 결정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4. 소정 주기의 클록(clock) 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기록펄스 열(列)을 토대로 하여 레이저광의 펄스를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펄스 열은 그 기록펄스 열 가운데 가장 최단(最短)인 m'T의 길이를 갖는 mT 펄스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n'T의 길이를 갖는 nT 펄스를 포함하는 것이고,
    n'T=m'T+(n-m)T
    (여기서, T:클록 신호의 주기, m':최단 펄스의 클록 수, n':해당 펄스의 클록 수, mT:최단 피트(pit)의 데이터 길이, nT:최단 피트보다도 긴 피트의 데이터 길이임)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한 테스트 기록을 수반하는 다음 단계의 실행에 의해 상기 nT 펄스의 기록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1) mT 펄스의 조건결정
    (2) m'T/(n-m)T 비율의 결정
    (3) nT 펄스의 조건결정
    상기 단계를 거쳐 결정된 mT 펄스와 nT 펄스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의 기록을 수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5. 단위 시간의 길이 T를 기준으로 하는 기록펄스 열을 토대로 레이저광을 펄스 조사함으로써 광기록 미디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펄스 열은 상기 미디어에 기록되는 최단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mT 펄스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n'T의 길이를 갖는 nT 펄스를 포함하는 것이고,
    n'T=m'T+(n-m)T
    (여기서, m'T:최단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기록펄스의 길이,
    n'T:최단 피트보다 긴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기록펄스의 길이,
    mT:최단 피트의 데이터 길이,
    nT:최단 피트보다 긴 피트의 데이터 길이임)
    상기 광기록 미디어에 대한 테스트 기록을 수반하는 하기 단계의 실행에 의해 상기 nT 펄스의 기록조건을 결정하는 수단과,
    (1) mT 펄스의 조건결정
    (2) m'T/(n-m)T 비율의 결정
    (3) nT 펄스의 조건결정
    상기 단계를 거쳐 결정된 mT 펄스와 nT 펄스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의 기록을 수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정보 기록장치.
KR1020050061685A 2004-07-14 2005-07-08 광정보기록장치 KR100731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7248 2004-07-14
JP2004207248A JP4395416B2 (ja) 2004-07-14 2004-07-14 光情報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984A KR20060049984A (ko) 2006-05-19
KR100731781B1 true KR100731781B1 (ko) 2007-06-22

Family

ID=3494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685A KR100731781B1 (ko) 2004-07-14 2005-07-08 광정보기록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96014B2 (ko)
EP (1) EP1619674B1 (ko)
JP (1) JP4395416B2 (ko)
KR (1) KR100731781B1 (ko)
CN (1) CN100373468C (ko)
DE (1) DE602005005252T2 (ko)
HK (1) HK1081318A1 (ko)
TW (1) TW2006124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5450B2 (ja) * 2005-02-08 2010-01-06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信号処理回路
TWI328806B (en) * 2005-06-17 2010-08-11 Lite On It Corp Method for adjusting write strategy of optical disc
CN101401155A (zh) 2006-03-13 2009-04-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光学记录驱动器的实时功率控制
KR100696838B1 (ko) 2006-03-30 2007-03-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기록재생기의 기록 방법
KR20080087315A (ko) * 2007-03-26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트 스트러티지 검출 장치 및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및 방법
US9048947B2 (en) * 2008-12-10 2015-06-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Optical receiver having an automatic fiber optic signal adjustment circu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3343A (ja) * 2001-12-28 2003-07-18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US20030151994A1 (en) * 2001-04-27 2003-08-14 Shuichi Tasaka Recordable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to recordable optical disc
US20040008594A1 (en) * 2002-07-10 2004-01-15 Teac Corporation Optical disk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5841B2 (ja) 1990-09-28 1999-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式
JP2702018B2 (ja) 1991-11-18 1998-01-21 太陽誘電株式会社 光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US6243339B1 (en) * 1997-08-12 2001-06-05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writing optical record carriers
JP2002015426A (ja) * 2000-06-27 2002-01-18 Ricoh Co Ltd 情報記録方法及び光記録媒体
JP4014440B2 (ja) 2001-05-11 2007-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システム
JP3979120B2 (ja) * 2002-02-25 2007-09-1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738244B2 (ja) 2002-09-20 2006-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DE602004031300D1 (de) 2003-10-17 2011-03-17 Ricoh Co Ltd Informationsaufzeichnungsverfahren, informationsaufzeichnungseinrichtung, programm und computerlesbares aufzeichnungsmediu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1994A1 (en) * 2001-04-27 2003-08-14 Shuichi Tasaka Recordable optical disc,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to recordable optical disc
JP2003203343A (ja) * 2001-12-28 2003-07-18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US20040008594A1 (en) * 2002-07-10 2004-01-15 Teac Corporation Optical disk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8226A1 (en) 2006-01-26
JP2006031788A (ja) 2006-02-02
EP1619674B1 (en) 2008-03-12
HK1081318A1 (en) 2006-05-12
DE602005005252D1 (de) 2008-04-24
TWI325586B (ko) 2010-06-01
DE602005005252T2 (de) 2009-03-19
EP1619674A1 (en) 2006-01-25
US7496014B2 (en) 2009-02-24
KR20060049984A (ko) 2006-05-19
CN100373468C (zh) 2008-03-05
CN1734585A (zh) 2006-02-15
TW200612412A (en) 2006-04-16
JP4395416B2 (ja)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386B1 (ko) 광정보기록장치
KR100731781B1 (ko) 광정보기록장치
JP4597911B2 (ja) 光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信号処理回路および光記録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録媒体
KR100815546B1 (ko) 광정보기록장치 및 방법 및 신호처리회로
JP4395455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4395450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4339820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US20060262709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JP4523470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4244039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並びに光情報再生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2006331602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4597789B2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4575908B2 (ja) 光情報記録方法
JP2007004932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2006269019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JP2006269020A (ja) 光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