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546B1 - 편집 장치, 편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 - Google Patents

편집 장치, 편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546B1
KR100729546B1 KR1020000049543A KR20000049543A KR100729546B1 KR 100729546 B1 KR100729546 B1 KR 100729546B1 KR 1020000049543 A KR1020000049543 A KR 1020000049543A KR 20000049543 A KR20000049543 A KR 20000049543A KR 100729546 B1 KR100729546 B1 KR 10072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ea
digest
fi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211A (ko
Inventor
요코타테프페이
기하라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0714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295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6Solid state audio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 중 다이제스트 부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가 설명되고, 이는 사용자가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입력하도록 허용하는 입력 수단, 시작 주소 및 종료 위치에 대응하여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주소 및 다이제스트 부 기간 정보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 및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주소 및 다이제스트 부 기간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재생 장치, 편집 장치, 비휘발성 메모리, 다이제스트 부, 헤더부.

Description

편집 장치, 편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and non-volatile memo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디지탈 오디오 레코더/플레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SP(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4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매체인 메모리 카드의 파일 관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42)의 데이타의 물리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40)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메모리 카드(40)에서 파일 구조의 계층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메모리 카드(40)에 저장된 서브 디렉토리(sub directory)인 재생 관리 파일 PBLIST.MSF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하나의 ATRAC3 데이타 파일이 미리 결정된 단위 길이를 가진 블록들로 분할되고 블록들에 속성 파일이 부가되는 경우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의 (a)는 두 파일이 조합 처리로 편집되기 이전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의 (b)는 두 파일이 조합 처리로 편집된 이후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의 (c)는 한 파일이 분할 처리로 편집된 이후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의 (a)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헤더부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의 (b)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메인 데이타부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의 (c)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추가 정보 데이타부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추가 정보 데이타의 종류들 및 그 코드값들을 상관시켜 도시한 테이블.
도 14는 추가 정보 데이타의 종류들 및 그 코드값들을 상관시켜 도시한 테이블.
도 15는 추가 정보 데이타의 종류들 및 그 코드값들을 상관시켜 도시한 테이블.
도 16의 (a)는 추가 정보 데이타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의 (b)는 추가 정보 데이타가 연주자 이름인 경우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의 (c)는 추가 정보 데이타가 저작권 코드인 경우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의 (d)는 추가 정보 데이타가 날짜/시간 정보인 경우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의 (e)는 추가 정보 데이타가 재생 로그인 경우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ATRAC3 데이타 파일의 상세한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ATRAC3 데이타 파일을 구성하는 속성 헤더의 상단 부분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ATRAC3 데이타 파일을 구성하는 속성 헤더의 중간 부분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기록 모드, 기록 시간 등을 상관시키는 테이블.
도 21은 카피 제어 상태들을 도시한 테이블.
도 22는 ATRAC3 데이타 파일을 구성하는 속성 헤더의 하단 부분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ATRAC3 데이타 파일 중 데이타 블록의 헤더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주변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의 주변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제스트 부를 지정하는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제스트 부 지정 처리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이제스트 부 지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이제스트 부 지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 20 : 보안 IC
30 : DSP 40 : 메모리 카드
42 : 플래시 메모리 52 : 보안 블록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앨범의 다이제스트 부(digest portion)를 지정하고 지정된 다이제스트 부의 위치 및 기간이 관리 영역에 기록되도록 허용하는 편집 장치, 편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으로 재기록가능한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은 각 비트가 2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기 때문에 큰 공간을 요구한다. 그래서, EEPROM의 집적화가 제한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 비트가 전비트 소거 시스템(all-bit-erase system)을 사용해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도록 허용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가 개발되었다. 플래시 메모리는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와 같은 종래의 기록 매체를 계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는 장치에 자유롭게 부착되고 분리된다. 종래의 CD(Compact Disc) 또는 MD(Mini Disc) 대신에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디지탈 오디오 기록/재생 장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디지탈 오디오 기록/재생 장치,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플레이어는 사용자가 재생되고 있는 CD의 내용을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상단 부분(약 10초 동안)을 자동적으로 연속하여 재생하는 음악 주사 기능 또는 도입 주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재생되는 각 음악 프로그램의 상단 부분에서만 허용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때로 각 음악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특징을 알 수 없다.
또한, 비디오 CD의 원하는 음악 프로그램 중 지정된 다이제스트 부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가 제안되었다. 비디오 CD가 재생 전용 디스크이므로, 제작자(내용 소유자나 레코드 회사)에 의해 지정된 다이제스트 부가 미리 기록된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는 비디오 CD에서 자기가 원하는 다이제스트 부를 지정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디스크의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다이제스트 부가 디스크 재생 장치에 배치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악 프로그램의 다이제스트 부는 디스크의 식별자와 테이블로 상관된다. 상관된 테이블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 및 재생 장치에 로드(load)된 디스크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관련된 다이제스트 부가 재생된다.
그러나, 다이제스트 부 정보가 디스크상에 기록되지 않으므로, 재생 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 처리가 과중해진다. 그 결과로, 관련된 다이제스트 부를 재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종래 방식으로는 각 앨범이 아니라 각 음악 프로그램의 다이제스트 부 정보가 기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악 프로그램의 인덱스 정보를 지정하도록 허용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앨범의 다이제스트 부가 다수의 디스크의 내용과 함께 기록되게 허용하도록 가변 압축 비율을 가진 비휘발성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매체에 프로그램의 다이제스트 부(digest portion)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입력하도록 허용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시작 위치 및 상기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과,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기억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에 프로그램의 다이제스트 부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위치 및 상기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은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여기서 다수의 블록 중 하나는 속성(attribute) 정보를 위한 속성 정보 영역으로 사용되고, 다른 블록은 각각 헤더(header) 부분 및 메인 데이타(main data) 부분으로 구성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주소 및 다이제스트 부 기간 정보는 속성 정보 영역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최상 모드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백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디지탈 오디오 레코더/플레이어(recoder/player)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지탈 오디오 레코더/플레이어는 분리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해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한다. 실제로, 레코더/플레이어는 증폭 유닛, 스피커, CD 플레이어, MD 레코더, 튜너(tuner) 등과 함께 오디오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오디오 레코더에 적용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휴대용 기록/재생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 한, 본 발명은 위상 데이타 통신, 디지탈 방송, 또는 인터넷과 같이 순환되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하는 셋탑 박스(set top box)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타 보다 이동 화상 데이타 및 정지 화상 데이타를 기록/재생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디지탈 오디오 신호 이외에 화상 및 텍스트와 같은 추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기록/재생 장치는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10), 보안 IC(20), DSP(Digital Signal Processor)(30)를 가지고 있다. 이들 디바이스는 각각 한 칩의 IC로 구성된다. 기록/재생 장치는 분리가능한 메모리 카드(40)를 가지고 있다. 한 칩의 IC인 메모리 카드(40)는 플래시 메모리(비휘발성 메모리), 메모리 제어 블록, 및 보안 블록을 가지고 있다. 보안 블록은 DES(Data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회로를 가지고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록/재생 장치는 DSP(30) 대신에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10)는 오디오 인터페이스(11) 및 인코더/디코더 블록(12)을 가지고 있다. 인코더/디코더 블록(12)은 매우 효과적인 부호화 방법에 대응하여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데이타를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한다. 또한, 인코더/디코더 블록(12)은 메모리 카드(40)로부터 판독된 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화한다. 매우 효과적인 부호화 방법으로는 미니 디스크에서 사용되는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포맷의 수정인 ATRAC3 포맷이 사용된다.
ATRAC3 포맷에서는 44.1 kHz로 샘플링되고 16 비트로 양자화된 오디오 데이 타가 매우 효과적으로 부호화된다. ATRAC3 포맷에서, 처리되는 오디오 데이타의 최소 데이타 단위는 사운드 유닛(sound unit, SU)이다. 1 SU는 1024 샘플의 데이타(1024 x 16 비트 x 2 채널)가 수백 바이트의 데이타로 압축된 데이타이다. 1 SU의 기간은 약 23 msec이다. 매우 효과적인 부호화 방법에서, 오디오 데이타의 데이타량은 원래 데이타량 보다 10배 더 작은 데이타로 압축된다. 미니 디스크에서 사용되는 ATRAC1 포맷에서와 같이, ATRAC3 포맷에 대응하여 압축 및 압축해제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질이 덜 변형된다.
라인(line) 입력 선택기(13)는 MD의 재생 출력 신호, 튜너의 출력 신호, 또는 테이프의 재생 출력 신호를 A/D 변환기(14)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A/D 변환기(14)는 입력된 라인 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신호(샘플링 주파수 = 44.1 kHz; 양자화 비트수 = 16)로 변환한다. 디지탈 입력 선택기(16)는 MD, CD, 또는 CS(Satellite Digital Broadcast)의 디지탈 출력 신호를 디지탈 입력 수신기(17)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디지탈 입력 신호는 예컨대,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 디지탈 입력 수신기(17)의 출력 신호는 샘플링 비율 변환기(15)에 공급된다. 샘플링 비율 변환기(15)는 디지탈 입력 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신호(샘플링 주파수 = 44.1 kHz; 양자화 비트수 = 16)로 변환한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10)의 인코더/디코더 블록(12)은 부호화된 데이타를 보안 IC(20)의 인터페이스(21)를 통해 DES 암호화 회로(22)에 공급한다. DES 암호화 회로(22)는 FIFO(23)를 가지고 있다. DES 암호화 회로(22)는 내용의 저작권을 보호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카드(40)는 또한 DES 암호화 회로를 가지고 있 다. 기록/재생 장치의 DES 암호화 회로(22)는 다수의 마스터키(master key) 및 장치에 유일한 저장키를 가지고 있다. DES 암호화 회로(22)는 또한 랜덤수 발생 회로를 가지고 있다. DES 암호화 회로(22)는 DES 암호화 회로를 가진 메모리 카드(40)와 인증 처리 및 세션키(session key)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DES 암호화 회로(22)는 DES 암호화 회로의 저장키로 데이타를 재암호화할 수 있다.
DES 암호화 회로(22)로부터 출력된 암호화 오디오 데이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30)로 공급된다. DSP(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 카드(40)와 통신한다. 본 예에서, 메모리 카드(40)는 기록/재생 장치의 부착/분리 메카니즘(도시되지 않은)에 부착된다. DSP(30)는 암호화 데이타를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한다. 암호화 데이타는 DSP(30)와 메모리 카드(40) 사이에서 일렬로 전송된다. 또한, DSP(30)에는 외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31)이 연결된다. SRAM(31)은 메모리 카드(40)를 제어하도록 기록/재생 장치에 충분한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버스 인터페이스(32)는 DSP(30)에 연결된다. 데이타는 외부 제어기(도시되지 않은)로부터 버스(33)를 통해 DSP(30)에 공급된다. 외부 제어기는 오디오 시스템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외부 제어기는 동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발생된 기록 명령 또는 재생 명령과 같은 데이타를 버스 인터페이스(32)를 통해 DSP(30)에 공급한다. 또한, 외부 제어기는 영상 정보 및 문자 정보와 같은 추가 정보를 버스 인터페이스(32)를 통해 DSP(30)에 공급한다. 버스(33)는 양방향성 통신 경로이다. 메모리 카드(40)로부터 판독된 추가 정보는 DSP(30), 버스 인터페 이스(32), 및 버스(33)를 통해 외부 제어기에 공급된다. 실제로, 외부 제어기는 예를 들면, 오디오 시스템의 증폭 유닛내에 배치된다. 또한, 외부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정보, 레코더의 동작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공유된다. 버스(33)를 통해 교환되는 데이타는 저작권 보호 데이타가 아니므로, 암호화되지 않는다.
DSP(30)에 의해 메모리 카드(40)로부터 판독된 암호화 오디오 데이타는 보안 IC(20)에 의해 해독된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 IC(10)는 ATRAC3 포맷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타를 복호화한다. 오디오 인코더/디코더(10)의 출력 데이타는 D/A 변환기(18)에 공급된다. D/A 변환기(18)는 오디오 인코더/디코더(10)의 출력 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라인 출력 단자(19)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라인 출력 단자(19)를 통해 증폭 유닛(도시되지 않은)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나 헤드 세트로부터 재생된다. 외부 제어기는 묵음 신호(muting signal)를 D/A 변환기(18)에 공급한다. 묵음 신호가 묵음-on 상태를 나타낼 때, 외부 제어기는 오디오 신호가 라인 출력 단자(19)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DSP(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DSP(30)는 코어(core)(34), 플래시 메모리(35), SRAM(36), 버스 인터페이스(37),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38), 및 버스간 브리지(inter-bus bridge)를 구비하고 있다. DSP(30)는 마이크로컴퓨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코어(34)는 CPU와 동일하다. 플래시 메모리(35)는 DSP(30)가 미리 결정된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SRAM(36) 및 외부 SRAM(31)는 기록/재생 장치의 RAM으로 사용된다.
DSP(30)는 버스 인터페이스(32, 37)를 통해 수신된 기록 명령과 같은 동작 신호에 대응하여 암호화 오디오 신호 및 추가 정보를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하는 기록 처리 및 그로부터 이들을 판독하는 판독 처리를 제어한다. 바꾸어 말하면, DSP(30)는 오디오 데이타 및 추가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응용 소프트웨어측과 메모리 카드(40) 사이에 배치된다. DSP(30)는 메모리 카드(40)가 액세스될 때 동작된다. 또한, DSP(30)는 파일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동작된다.
DSP(30)는 종래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FAT 시스템으로 메모리 카드(40)에 저장된 파일을 관리한다. 파일 시스템에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파일이 사용된다. 관리 파일은 추후 설명된다.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40)에 저장된 데이타 파일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제 1 파일 관리 정보인 관리 파일은 오디오 데이타 파일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제 2 파일 관리 정보인 FAT는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관리 파일 및 오디오 데이타 파일을 포함하는 모든 파일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40)에 저장된다. FAT는 메모리 카드(40)가 배송되기 이전에 루트 디렉토리(route directory) 등과 함께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다. FAT의 상세한 내용은 추후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타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ATRAC3 포맷에 대응하여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는 암호화된다. 한편, 관리 파일의 저작권을 보고할 필요는 없으므로, 암호화되지 않는다. 암호화 종류 및 비암호화 종류인 두 종류의 메모리 카드가 있다. 그러나, 저작권 보호 데이타를 기록하는 레코더/플레이어와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는 암호화 종류에 제한된다.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영상 데이타 및 음성 데이타는 비암호화 종류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도 3은 메모리 카드(4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메모리 카드(40)는 한 칩의 IC로 구성된 제어 블록(41) 및 플래시 메모리(42)를 구비하고 있다. 양방향성 직렬 인터페이스는 메모리 카드(40)와 레코더/플레이어의 DSP(30) 사이에 배치된다. 양방향성 직렬 인터페이스는 데이타와 함께 전송되는 클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클럭 라인(SCK),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상태 라인(SBS),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 라인(DIO), 인터럽트 라인(INT), 2개의 GND 라인, 2개의 INT 라인, 및 2개의 예정된 라인인 10개의 라인으로 구성된다.
클럭 라인(SCK)은 데이타와 동기화되어 클럭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상태 라인(SBS)은 메모리 카드(40)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데이타 라인(DIO)은 명령 및 암호화 오디오 데이타를 입력 및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인터럽트 라인(INT)은 메모리 카드(40)가 레코더/플레이어의 DSP(30)를 인터럽트하게 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 카드(40)가 레코더/플레이어에 부착될 때, 메모리 카드(40)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가 데이타 라인(DIO)을 통해 전송되므 로, 인터럽트 라인(INT)은 접지된다.
직렬/병렬 변환, 병렬/직렬 변환, 및 인터페이스 블록(S/P, P/S, I/F 블록)(43)은 레코더/플레이어의 DSP(30)와 메모리 카드(40)의 제어 블록(41)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이다. S/P, P/S 및 IF 블록(43)은 레코더/플레이어의 DSP(30)로부터 수신된 직렬 데이타를 병렬 데이타로 변환하고, 병렬 데이타를 제어 블록(41)에 공급한다. 또한, S/P, P/S, 및 IF 블록(43)은 제어 블록(41)으로부터 수신된 병렬 데이타를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고, 직렬 데이타를 DSP(30)에 공급한다. S/P, P/S, 및 IF 블록(43)이 데이타 라인(DIO)을 통해 명령 및 데이타를 수신할 때, S/P, P/S, 및 IF 블록(43)은 이들을 플래시 메모리(42)에 정상적으로 액세스되는 것과 암호화되는 것으로 분리한다.
데이타 라인(DIO)을 통해 데이타가 전송되는 포맷으로, 명령이 전송된 이후에 데이타가 전송된다. S/P, P/S 및 IF 블록(43)은 명령의 코드를 검출하고, 명령 및 데이타가 정상적으로 액세스되는 것 또는 부호화된 것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된 결과에 대응하여, S/P, P/S, 및 IF 블록(43)은 정상적으로 액세스되는 명령을 명령 레지스터(44)에 저장하고, 정상적으로 액세스되는 데이타를 페이지 버퍼(page buffer)(45) 및 기록 레지스터(46)에 저장한다. 기록 레지스터(46)와 연관되어, 메모리 카드(40)는 에러 정정 코드 부호화 회로(47)를 가지고 있다. 에러 정정 코드 부호화 회로(47)는 페이지 버퍼(45)에 임시로 저장된 데이타에 대한 에러 정정 코드인 리던던트 코드(redundant code)를 발생한다.
명령 레지스터(44), 페이지 버퍼(45), 기록 레지스터(46), 및 에러 정정 코 드 부호화 회로(47)의 출력 데이타는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순차기(sequencer)(이후, 메모리 I/F 및 순차기라 칭하여지는)(51)에 공급된다. 메모리 IF 및 순차기(51)는 제어 블록(41)과 플래시 메모리(42) 사이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로, 그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타를 제어한다. 데이타는 메모리 IF 및 시퀀서(51)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다.
ATRAC3 포맷에 대응하여 압축되고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타(이후, 이 오디오 데이타는 ATRAC3 데이타라 칭하여진다)는 ATRAC3 데이타의 저작권을 보호하도록 메모리 카드(40)의 보안 블록(52) 및 레코더/플레이어의 보안 IC(20)에 의해 암호화된다. 보안 블록(52)은 버퍼 메모리(53), DES 암호화 회로(54), 및 비휘발성 메모리(55)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 카드(40)의 보안 블록(52)은 각 메모리 카드에 대해 다수의 인증키 및 유일한 저장키를 가지고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55)는 데이타를 암호화하는데 필요한 키를 저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55)에 저장된 키는 분석될 수 없다.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면, 저장키는 비휘발성 메모리(55)에 저장된다. 보안 블록(52)은 또한 랜덤수 발생 회로를 가지고 있다. 보안 블록(52)은 적용가능한 레코더/플레이어를 인증하고, 그들과 세션키를 공유한다. 또한, 보안 블록(52)은 DSE 암호화 회로(54)를 통해 저장키로 내용을 재암호화한다.
예컨대, 메모리 카드(40)가 레코더/플레이어에 부착될 때, 이들은 상호간에 인증된다. 레코더/플레이어의 보안 IC(20) 및 메모리 카드(40)의 보안 블록(52)은 상호간에 인증된다. 레코더/플레이어가 부착된 메모리 카드(40)를 적용가능한 메 모리 카드로 인증하고 메모리 카드(40)가 레코더/플레이어를 적용가능한 레코더/플레이어로 인증할 때, 이들은 상호간에 인증된다. 상호 인증 처리가 성공적으로 실행된 이후에, 레코더/플레이어 및 메모리 카드(40)는 각각의 세션키를 발생하고 이들을 서로 공유한다. 레코더/플레이어 및 메모리 카드(40)가 서로 인증될 때마다, 이들은 각각의 세션키를 발생한다.
내용이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될 때, 레코더/플레이어는 세션키로 내용키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타를 메모리 카드(40)에 공급한다. 메모리 카드(40)는 세션키로 내용키를 해독하고, 저장키로 내용키를 재암호화하고, 또한 내용키를 레코더/플레이어에 공급한다. 저장키는 각 메모리 카드(40)에 대해 유일한 키이다. 레코더/플레이어가 암호화된 내용키를 수신할 때, 레코더/플레이어는 암호화된 내용키에 대해 포맷 처리를 실행하고, 암호화된 내용키 및 암호화된 내용을 메모리 카드(40)에 기록한다.
상기에는 메모리 카드(40)에 대한 기록 처리가 설명되었다. 다음에는 메모리 카드(40)에 대한 판독 처리가 설명된다. 플래시 메모리(42)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는 메모리 IF 및 순차기(51)를 통해 페이지 버퍼(45), 판독 레지스터(48), 및 에러 정정 회로(49)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회로(49)는 페이지 버퍼(45)에 저장된 데이타의 에러를 정정한다. 에러 정정된 페이지 버퍼(45)의 출력 데이타 및 판독 레지스터(48)의 출력 데이타는 S/P, P/S 및 IF 블록(43)에 공급된다. S/P, P/S, 및 IF 블록(43)은 상술된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레코더/플레이어의 DSP(30)에 공급된다.
데이타가 메모리 카드(40)로부터 판독될 때, 저장키로 암호화된 내용키와 블록키로 암호화된 내용은 플래시 메모리(42)로부터 판독된다. 보안 블록(52)은 저장키로 내용키를 해독한다. 보안 블록(52)은 세션키로 해독된 내용키를 재암호화하고, 재암호화된 내용키를 레코더/플레이어로 전송한다. 레코더/플레이어는 수신된 세션키로 내용키를 해독하고, 해독된 내용키로 블록키를 발생한다. 레코더/플레이어는 암호화된 ATRAC3 데이타를 연속하여 해독한다.
config. ROM(50)은 메모리 카드(40)의 분할 정보, 다양한 종류의 속성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메모리 카드(40)는 또한 소거 보호 스위치(60)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60)가 소거 보호 위치에 있을 때에는 메모리 카드(40)가 플레이 메모리(42)에 저장된 데이타를 삭제하게 하는 명령이 레코더/플레이어측으로부터 메모리 카드(40)에 공급되더라도, 메모리 카드(40)가 플레쉬 메모리(42)에 저장된 데이타를 삭제하는 것이 금지된다. OSC cont.(61)는 메모리 카드(40)의 처리 타이밍에서 기준이 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이다.
도 4는 메모리 카드를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중 파일 시스템의 처리에 대한 계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계층구조에서, 상단의 계층구조 레벨은 응용 처리층이다. 응용 처리층은 파일 관리 처리층, 논리적 주소 관리층, 물리적 주소 관리층, 및 플래시 메모리 액세스층으로 이어진다. 상술된 계층구조에서, 파일 관리 처리층은 FAT 파일 시스템이다. 물리적인 주소는 플래시 메모리의 각 블록에 할당된다. 플래시 메모리의 블록과 물리적인 주소 사이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논리적인 주소는 파일 관리 처리층에서 논리적으로 처리되는 주소이다.
도 5는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42)에서 처리되는 데이타의 물리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메모리(42)에서, 데이타 유닛(세그먼트(segment)라 칭하여지는)은 미리 결정된 수의 블록(고정된 길이)으로 나뉜다. 한 블록은 미리 결정된 수의 페이지(고정된 길이)로 나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데이타는 각 블록에 한번 삭제된다. 데이타는 한번에 한 페이지로 플래시 메모리(42)에 기록되거나 그로부터 판독된다. 각 블록의 크기는 똑같다. 유사하게, 각 페이지의 크기도 똑같다. 한 블록은 페이지 0 내지 페이지 m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한 블록은 8 KB(kilobyte) 또는 16 KB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다. 한 페이지는 512 B(byte)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다. 한 블록이 8 KB의 저장 용량을 가질 때, 플래시 메모리(42)의 총 저장 용량은 4 MB(512 블록) 또는 8 MB(1024 블록)이다. 한 블록이 16 KB의 저장 용량을 가질 때, 플래시 메모리(42)의 총 저장 용량은 16 MB(1024 블록), 32 MB(2048 블록), 또는 64 MB(4096 블록)이다.
한 페이지는 512 바이트의 데이타부과 16 바이트의 리던던트 부분으로 구성된다. 리던던트 부분 중 처음 3 바이트는 데이타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재기록되는 오버라이트(overwrite) 부분이다. 처음 3 바이트는 연속적으로 블록 상태 영역, 페이지 상태 영역, 및 업데이트 상태 영역을 포함한다. 리던던트 부분의 나머지 13 바이트는 데이타부의 내용에 의존하는 고정된 데이타이다. 13 바이트는 관리 플래그(flag) 영역(1 바이트), 논리적 주소 영역(2 바이트), 포맷 역전 영역(5 바이트), 분산 정보 ECC 영역(2 바이트), 및 데이타 ECC 영역(3 바이트)을 포함한다. 분산 정보 ECC 영역은 관리 플래그 영역, 논리적 주소 영역, 및 포맷 역전 영역에 대한 에러 정정 처리를 위해 리던던트 데이타를 포함한다. 데이타 ECC 영역은 512-바이트 데이타에 대한 에러 정정 처리를 위해 리던던트 데이타를 포함한다.
관리 플래그 영역은 시스템 플래그(1: 사용자 블록, 0: 부트(boot) 블록), 변환 테이블 플래그(1: 무효, 0: 테이블 블록), 카피 금지 플래그(1: OK, 0: NG), 및 액세스 허용 플래그(1: 무료, 0: 판독 보호)를 포함한다.
처음 두 블록 - 블록 0 및 1은 부트 블록이다. 블록 1은 블록 0의 백업(backup)이다. 부트 블록은 메모리 카드에서 유효한 상단 블록이다.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플레이어에 부착될 때, 부트 블록은 처음 액세스된다. 나머지 블록은 사용자 블록이다. 부트 블록의 페이지 0은 헤더(header) 영역, 시스템 엔트리(entry) 영역, 및 부트와 속성 정보 영역을 포함한다. 부트 블록의 페이지 1은 금지 블록 데이타 영역을 포함한다. 부트 블록의 페이지 2는 CIS(Card Information Structure)/IDI(Identify Drive Information) 영역을 포함한다.
부트 블록의 헤더 영역은 부트 블록 ID 및 유효한 엔트리의 수를 포함한다. 시스템 엔트리는 금지 블록 데이타의 시작 위치, 그 데이타 크기, 그 데이타 종류, CIS/IDI 영역의 데이타 시작 위치, 그 데이타 크기, 및 그 종류이다. 부트와 속성 정보는 메모리 카드 종류(판독 전용형, 재기록가능형, 또는 하이브리드(hybrid)형), 블록 크기, 블록의 수, 총블록의 수, 보안/비보안 종류, 카드 제작 데이타(제작 날짜) 등을 포함한다.
플래시 메모리가 절연막의 변형으로 인해 재기록 회수에 대한 제한을 가지므 로, 동일한 저장 영역(블록)이 집중적으로 액세스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특정한 물리적 주소에 저장된 특정한 논리적 주소의 데이타가 재기록될 때, 특정한 블록의 업데이트 데이타는 원래 블록 보다는 비사용 블록으로 기록된다. 그래서, 데이타가 업데이트된 이후에, 논리적 주소와 물리적 주소 사이의 관계가 변화된다. 이 처리는 스와프(swap) 처리라 칭하여진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블록이 집중적으로 액세스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플래시 메모리의 서비스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논리적 주소는 블록에 기록된 데이타와 연관된다. 원래 데이타의 블록이 업데이트된 데이타의 블록과 다르더라도, FAT상의 주소는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동일한 데이타가 적절하게 액세스될 수 있다. 그러나, 스와프 처리가 실행되므로, 논리적 주소와 물리적 주소를 상관시키는 변환 테이블이 요구된다(이 테이블은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이라 칭하여진다).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FAT에서 지정된 논리적 주소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가 구해진다. 그래서, 물리적 주소로 지정된 블록이 액세스될 수 있다.
DSP(30)는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을 SRAM에 저장한다. RAM의 저장 용량이 작을 때,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은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물리적-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은 올림 차순으로 분류된 논리적 주소(2 바이트)를 물리적 주소(2 바이트)와 상관시킨다. 플래시 메모리의 최대 저장 용량이 128 MB(8192 블록)이므로, 8192 주소가 두 바이트로 할당될 수 있다.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은 각 세그먼트에 대해 관리된다. 그래서,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의 크기는 플래시 메모리의 저장 용량에 비례한다. 플래시 메모리의 저장 용량이 8 MB(2 세그먼트)일 때, 두 페이지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로 사용된다. 변환 테이블이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될 때, 각 페이지의 리던던트 부분에서 관리 플래그 영역 중 미리 결정된 한 비트는 현재 블록이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을 포함하는 블록인가 여부를 나타낸다.
상술된 메모리 카드는 디스크 형상의 기록 매체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의 FAT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IPL 영역, FAT 영역, 및 루트 디렉토리 영역(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은)을 가지고 있다. IPL 영역은 레코더/플레이어의 메모리에 먼저 로드되는 프로그램의 주소를 포함한다. 또한, IPL 영역은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정보를 포함한다. FAT 영역은 블록(클러스터(cluster))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FAT는 정의된 비사용 블록, 다음 블록 번호, 결함이 있는 블록, 및 최종 블록 번호를 가지고 있다. 루트 디렉토리 영역은 파일 속성, 업데이트 날짜[일, 월, 년], 파일 크기 등인 디렉토리 엔트리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도 6을 참조하여, FAT 테이블을 사용한 관리 방법이 설명된다.
도 6은 메모리 맵(memory map)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모리 맵의 상단 영역은 분할 테이블 부분이다. 분할 테이블 부분은 블록 영역, 부트 섹터, FAT 영역, FAT 백업 영역,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 영역, 서브 디렉토리(sub directory) 영역, 및 데이타 영역으로 이어진다. 메모리 맵에서, 논리적 주소는 논리적-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에 대응하는 물리적 주소로 변환된다.
부트 섹터, FAT 영역, FAT 백업 영역, 루트 디렉토리 영역, 서브디렉토리 영역, 및 데이타 영역은 FAT 분할 영역이라 칭하여진다.
분할 테이블 부분은 FAT 분할 영역의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를 포함한다.
종래의 플로피 디스크에 사용되는 FAT는 이러한 분할 테이블을 갖지 않는다. 제1 트랙(track)만이 분할 테이블을 가지므로, 빈 영역이 있다. 부트 섹터는 FAT 구조의 크기(12 비트 FAT 또는 16 비트 FAT), 클러스터 크기, 및 각 영역의 크기를 포함한다. FAT는 데이타 영역에 기록된 파일의 위치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FAT 카피 영역은 FAT 백업 영역이다. 루트 디렉토리 영역은 파일명, 시작 클러스터 주소, 및 다양한 속성을 포함한다. 루트 디렉토리 영역은 파일 당 32 바이트를 사용한다.
서브 디렉토리 영역은 디렉토리 속성 파일에 의해 디렉토리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브 디렉토리 영역은 PBLIST.MSF, CAT.MSF, DOG.MSF, 및 MAN.MFA라 칭하여진 4개의 파일을 가지고 있다. 서브 디렉토리 영역은 FAT에서 파일명 및 기록 위치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파일명 CAT.MSF의 슬롯(slot)은 FAT에서 할당된 주소 "10"이다. 파일명 DOG.MSF의 슬롯은 FAT에서 할당된 주소 "10"이다. 클러스터 2 이후 영역은 데이타 영역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ATRAC3 포맷에 대응하여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가 기록된다. 파일명 MAN.MSA의 상단 슬롯은 FAT에서 할당된 주소 "110"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일명 CAT.MSF의 오디오 데이타는 클러스터 5 내지 8에 기록된다. 파일명 DOG.MSF의 파일 중 처음 절반 부분인 DOG-1의 오디오 데이타는 클러스터 10 내지 12에 기록된다. 파일명 DOG.MSF의 파일 중 두번째 절반 부분인 DOG-2의 오디오 데이타는 클러스터 100 내지 101에 기록된다. 파일명 MAN.MSF의 오디오 데이타는 클러스터 110 내지 111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파일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 따로 기록되는 예가 설명된다. 실시예에서, 데이타 영역에 있는 영역 "공백(empty)"은 기록가능한 영역이다. 클러스터 200 이후의 영역은 파일명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파일 CAT.MSF는 클러스터 200에 기록된다. 파일 DOG.MSF는 클러스터 201에 기록된다. 파일 MAN.MSF는 클러스터 202에 기록된다. 파일의 위치가 변할 때, 클러스터 200 이후의 영역은 재배열된다. 메모리 카드가 부착될 때, FAT 분할 영역의 시작부 및 종료부는 상단 분할 테이블 부분을 참조하여 기록된다. 부트 섹터 부분이 재생된 이후에는 루트 디렉토리 영역 및 서브 디렉토리 영역이 재생된다. 서브 디렉토리 영역에서 재생 관리 정보 PBLIST.MSF의 슬롯이 검출된다. 그래서, 파일 PBLIST.MSF의 슬롯 중 종료 부분의 주소가 구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소 "200"이 파일 PBLIST.MSF의 종료부에 기록되므로, 클러스터 200가 참조된다.
클러스터 200 이후의 영역은 파일의 재생 순서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파일 CAT.MSA는 제 1 프로그램이다. 파일 DOG.MSA는 제 2 프로그램이다. 파일 MAN.MSA는 제 3 프로그램이다. 클러스터 200 이후의 영역이 참조된 이후, 파일 CAT.MSA, DOG.MSA, 및 MAN.MSA의 슬롯이 참조된다. 도 6에서, 파일 CAT.MSA의 슬롯 중 종료부는 할당된 주소 "5"이다. 파일 DOG.MSA의 슬롯 중 종료부는 할당된 주소 "10"이다. 파일 MAN.MSA의 슬롯 중 종료부는 할당된 주소 "110"이다. 엔트리 주소가 주소 "5"로 FAT에서 탐색될 때, 클러스터 주소 "6"이 구해진다. 엔트리 주소가 주소 "6"로 FAT에서 탐색될 때, 클러스터 주소 "7"이 구해진다. 엔트리 주소가 주소 "8"로 FAT에서 탐색될 때,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 "FFF"가 구해진다. 이와 같이, 파일 CAT.MSA는 클러스터 5, 6, 7, 및 8을 사용한다. 데이타 영역의 클러스터 5, 6, 7, 8을 참조하여, 파일명 CAT.MSA의 ATRAC3 데이타 영역이 액세스될 수 있다.
다음에는 분산되어 기록된 파일 DOG.MSF를 탐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파일 DOG.MSA의 슬롯 중 종료부는 할당된 주소 "10"이다. FAT에서 엔트리 주소가 주소 "10"으로 탐색될 때, 클러스터 주소 "11"이 구해진다. FAT에서 엔트리 주소가 주소 "11"로 탐색될 때, 클러스터 주소 "12"가 구해진다. FAT에서 엔트리 주소가 주소 "12"로 탐색될 때, 클러스터 주소 "101"이 구해진다. 엔트리 주소 "101"이 참조될 때,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 "FFF"가 구해진다. 이와 같이, 파일 DOG.MSF는 클러스터 10, 11, 12, 100 및 101을 사용한다. 클러스터 10, 11, 및 12가 참조될 때, 파일 DOG.MSF의 ATRAC3 데이타 중 제 1 부분이 액세스될 수 있다. 클러스터 100 및 101이 참조될 때, 파일 DOG.MSF의 ATRAC3 데이타 중 제 2 부분이 액세스될 수 있다. 또한, 엔트리 주소가 주소 "110"으로 FAT에서 탐색될 때, 클러스터 주소 "101"이 구해진다. 엔트리 주소 "111"이 주소 "101"로 FAT에서 탐색될 때,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 "FFF"가 구해진다. 그래서, 파일 MAN.MSA가 클러스터 110 및 111을 사용함이 명백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에서 분산된 데이타 파일은 링크되어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40)의 포맷에 정의된 파일 관리 시스템에 또한, 관리 파일은 음악 파일의 일부 및 트랙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관리 파일은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42)에서 사용자 블록에 기록된다. 그래서, 추후 설명될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40)의 FAT가 파괴되더라도, 파일이 회복될 수 있다.
관리 파일은 DSP(30)에 의해 발생된다. 레코더/플레이어의 전력이 on 상태로 될 때, DSP(30)는 메모리 카드(40)가 레코더/플레이어에 부착되었나 여부를 결정한다. 메모리 카드가 부착되었을 때, DSP(30)는 메모리 카드(40)를 인증한다. DSP(30)가 성공적으로 메모리 카드(40)를 인증하였을 때, DSP(30)는 플래시 메모리(42)의 부트 블록을 판독한다. 그래서, DSP(30)는 물리적-논리적 주소 변환 테이블을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타를 SRAM에 저장한다. FAT 및 루트 디렉토리는 메모리 카드(40)가 배송되기 이전에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로 기록된다. 데이타가 메모리 카드(40)로 기록될 때, 관리 파일이 발생된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의 원격 제어기에 의해 주어진 기록 명령은 버스 및 버스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외부 제어기로부터 DSP(30)에 공급된다. 인코더/디코더 IC(1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타를 압축하고, 결과의 ATRAC3 데이타를 보안 IC(20)로 공급한다. 보안 IC(20)는 ATRAC3 데이타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ATRAC3 데이타는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42)에 기록된다. 이후에는 FAT 및 관리 파일이 업데이트된다. 파일이 업데이트될 때마다(실제로는 오디오 데이타의 기록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SRAM(31, 36)에 저장된 관리 파일 및 FAT는 재기 록된다. 메모리 카드(40)가 분리되거나 레코더/플레이어의 전력이 off 상태로 될 때, SRAM(31, 36)으로부터 최종적으로 공급된 관리 파일 및 FAT가 플래시 메모리(42)에 기록된다. 다른 방법으로, 오디오 데이타의 기록 처리가 완료될 때마다, 플래시 메모리(42)에 기록된 관리 파일 및 FAT가 재기록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타가 편집될 때, 관리 파일의 내용은 업데이트된다.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구조에서, 추가 정보는 관리 파일에 포함된다. 추가 정보는 업데이트되어 플래시 메모리(42)에 기록된다. 관리 파일의 또 다른 데이타 구조에서는 트랙 관리 파일 이외에 추가 정보 관리 파일이 발생된다. 추가 정보는 버스 및 버스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외부 제어기로부터 DSP(30)에 공급된다. 추가 정보는 메모리 카드(40)의 플래시 메모리(42)에 기록된다. 추가 정보가 보안 IC(20)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이는 암호화되지 않는다. 메모리 카드(40)가 레코더/플레이어로부터 분리되거나 그 전력이 off 상태로 될 때, 추가 정보는 DSP(30)의 SRAM으로부터 플래시 메모리(42)로 기록된다.
도 7은 메모리 카드(40)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파일 구조로, 정지 화상 디렉토리, 이동 화상 디렉토리, 음성 디렉토리, 제어 디렉토리, 및 음악(HIFI) 디렉토리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악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재생된다. 다음에는 음악 디렉토리가 설명된다. 음악 디렉토리는 두 종류의 파일을 가지고 있다. 제 1 종류는 재생 관리 파일 BLIST.MSF(이후, PBLIST라 칭하여지는)이다. 다른 종류는 암호화된 음악 데이타를 저장하는 ATRAC3 데이타 파일 A3Dnnnn.MSA이다. 음악 디렉토리는 400개까지의 ATRAC3 데이타 파일(즉, 400개의 음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ATRAC3 데이타 파일은 재생 관리 파일로 등록되고 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발생된다.
도 8은 재생 관리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하나의 ATRAC3 데이타 파일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재생 관리 파일은 16 KB로 고정된 길이의 파일이다. ATRAC3 데이타 파일은 각 음악 프로그램에 대해 속성 헤더 및 암호화 음악 데이타 영역으로 구성된다. 속성 데이타는 16 KB로 고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속성 헤더의 구조는 재생 관리 파일과 유사하다.
도 8에 도시된 재생 관리 파일은 헤더, 메모리 카드명 NM1-S(1 바이트 코드), 메모리 카드명 NM2-S(2 바이트 코드), 프로그램 재생 순차 테이블 TRKTBL, 및 메모리 카드 추가 정보 INF-S로 구성된다. 데이타 파일의 시작부에 있는 속성 헤더(도 9에 도시된)는 헤더, 프로그램명 NM1(1 바이트 코드), 프로그램명 NM2(2 바이트 코드), 트랙 정보 TRKINF(트랙키 정보와 같은), 부분 정보 PRTINF, 및 트랙 추가 정보 INF로 구성된다. 헤더는 총 부분의 수에 대한 정보, 명칭의 속성, 추가 정보의 크기 등을 포함한다.
속성 데이타는 ATRAC3 음악 데이타로 이어진다. 음악 데이타는 16 KB 마다 세그먼트된 블록이다. 각 블록은 헤더로 시작된다. 헤더는 암호화 데이타를 해독하기 위한 초기값을 포함한다. ATRAC3 데이타 파일의 음악 데이타만이 암호화된다. 이와 같이, 재생 관리 파일, 헤더 등과 같이 다른 데이타는 암호화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도 10을 참조하여, 음악 프로그램과 ATRAC3 데이타 파일 사이의 관 계가 설명된다. 한 트랙은 하나의 음악 프로그램과 같다. 또한, 한 음악 프로그램은 하나의 ATRAC3 데이타로 구성된다(도 9를 참조). ATRAC3 데이타 파일은 ATRAC3 포맷에 대응하여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이다. ATRAC3 데이타 파일은 클러스터로 한번 메모리 카드(40)에 기록된다. 한 클러스터는 16 KB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파일이 한 클러스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플래시 메모리(42)의 최소 데이타 삭제 단위는 한 블록이다. 음악 데이타를 위한 메모리 카드(40)인 경우, 블록은 클러스터와 같은 의미이다. 또한, 한 클러스터는 한 섹터와 똑같다.
한 음악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음악 프로그램이 편집될 때, 한 음악 프로그램은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부분(part)은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데이타의 단위이다. 일반적으로, 한 트랙은 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음악 프로그램에서 부분들의 연결은 각 음악 프로그램의 속성 헤더에서 부분 정보 PRTINF로 관리된다. 바꾸어 말하면, 부분 크기는 부분 정보 PRTINF의 부분 크기 PRTSIZE(4 바이트)로 나타내진다. 부분 크기 PRTSIZE의 처음 2 바이트는 현재 부분의 총 클러스터수를 나타낸다. 다음 2 바이트는 각각 처음 및 최종 클러스터에서 시작 사운드 유닛(SU) 및 종료 사운드 유닛(SU)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후에, 사운드 유닛(sound unit)은 SU라 칭하여진다. 이러한 부분 표시로, 음악 데이타가 편집될 때, 음악 데이타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각 블록에 대해 음악 데이타가 편집될 때는 이동이 억제될 수 있더라도, 블록의 편집 유닛이 SU의 편집 유닛 보다 훨씬 더 크다.
SU는 부분의 최소 단위이다. 또한, SU는 오디오 데이타가 ATRAC3 포맷에 대 응하여 압축되는 경우 최소 데이타 단위가 된다. 1 SU는 44.1 kHz에서 1024 샘플의 데이타(1024 x 16 비트 x 2 채널)가 원래 데이타 보다 10배 가량 더 작은 데이타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타이다. 1 SU의 기간은 대략 23 msec이다. 일반적으로, 한 부분은 수천개의 SU로 구성된다. 한 클러스터가 42 SU로 구성될 때, 한 클러스터는 1초의 사운드가 발생되도록 허용한다. 한 트랙을 구성하는 부분의 수는 추가 정보의 크기에 의존한다. 부분의 수는 한 블록으로부터 헤더, 프로그램명, 추가 데이타 등을 감산하여 구해지므로, 추가 정보가 없을 때, 부분의 최대수(645 부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의 (a)는 CD 등의 두 음악 프로그램이 연속하여 기록되는 경우에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프로그램(파일 1)은 예컨대, 5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된다. 한 클러스터가 제 2 프로그램 및 제 2 프로그램의 두 파일을 포함할 수 없으므로, 파일 2는 다음 클러스터의 시작부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파일 1에 대응하는 부분 1의 종료부는 한 클러스터의 중간에 있고, 클러스터의 나머지 영역은 데이타를 포함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제 2 음악 프로그램(파일 2)은 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파일 1의 경우, 부분 크기는 5이다. 제 1 클러스터는 제 0 SU에서 시작된다. 최종 클러스터는 제 4 S에서 종료된다.
편집 처리는 분할 처리, 조합 처리, 삭제 처리, 및 이동 처리의 4 종류가 있다. 분할 처리는 한 트랙을 두 부분으로 나누기 위해 실행된다. 분할 처리가 실행될 때, 총 트랙의 수는 1 만큼 증가된다. 분할 처리에서, 한 파일은 파일 시스템에서 두 파일로 분할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재생 관리 파일 및 FAT가 업데 이트된다. 조합 처리는 두 트랙을 한 트랙으로 조합하기 위해 실행된다. 조합 처리가 실행될 때, 총 트랙의 수는 1 만큼 감소된다. 조합 처리에서, 두 파일은 파일 시스템에서 한 파일로 조합된다. 그래서, 조합 처리가 실행될 때는 재생 관리 파일 및 FAT가 업데이트된다. 삭제 처리는 트랙을 삭제하기 위해 실행된다. 삭제된 트랙 이후의 트랙 번호는 1 만큼씩 감소된다. 이동 처리는 트랙 순차를 변화시키기 위해 실행된다. 그래서, 삭제 처리나 이동 처리가 실행될 때는 재생 관리 파일 및 FAT가 업데이트된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두 프로그램(파일 1 및 파일 2)의 조합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합 처리의 결과로, 조합된 파일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10의 (c)는 한 프로그램(파일 1)이 클러스터 1의 중간에서 나누어진 분할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분할 처리에 의해, 파일 1은 클러스터 0, 1, 및 클러스터 2의 시작 일부으로 구성된다. 파일 2는 클러스터 2의 종료 일부 및 클러스터 3, 4로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합된 결과로(도 10의 (b)를 참조) 부분 표시가 정의되므로, 부분 1의 시작 위치, 부분 1의 종료 위치, 및 부분 2의 종료 일부가 SU로 정의될 수 있다. 그래서, 조합 결과로 인한 공간을 채우기 위해 부분 2의 음악 데이타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분할 결과로(도 10의 (c)를 참조), 파일 2의 시작부에 데이타를 이동시켜 공간을 채울 필요가 없다.
도 11은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상세한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헤더부과 나머지 부분을 도시한다. 재생 관리 파일의 크기는 한 클러스터(한 블륵 = 16 KB)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헤더의 크기는 32 바이트이다. 도 12의 (b)에 도시된 재생 관리 파일 PBLIST의 나머지는 명칭 NM1-S 영역(256 바이트)(메모리 카드에 대한), 명칭 NM2-S 영역(512 바이트), 내용키 영역, MAC 영역, S-YMDhms 영역, 재생 순차 관리 테이블 TRKTBL 영역(800 바이트), 메모리 카드 추가 정보 INF-S 영역(14720 바이트), 및 헤더 정보 리던던트 영역을 포함한다. 이들 영역의 시작 위치는 재생 관리 파일에서 정의된다.
도 12의 (a)에 도시된(0x0000) 내지(0x0010)의 처음 32 바이트는 헤더로 사용된다. 파일에서, 16-바이트 영역은 슬롯(slot)이라 칭하여진다. 도 12의 (a)를 참조하여, 헤더는 제 1 및 제 2 슬롯에 배치된다. 헤더는 다음의 영역을 포함한다. "예비(Reserved)"로 표시된 영역은 비정의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예비 영역에서는 널(null)(0x00)이 기록된다. 그러나, 임의의 데이타가 예비 영역에 기록되더라도, 예비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는 무시된다. 미래의 버전에서는 일부 예비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타가 예비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금지한다. 옵션 영역이 사용되지 않을 때, 이는 예비 영역으로 다루어진다.
= BLKID-TL0(4 바이트)
의미: BLOCKID FILE ID
기능: 재생 관리 파일의 상단을 식별한다.
값: 고정값 = "TL = 0"(예를 들면, 0x544C2D30)
= MCode(2 바이트)
의미: MAKER CODE
기능: 레코더/플레이어의 제작자 및 모델을 식별한다.
값: 상위 10 비트(제작자 코드); 하위 6 비트(모델 코드).
= REVISION(4 바이트)
의미: PBLIST의 재기록 회수.
기능: 재생 관리 파일이 재기록될 때마다 증가된다.
값: 0에서 시작되어 1 씩 증가된다.
= S-YMDhms(4 바이트)(옵션)
의미: 확실한 클럭으로 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기록된 년, 월, 일, 시, 분, 및 초.
기능: 최종으로 기록된 날짜 및 시간을 식별한다.
값: 비트 25 내지 31: 년 0 내지 99(1980 내지 2079)
비트 21 내지 24: 월 0 내지 12
비트 16 내지 20: 일 0 내지 31
비트 11 내지 15: 시 0 내지 23
비트 05 내지 10: 분 0 내지 59
비트 00 내지 04: 초 0 내지 29(두 비트 간격)
= SY1C+L(2 바이트)
의미: NM1-S 영역에 기록된 메모리 카드의 명칭의 속성(1 바이트 코드).
기능: 한 바이트 코드로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를 나타낸다.
값: 문자 코드(C): 상위 1 바이트
00: 비문자 코드, 이진수
01: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02: ASCII+KANA
03: 수정된 8859-1
81: MS-JIS
82: KS C 5601-1989
83: GB(Great Britain) 2312-80
90: S-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음성에 대한)
언어 코드(L): 하위 1 바이트가 EBU Tech 3258을 근거로 언어를 식별한다.
00: 비설정
08: 독일어
09: 영어
0A: 스페인
0F: 불어
15: 이태리어
1D: 네덜란드어
65: 한국어
69: 일본어
75: 중국어
데이타가 기록될 때, 이 영역은 모드 0이다.
= SN2C+L(2 바이트)
의미: NM2-S 영역에서 메모리 카드의 명칭의 속성.
기능: 한 바이트 코드로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를 나타낸다.
값: SN1C+L과 동일.
= SINFSIZE(2 바이트)
의미: INF-S 영역에서 메모리 카드의 추가 정보의 총 크기.
기능: 16 바이트의 증가분으로 데이타 크기를 나타낸다.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을 때, 이 영역은 모두 0이다.
값: 크기: 0x0001 내지 0x039C(924)
= T-TRK(2 바이트)
의미: TOTAL TRACK NUMBER
기능: 총 트랙의 수를 나타낸다.
값: 1 내지 0x0190(Max. 400 트랙)
데이타가 기록될 때, 이 영역은 모두 0이다.
= VerNo(2 바이트)
의미: 포맷 버전수.
기능: 메이저(major) 버전수(상위 1 바이트) 및 마이너(minor) 버전수(하위 1 바이트)를 나타낸다.
값: 0x0100(Ver 1.0)
0x0203(Ver 2.3)
다음에는 헤더로 이어지는 영역(도 13b를 참조)이 설명된다.
= NM1-S
의미: 메모리 카드의 명칭(1 바이트 코드).
기능: 한 바이트 코드(max. 256)로 메모리 카드의 명칭을 나타낸다. 이 영역의 종료부에는 종료 코드(0x00)가 기록된다. 크기는 종료 코드로부터 계산된다.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을 때는 적어도 한 바이트 동안 이 영역의 시작부(0x0020)로부터 널(0x00)이 기록된다.
값: 다양한 문자 코드.
= NM2-S
의미: 메모리 카드의 명칭(2 바이트 코드).
기능: 2 바이트 코드(max. 512)로 메모리 카드의 명칭을 나타낸다. 이 영역의 종료부에는 종료 코드(0x00)가 기록된다. 크기는 종료 코드로부터 계산된다.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을 때는 적어도 2 바이트 동안 이 영역의 시작부(0x0120)로부터 널(0x00)이 기록된다.
값: 다양한 문자 코드.
= CONTENTS KEY
의미: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값. MG(M)으로 보호되어 저장된다. CONTENTS KEY와 동일.
기능: S-YMDhms의 MAC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키로 사용된다.
값: 0 내지 0xFFFFFFFFFFFFFFFF.
= MAC
의미: 위조 저작권 정보 점검값.
기능: S-YMDhms 및 CONTENTS KEY로 발생된 값을 나타낸다.
값: 0 내지 0xFFFFFFFFFFFFFFFF.
= TRK-nnn
의미: 재생된 ATRAC3 데이타 파일의 SQN(sequence) 번호.
기능: TRKINF의 FNo를 나타낸다.
값: 1 내지 400(0x190).
트랙이 없을 때, 이 영역은 모두 0이다.
= INF-S
의미: 메모리 카드의 추가 정보(예를 들면, 사진, 노래, 안내 등에 대한 정보).
기능: 헤더로 가변 길이의 추가 정보를 나타낸다. 다수의 종류의 추가 정보가 사용된다. 추가 정보의 종류는 각각 ID 및 데이타 크기를 가지고 있다. 헤더를 포함하는 각 추가 정보 영역은 적어도 16 바이트 및 4 바이트의 배수로 구성된다. 더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섹션을 참조한다.
값: "추가 정보의 데이타 구조" 섹션을 참조한다.
= S-YMDhms(4 바이트)(옵션)
의미: 확실한 클럭으로 레코더/플레이어에 의해 기록된 년, 월, 일, 시, 분, 및 초.
기능: 최종 기록 날짜 및 시간을 식별한다. EMD의 경우, 이 영역은 필수적이다.
값: 비트 25 내지 31: 년 0 내지 99(1980 내지 2079)
비트 21 내지 24: 월 0 내지 12
비트 16 내지 20: 일 0 내지 31
비트 11 내지 15: 시 0 내지 23
비트 05 내지 10: 분 0 내지 59
비트 00 내지 04: 초 0 내지 29(두 비트 간격)
재생 관리 파일의 최종 슬롯으로, 헤더에서와 동일한 BLKID-TL0, MCode, 및 REVISION이 기록된다.
데이타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고 있는 동안, 메모리 카드가 잘못하여 또는 우연하게 분리되거나 레코더/플레이어의 전력이 off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적절한 동작이 실행될 때, 결함이 검출되어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REVISION 영역은 각 블록의 시작부 및 종료부에 배치된다. 데이타가 재기록될 때마다, REVISION 영역의 값은 증가된다. 결함이 블록의 중간에서 종결되면, 블록의 시작부에서 REVISION 영역의 값은 블록의 종료부에 있는 REVISION 영역의 값과 정합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결함 종결은 검출되어야 한다. 2개의 REVISION 영역이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종결은 높은 확률도로 검출될 수 있다. 비정상적인 종결이 검출될 때, 에러 메시지와 같은 알람이 발생된다.
또한, 고정된 값 BLKID-TL0이 한 블록(16 KB)의 시작부에 기록되므로, FAT가 파괴될 때, 고정값은 데이타를 회복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값을 참조하여, 파일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고정된 값 BLKID-TL0이 각 블록의 종료부 및 헤더에 여분으로 기록되므로, 확실성이 보장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동일한 재생 관리 파일이 여분으로 기록될 수 있다.
ATRAC3 데이타 파일의 데이타량은 트랙 정보 관리 파일 보다 훨씬 더 크다. 또한, 추후 설명될 바와 같이, ATRAC3 데이타 파일에는 블록 번호 BLOCK SERIAL이 부가된다. 그러나, 다수의 ATRAC3 파일이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므로, 이들이 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ONNUM0 및 BLOCK SERIAL 모두가 사용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FAT가 파괴될 때, 파일을 회복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ATRAC3 데이타 파일은 분산된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동일한 파일의 블록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CONNUM0이 사용된다. 또한, ATRAC3 데이타 파일에서 블록의 순서를 식별하기 위해, BLOCK SERIAL이 사용된다.
유사하게, 제작자 코드(MCode)는 FAT가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서 파일이 부적절하게 기록된 경우 제작자 및 모델을 식별하도록 여분으로 각 블록의 시작부 및 종료부에 기록된다.
도 12의 (c)는 추가 정보 데이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추가 정보는 다음의 헤더 및 가변 길이 데이타로 구성된다. 헤더는 다음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 INF
의미: FIELD ID
기능: 추가 정보의 시작부를 나타낸다(고정값).
값: 0x69
= ID
의미: 추가 정보 키 코드.
기능: 추가 정보의 범주를 나타낸다.
값: 0 내지 0xFF
= SIZE
의미: 각 추가 정보의 크기.
기능: 각 종류의 추가 정보의 크기를 나타낸다. 데이타 크기는 제한되지 않지만, 이는 적어도 16 바이트 및 4 바이트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데이타의 나머지는 널(0x00)로 채워져야 한다.
값: 16 내지 14784(0x39C0)
= MCode
의미: MAKER CODE
기능: 레코더/플레이어의 제작자 및 모델을 식별한다.
값: 상위 10 비트(제작자 코드), 하위 10 비트(기계 코드).
= C+L
의미: 바이트 12로부터 시작되는 데이타 영역에서의 문자 속성.
기능: 한 바이트 코드로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를 나타낸다.
값: SNC+L과 동일.
= DATA
의미: 각 추가 정보.
기능: 가변 길이 데이타로 각 종류의 추가 정보를 나타낸다. 실제 데이타는 항상 바이트 12로부터 시작된다. 실제 데이타의 길이(크기)는 적어도 4 바이트 및 4 바이트의 배수가 되어야 한다. 데이타 영역의 나머지는 널(0x00)로 채워져야 한다.
값: 각 종류의 추가 정보의 내용에 대응하여 각각 정의된다.
도 13은 추가 정보의 키 코드값(0 내지 63)과 그 종류를 상관시키는 테이블이다. 키 코드값(0 내지 31)은 음악 문자 정보에 할당된다. 키 코드값(32 내지 63)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웹(web) 정보)에 할당된다. 음악 문자 정보 및 URL 정보는 앨범 제목, 연주자명, CM 등의 문자 정보를 추가 정보로 포함한다.
도 14는 추가 정보의 키 코드값(64 내지 127)과 그 종류를 상관시키는 테이블이다. 키 코드값(64 내지 95)은 경로/그외의 것에 할당된다. 키 코드값(96 내지 127)은 제어/숫자 데이타에 할당된다. 예를 들면, ID = 98은 TOC-ID를 추가 정보로 나타낸다. TOC-ID는 CD(Compact Disc)의 TOC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음악 프로그램 번호, 마지막 음악 프로그램 번호, 현재 프로그램 번호, 총 연주 기간, 및 현재 음악 프로그램 기간을 나타낸다.
도 15는 추가 정보의 키 코드값(128 내지 159)과 그 종류를 상관시키는 테이블이다. 키 코드값(128 내지 159)은 동기화 재생 정보에 할당된다. 도 15에서, EMD는 전자 음악 배급(electronic music distribution)을 의미한다.
다음에는 도 16을 참조하여, 추가 정보의 실례가 설명된다. 도 12의 (c)와 같이, 도 16의 (a)는 추가 정보의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다. 도 16의 (b)에서, 키 코드 ID = 3(추가 정보인 연주자명)이다. SIZE = 0x1C(28 바이트)는 헤더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의 데이타 길이가 28 바이트임을 나타내고, C+L은 문자 코드 C = 0x01(ASCII) 및 언어 코드 L = 0x09(영어)임을 나타낸다. 12 바이트 이후의 가변 길이의 데이타는 한 바이트 데이타 "SIMON & GRAFUNKEL"을 연주자명으로 나타낸다. 추가 정보의 데이타 길이는 4 바이트의 배수가 되어야 하므로, 나머지는(0x00)으로 채워진다.
도 16의 (c)에서, 키 코드 ID = 97은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저작권 코드)를 추가 정보로 나타낸다. SIZE = 0x14(20 바이트)는 추가 정보의 데이타 길이가 20 바이트임을 나타낸다. C = 0x00 및 L = 0x00은 문자 및 언어가 설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그래서, 데이타는 이진수 코드이다. 가변 길이 데이타는 저작권 정보(국적, 저작권 소유자, 기록된 년도, 및 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8-바이트 ISRC 코드이다.
도 16의 (d)에서, 키 코드 ID = 97은 기록된 날짜와 시간을 추가 정보로 나타낸다. SIZE = 0x10(16 바이트)은 추가 정보의 데이타 길이가 16 바이트임을 나타낸다. C = 0x00 및 L = 0x00은 문자 및 언어가 설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가변 길이 데이타는 기록된 날짜 및 시간(년, 월, 일, 시, 분, 초)를 나타내는 4- 바이트 코드(32 비트)이다.
도 16의 (e)에서, 키 코드 ID = 107은 재생 로그(log)를 추가 정보로 나타낸다. SIZE = 0x10(16 바이트)는 추가 정보의 데이타 길이가 16 바이트임을 나타낸다. C = 0x00 및 L = 0x00은 문자 및 언어가 설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가변 길이 데이타는 재생 로그(년, 월, 일, 시, 분, 초)를 나타내는 4-바이트 코드이다. 레코더/플레이어가 재생 로그 기능을 가질 때, 이는 음악 데이타를 재생할 때마다 16 바이트의 데이타를 기록한다.
도 17은 1 SU가 N 바이트(예를 들면, N = 384 바이트)인 경우 ATRAC3 데이타 파일 A3Dnnnn의 데이타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데이타 파일의 속성 헤더(1 블록) 및 음악 데이타 파일(1 블록)을 도시한다. 도 17은 2 블록(16 x 2 = 32 kbyte)의 각 슬롯에서 제1 바이트(0x0000 내지 0x7FF0)을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성 헤더의 처음 32 바이트는 헤더로 사용되고; 256 바이트는 음악 프로그램 영역 NM1(256 바이트)으로 사용되고; 또한 512 바이트는 음악 프로그램 제목 영역 NM2(512 바이트)로 사용된다. 속성 헤더의 헤더는 다음 영역을 포함한다.
= BLKID-HD0(4 바이트)
의미: BLOCKID FIELD ID
기능: ATRAC3 데이타 파일의 상단을 식별한다.
값: 고정값 = "HD = 0"(예를 들면, 0x48442D30).
= MCode(2 바이트)
의미: MAKER CODE
기능: 레코더/플레이어의 제작자와 모델을 식별한다.
값: 상위 10 비트(제작자 코드); 하위 6 비트(기계 코드).
= BLOCK SERIAL(4 바이트)
의미: 트랙 일련 번호.
기능: 0으로부터 시작되어 1 씩 증가된다. 음악 프로그램이 편집되더라도 이 값은 변하지 않는다.
값: 0 내지 0xFFFFFFFF.
= N1C+L(2 바이트)
의미: 트랙의 데이타(NM1)의 속성을 나타낸다(음악 프로그램 제목).
기능: NM1의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를 한 바이트 코드로 나타낸다.
값: SN1C+L과 동일.
= N2C+L(2 바이트)
의미: 트랙의 데이타(NM2)의 속성을 나타낸다(음악 프로그램 제목).
기능: NM1의 문자 코드 및 언어 코드를 한 바이트 코드로 나타낸다.
값: SN1C+L과 동일.
= INFSIZE(2 바이트)
의미: 현재 트랙의 추가 정보의 총 크기.
기능: 데이타 크기를 16 바이트의 배수로 나타낸다.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을 때, 이 영역은 모드 0이 되어야 한다.
값: 0x0000 내지 0x3C6(966)
= T-PRT(2 바이트)
의미: 총 바이트의 수.
기능: 현재 트랙을 구성하는 부분의 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T-PRT의 값은 1이다.
값: 1 내지 285(645 dec).
= T-SC(4 바이트)
의미: 총 SU의 수.
기능: 프로그램 연주 기간과 같은 한 트랙내의 SU의 총 수를 나타낸다.
값: 0x01 내지 0x001FFFFF
= INX(2 바이트)(옵션)
의미: INDEX의 상대적인 위치.
기능: 음악 프로그램의 대표 부분의 상단을 나타내는 포인터(pointer)로 사용된다. INX의 값은 프로그램의 현재 위치로서 SU의 수가 4로 나뉜 값으로 지정된다. INX의 값은 SU의 수 보다 4배 더 큰 것과 같다(약 93 msec).
값: 0 내지 0xFFFF(최대, 약 6084 sec).
= XT(2 바이트)(옵션)
의미: INDEX의 재생 기간.
기능: INX-nnn에 의해 지정된 재생 기간을 SU의 수가 4로 나뉜 값으로 지정한다. INDEX의 값은 정상적인 SU 보다 4배 더 큰 것과 같다(약 93 msec).
값: 0x0000(설정안됨); 0x01 내지 0xFFFE(6084 sec까지); 0xFFFF(음악 프로그램의 종료부까지).
다음에는 음악 프로그램 제목 영역 NM1 및 NM2가 설명된다.
= NM1
의미: 음악 프로그램 제목의 문자 스트링.
기능: 음악 프로그램 제목을 한 바이트 코드로 나타낸다(256 문자까지)(가변 길이). 제목 영역은 종료 코드(0x00)로 완료되어야 한다. 크기는 종료 코드로부터 계산되어야 한다.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을 때, 적어도 한 바이트 동안 영역의 시작부(0x0020)로부터 널(0x00)이 기록되어야 한다.
값: 다양한 문자 코드.
= NM2
의미: 음악 프로그램 제목의 문자 스트링
기능: 음악 프로그램 제목을 2 바이트 코드로 나타낸다(512 문자까지)(가변 길이). 제목 영역은 종료 코드(0x00)로 완료되어야 한다. 크기는 종료 코드로부터 계산되어야 한다.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을 때, 적어도 2 바이트 동안 영역의 시작부(0x0120)로부터 널(0x00)이 기록되어야 한다.
값: 다양한 문자 코드.
속성 헤더의 고정 위치(0x320)로부터 시작되는 80 바이트의 데이타는 트랙 정보 영역 TRKINF라 칭하여진다. 이 영역은 주로 보안 정보 및 카피 제어 정보를 전체적으로 관리한다. 도 19는 TRKINF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영역 TRKINF는 다음 영역을 포함한다.
= CONTENTS KEY(8 바이트)
의미: 각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값. CONTENTS KEY의 값은 메모리 카드의 보안 블록에서 보호되고 저장된다.
기능: 음악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키로 사용된다. 이는 MAC의 값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값: 0 내지 0xFFFFFFFFFFFFFFFF.
= MAC(8 바이트)
의미: 위조 저작권 정보 점검값.
기능: 내용 누적수 및 비밀 순차 번호를 포함하는 다수의 TRKINF 값으로 발생된 값을 나타낸다.
비밀 순차 번호는 메모리 카드의 비밀 영역에 기록된 순차 번호이다. 비저작권 보호형 레코더는 메모리 카드의 비밀 영역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할 수 없다. 한편, 메모리 카드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동작하는 컴퓨터 및 저작권 보호형 레코더는 비밀 영역을 액세스할 수 있다.
= A(1 바이트)
의미: 부분의 속성.
기능: 부분의 압축 모드 정보를 나타낸다.
값: 상세한 내용은 다음에서 설명된다(도 19 및 도 20을 참조).
다음에는 영역 A의 값이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모너럴 모드(monaural mode)(N = 0 또는 1)는 비트 7 = 1, 서브 신호 = 0, 메인 신호 =(L+R)인 특수 결합 모드로 정의된다. 비저작권 보호형 플레이어는 비트 2 및 1의 정보를 무시한다.
영역 A의 비트 0은 강조 on/off 상태의 정보를 나타낸다. 영역 A의 비트 1은 재생 스킵(skip) 또는 정상 재생의 정보를 나타낸다. 영역 A의 비트 2는 오디오 데이타, FAX 데이타 등과 같은 데이타 종류의 정보를 나타낸다. 영역 A의 비트 3은 정의되지 않는다. 비트 4, 5, 및 6을 조합함으로서, ATRAC3의 모드 정보는 도 20과 같이 정의된다. 바꾸어 말하면, N은 3 비트의 모드값이다. 모너럴(N = 0 또는 1), LP(N = 2), SP(N = 4), EX(N = 5), 및 HQ(N = 7)인 5 종류의 모드에 대해, 기록 기간(64 MB 메모리 카드 전용), 데이타 전송 비율, 및 블록 당 SU의 수가 목록화된다. 1 SU의 바이트수 는 각 모드에 의존한다. 모너럴 모드에서, 1 SU의 바이트 수는 136 바이트이다. LP 모드에서, 1 SU의 바이트 수는 192 바이트이다. SP 모드에서, 1 SU의 바이트 수는 304 바이트이다. EX 모드에서, 1 SU의 바이트 수는 384 바이트이다. HQ 모드에서, 1 SU의 바이트 수는 512 바이트이다. 영역 A의 비트 7은 ATRAC3 모드(0: Dual, 1: Joint)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SP 모드에서 64 MB 메모리 카드가 사용되는 예가 설명된다. 64-MB 메모리 카드는 3968 블록을 가지고 있다. SP 모드에서는 1 SU가 304 바이트이므로, 한 블록은 53 SU를 가지고 있다. 1 SU는(1024/44100) sec와 같다. 그래서, 한 블록은(1024/44100) x 53 x(3968 - 10) = 4863 sec = 81 min이다. 전송 비율은(44100/1024) x 304 x 8 = 104737 bps이다.
= LT(1 바이트)
의미: 제한 플래그(비트 7과 6) 및 보안 분할(비트 5 내지 0)을 나타낸다.
기능: 현재 트랙의 제한을 나타낸다.
값: 비트 7: 0 = 무제한, 1 = 제한.
비트 6: 0 = 비만기, 1 = 만기.
비트 5 내지 0: 보안 분할(0 이외에서는 재생 금지)
= FNo(2 바이트)
의미: 파일 번호.
기능: 메모리 카드의 비밀 영역에 기록된 MAC 계산값의 위치를 지정하는 초기에 기록된 트랙 번호를 나타낸다.
값: 1 내지 0x190(400).
= MG(D) SERIAL-nnn(16 바이트)
의미: 레코더/플레이어의 보안 블록(보안 IC 20)의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기능: 각 레코더/플레이어에 대해 유일한 값.
값: 0 내지 0x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F.
= CONNUM(4 바이트)
의미: 내용 누적수
기능: 각 음악 프로그램에 대해 누적된 유일한 값을 나타낸다. 그 값은 레코더/플레이어의 보안 블록에 의해 관리된다. 그 값의 상단 제한치는 4,200,000,000인 232이다. 기록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값: 0 내지 0xFFFFFFFF
= YMDhms-S(4 바이트)(옵션)
의미: 재생 제한을 가진 트랙의 재생 시작 날짜 및 시간.
기능: EMD로 데이타 재생이 허용되는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낸다.
값: 다른 영역의 날짜 및 시간의 표시와 동일.
= YMDhms-E(4 바이트)(옵션)
의미: 재생 제한을 가진 트랙의 재생 종료 날짜 및 시간.
기능: EMD로 데이타 재생이 만기된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낸다.
값: 다른 영역의 날짜 및 시간의 표시와 동일.
= MT(1 바이트)(옵션)
의미: 허용된 재생 회수의 최대값.
기능: EMD에 의해 지정된 재생 회수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값: 1 내지 0xFF. 사용되지 않을 때는 영역 MT의 값이 00이다.
= CT(1 바이트)(옵션)
의미: 재생 회수.
기능: 허용된 재생 회수내의 재생 회수를 나타낸다. 데이타가 재생될 때마다, 영역 CT의 값은 감소된다.
값: 0x00 내지 0xFF. 사용되지 않을 때는 영역 CT의 값이 00이다. 영역 LT의 비트 7이 1이고 영역 CT의 값이 00일 때, 데이타가 재생되는 것이 금지된다.
= CC(1 바이트)
의미: COPY CONTROL
기능: 카피 동작을 제어한다.
값: 비트 6 및 7은 카피 제어 정보를 나타낸다. 비트 4 및 5는 고속 디지탈 카피 동작의 카피 제어 정보를 나타낸다. 비트 2 및 3은 보안 블록 인증 레벨을 나타낸다. 비트 0 및 1은 정의되지 않는다.
CC의 예:
(비트 7 및 6)
11: 무제한 카피 동작 허용
01: 카피 금지
00: 1회 카피 동작 허용
(비트 3 및 2)
00: 아날로그/디지탈 입력 기록 MG 인증 레벨이 0이다.
CD로부터의 데이타를 사용한 디지탈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비트 7 및 6): 00이고(비트 3 및 2): 00이다.
= CN(1 바이트)(옵션)
의미: 고속 직렬 카피 관리 시스템에서 허용된 카피 회수.
기능: 1회 카피 허용 및 카피 자유 허용으로 제한되지 않고 카피 회수를 가진 카피 허용을 확장시킨다. 제 1 세대 카피에서만 유효하다. 영역 CN의 값은 카피 동작이 실행될 때마다 감소된다.
값:
00: 카피 금지
01 내지 0xFE: 회수
0xFF: 무제한 카피 회수
트랙 정보 영역 TRKINF는 0x0370으로부터 시작되는 24-바이트 부분 관리 정보 영역(PRTINF)로 이어진다. 한 트랙이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때, 각 부분에서 영역 PRTINF의 값은 시간축상에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도 22는 영역 PRTINF의 부분을 도시한다. 다음에는 영역 PRTINF내의 영역이 배열 순서로 설명된다
= PRTSIZE(4 바이트)
의미: PART SIZE
기능: 한 부분의 크기를 나타낸다. 클러스터: 2 바이트(최고 위치), 시작 SU: 1 바이트(상단), 종료 SU: 1 바이트(최저 위치).
값: 클러스터: 1 내지 0x1F40(8000)
시작 SU: 0 내지 0xA0(160)
종료 SU: 0 내지 0xA0(16)(SU가 0으로부터 시작됨을 주목한다.)
= PRTKEY(8 바이트)
의미: 부분 암호화값.
기능: 부분을 암호화한다. 초기값 = 0. 편집 규칙이 적용되어야 함을 주목한다.
값: 0 내지 0xFFFFFFFFFFFFFFFF.
= CONNUM0(4 바이트)
의미: 초기에 발생된 내용 누적수의 키.
기능: 내용의 ID를 유일하게 지정한다.
값: 내용 누적수의 초기값 키와 동일한 값.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RAC3 데이타 파일의 속성 헤더는 추가 정보 INF를 포함한다. 추가 정보는 시작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재생 관리 파일의 추가 정보 INF-S(도 11 및 도 12의 (b)를 참조)와 똑같다.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 중 종료부에 있는 최종 바이트 위치(4 바이트의 배수)는 추가 정보 INF의 데이타로 이어진다.
= INF
의미: 트랙에 대한 추가 정보.
기능: 헤더를 가진 가변 길이 추가 정보를 나타낸다. 다수의 다른 종류의 추가 정보가 배열될 수 있다. 각 추가 정보 영역은 ID 및 데이타 크기를 가지고 있다. 각 추가 정보 영역은 적어도 16 바이트 및 4 바이트의 배수로 구성된다.
값: 재생 관리 파일의 추가 정보 INF-S와 동일.
상술된 속성 헤더는 ATRAC3 데이타 파일의 각 블록의 데이타로 이어진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록에 대해 헤더가 부가된다. 다음에는 각 블록의 데이타가 설명된다.
= BLKID-A3D(4 바이트)
의미: BLOCKID FILE ID
기능: ATRAC3 데이타의 상단을 식별한다.
값: 고정값 = "A3D"(예를 들면, 0x41334420).
= MCode(2 바이트)
의미: MAKER CODE
기능: 레코더/플레이어의 제작자 및 모델을 식별한다.
값; 상위 10 비트(제작자 코드); 하위 6 비트(모델 코드).
= CONNUM0(4 바이트)
의미: 초기에 생성된 내용의 누적수.
기능: 내용에 대해 유일한 ID를 지정한다. 내용이 편집되더라도, 영역 CONNUM0의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값: 내용 누적수 초기값 키와 동일.
= BLOCK SERIAL(4 바이트)
의미: 각 트랙에 할당된 일련 번호.
기능: 0으로부터 시작되고 1 씩 증가된다. 내용이 편집되더라도, 영역 BLOCK SERIAL의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값: 0 내지 0xFFFFFFFF
= BLOCK-SEED(8 바이트)
의미: 한 블록을 암호화하기 위한 키.
기능: 블록의 시작부는 레코더/플레이어의 보안 블록에 의해 발생된 랜덤수이다. 랜덤수는 1 씩 증가된 값으로 이어진다. 영역 BLOCK-SEED의 값이 손실될 때, 한 블록과 같은 약 1초 동안에는 사운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동일한 데이타가 헤더 및 블록의 종료부에 기록된다. 내용이 편집되더라도, 영역 BLOCK-SEED의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값: 초기 8-비트 랜덤수.
= INITIALIZATION VECTOR(8 바이트)
의미: ATRAC3 데이타를 암호화/복호화하는데 필요한 값.
기능: 각 블록에 대해 ATRAC3 데이타를 암호화 및 해독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값을 나타낸다. 블록은 0으로부터 시작된다. 다음 블록은 최종 SU에서 마지막으로 암호화된 8-비트값으로부터 시작된다. 블록이 나뉠 때, 시작 SU 직전의 마지막 8 바이트가 사용된다. 내용이 편집되더라도, 영역 INITIALIZATION VECTOR의 값이 변화되지 않는다.
값: 0 내지 0xFFFFFFFFFFFFFFFF.
= SU-nnn
의미: 사운드 유닛의 데이타.
기능: 1024 샘플로부터 압축된 데이타를 나타낸다. 출력 데이타의 바이트 수는 압축 모드에 의존한다. 내용이 편집되더라도, 영역 SU-nnn의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SP 모드에서, N = 384 바이트이다.
값: ATRAC3의 데이타값.
도 17에서, N = 384이므로, 한 블록에는 42 SU가 기록된다. 한 블록의 처음 2개 블록(4 바이트)은 헤더로 사용된다. 마지막 슬롯(2 바이트)에서, 영역 BLKID-A3D, MCode, CONNUM0, 및 BLOCK SERIAL은 여분으로 기록된다. 그래서, 한 블록의 나머지 영역 중 M 바이트는(16,384 - 384 x 42 - 16 x 3 = 208) 바이트이다. 상술 된 바와 같이, 8-바이트 영역 BLOCK SEED는 여분으로 기록된다.
다음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오디오 레코더가 설명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원리 부분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24에서, 참조 번호(70)는 오디오 시스템에 배치된 CPU이다. CPU(70)는 버스 인터페이스 및 버스를 통해 상술된 DSP(30)에 연결된다. 동작부(80)는 CPU(70)에 연결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80)는 버튼(80 내지 86)을 가지고 있다. 실제적으로, 버튼(81)는 판독/재생 위치 백워드(backward) 버튼이다. 버튼(84)은 기록/재생 위치 포워드(forward) 버튼이다. 버튼(82)는 기록 버튼이다. 버튼(85)는 재생(playback) 버튼이다. 버튼(83)는 중단 버튼이다. 버튼(86)은 일시중지 버튼이다.
버튼(81 내지 86) 중 하나가 눌릴 때, 동작부(80)는 버튼이 눌려졌고 그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검출 정보를 발생한다. 검출 정보는 CPU(70)에 공급된다. CPU(70)는 그로부터 수신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부(8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한다. 미리 결정된 버튼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동작이 실행된 것으로 CPU(70)가 결정할 때, CPU(70)는 그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발생하고 그 제어 정보를 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한다. 그래서, 장치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기록 버튼(82)을 누를 때는 기록 동작이 시작된다. 바꾸어 말하면, 선택된 입력 소스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데이타는 메모리 카드(40)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재생 버튼(85)을 누를 때는 재생 동작이 시작된다. 바꾸어 말하면, 메모리 카드(40)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타는 연속적으로 판독된다. 메모리 카드(40)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타에 대응하여, 라인 출력 단자(19)로부터 아날로그 신호가 발생되어 구해진다.
재생 모드에서, 재생 동작과 나란히, 사용자가 계속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재생 버튼(85)을 누를 때,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 사용자는 재생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실제로,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는 재생 버튼(85)이 눌린 때 정의된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재생 버튼(85)이 눌린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CPU(70)에 의해 발생된다. 이들 두 종류의 정보는 메모리 카드(40)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재생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로 기록된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는 재생되고 있는 음악 프로그램 중 선호하는 특징적인 부분이나 다이제스트 부를 지정한다. 재생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메모리 카드(40)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된다. 재생 버튼이 눌린 때 정의된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술된 ATRAC3 오디오 파일 A3DDnnnn의 속성 헤더 중 INX에 저장된다. 재생 버튼(85)이 연속적으로 눌린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는 XT에 저장된다. INX로는 약 6084초까지 지정될 수 있다. XT로는 약 6084초까지 지정될 수 있다.
일단 사용자의 선호 특징 부분이나 다이제스트 부가 지정되고 재생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메모리 카드(40)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되면, 재생 동작이 다음에 실행되기 이전에,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또한, 특징 부분만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상술된 데이타 포맷에서는 INX 및 XT의 값으로, 4 씩 감소되는 SU의 수가 사용된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에서는 간략하게 SU의 수가 4 씩 감소되지 않는 예가 설명된다. 먼저,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에 부착된다. 이어서, 재생 버튼(85)이 눌려진다. 그래서, 재생 동작이 시작된다(단계 S1).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2)로 진행된다. 단계(S2)에서는 현재 위치가 트랙의 상단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2)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현재 위치가 트랙의 상단일 때), SU의 수는 카운트된다.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3)로 진행된다.
단계(S3)에서는 재생 버튼(85)이 눌려졌는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3)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재생 버튼(85)이 눌려졌을 때), 흐름도는 단계(S4)로 진행된다. 단계(S4)에서는 재생 버튼(85)이 4초 이상 동안 계속하여 눌려졌는가를 결정한다. 단계(S4)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재생 버튼(85)이 4초 이상 동안 계속하여 눌려졌을 때), 흐름도는 단계(S5)로 진행된다. 단계(S5)에서는 재생 동작과 평행하게,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는 트랙의 상단으로부터 재생 버튼(85)이 눌린 타이밍까지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INX에 기록된다. 실제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버튼(85)은 타이밍(t1)에 눌려진다. 재생 버튼(85)이 4초 동안 계속하여 눌릴 때(타이밍 t2에서), 타이밍(t2)로부터 4초 만큼 위치가 추적된다. 트랙의 상단으로부터 타이밍(t1)까지의 SU의 값을 카운트한 값 P1은 INX 에 기록된다. 단계(S5)에서는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가 정의된다.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6)로 진행된다. 단계(S6)에서는 재생 버튼(85)이 해제되었나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6)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재생 버튼(85)이 해제되어 off 상태로 되었을 때), 흐름도는 단계(S7)로 진행된다. 단계(S7)에서는 재생 버튼(85)이 계속하여 눌린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XT에 기록된다. 실제로, 재생 버튼(85)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t3)에 off 상태일 때, 재생 버튼(85)이 계속하여 눌린 시간 기간(t3 - t1)에 대응하는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P3 - P1)은 XT에 기록된다. 단계(S7)에서는 지정된 재생 영역의 길이가 정의된다. 이어서, 재생 동작과 나란히,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완료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재생 버튼(85)이 4초 이상 눌려지고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다른 방법으로, 또 다른 버튼이 off 상태로 되는 타이밍이 모니터될 수 있다. 또한, 버튼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릴 때,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 동작부의 모니터 처리에서, 미리 결정된 버튼이 눌려진 타이밍만이 다양한 종류의 제어 정보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버튼이 off 상태로 된 타이밍을 사용해, 버튼이 4초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려졌는가 여부를 결정한다. 그래서, 미리 결정된 버튼은 일반적으로 지정된 동작 및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와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정된 동작이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와 구별되는 결정 시간 기간은 4초로 제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장치가 오동작으로부터 방지될 수 있는 한, 결정 시간 기간은 4초 이상 또는 4초 이하가 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부(80)의 구조를 도시한다. 제 2 실시예에서, 동작부(80)는 도 24에 도시된 동작 버튼(81 내지 86) 뿐만 아니라 전용 인덱스 버튼(87)을 가지고 있다. 인덱스 버튼(87)으로, 인덱스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동작부(8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발생된 검출 정보는 도 2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같이 CPU(70)에 공급된다.
예컨대, 기록 버튼(82)이 눌릴 때, 동작부는 시작된다. 바꾸어 말하면, 선택된 입력 소스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데이타는 메모리 카드(40)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연속하여 기록된다. 재생 버튼(85)이 눌릴 때, 재생 동작은 시작된다. 바꾸어 말하면, 메모리 카드(40)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타가 연속적으로 판독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카드(40)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타에 대응하여 발생된다. 발생된 오디오 신호는 라인 출력 단자(19)로부터 구해진다.
재생 모드에서, 재생 동작과 나란히, 사용자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이상으로 인덱스 버튼(87)을 계속하여 누를 때,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재생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실제로,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눌린 타이밍에 지정된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인덱스 버튼(87)이 계속하여 눌린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CPU(70)에 의해 발생된다. 이들 두 종류의 정보는 재생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로 메모리 카드(40)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된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는 재생되고 있는 음악 프로그램 등에서 선호하는 특징 부분 또는 그 다이제스트 부를 지정한다. 재생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메모리 카드(40)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된다. 인덱스 버튼(87)이 눌린 타이밍에 정의된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술된 ATRAC3 데이타 파일 A3D-nnn의 INX에 저장된다. 재생 버튼(85)이 계속하여 눌린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는 XT에 저장된다.
일단 사용자가 사용자의 선호 특징 부분 또는 다이제스트 부를 지정하고 재생 영역이 메모리 카드(40)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되면, 다음에 재생 동작이 실행되기 이전에,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또한, 특징 부분만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먼저,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에 부착된다. 재생 버튼(85)이 눌릴 때, 재생 동작은 시작된다(단계 S11).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12)로 진행된다. 단계(S12)에서는 현재 위치가 트랙의 상단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11)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현재 위치가 트랙의 상단일 때), SU의 수가 카운트된다.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13)로 진행된다.
단계(S13)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눌려졌는가를 결정한다. 단계(S13)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인덱스 버튼(87)이 눌려졌을 때), 흐름도는 단계(S14)로 진행된다. 단계(S14)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4초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려졌는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14)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인덱스 버튼(87)이 4초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려졌을 때), 흐름도는 단계(S15)로 진행된다. 단계(S15)에서는 재생 동작과 나란히,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는 트랙의 상단으로부터 인덱스 버튼(87)이 눌린 타이밍까지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INX에 기록된다. 실제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버튼(87)은 타이밍(t1)에서 눌려진다. 인덱스 버튼(87)이 4초 동안 계속하여 눌릴 때(타이밍 t2에서), 타이밍(t2)로부터 4초 동안 위치가 추적된다. 트랙의 상단으로부터 타이밍(t1)까지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은 INX에 기록된다. 단계(S15)에서는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가 정의된다.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16)로 진행된다. 단계(S16)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해제되었나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16)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인덱스 버튼(87)이 해제되어 off 상태로 되었을 때), 흐름도는 단계(S17)로 진행된다. 단계(S17)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계속하여 눌린 시간 기간에 대응하는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XT에 기록된다. 실제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버튼(87)이 타이밍(t3)에서 off 상태로 될 때, 인덱스 버튼(87)이 계속하여 눌린 시간 기간(t3 - t1)에 대응하는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P3 - P1)이 XT에 기록된다. 단계(S17)에서는 재생 영역의 길이가 정의된다. 이어서, 재생 동작과 나란히,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완료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전용 인덱스 버튼(87)이 4초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릴 때,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다른 방법으로, 인덱스 버튼(87)이 눌린 타이밍을 사용해,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도 29는 인덱스 버튼(87)이 눌려진 타이밍만을 사용하는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를 도시한다. 다음에는 도 27 및 도 2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수정이 설명된다. 먼저,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에 부착된다. 재생 버튼(85)이 눌릴 때, 재생 동작은 시작된다(단계 S21).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22)로 진행된다. 단계(S22)에서는 현재 위치가 트랙의 상단이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22)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현재 위치가 트랙의 상단일 때), SU의 수가 카운트된다. 이어서, 단계는 단계(S23)로 진행된다.
단계(S23)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0.2초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려졌는가를 결정한다. 단계(S23)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인덱스 버튼(87)이 0.2초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려졌을 때), 흐름도는 단계(S24)로 진행된다. 단계(S24)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다시 한번 2초 이상으로 계속하여 눌려졌는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23 및 S24)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의도적으로 동작되었나 여부를 결정하도록 0.2초의 결정 기준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단계(S23 및 S24)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단순히 눌려졌는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24)에서 결정된 결과가 Yes일 때(즉, 인덱스 버튼(87)이 0.2초 이상으로 눌려졌을 때), 흐름도는 단계(S25)로 진행된다. 단계(S25)에서는 재생 동작과 나란히,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는 트랙의 상단으로부터 인덱스 버튼(87)이 처음으로 눌린 타이밍까지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INX에 기록된다. 실제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버튼(87)은 타이밍(t1)에서 눌려진다. 인덱스 버튼(87)이 0.2초 동안 계속하여 눌릴 때(타이밍 t4에서), 타이밍(t4)로부터 0.2초 동안 위치가 추적된다. 트랙의 상단으로부터 타이밍(t1)까지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 P1은 INX에 기록된다. 단계(S25)에서는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가 정의된다.
이어서, 흐름도는 단계(S26)로 진행된다. 단계(S26)에서는 인덱스 버튼(87)이 처음 눌린 타이밍으로부터 인덱스 버튼(87)이 두번째로 눌린 타이밍까지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XT에 기록된다. 단계(S26)에서는 재생 영역의 길이가 정의된다. 실제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 버튼(87)은 타이밍(t3)에 눌려진다. 인덱스 버튼(87)이 0.2초 동안 계속하여 눌릴 때(타이밍 t5에서), 타이밍(t5)으로부터 0.2초 동안 위치가 추적된다. 그래서, 재생 영역의 종료 타이밍이 정의된다. 인덱스 버튼(87)이 처음 눌린 타이밍으로부터 인덱스 버튼(87)이 두번째로 눌린 타이밍까지 시간 기간(t3 - t1)에 대응하는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P3 - P1)은 XT에 기록된다. 이어서, 재생 동작과 나란히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완료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재생 버튼이 눌린 재생 상태로, 미리 결정된 동작 멤버로 미리 결정된 동작이 실행될 때,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버튼이 눌린 기록 상태로, 미리 결정된 동작 멤버로 미리 결정된 동작이 실행될 때, 기록 동작과 나란히,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 모드에서는 128분의 기록 시간 기간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40분 CD의 음악 프로그램이 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될 수 있다.
다수의 앨범의 음악 프로그램이 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될 때, 3개 앨범의 대표 음악 프로그램이 다이제스트 부로 재생될 수 있으면, 원하는 음악 프로그램이 용이하게 탐색될 수 있다.
앨범의 대표적인 음악 프로그램은 바람직하게 앨범으로부터 싱글 커트(single-cut)된 음악 프로그램의 다이제스트 부이다.
앨범의 다이제스트 부는 재생 관리 파일(PBLIST)에서 주소 0x0647 이후의 INF-S에 기록된다.
앨범 다이제스트 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 77에서 가변 길이로 지정된다.
도 14에 도시된 ID = 117에 대응하는 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총 앨범의 수(총 세트의 수)를 참조하여, 다수의 앨범의 다이제스트 지점이 재생 관리 파일(PBLIST)로 지정될 때, 다이제스트 부의 수는 ID = 77에 기록된다.
다이제스트 부(INX, XT)가 특정한 앨범의 모든 음악 프로그램에 대해 지정되었을 때, 앨범의 대표적인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음악 프로그램 번호는 ID = 77에 기록된다.
재생 관리 파일(PBLIST)의 주소 0x0647 이후의 INF-S를 참조하여 앨범의 다이제스트 부가 재생될 때, 앨범수와 프로그램수는 ID = 77로부터 구해진다. 그래서, 대표적인 음악 프로그램이 재생된다.
다른 방법으로, 앨범의 대표적인 음악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다이제스트 부 정보(INX, XT)가 ID = 77에 직접 기록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의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는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트랙의 상단으로부터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사용되었다. 다른 방법으로, 또 다른 재생 위치 또는 재생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가 INX에 기록될 수 있다. 재생 영역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로, 특정한 타이밍 사이에서 SU의 수를 카운트한 값이 사용되었다. 다른 방법으로, 또 다른 재생 위치 또는 재생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가 XT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인덱스 관리 정보가 INX 및 XT에 기록되었다. 다른 방법으로, 인덱스 관리 정보가 또 다른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재생 동작과 나란히 미리 결정된 동작이 미리 결정된 동작 멤버로 실행될 때,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가 실행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임의의 재생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실제로, 인덱스 관리 정보 기록 처리에서는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눌렀던 타이밍에 정의된 인덱스 정보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계속하여 눌렸던 시간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어부에 의해 발생된다. 두 종류의 정보는 재생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로 반도체 메모리 중 미리 결정된 영역에 기록된다. 그래서, 재생되는 음악 프로그램 중 사용자의 선호 특징 부분 또는 다이제스트 부가 지정될 수 있다. 그 결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는 음악 프로그램의 인덱스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오디오 내용의 다이제스트 부 뿐만 아니라, 비디오 내용의 절정 부분도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의 사용성 및 탄력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상 모드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상세한 내용에서 상기 및 다양한 다른 변화, 생략 부분, 및 추가 부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매체에 프로그램의 다이제스트 부(digest portion)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입력하도록 허용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시작 위치 및 상기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발생 수단과;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편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위치 및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기간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상기 시작 위치 및 상기 종료 위치는 동일한 키의 두 조작으로 지정되는, 편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인덱스 키인, 편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재생 키인, 편집 장치.
  6. 삭제
  7.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에 프로그램의 다이제스트 부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 위치 및 상기 종료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제스트 부의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제스트 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으로부터 복수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다이제스트 부들을 연속적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편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복수의 앨범들로 분류되고,
    상기 기억 매체는 또한 상기 분류된 앨범들 각각의 상기 다이제스트 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재생 관리 파일 영역을 가지고 있는, 편집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앨범 각각의 다이제스트 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앨범 각각의 다이제스트 부를 상기 재생 수단을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편집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편집 장치.
KR1020000049543A 1999-08-27 2000-08-25 편집 장치, 편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 KR100729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125299 1999-08-27
JP99-241252 1999-08-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283A Division KR100727799B1 (ko) 1999-08-27 2007-01-15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211A KR20010050211A (ko) 2001-06-15
KR100729546B1 true KR100729546B1 (ko) 2007-06-19

Family

ID=1707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543A KR100729546B1 (ko) 1999-08-27 2000-08-25 편집 장치, 편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0647B1 (ko)
EP (4) EP1610337B1 (ko)
KR (1) KR100729546B1 (ko)
CN (1) CN1201255C (ko)
DE (3) DE6004302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9267B2 (en) 2001-06-15 2006-10-10 Yamaha Corporation Portable mixing recorder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3030964A (ja) * 2001-07-11 2003-01-31 Sony Corp 再生装置および編集装置
US20040088474A1 (en) * 2002-10-30 2004-05-06 Lin Jin Shin NAND type flash memory disk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logical address
JP4023404B2 (ja) * 2003-07-04 2007-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512616B2 (en) * 2003-11-20 2009-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 binary code image
CN101819807B (zh) * 2010-05-13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多媒体文件控制过程中实现快速响应的方法及播放装置
RU2605435C2 (ru) 2011-06-14 2016-12-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Графическая обработка для видео с расширенным динамическим диапазоном
JP6213040B2 (ja) * 2013-08-19 2017-10-1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
US20170199719A1 (en) * 2016-01-08 2017-07-13 KIDdesig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and playing audio
JP6883740B2 (ja) * 2017-08-22 2021-06-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データ消去方法
CN109599132A (zh) * 2018-11-30 2019-04-09 成都华栖云科技有限公司 一种适应于媒体行业的跨平台多终端静态化播放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445A (en) * 1996-03-07 1998-07-28 Norris Communications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including improved file management for use in devices utilizing flash memory as main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3171B (en) * 1993-01-06 1994-05-01 Sony Co Ltd Playback method and device
EP0851680B1 (en) * 1995-09-11 2004-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audio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using video camera and its editing system
GB2305750B (en) * 1995-09-30 1998-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of an audio signal using an integrated circuit memory card
US6172675B1 (en) * 1996-12-05 2001-01-09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Indirect manipulation of data using temporally related data, with particular application to manipulation of audio or audiovisual data
US6100881A (en) * 1997-10-22 2000-08-08 Gibbons; Hugh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interactive multimedia presentation using a shoot lost to keep track of audio objects of a character
JP4135049B2 (ja) * 1999-03-25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
US6407972B1 (en) * 1999-10-20 2002-06-18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JP4304802B2 (ja) * 1999-12-17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ダビ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445A (en) * 1996-03-07 1998-07-28 Norris Communications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including improved file management for use in devices utilizing flash memory as main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9393A2 (en) 2001-02-28
DE60038133T2 (de) 2009-03-05
EP1610337B1 (en) 2008-02-20
CN1286565A (zh) 2001-03-07
CN1201255C (zh) 2005-05-11
DE60027368T2 (de) 2007-04-19
DE60027368D1 (de) 2006-05-24
EP2104107B1 (en) 2011-10-19
DE60043025D1 (de) 2009-11-05
EP1724783A3 (en) 2007-03-21
KR20010050211A (ko) 2001-06-15
EP1724783A2 (en) 2006-11-22
DE60038133D1 (de) 2008-04-03
US6580647B1 (en) 2003-06-17
EP1079393A3 (en) 2004-04-21
EP1724783B1 (en) 2009-09-23
EP1079393B1 (en) 2006-04-19
EP1610337A1 (en) 2005-12-28
EP2104107A1 (en)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02B1 (ko) 비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재생 장치
KR100714665B1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방법
US8607069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unit, and transmission method of data processing apparatus
US7092911B2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US7526086B2 (e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US8755671B2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US6212097B1 (en) Nonvolatile memory
US7155013B2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KR100717977B1 (ko)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100699189B1 (ko) 비휘발성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KR100729546B1 (ko) 편집 장치, 편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
JP4897138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7519277B2 (e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KR100727799B1 (ko)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US6678203B1 (en) 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and non-volatile memory
MXPA00010758A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for data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