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289B1 - 조인트 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289B1
KR100731289B1 KR1020050100107A KR20050100107A KR100731289B1 KR 100731289 B1 KR100731289 B1 KR 100731289B1 KR 1020050100107 A KR1020050100107 A KR 1020050100107A KR 20050100107 A KR20050100107 A KR 20050100107A KR 100731289 B1 KR100731289 B1 KR 10073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main power
power lin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135A (ko
Inventor
윤동기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2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인 조인트팩을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고, 이 조인트팩에 주전원선과 분배전선 각각의 끝단에 압착된 압착단자를 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통전할 수 있도록 한 조인트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커넥터, 주전원선, 분배전선, 압착단자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 구조{a joint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인트 커넥터를 구성하는 메일하우징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인트 커넥터를 구성하는 피메일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A-A, B-B 및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a: 입력용 주전원선 101b: 출력용 주전원선
102: 분배전선 104: 압착단자
112: 하우징 114: 플레이트
120: 조인트팩 130: 고정부재
132: 고정편 134: 지지돌기
140: 결합부재 142,146: 제 1,2걸림돌기
144: 탄성편 150: 클램프돌기
162: 리브 164: 스토퍼블록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체인 조인트팩을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고, 이 조인트팩에 주전원선과 분배전선 각각의 끝단에 압착된 압착단자를 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통전할 수 있도록 한 조인트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신호용 전선 및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구조는 전기제어기술의 진전에 따라 더욱 복잡화하는 경향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주전원선(1)은 여러 가닥의 분배전선(2)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상기 각 분배전선(2)은 단부에 조인트 커넥터(3)를 구비하며, 상기 조인트 커넥터(3)는 조인트 박스(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기적 연속성을 얻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분배전선(2)은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의해 주전원선(1)에서 분기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은 스플라이스 커넥터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블록(10)에는 다수의 수용챔버(11)가 열을 지어 배치되고, 각 수용챔버(11)는 블록(10)이 격벽(12)에 의해 구획되어 다수의 압착단자(20)를 수용한다.
상기 압착단자(20)는 전선 압착고정부(21)를 포함하며, 이 전선 압착고정부(21)는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바이트 클로우(22)를 돌출한다.
분배전선(2)의 단부는 바이트 클로우(22)에 의해 물려서 압착단자(20)에 일정한 가압력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압착단자(20)는 접점탄성편(23)을 구비하며, 이 접점탄성편(23)은 전선 압착고정부(21)의 바닥판을 전방으로 뻗어 환형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점탄성편(23)은 양측으로 탄성케이스벽(24)을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상한다.
그리고, 상기 접점탄성편(23)의 상부(23a)는 탄성케이스벽(24)의 높이를 넘어 돌출하여, 탄성적으로 다른 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연속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수용챔버(11)는 수평대(13)로 나뉘어져, 그 전반부에는 압착단자(20)의 접점탄성편(23)이 수용되고, 그 후반부에는 전선 압착고정부(21)가 수용되며, 수평대(13)의 하부는 개구공간이 된다.
이 개구공간으로부터 압착단자(20)의 접점탄성편(23)은 수용챔버(11)의 전반부에 삽입되며, 전반부의 상부는 긴 개구(14)이다.
그리고, 상기 접점탄성편(23)의 최상부(23a)는 수용챔버(11)에 삽입된 후 긴 개구(14)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상기 수용챔버(11)의 격벽(12)에는 측면개구(15)가 형성되고, 하부 바닥판에는 바닥개구(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점탄성편(23)의 베이스편(23b)이 삽입 이후 바닥개구(16)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러나, 종래 스플라이스 수용 구조는 주전원선에서 다수 가닥의 분배전선을 동시에 분기시에 분배전선과 압착단자의 결합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하우징의 내부에 연속되는 안착홈을 갖으면서 도체인 조인트팩을 하나 이상 고정하고, 이 안착홈 각각에 입력용·출력용 주전원선의 압착단자와 분배전선의 압착단자를 각각 삽입 고정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서로 통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상부를 플레이트로 밀폐함에 따라 내부의 압착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인트 커넥터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과 마주하는 측면을 개방하며 부도체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며 부도체인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안착홈을 함몰하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입력용·출력용 주전원선 및 하나 이상의 분배전선 각각의 끝단에 압착된 압착단자를 안착하고 서로 통 전되도록 도체인 조인트팩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부재로서 조인트팩을 기준으로 측면 각각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서 상기 안착홈의 하부 위치까지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에서 연장되어 인접한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조인트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마주하는 측벽의 외측에 하나 이상 돌출된 제 1걸림돌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걸림돌기를 커버링하거나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끝단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걸림돌기에 걸리는 제 2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A-A, B-B 및 C-C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100)는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2)은 상부 및 마주하는 양측면을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12)은 개방된 측면과 수직한 양측면에 측벽(113)을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4)는 하우징(112)의 상면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112)은 내부에 조인트팩(120)을 하나 이상 구비한다.
상기 조인트팩(120)은 구리와 같은 도체이며, 상측에 연속되게 물결 형상의 안착홈(12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는 부도체이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팩(120)은 한 가닥의 주전원선에 분배전선(102)을 통전시키기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주전원선은 적절한 위치에서 절단됨으로써 한 가닥의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한 가닥의 출력용 주전원선(101b)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상기 조인트팩(120)은 하우징(112) 내부에 두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은 절단된 부위인 각각의 끝단에 압착단자(10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배전선(102)은, 입력용 주전원선(101a)이나 출력용 주전원선(101b)과 마찬가지로, 끝단에 압착단자(104)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조인트팩(120)은 상측면에 연속적으로 안착홈(122)을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각각의 압착단자(104)는 조인트팩(120)의 안착홈(122)에 억지 끼움됨으로서 서로 통전된다.
이때, 상기 분배전선(102)은 필요에 따라 한 가닥 이상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101a)에 발생되는 전류는 조인트팩(120)을 통해 출력용 주전원선(101b)과 한 가닥 이상의 분배전선(102)에 동시에 흐르게 된다.
편의상, 도면에서 상기 조인트팩(120)은 두 개 구비된 것으로 하고, 각각의 조인트팩(120)은 네 개의 안착홈(122)을 형성함에 따라 한 가닥씩의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에 두 가닥의 분배전선(102)이 커넥팅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는 결합부재(140)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내부의 조인트팩(120)과 압착단자(104)를 보호하며, 신체의 접촉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40)는 하우징(112)의 마주하는 측벽(113)의 외측에 하나 이상 돌출된 제 1걸림돌기(142)와, 상기 플레이트(114)의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걸림돌기(142)를 커버링(covering)하거나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편(144) 및 상기 탄성편(144)의 끝단에서 상기 플레이트(114)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걸림돌기(142)에 걸리는 제 2걸림돌기(146)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걸림돌기(142)는 하우징(112)의 마주하는 측벽(113) 각각의 외측 양쪽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144) 및 제 2걸림돌기(146)는 플레이트(114)를 하우징(112)의 상부에 덮을 시 제 1걸림돌기(142)와 일치되는 플레이트(114)의 네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2)의 측벽(113)은 각각의 양쪽 가장자리에 함몰홈(141)을 형성하고, 이 함몰홈(141)에 제 1걸림돌기(142)를 돌출함으로써 제 1걸림돌기(142)와 접하는 탄성편(144)이 하우징(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4)의 탄성편(144)은 탄성을 갖기 때문에 플레이트(114)가 하우징(112)의 개방된 상면으로 근접되면서 탄성편(144)의 끝단에 형성된 제 2걸림돌기(146)는 점차적으로 제 1걸림돌기(142)의 상면과 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144)은 플레이트(114)의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걸림돌기(146)가 제 1걸림돌기(142)를 지나게 되면, 탄성편(14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2걸림돌기(146)는 제 1걸림돌기(142)의 하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걸리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걸림돌기(142)는 상면과 측면에 걸쳐 경사면(147)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에 접하는 제 2걸림돌기(146)도 경사면(147)을 형성함에 따라 제 1걸림돌기(142)와 제 2걸림돌기(146)의 결속을 용이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14)는 하우징(112)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팩(120)은 고정부재(130)에 의해 하우징(112)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조인트팩(120)을 기준으로 측면 각각과 밀착되도록 하 우징(112)의 바닥에서 상기 안착홈(122)의 하부 위치까지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132) 및 상기 고정편(132)에서 연장되어 인접한 안착홈(122)의 사이에 해당하는 조인트팩(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132)과 지지돌기(134)는 하우징(112)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부도체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32)은 조인트팩(120)의 하단부를 억지 끼움할 수 있는 간격으로 한 쌍 배열된다.
즉,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편(132)은 하나의 조인트팩(120)을 억지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34)는 고정편(132)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인접한 안착홈(122) 사이에 해당하는 조인트팩(120)을 양측면에서 각각 지지함에 따라 조인트팩(120)의 휨이나 변형 및 압착단자(10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101a), 출력용 주전원선(101b) 및 분배전선(102) 각각의 끝단에 압착된 압착단자(104)가 조인트팩(120)의 안착홈(122)에 안착된 후 플레이트(114)는 하우징(112)과 결합부재(140)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 및 분배전선(102)은 하우징(112)의 개방된 측면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과 분배전선(102) 및 압착단자(104)는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의 결합시 그 내부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는 일직선상으로 클램프돌기(150)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돌기(150)는 상호 마주하는 끝단에 오목한 곡면(152)을 형성한다.
즉,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과 분배전선(102) 및 압착단자(104)는 하우징(112)에서 해당 위치의 곡면(152)에 놓여지게 되며 그 하단부 둘레가 감싸지게 되고, 그 반대측의 곡면(152)에 의해 상단부 둘레가 감싸지게 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일직선상의 클램프돌기(150)의 곡면(152)은 마주하는 가장자리끼리 접함으로써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과 분배전선(102) 및 압착단자(104)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의 양쪽 최외측에 형성된 클램프돌기(150)는 서로 연결되어 벽면을 형성함에 따라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의 결합시 양쪽 측면의 개방을 막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12) 내부의 클램프돌기(150)는 조인트팩(120)의 안착홈(122)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과 분배전선(102) 및 압착단자(104)를 직선상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플레이트(114) 내부의 클램프돌기(150)는, 하우징(112) 내부의 클램프돌기(150)와 마찬가지로, 일직선상으로 안착홈(122) 개수만큼 나란하게 배열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4)는 길이방향에 대해 클램프돌기(150)와 클램프돌기(150) 사이에 리브(162)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리브(162)는, 일직선상에 위치한 클램프돌기(150)와 상이하게,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리브(162)는 안착홈(122)에 놓이는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 및 분배전선(102)을 번갈아 가며 서로 다른 측방향으로 밀게 됨으로써 각각의 유동 및 밀림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리브(162)는 하우징(112)에 플레이트(114)를 결합시 하우징(112)의 바닥면에 닿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입력용 주전원선(101a)과 출력용 주전원선(101b) 및 분배전선(102)에 의해 자체적으로 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4)는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스토퍼블록(164)을 돌출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블록(164)은 조인트팩(120)의 안착홈(122)에 삽입되는 압착단자(104)의 끝단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조인트팩(120)과 스토퍼블록(164)의 간격은 압착단자(10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의 결합시 스토퍼블록(164)과 압착단자(104)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압착단자(104)는 바람직하게 설치된 것으로 판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가 결합되면, 상기 스토퍼블록(164)은 하우징(112)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블록(164)이 하우징(112)의 바닥면에 닿음과 동시에 하우징(112)과 스토퍼블록(164)이 결합부재(14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플레이트(114)의 탄성편(144)이 일정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4)는 검사홀(166)을 통공한다.
상기 검사홀(166)은 하우징(112)의 조인트팩(120) 설치 위치 직상방에 형성됨으로써 안착홈(122)에 압착단자(104)의 설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4)는 이탈방지돌기(168)를 돌출 형성하여 하우징(112)과 플레이트(114)의 결합시 안착홈(122)의 개방된 상부를 막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돌기(168)는 안착홈(122)의 상측을 막음에 따라 압착단자(104)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구조에 의하면, 도체인 조인트팩을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이 조인트팩에 주전원선과 분배전선의 끝단에 압착된 압착단자를 안착함으로써 간단하게 통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은 플레이트로 결합됨으로써 조인트팩과 압착단자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신체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과 플레이트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분배전선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더 커넥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플레이트는 구멍을 형성하여 압착단자의 설치 상태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상면과 마주하는 양측면을 개방하며, 부도체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며, 부도체인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안착홈을 함몰하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입력용 주전원선과 출력용 주전원선 및 하나 이상의 분배전선 각각의 끝단에 압착된 압착단자를 안착하고, 상기 압착단자를 서로 통전하도록 하기 위해 도체인 조인트팩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압착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호 개방되지 않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마주하는 측벽의 외측에 하나 이상 돌출된 제 1걸림돌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걸림돌기를 커버링하거나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끝단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걸림돌기에 걸리는 제 2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돌기의 상단부 외측 가장자리와 이에 최초로 접하는 상기 제 2걸림돌기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면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각각의 끝단에 곡면을 갖는 클램프돌기가 상기 하우징과 플레이트의 밀폐시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에 다수 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입력용 주전원선과 출력용 주전원선과 분배전선 및 압착단자 각각의 일부를 마주하는 상기 곡면 사이에 수용함으로써 지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클램프돌기에서 서로 엇갈리도록 리브를 다수 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입력용·출력용 주전원선과 분배전선을 측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7.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스토퍼블록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과 밀폐시 상기 압착단자의 끝단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8.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검사홀을 통공하여 상기 압착단자의 정위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이탈방지돌기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밀폐시 상기 안착홈의 개방된 상부를 막아 상기 압착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조인트팩을 기준으로 측면 각각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서 상기 안착홈의 하부 위치까지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서 연장되어 인접한 상기 안착홈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조인트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구조.
KR1020050100107A 2005-10-24 2005-10-24 조인트 커넥터 구조 KR10073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07A KR100731289B1 (ko) 2005-10-24 2005-10-24 조인트 커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07A KR100731289B1 (ko) 2005-10-24 2005-10-24 조인트 커넥터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80U Division KR200405248Y1 (ko) 2005-10-24 2005-10-24 조인트 커넥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135A KR20070044135A (ko) 2007-04-27
KR100731289B1 true KR100731289B1 (ko) 2007-06-27

Family

ID=3817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107A KR100731289B1 (ko) 2005-10-24 2005-10-24 조인트 커넥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341B1 (ko) * 2011-05-02 2011-06-29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박스의 전선 절연구조
KR200484661Y1 (ko) * 2016-03-02 2017-11-06 (주)올콤 라이팅 커넥터
KR102313404B1 (ko) * 2020-06-19 2021-10-15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KR102669547B1 (ko) * 2023-09-18 2024-05-24 김홍식 통전 스위칭 블록을 포함한 단자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696Y1 (ko) * 2000-12-02 2001-05-15 경신공업주식회사 Pcb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인트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696Y1 (ko) * 2000-12-02 2001-05-15 경신공업주식회사 Pcb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인트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135A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8137B2 (en) Connector capable of restricting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female and male connectors
EP063254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density ribbon cable
US5890924A (en) Insulation-displacement-contact connector
US5380220A (en) Connector
KR100238930B1 (ko) 플러그를 끼울수 있는 모듈 스플라이싱 커넥터 및 브리징 어댑터
EP1005106B1 (en) Terminal and crimping method
US6375492B1 (en) Terminal construction of flat conductor
KR20120105383A (ko) 와이어-투-와이어 커넥터
WO2020016747A1 (en) Electrical connector which accepts different seal configurations
CN117595020A (zh) 电插接连接部的插接连接器以及由其形成的电插接连接部
US20050054247A1 (en) Female terminal for a flat male terminal
US5458502A (en) IDC Terminal with back-up spring
EP0795930B1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US6126478A (en) Wiring device with gripping of individual conductors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KR100731289B1 (ko) 조인트 커넥터 구조
AU2007349106C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EP0876693B1 (en) Wire connecting block
WO1996037012A1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terminating wires
US4089579A (en) Ribbon connector constructions
KR200405248Y1 (ko) 조인트 커넥터 구조
US6761576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connector
US6358098B1 (en) Terminal and a joint connector
JPH059905B2 (ko)
EP0154410B1 (en) Field installable modular telephon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