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342B1 -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342B1
KR100731342B1 KR1020070032650A KR20070032650A KR100731342B1 KR 100731342 B1 KR100731342 B1 KR 100731342B1 KR 1020070032650 A KR1020070032650 A KR 1020070032650A KR 20070032650 A KR20070032650 A KR 20070032650A KR 100731342 B1 KR100731342 B1 KR 100731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terlocking
tank
tank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김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열 filed Critical 김종열
Priority to KR102007003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으로 음식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와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는 미생물 투입부와 물을 투입할 수 있는 물 투입부를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제1 레벨센서를 형성하며, 바닥면에는 이동홀을 형성한 1조와 상기 1조의 이동홀과 연 이동 관로와 한 부분의 공기 관로를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밸브를 형성한 관으로 상기 관로 부와 연결되는 유입 홀을 상측에 형성하고, 한 부분으로 제2 레벨센서를 형성한 2조와 상기 2조의 한 부분으로 제1 이송관과 공기 이 송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되며, 한 부분으로 제3 레벨센서를 형성한 3조와 상기 3조의 한 부분으로 배출관을 형성한 4조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이송관과 1조와 4조 상측의 공기투입 부로 이루어진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한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 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2 동력전달 부재를 형성한 동력전달 부와 상기 동력전달 부의 제1 동력전달 부재와 연동하는 제1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되 상기 1, 4조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축과 1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1 축에 결합한 제1 파쇄 부와 상기 4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1 축에 결합한 제2 휘저음 부를 형성한 제1 동력 회전체와 상기 제1 동력 회전체와 동일한 형상의 제1 연동 수퍼기어 제1 연동 축과 제1 연동 파쇄 부와 제2 연동 교반부를 형성한 제1 연동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1 회전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제2 동력전달부재와 연동하는 제2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기어와 연결되되 상기 2, 3조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2 축과 2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2 축에 결합한 제1 교반부와 상기 3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2 축에 결합한 제2 파쇄부를 형성한 제2 동력 회전체와 상기 제2 동력 회전체와 동일한 형상의 제2 연동 스퍼기어와 제2 연동축과 제2 연동 파쇄부와 제1 연동 교반부를 형성한 제2 연동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2 회전부와 상기 1조의 투입부와 미생물 투입부와 물 투입부를 수동/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투입제어키를 형성하고, 제1, 2, 3 레벨센서의 제어량을 조작할 수 있는 레벨센서 제어키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된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파쇄 및 교반작업이 이루어져 제작 비용의 절감 효과 및 전기력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구성요소가 단순하기 때문에 시공시 발생하는 비용 절감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2 회전부의 제1, 2 동력 회전체와 연동하는 제1, 2 연동 회전체 및 제1, 2 보조연동 회전체에 의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음식 폐기물, 호기성, 교반

Description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 처리방법{Disposal Equipment of Food Waste Materials and Disposal Method of Food Waste Materials}
도 1은 종래의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기물 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의 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동력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보조연동 회전체를 장착하였을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연동 회전체 및 보조 연동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조 11 : 투입부
12 : 미생물 투입부 13 : 물 투입부
14 : 제1 레벨센서 15 : 이동홀
16 : 관로부 16a : 이동관로
16b : 공기관로 16c : 밸브
20 : 2조 21 : 유입홀
22 : 제2 레벨센서 30 : 3조
31 : 제1 이송관 32 : 공기 이송부
33 : 제3 레벨센서 40 : 4조
41 : 배출관 42 : 제2 이송관
43 : 공기투입부 50 : 처리부
60 : 동력전달부 61 : 모터
62 : 회전부 63, 64 : 제1, 2 동력전달부재
70 : 제1 회전부 71 : 제1 기어
72 : 제1 축 73 : 제1 파쇄부
74 : 제2 교반부 75 : 제1 스퍼기어
72a : 제1 연동축 73a : 제1 연동 파쇄부
74a : 제2 연동 교반부 75a : 제1 연동 스퍼기어
76 : 제1 동력 회전체 76a : 제1 연동 회전체
76b : 제1 보조연동 회전체 80 : 제2 회전부
81 : 제2 기어 82 : 제2 축
83 : 제2 파쇄부 84 : 제1 교반부
85 : 제2 스퍼기어 86 : 제2 동력 회전체
82a : 제2 연동축 83a : 제2 연동 파쇄부
84a : 제1 연동 교반부 85a : 제2 연동 스퍼기어
86a : 제2 연동 회전체 86b : 제2 보조연동 회전체
90 : 제어부 91 : 투입제어키
92 : 레벨센서 제어키 a : 교반날개
100 :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본 발명은 음식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제작비용 및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시공시 비용절감 및 공간활용의 증대와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을 하기 위한 교반저장탱크(111)와 교반된 음식 폐기물을 탈수하기 위한 탈수기(112)와 건조를 위한 건조기(113)를 구비하고, 열풍사료발효 건조기(114) 및 이물질 선별기(115)와 사료저장탱크(1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200)는 건조기(113)를 통과한 음식 폐기물을 열풍사료발효 건조기(114)에서 열풍건조 작업을 한 후, 이물질 선별기(115)를 거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음식 폐기물이 사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는 개별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장치를 설치 시공함에 있어 비용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공간활용 면에서도 현저히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동력을 이용함에 있어서, 여러대의 모터를 구동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소모도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파쇄 및 교반작업이 이루어져 제작 비용의 절감 효과 및 전기력의 사용을 최소화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요소가 단순하기 때문에 시공시 발생하는 비용 절감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2 회전부의 제1, 2 동력 회전체와 연동하는 제1, 2 연동 회전체와 제1, 2 보조연동 회전체에 의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는 상측으로 음식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와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는 미생물 투입부와 물을 투입할 수 있는 물 투입부를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제1 레벨센 서를 형성하며, 바닥면에는 이동홀을 형성한 1조와 상기 1조의 이동홀과 연결된 이동관로와 일측의 공기관로를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밸브를 형성한 관로부와 상기 관로부와 연결되는 유입홀을 상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제2 레벨센서를 형성한 2조와 상기 2조의 일측으로 제1 이송관과 공기 이송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되며, 일측으로 제3 레벨센서를 형성한 3조와 상기 3조의 일측으로 배출관을 형성한 4조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이송관과 1조와 4조 상측의 공기투입부로 이루어진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2 동력전달부재를 형성한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제1 동력전달부재와 연동하는 제1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되 상기 1, 4조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축과 1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1 축에 결합한 제1 파쇄부와 상기 4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1 축에 결합한 제2 교반부를 형성한 제1 동력 회전체와 상기 제1 동력 회전체와 동일한 형상의 제1 연동스퍼기어와 제1 연동축과 제1 연동파쇄부와 제2 연동교반부를 형성한 제1 연동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1 회전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제2 동력전달부재와 연동하는 제2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기어와 연결되되 상기 2, 3조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2 축과 2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2 축에 결합한 제1 교반부와 상기 3조의 내측에 관통된 제2 축에 결합한 제2 파쇄부를 형성한 제2 동력 회전체와 상기 제2 동력 회전체와 동일한 형상의 제2 연동스퍼기어와 제2 연동축과 제2 연동파쇄부와 제1 연동교반부를 형성한 제2 연동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2 회전부와 상기 1조의 투입부와 미생물 투입부와 물 투입부를 수동/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투입제어키를 형성하고, 제1, 2, 3 레벨센서의 제어량을 조작할 수 있는 레벨센서 제어키로 이루어진 제어부를 그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크게 음식 폐기물을 파쇄 및 교반 작업에 의한 숙성처리 하는 처리부(50)와 상기 처리부(50)의 작동을 이루기 위한 동력전달부(60)와 상기 동력전달부(6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처리부(50)에 투입된 음식 폐기물을 파쇄 및 교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2 회전부(70, 80)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9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처리부(5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1, 2, 3, 4조(10, 20, 30 40) 및 관로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1조(10)는, 음식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음식물 폐기물 투입과 동시에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미생물 투입부(12)와 물을 투입할 수 있는 물 투입부(13)를 상측에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투입부(11) 및 미생물 투입부(12), 물 투입부(13)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각각의 투입요소들을 투입시킬 수 있지만, 통상의 제어시스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미리 셋팅값에 의해 투입요소들을 자동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일측으로 제1 레벨센서(14)를 형성하여 1조(10) 내에 유입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 및 물의 양을 체크할 수 있으며, 바닥면으로는 상기 제1 레 벨센서(14)에 의해 측정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 및 물의 양이 최초에 설정한 값 이상, 다시 말해, 설정된 양을 초과하였을 때에 음식 폐기물 및 호기성 미생물, 물이 2조(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홀(15)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관로부(16)는, 상기 1조(10)의 이동홀(15)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관로(16a)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관로(16a)와 공기관로(16b)가 만나는 지점에는 공기의 유입 및 음식 폐기물, 호기성 미생물, 물을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밸브(1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조(20)는, 관로부(16)와 연결된 유입홀(21)을 상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2조(20) 내에 유입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 및 물의 양을 체크할 수 있는 제2 레벨센서(22)를 형성하고 있으며, 2조(20)와 3조(30) 사이에는 관로부(16)의 공기관로(16b)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3조(30)로 보낼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이송부(32)와 2조(20)의 제2 레벨센서(22)에 의해 3조(30)로 음식 폐기물, 호기성 미생물, 물을 이송할 수 있는 제1 이송관(3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3조(30)는, 일측으로 제3 레벨센서(33)를 형성하고 있으며, 4조(40)에 음식 폐기물, 호기성 미생물, 물을 이송할 수 있는 제2 이송관(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4조(40)는, 상기 3조(30)와 제2 이송관(4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숙성이 완료된 유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관(4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1조(10)와 4조(4)의 상측으로는 자연적으로 공기가 투입될 수 있는 공기투입부(4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60)는 상기 처리부(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1)를 상측에 형성하고, 상기 모터(61)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62)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부(62)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2 동력전달부재(63, 6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60)에는 통상의 전원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2 동력전달부재(63, 64)는 베벨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회전부(7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60)의 제1 동력전달부재(63)와 연동할 수 있는 제1 기어(71)와 제1 스퍼기어(75)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1 기어(71)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되, 상기 1, 4조(10, 40)의 내측을 관통하는 제1 축(72)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축(72) 중 1조(10) 내측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제1 파쇄부(73)를 구비하고 있으며, 4조(40)의 내측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제2 교반부(74)를 형성한 제1 동력 회전체(76)와 상기 제1 동력 회전체(76)와 동일한 형상의 제1 연동 스퍼기어(75a)와 제1 연동축(72a)과 제1 연동 파쇄부(73a)와 제2 연동 교반부(74a)를 형성한 제1 연동 회전체(76a)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2 회전부(8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60)의 제2 동력전달부재(64)와 연동할 수 있는 제2 기어(81)와 제2 스퍼기어(85)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2 기어(81)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되, 상기 2, 3조(20, 30)의 내측을 관통하는 제2 축(82)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2 축(82) 중 2조(20) 내측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제1 교반부(84)를 구비하고 있으며, 3조(30)의 내측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제2 파쇄부(83)를 형성한 제2 동력 회전체(86)와 상기 제2 동력 회전체(86)와 동일한 형상의 제2 연동 스퍼기어(85a)와 제2 연동축(82a)과 제2 연동 파쇄부(83a)와 제1 연동 교반부(84a)를 형성한 제2 연동 회전체(86a)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회전부(70, 80)에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연동 회전체(76a, 86a)와 동일한 형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2 연동 회전체(76a, 86a)의 제1, 2 연동 스퍼기어(75a, 85a)와 대응하는 제1, 2 보조연동 스퍼기어(75b, 85b)와 제1, 2 연동축(72a, 82a)와 대응하는 제1, 2 보조연동축(72b, 82b)와 제1, 2 연동 파쇄부(73a, 83a)와 대응하는 제1, 2 보조연동 파쇄부(73b, 83b)와 제1, 2 연동 교반부(84a, 74a)와 대응하는 제1, 2 보조연동 교반부(84b, 74b)로 이루어진 제1, 2 보조연동 회전체(76b, 86b)를 더 구비하여, 제1, 2 스퍼기어(75, 85) 및 제1, 2 연동 스퍼기어(75a, 85a), 제1, 2 보조연동 스퍼기어(75b, 85b)에 의해 연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파쇄 및 교반작업을 더 원활히 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2 회전부(70, 80)에 형성된 제1, 2 파쇄부(73, 83), 제1, 2 연동 파쇄부(73a, 83a), 제1, 2 보조연동 파쇄부(73b, 83b)를 스크류 형상으로 하여 파쇄시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교반부(84, 74), 제1, 2 연동 교반부(84a, 74a), 제1, 2 보조연동 교반부(84b, 74b)에는 다수개의 교반날개(a)를 형성함으로써, 하측으로 침전되는 음식 폐기물이 없도록 교반작업 하여,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 반응이 잘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상기 1조(10)의 투입부(11)와 미생물 투입부(12)와 물 투입부(13)를 수동/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투입제어키(91)를 형성하고, 제1, 2, 3 레벨센서(14, 22, 33)의 레벨에 따라 제어량을 조작할 수 있는 레벨센서 제어 키(9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90)는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통상의 전원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음식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처리부의 1조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부에 음식 폐기물을 투입함과 동시에 1조 상측에 형성된 미생물 투입부와 물 투입부 및 공기 투입부를 이용하여 호기성 미생물과 물 및 공기를 투입한다.(S10)
여기서, 상기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 물을 투입하는 방법은 수동으로도 투입이 가능하지만, 통상의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한 양을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으며, 이때에 투입하는 양은 음식 폐기물 100kg을 기준으로 하여 물은 20kg, 호기성 미생물은 1kg을 투입하며, 상기 음식 폐기물의 상태 및 종류에 따라 물의 양은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기 투입부에서 공기가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호기성 미생물이 원활히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 후, 상기 1조에 투입된 음식 폐기물은 제1 회전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파쇄부와 제1 연동 파쇄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파쇄가 됨과 동시에 제1 파쇄부와 제1 연동 파쇄부의 회전력에 의해 파쇄된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의 교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S20)
상기와 같이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 및 공기가 파쇄 및 교반작업이 이루어지던 중, 1조에 투입된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 및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제1 레벨센서에 의해 최초 설정된 값보다 초과된 양이 1조에 머물게 되면, 1조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로부의 밸브를 열어 1조의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 및 공기를 2조로 이송하게 된다.(S30)
여기서 1조에 남아 있는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 및 공기의 양이 일정량이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관로부에 형성된 밸브가 자동을 작동하여 1조로 부터 유입되는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 및 공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공기관로를 열어 놓음으로써, 자동으로 공기가 2조로 유입되어 진다.
한편, 상기 관로부를 통해 1조에서 이동된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은 2조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회전부의 제1 교반부와 제1 연동 교반부에 의해 다시 교반되는 작업을 거치면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음식 폐기물이 분해되어 진다.(S40)
그런 후, 상기 2조에 유입된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의 양이 일정수위를 넘어서게 되면, 이를 제2 레벨센서에서 감지하여 상기 2조와 3조 사이에 형성된 제1 이송관을 통해,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이 3조로 이동된다.(S50)
상기 이동된 음식 폐기물과 물, 호기성 미생물 중 음식 폐기물은 제2 회전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파쇄부와 제2 연동 파쇄부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됨과 동시에 2조와 3조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이송부에 의해 관로부의 공기관로에서 2조로 유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3조로 유입되면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더욱 생물학적 작용이 원활해 지게 된다.(S60)
상기와 같이 미세파쇄 및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 작용이 이루어지는 사이에 3조의 일측에 형성된 제3 레벨센서에 의해 3조 내의 음식 폐기물 및 호기성 미생물의 양이 처음 셋팅되어 있던 양을 초과하게 되면, 제2 이송관을 통해 4조로 이송된다.(S70)
그런 후, 상기 4조에서는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의 원활한 생물학적 작용을 위해 제1 회전부에 형성된 제2 교반부와 제2 연동 교반부가 회전을 하면서, 생물학적 작용을 활성화시켜 생성된 유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면서 음식 폐기물 처리과정을 마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파쇄 및 교반작업이 이루어져 제작 비용의 절감 효과 및 전기력의 사용을 최소화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요소가 단순하기 때문에 시공시 발생하는 비용 절감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2 회전부의 제1, 2 동력 회전체와 연동하는 제1, 2 연동 회전체 및 제1, 2 보조연동 회전체에 의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4개의 조에서 순차적으로 음식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측으로 음식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11)와 호기성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는 미생물 투입부(12)와 물을 투입할 수 있는 물 투입부(13)를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제1 레벨센서(14)를 형성하며, 바닥면에는 이동홀(15)을 형성한 1조(10)와 상기 1조(10)의 이동홀(15)과 연결된 이동관로(16a)와 일측의 공기관로(16b)를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밸브(16c)를 형성한 관로부(16)와 상기 관로부(16)와 연결되는 유입홀(21)을 상측에 형성하고, 일측으로 제2 레벨센서(22)를 형성한 2조(20)와 상기 2조(20)의 일측으로 제1 이송관(31)과 공기 이송부(32)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이송관(31)과 연결되며, 일측으로 제3 레벨센서(33)를 형성한 3조(30)와 상기 3조(30)의 일측으로 배출관(41)을 형성한 4조(40)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이송관(42)과 1조(10)와 4조(40) 상측의 공기투입부(43)로 이루어진 처리부(50);
    상기 처리부(50)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는 모터(61)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6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62)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부(62)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 2 동력전달부재(63, 64)를 형성한 동력전달부(60);
    상기 동력전달부(60)의 제1 동력전달부재(63)와 연동하는 제1 기어(71)와 제1 스퍼기어(75)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어(71)와 연결되되 상기 1, 4조(10, 40)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1 축(72)과 1조(10)의 내측에 관통된 제1 축(72)에 결합한 제1 파쇄부(73)와 상기 4조(40)의 내측에 관통된 제1 축(72)에 결합한 제2 교반부(74)를 형성한 제1 동력 회전체(76)와 상기 제1 동력 회전체(76)와 동일한 형상의 제1 연동 스퍼기어(75a)와 제1 연동축(72a)과 제1 연동 파쇄부(73a)와 제2 연동 교반부(74a)를 형성한 제1 연동 회전체(76a)로 이루어진 제1 회전부(70);
    상기 동력전달부(60)의 제2 동력전달부재(64)와 연동하는 제2 기어(81)와 제2 스퍼기어(85)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기어(81)와 연결되되 상기 2, 3조(20, 30)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2 축(82)과 2조(20)의 내측에 관통된 제2 축(82)에 결합한 제1 교반부(84)와 상기 3조(30)의 내측에 관통된 제2 축(82)에 결합한 제2 파쇄부(83)를 형성한 제2 동력 회전체(86)와 상기 제2 동력 회전체(86)와 동일한 형상의 제2 연동 스퍼기어(85a)와 제2 연동축(82a)과 제2 연동 파쇄부(83a)와 제1 연동 교반부(84a)를 형성한 제2 연동 회전체(86a)로 이루어진 제2 회전부(80);
    상기 1조(10)의 투입부(11)와 미생물 투입부(12)와 물 투입부(13)를 수동/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투입제어키(91)를 형성하고, 제1, 2, 3 레벨센서(14, 22, 33)의 제어량을 조작할 수 있는 레벨센서 제어키(92)로 이루어진 제어부(90)에 특징이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회전부(70, 80)에는 제1, 2 연동 회전체(76a, 86a)와 동일한 형상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1, 2 회전부(70, 80)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제1, 2 보조연동 회전체(76b, 86b)를 더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는 음 식 폐기물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1, 2, 3, 4조를 형성하고, 상기 1, 2조 사이에 관로부를 형성하며, 2조와 3조 사이에 형성된 제1 이송관과 공기 이송부와 3조와 4조 사이에 제2 이송관 및 1조와 4조 상측에 형성되 공기투입부로 이루어진 처리부와 동력전달을 위해 제1, 2 동력전달부재를 형성한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로 부터 동력을 받아 작동하는 제1, 2 회전부를 구비하며, 투입 제어키와 제1, 2, 3 레벨센서 제어키로 구성된 제어부로 이루어진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의 1조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부에 음식 폐기물을 투입함과 동시에 1조 상측에 형성된 미생물 투입부와 물 투입부를 제어하여 음식 폐기물의 투입량에 의해 호기성 미생물과 물을 일정비율로 투입하며, 1조 상측의 공기투입부에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키는 음식 폐기물 및 미생물 투입단계(S10);
    상기 1조에 투입된 음식 폐기물을 상기 제1 회전부에 형성된 제1 파쇄부와 제1 연동 파쇄부를 이용하여 파쇄함과 동시에 호기성 미생물과 물을 교반하는 음식 폐기물 파쇄 및 교반단계(S20);
    상기 1조에 형성된 제1 레벨센서에 의해 음식 폐기물의 양을 측정하여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관로부가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밸브를 열어 1조의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 물을 2조로 이동시키는 음식 폐기물 1차 이송단계(S30);
    상기 관로부를 통해 1조에서 이동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 및 물을 제2 회전부의 제1 교반부와 제1 연동 교반부를 이용하여 교반시킴과 동시에 상기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을 활성시키기 위해 관로부의 공기관로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 음식 폐기물을 분해하는 1차 교반 및 분해단계(S40);
    상기 1차 교반 및 분해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의 양을 제2 레벨센서에서 감지하여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2조와 3조 사이에 형성된 제1 이송관을 이용하여 3조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을 이송하는 음식 폐기물 2차 이송단계(S50);
    상기 3조로 이송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 중 음식 폐기물을 제2 회전부에 형성된 제2 파쇄부와 제2 연동 파쇄부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파쇄하면서, 호기성 미생물의 생물학적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 생물을 교반 시키는 미세파쇄 및 교반단계(S60);
    상기 3조에 형성된 제3 레벨센서에 의해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의 양을 측정하여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3조와 4조 사이에 형성된 제2 이송관을 이용하여 4조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을 이송하는 음식 폐기물 3차 이송단계(S70);
    상기 4조로 이송된 음식 폐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의 원활한 생물학적 작용을 위해 제1 회전부에 형성된 제2 교반부와 제2 연동 교반부가 회전하면서 교반작업을 함과 동시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숙성된 유기물과 호기성 미생물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단계(S80)에 특징이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음식 폐기물 및 미생물 투입단계(S10)에서 음식 폐기물과 미생물, 물의 투입량은 음식 폐기물을 100kg 기준으로 미생물 : 물 = 1kg : 20kg으로 투입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음식 폐기물 처리방법.
KR1020070032650A 2007-04-03 2007-04-03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처리방법 KR10073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50A KR100731342B1 (ko) 2007-04-03 2007-04-03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50A KR100731342B1 (ko) 2007-04-03 2007-04-03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342B1 true KR100731342B1 (ko) 2007-06-21

Family

ID=3837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650A KR100731342B1 (ko) 2007-04-03 2007-04-03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118A (ko) * 2019-04-26 2020-11-04 에스비렘 주식회사 파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873A (ko) * 1993-07-23 1995-02-16 김광호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970001278A (ko) * 1995-06-16 1997-01-24 정윤진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0202731Y1 (ko) * 2000-04-26 2000-11-15 주식회사대성환경 음식폐기물 분해 소멸기용 연마마쇄구
KR20010105538A (ko) * 2000-05-15 2001-11-29 구자홍 엘씨디의 밝기 조절 방법
KR20020086743A (ko) * 2000-03-29 2002-11-18 야스이치 우에다 유기 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873A (ko) * 1993-07-23 1995-02-16 김광호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970001278A (ko) * 1995-06-16 1997-01-24 정윤진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020086743A (ko) * 2000-03-29 2002-11-18 야스이치 우에다 유기 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2731Y1 (ko) * 2000-04-26 2000-11-15 주식회사대성환경 음식폐기물 분해 소멸기용 연마마쇄구
KR20010105538A (ko) * 2000-05-15 2001-11-29 구자홍 엘씨디의 밝기 조절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118A (ko) * 2019-04-26 2020-11-04 에스비렘 주식회사 파쇄 장치
KR102315052B1 (ko) * 2019-04-26 2021-10-20 에스비렘 주식회사 파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45853U (zh) 一种用于污泥处理的混合传输装置
CN207376364U (zh) 一种回收废纸的破碎制浆装置
JP2006272312A (j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処理装置
KR101758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1342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 폐기물처리방법
KR20210036509A (ko) 복수의 교반기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6914999A (zh) 一种塑料搅拌设备
KR101898892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소멸장치
CN206586332U (zh) 一种果冻混合装置
CN219050982U (zh) 好氧生物增效剂制备设备
CN209428420U (zh) 一种秸秆回收用堆肥装置
KR20010046705A (ko)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 방법
CN201135867Y (zh) 快速消纳有机废弃物恶臭的生物预处理用双轴混合搅拌机
KR100886700B1 (ko) 음식물처리기의 교반 장치
CN107297818A (zh) 一种移动式快速高效搅拌机
KR200201807Y1 (ko) 발효조
CN215234502U (zh) 一种基于粉煤灰再利用的粉煤灰砖蒸压加工预处理装置
CN209350548U (zh) 一种制砖原料的破碎搅拌装置
CN107875940B (zh) 一种混料加热反应器
CN213141878U (zh) 一种蔬菜残体资源化处理一体化装置
CN214210314U (zh) 一种用于化工的原料混合装置
CN210544498U (zh) 一种污泥混料机
CN212492602U (zh) 一种搅拌均匀的高效搅拌机
CN211800397U (zh) 一种化工用化学原料高效混匀装置
CN208757418U (zh) 一种高效的壁纸生产用纸浆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