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128B1 -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128B1
KR100729128B1 KR1020040047313A KR20040047313A KR100729128B1 KR 100729128 B1 KR100729128 B1 KR 100729128B1 KR 1020040047313 A KR1020040047313 A KR 1020040047313A KR 20040047313 A KR20040047313 A KR 20040047313A KR 100729128 B1 KR100729128 B1 KR 10072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ing
prescription
medicine
pollen
her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140A (ko
Inventor
김원곤
Original Assignee
김원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곤 filed Critical 김원곤
Priority to KR102004004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128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60Flowers; Ornament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양의학의 치료법 중 약재의 배합원리를 식물재배 방법에 이용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조경의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차별화해 조경소재인 식물을 성분과 효능에 의해 분류했으며, 대표적인 동양의학 서적인 "동의보감" "의방유치" "본초강목" "황제보감" "동의수세보원"의 처방명과 처방원리를 토대로 질병마다 약재의 배합을 달리하는 원리를 식물재배 방법으로 이용함을 말한다.
인삼, 백출, 약용식물, 조경방식, 화분방식.

Description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The cultivation method for landscape plant}
본 발명은 동양의학의 치료법 중 약재의 성분과 효과에 따라 달리하는 한약처방전의 배합원리를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인 식물재배를 한방처방에 응용하여 꾸민 조경에 관하여 기술하겠습니다.
조경을 하는 이유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환경을 아름답게, 유용하게, 건강하게 만들고 가꾸기 위해 토지 위에 자연적, 인공적 요소를 계획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조적이고 기술적인 솜씨와 과학적, 문화적, 정서적, 지식을 응용한다.
조경방식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국민성과 종교, 기후, 풍토, 풍속, 습관, 소유자의 취미, 역사적 배경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조경은 크게 자연적 조경과 인공적 조경, 사회적 조경으로 분류할 수 있고, 지리적으로는 서구식 조경과 동양식 조경으로 분류하여 볼 수 있다.
가정에서의 조경은 자연을 울타리 안으로 들여오는 것 즉 자연을 끌어들이기 위해 정원을 가꾸는 것이나 사무실이나 거실의 인테리어를 위한 소품으로서의 화분재 등이 있습니다.
요즘은 실내화분의 경우 건강에 역점을 두어 웰빙, 허브, 선인장, 아로마 효과가 있는 식물을 주로 가꾸는 추세입니다.
이 모든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얻는 아름다움과 외에 신선한 공기와 건강 등 자연이 주는 다양한 혜택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식물과 사람과의 상관관계에 관해서는, 조경과 동양의학이 일맥상통한다.
동양에서도 오래 전부터 식물과 사람과의 상관 관계를 연구하여 의학으로 발전 시켰습니다.
"식물본초"라는 책은 음식물로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을 기록한 것으로서, 1526년 명나라의 요문청이 서문을 붙여 간행한 것을 1521~67년 에 간행 한 것입니다.
전체 내용을 물·곡식·채소·과실·가금·짐승·물고기·맛의 8개 분야로 나누고 이를 다시 387개 조목으로 나누어 상·하 2책에 수록하였는데,각각의 조목에서 해당식물의 맛 ·본성 ·이익 ·해독 등을 설명하고 끝에는 각종 식물에 대한 총론을 적고 있다.
양나라의 도홍경이 펴낸 "신농본초경"은 모든 약을 상·중·하로 분류하고 그 약효를 설명하였는데, 상약 120종, 중약 120종, 하약 125종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발전한 의학이 한의학이며 본초강목, 황제보감, 의방유치, 동의보감에 의해 집대성되었습니다.
한약은 여러 종류의 약초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약으로, 약초 하나하나가 갖고 있는 병리·생리·약리 등의 약성에 따라 처방을 합니다.
이를테면 가장 주된 작용의 약, 보조역의 약, 효과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조절하는 약, 약의 효능을 병이 있는 곳으로 끌어주는 약 등이 잘 배합되게 한다. 약리작용과 직결되는 약성을 기미라 하고, 이 기미론이 약물의 한약의 기본학설이다.
한약처방은 약재의 성분과 효능을 분석하고, 경험과 임상을 통해 체계화한 처방방식은 과학이며 철학입니다.
그러나 증상에 따라 식물의 성분과 효능별로 분류한 의서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쉽게도 환자를 치료하는 수단 외에는 한의학이 생활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동양의학의 처방에는 침, 부항, 탕약, 환 등이 있으나 이중 약초를 이용한 탕약과 환 부분을 조경에 접목한 것으로 이 발명의 바탕은 동의보감 의방유치 동의수세보원 본초강목 황제보감등 한약의서를 참고하였다.
본 발명의 식물재배 방법은 한약처방 중 탕약, 환을 이용하였기에, 기존 조경과 화분의 목적과 특징인 시각적인 효과와 생리적인 특성보다는 특정 증상에 치료효과를 가진 성분과 효과에 중점을 둔 식물재배방법입니다.
본 발명은 수 백년 동안 전해오며 과학적으로 임상으로 학문적으로 체계화한 한약의서인 동의보감 의방유치 동의수세보원 본초강목 황제보감 등 한약의서의 치료법 중 증상별로 성분과 효과에 의해 약재의 구성을 달리한 탕약과 환의 처방방식을 이용하였기에, 구성하는 식물이 약초라는 소재의 단조로움과 동물과 버섯류 등 식물이 아닌 약재의 표현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문제점과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1.생장환경이 상이한 약초로 구성된 처방의 경우 생리적인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조경방식과 화초방식 개발
예를 들어 생장온도가 차이가 있는 고랭지에서 잘 자라는 천궁과 더운 지방의 계피나무가 같은 처방의 소재일 때 땅에 식재하는 조경을 피하고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실내용 화초로 개발
2. 동양의서의 처방에 있는 약용식물 이외의 약용동물이나 숙주에 기생하는 버섯류, 뿌리의 혹 등의 약재는 숙주가 있을 경우 숙주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소나무 뿌리의 혹인 복룡의 경우 공감 할 수 있는 소재인 소나무로 대체
3.동물의 일 부분이 약재로 사용 될 경우
예를 들어 녹용의 경우 사슴모형으로 대체하는 방식,
4. 기존 조경과 화분의 특징인 시각적인 아름다움과는 차별화해 한의학의 처방원리를 조경과 화분에 접목하여, 식물을 약효와 효과에 의해 분류한 조경방식과 화분방식으로 차별화한다.
5. 약초만을 사용하기에 생길 수 있는 단조로움을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소재를 개발한다.
본 발명의 한방처방을 이용한 서양의학은 자연과학에 기초를 두어 분석적이며, 세포조직을 통한 정적인 관찰에 치중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외래적인 침해요소를 방어하고 제거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하여 동양의학은 동양철학적인 방법에 근거를 두고 종합적인 생명현상의 동적인 관찰에 치중함 으로써 내적 생명력을 근본적으로 배양하고 건강을 증진하는 데 특징이 있다.
한의학의 처방원리는 약재의 각각의 성분과 효과를 결합시킴으로서 특정한 병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약재로 가공되기 전의 약초는 대부분이 방향성과 치료효과를 지닌 허브로서,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인 한약처방의 원리를 이용하여 성분과 효능별 조경과 화분전시방식을 개발하자는 발상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의학의 처방원리를 이용한 식물재배 방법에 있어서;
한약의 처방전을 바탕으로 약재로 가공되기 전의 살아있는 약초로 구성하되,
생장환경이 상이한 약초로 구성된 처방의 경우에는, 땅에 식재하는 방법을 피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실내용 화초로 화분에 적용하고,
처방에 숙주에 기생하는 약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약제 대신에 숙주로 구성하며,
처방에 동물의 일 부분이 약재로 사용될 경우에는, 그 동물 모형 또는 화분을 구성하도록 한다.
한약처방의 구성원리를 이용하여, 한방 처방을 조경의 방식으로 표현한 방식을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본 발명의 조경방식은 동의보감 의방유치 동의수세보원 본초강목 황제보감 등 동양의서를 참고 하였으며 조경의 주 소재는 약용식물이다.
사군자탕 사물탕 팔물탕 십전대보탕을 예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기술합니다.
처방명
1.분류(한약처방으로서)
2.처방 재료
3.증상
4.종합적인 작용
한약처방을 이용한 조경과 화분방식
1.조경의 재료
2.약초의 성분
3.약초의 효능
4.처방명을 이용한 조경방법과 화분방식의 특징.
사군자탕
1. 분류: 남성의 보약입니다.
2. 처방 재료 :인삼 백출 감초 백봉령으로 구성되됩니다.
3. 증상 :여성들에게 쓰이는 사물탕과 쌍벽을 이루는 동양의학상 가장 우수한 처방 중의 하나로 병원에 찾아가도 별다른 이상이 없다 하나 스트레스, 운동부족으로 피로감이 계속되고 허리와 다리가 무겁고 시큰시큰하며 맥이 없고 온몸이 나른한 증세에 허한 기를 보충하며 몸을 가볍게 해 기운을 나게 하는 처방입니다.
4.종합적인 작용
a. 인삼은 근육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사포닌이 조건반사능을 강화하여 기운을 강화하고,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하여 강장작용을 하며, 복령은 아미노산, 단백질, 레시틴, 칼륨 등의 영양소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백출은 비타민 A, D 등을 함유한다.
b. 인삼, 백출, 성분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 흡수를 증진한다.
c. 백출, 복령은 소화관에 정체된 수독의 배출을 촉진한다.
한약처방을 이용한 사군자탕조경과 사군자탕화분방식
한약처방 사군자탕의 명칭을 조경에 적용하여 일체감을 가지며, 한약의 처방 원리인 약초의 효능과 작용을 증상별로 분류한 방식을 적용한 조경과 화분방식입니다.
1. 조경의 재료: 인삼 백출 감초 소나무
2. 성분
a.인삼 : 인삼 중에는 배당체(glycosides)성분인 saponin을 비롯하여, 질소함유 화합물로서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 알칼로이드, 지용성 성분으로 지방산, 정유, 폴리아세칠렌, 페놀화합물, 파이토스테롤, 테르페노이드, 당류로서 단당류와 올리고당, 다당류, 펙틴질 그리고 비타민류와 무기질 등 매우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b.백출: 이눌린의 작은 구정 및 수산칼슘의 침상결정을 함유 하며 휘발성 정유성분인 Hinesol, Atractylone, Atractulenolide Ⅰ, Ⅱ, Ⅲ, β -Eudesmol, 비타민A 등을 함유한다
c.감초 : 글리시리진, 플라보노이드, 와아이소, 그리시리진산, 사포닌, 쿠마린, 정유, 전분, 파이토스테롤, 탄닌 및 효소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자당보다 50배나 더 단맛을 낸다.
d. 백봉룡: 아미노산, 단백질, 레시틴, 칼륨 등을 함유한다.
e. 소나무 :솔잎의 테르펜, 페놀 화합물, 탄닌 등이 들어있다.
3. 약초의 효능
a.인삼의 효능: 강장 강정 건위정장제로 보혈 식욕부진 갱년기장애 피로의 방지와 회복 류머티즘 당뇨병 간장병 성무력증(性無力症) 정자결핍증 노화방지에 쓴다
b.백출의 효능:수분대사(水分代謝)의 부전(不全)에 대하여 이뇨(利尿) 발한(發汗) 작용을 하며, 동통 위장염 부종에 효험이 있다.
민간에서는 혈압강하제로도 쓰인다.
c.감초의 효능: 주로 소화기, 순환계, 이비인후과 질환 등을 다스리며 약재의 중화제,해독제로 사용한다
d.복령의 효능: 소화관에 정체된 수독의 배출을 촉진 피부를 맑고 윤택하게 한며 기미에 좋다
e.소나무: 소나무 성분의 하나인 알파피넨은 숲 속에서 편안할 때와 같이 눈의 홍채 폭이 넓어지고 수목향은 혈류, 맥박 및 혈압을 변화 시켜줌.
솔잎의 중요 성분으로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이 테르펜으로 분류되는 휘발성 향기물질로서 테르펜은 피부와 점막에 닿으면 자극을 일으키고 뇌를 자극해 흥분 또는 진정작용을 가지므로 향기요법(aromatheraphy)에도 쓰인다.
4. 사군자탕을 이용한 조경방법과 화분방식의 특징
한약으로서 사군자탕은 남성의 원기를 회복하는 보약이다.
사군자탕을 이용한 화분의 명칭과 구성 방식은 한약처방중 남성의 원기를 회복하는 처방명인 사군자탕을 조경과 화분명으로 하며, 인삼 백출 감초 백봉령이 유 기적으로 결합하여 남성의 원기회복에 효과를 있는 성분이 있는 약초모음으로, 한의학의 임상결과를 조경방식과 화분식재 방식으로 한 남성의 원기회복을 돕는 성분을 함유한 약초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한약처방 사군자탕의 약재에서는 백봉령이지만, 백봉령은 소나무 뿌리의 혹이어서 조경과 화분으로 표현하기 어려워 백봉령의 숙주인 소나무로 대신했습니다.
사물탕
1. 분류: 여성의 보약입니다.
2. 처방 재료 :당귀 천궁 백작약 지황으로 구성됩니다.
3. 증상 :골수의 조혈기능이 약하거나 철분공급이 부족하여 빈혈이 심하고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서 어지러움, 전신허약, 수족냉, 습관성유산, 하혈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철분을 공급하고 골수를 자극하여 적혈구 생성 능을 강화하므로 서 허혈(虛血)증상을 개선한다.
혈관운동 능을 강화하고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자궁발육을 촉진하고 자궁 평활근의 탄력을 강화하여 유산을 방지한다.
4.종합적인 약재작용
a. 당귀, 숙지황은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완화한다.
b. 당귀, 작약은 혈관을 확장하고 천궁은 혈관운동 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c. 당귀는 유산을 방지한다.
한약처방을 이용한 사물탕조경과 사물탕화분방식
한약처방 사물탕의 명칭을 조경에 적용하여 일체감을 가지며, 사물탕 한약의 처방 원리인 약초의 효능과 작용을 증상별로 분류한 방식을 적용한 조경과 화분방식입니다.
1. 조경의 재료: 당귀 천궁 백작약 지황
2. 성분
a.당귀 :방향성분인 정유와 테쿠신, 진정작용을 하는 베타시토스테롤이 들어 있으며, 그 밖에 자당, 니코틴산, 엽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b.천궁 : 뿌리줄기에는 정유(精油)와 크니드리드, 세다노익산 등이 들어 있다.
c.백작약 : 배당체인 페오놀리드, 페오니플로린 C22H28O11 1.5~6%와 알칼로이드인 페오닌, 타닌질, 수지, 당, 녹말, 살리실산, 메틸살리실라트, 정유가 있다.
d.지황 :만닛테, 당, 레흐만닌, 카로텐, 싸이토스테롤, 비타민A, 카탈폴 등이 함유되어 있다.
3.약초의 효능
a.당귀의 효능: 대표적인 보혈제로 부인들의 산후출혈로 오는 빈혈과 월경 이상, 월경통, 무월경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또한 심장 하혈로 인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건망증, 불면증, 정신불안증 등에 효과가 있다.
당귀는 어혈을 풀어주는 데도 효과가 있어 타박상이나 어혈이 뭉친데, 어혈 때문에 배가 아프고 변이 굳었을 때 사용하면 좋다.
그 외에 속을 덥게 하며 진통에 효과가 있어 속이 차서 기혈이 막힌 데, 경락이 잘 통하지 않는 데서 오는 배 아픔이나 옆구리 통증, 뼈마디가 쑤실 때에도 좋다.
b.천궁의 효능: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 피를 맑게 하고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에 특효하며 비만, 진정, 진통, 강장제로 사용하며, 부인병에도 좋은 효과를 본다
c.작약의 효능: 작약은 보혈(補血), 보음(補陰), 지통제(止痛劑)로 인한 근육의 경련, 복통, 손발의 동통 등에 쓴다
백작약의 유효성분인 페오니플로린은 진정작용 이 있다. 진통작용, 해열작용이 있고 약간의 진경작용도 있어 장의 경련이 심한 경련성 변비환자의 장을 진정시켜 줄 수 있다. 말초작용으로는 약한 소염작용, 궤양 예방 효과 가 있다.
d.지황의 효능: 지혈, 해열, 강심, 이뇨, 해독, 당뇨, 보혈기, 자양강장, 신경쇠약 등의 한약 원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사물탕을 이용한 조경방법과 화분방식의 특징
사물탕을 이용한 화분의 명칭과 구성 방식은 한약처방 중 여성의 원기를 회복하는 처방명인 사물탕을 조경과 화분명으로 하며, 당귀 천궁 백작약 지황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여성의 원기회복에 효과를 있는 성분이 있는 약초구조로, 한의학의 임상결과를 조경방식과 화분식재 방식으로 한 여성의 원기회복을 돕는 성분을 함유한 약초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한약처방 사물탕의 약재에서는 숙지황이지만, 숙지황은 지황을 술로서 9번 법제 한 것으로서 조경과 화분으로 표현하기 어려워 숙지황을 지황으로 대신했습니다.
팔물탕
1. 분류: 보약입니다.
2. 처방 재료 :사군자탕(인삼 백출 감초 복령) + 사물탕(당귀 천궁 백작약 지황)으로 구성됩니다.
3. 증상 인체기능을 강화시켜서 신진대사를 조절하고 또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강화 시켜주고 자극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서 노쇠를 막아 주고 그리고 몸 안의 해독 기능을 증진 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4.약재의 종합적인 약재작용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숙지황, 작약, 천궁, 당귀 기와 혈을 함께 보한다.
보기약인 사군자탕과 보혈약인 사물탕을 합방하여 각 약재가 함유한 성분의 결합으로 전신 강장 보혈작용이 있다.
만성소모성 질병의 회복기, 각종빈혈, 월경이 고르지 못한 증상에도 효과가 있다.
한약처방을 이용한 팔물탕조경과 팔물탕화분방식
한약처방 팔물탕의 명칭을 조경에 적용하여 일체감을 가지며, 팔물탕 한약의 처방 원리인 약초의 효능과 작용을 증상별로 분류한 방식을 적용한 조경과 화분방식입니다.
1. 조경의 재료:인삼 백출 감초 소나무당귀 천궁 백작약 지황
2. 성분
사군자탕 조경+사물탕 조경= 팔물탕 조경
3.약초의 작용
사군자탕 조경+사물탕 조경= 팔물탕 조경
4. 팔물탕을 이용한 조경방법과 화분방식의 특징
팔물탕을 이용한 화분의 명칭과 구성 방식은 한약처방 중 전신강장보혈작용을 하는 처방명인 팔물탕을 조경과 화분명으로 하며, 보기약인 사군자탕과 보혈약인 사물탕을 합방하여 각 약재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전신강장보혈작용에 효과를 있는 성분이 있는 약초구조로, 한의학의 임상결과를 조경방식과 화분식재 방식으로 한 전신강장보혈작용을 돕는 성분을 함유한 약초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십전대보탕
1. 분류: 보약입니다.
2. 처방 재료 :사군자탕(인삼 백출 감초 복령) + 사물탕(당귀 천궁 백작약 지황)=팔물탕+ 황기, 계피(육계)로 구성됩니다.
3. 빈혈, 식욕부진과 면역능의 저하로 인한 만성염증에 시달리고, 세포의 영양결핍으로 도한이 있으면서 허약할 때 중추신경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대사 능을 증진하므로서 비특이적 면역능을 강화한다.(강장작용)골수를 자극하여 적혈구생성능을 강화하고 혈허를 개선한다.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4.약재의 종합적인 약재작용
a. 육계, 당귀, 천궁, 숙지황, 작약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을 개선한다.
b. 인삼, 백출, 작약, 생강은 위장 운동 능을 강화하여 소화를 증진한다.
c. 인삼, 복령, 황기는 영양을 공급하여 신체대사를 활성화하고 도한을 완화한다.
d. 황기, 육계는 수렴작용이 강하여 궤양을 수복한다.
e. 복령, 백출은 혈허로 인한 부종에 이뇨작용을 한다.
한약처방을 이용한 십전대보탕조경과 십전대보탕 화분방식
한약처방 십전대보탕의 명칭을 조경에 적용하여 십전대보탕과 일체감을 가지며, 십전대보탕 한약의 처방 원리인 약초의 효능과 작용을 증상별로 분류한 방식을 적용한 조경과 화분방식입니다.
4. 십전대보탕을 이용한 조경방법과 화분방식의 특징
명칭: 십전대보탕의 처방원리를 약초의 구성방식으로 이용 했기에 십전대보탕과 일체감을 갖기 위해 조경과 화분의 명칭을 십전대보탕으로 한다.
조경과 화분 식재원리: 십전대보탕의 약재의 성분과 효능을 증상에 의해 결합시킨 구성원리를 이용하여 십전대보탕을 표현한 조경방식과 화분식재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1.조경의 재료: 인삼 백출 감초 소나무당귀 천궁 백작약 지황 황기 계피(육계)
2.성분
사군자탕+사물탕= 팔물탕 + 황기, 계피= 십전대보탕
a.황기의 성분: 배당체,플라보노이드,알칼로이드,당류,아미노산,콜린,녹말 등
b.계피의 성분: 주요 성분은 알데히드에 속하는데, 계피유, 녹말, 점액, 수지 등을 함유한다.
3.약초의 효능
사군자탕+사물탕= 팔물탕 + 황기, 계피= 십전대보탕
a.황기의 효능: 체력을 증강시키는 기본 생약으로서 빈혈을 없애고 땀을 다스려 살갗과 근육을 튼튼히 해주며 여성의 경우 심한 자궁점막 출혈을 막으며 산전산후 체력증강에 좋다
b.계피의 효능: 관상혈관, 신혈관을 확장시키며 강심, 이뇨와 강압작용이 있다.
피부의 혈액순환과 영양상태를 개선하며, 괴사세포의 활력을 회복시키므로 만성궤양을 치료할 수 있다.
성호르몬과 유사한 작용과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다.
간을 보호하고 Glycogen의 감소를 방지한다.
단백뇨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포도쌍구균, 폐렴쌍구균, 이질간균, 디프테리아균등에 대해 항균작용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방식에 의해, 동양의학에서 환자의 치료 수단으로서만 이용하던 처방방식을 조경방식에 접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1.기존 조경방식과의 차별성이 있습니다.
수 천가지의 다양한 처방을 적용하여 남여 노소에 따라 차별화 하며 자기의 체질에 따라 주위 가족의 환경에 따라 약초의 성분과 효과를 이용해 다양한 조경방식을 선택 할 수 있다.
2.조경의 다양성이 있습니다.
약초의 가감으로 인해 전혀 다른 방식의 처방 이름을 가진 조경방식이 되는 다양성을 가진다.
3.기존 조경의 대체효과가 있습니다.
약용식물은 허브이며 방향성과 꽃을 볼 수 있는 종류가 많기 때문에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화훼식물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4.자연 친화를 이룰 수 있다.
약용식물의 성분과 효능에 의해 분류한 조경방식과 화분방식에 의해 약으로 복용한 한약을 직접 눈으로 보고 키우면서 조경의 궁극적 목적인 자연 친화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5.농지 활용면에서 대체작물로서 이용 될 수 있다.
이미 쌀과 마늘 등 경쟁력을 상실한 농지에 부가가치가 높은 조경용 약초는 농지활용 면에서 대체작물이 될 수 있다.
4.직업군간 동, 서양간의 정보교류라는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동양의학의 특징인 생활 주변의 풀뿌리와 식물을 연구하여 발전시킨 환경 친화적인 치료방식을 조경과 화분에 접목하여 한의학의 지식을 다른 직업군에 접목하는 정보교류라는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1c 정보화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컴퓨터도 동양사상인 주역의 음양사상인 2진법을 도입한 동서양의 교류에 의한 산물입니다.
구체적인 사용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 사상의설에 의해 분류된 자신의 체질의 보완제로서의 조경분재.
2. 병원의 문병용 - 한방처방에 따른 환자의 병에 관련된 문병용 처방 조경분재
3. 보약처방분재를 이용한 선물용으로서의 조경, 화분
4. 가로수 및 관공서, 건물, 가정집의 조경수로서 처방 조경등
5. 약초를 키움으로서 부가적인 오는 식물에 대한 자연 공부
6. 민간요법에 의해 직접 재배한 약초를 차나 술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한의학의 처방원리를 이용한 식물재배 방법에 있어서;
    한약의 처방전을 바탕으로 약재로 가공되기 전의 살아있는 약초로 구성하되,
    생장환경이 상이한 약초로 구성된 처방의 경우에는, 땅에 식재하는 방법을 피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실내용 화초로 화분에 적용하고,
    처방에 숙주에 기생하는 약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약제 대신에 숙주로 구성하며,
    처방에 동물의 일 부분이 약재로 사용될 경우에는, 그 동물 모형 또는 화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40047313A 2004-06-23 2004-06-23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KR10072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313A KR100729128B1 (ko) 2004-06-23 2004-06-23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313A KR100729128B1 (ko) 2004-06-23 2004-06-23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140A KR20050122140A (ko) 2005-12-28
KR100729128B1 true KR100729128B1 (ko) 2007-06-14

Family

ID=3729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313A KR100729128B1 (ko) 2004-06-23 2004-06-23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102A (zh) * 2018-10-17 2019-01-11 李喜娥 一种利用零余子快繁山药种薯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5023A (zh) * 2013-12-12 2015-06-17 李振达 一种种植中药生地黄的技术
CN107173017A (zh) * 2017-06-19 2017-09-19 合肥卓畅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白芷的种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77A (ko) * 2000-09-07 2001-02-05 김준 관상용 인삼 및 그 재배방법
KR20010069974A (ko) * 2001-05-23 2001-07-25 김원곤 한방처방을 이용한 조경과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77A (ko) * 2000-09-07 2001-02-05 김준 관상용 인삼 및 그 재배방법
KR20010069974A (ko) * 2001-05-23 2001-07-25 김원곤 한방처방을 이용한 조경과 화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07777
102001006997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9102A (zh) * 2018-10-17 2019-01-11 李喜娥 一种利用零余子快繁山药种薯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140A (ko)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Moghaddasi Mohammad et al. Pot marigold (Calendula officinalis) medicinal usage and cultivation
Foster et al. National geographic desk reference to nature's medicine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Patnaik The Garden of Life
US20070248695A1 (en) Landscaping, plant potting, and horticulture method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oriental or korean medicine
Ninawe et al. Orchid diversity of Northeast India–traditional knowledge and strategic plan for conservation
Sapkota Religious culture and medicinal plants: an anthropological study
Hopman A Druid's Herbal for the Sacred Earth Year
Phillips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Némethy et al. Collection, cultivation and processing of medical plants, herbs and spices in the Balaton Ecomuseum–herbal medicin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KR100729128B1 (ko) 한방처방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Meuninck Medicinal plants of North America: a field guide
Burger Medicinal Herbs of the Rocky Mountains: A Field Guide to Common Healing Plants
Nock The Modern Witchcraft Guide to Magickal Herbs: Your Complete Guide to the Hidden Powers of Herbs
Jason et al. Medicinal Perennials to Know and Grow
Minter The healing garden: A practical guide for physical & emotional well-being
Darrell Conversations with Plants: The Path Back to Nature
Shimer Healing secrets of the Native Americans: Herbs, remedies, and practices that restore the body, refresh the mind, and rebuild the spirit
Grogan Healing Herbs Handbook: Recipes for Natural Living
Waltz The Herbal Encyclopedia: A Practical Guide to the Many Uses of Herbs
Culpeper Culpeper's color herbal
Khan et al.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on forests and traditional use of medicinal plants in Kashmir Valley: a sample survey
Hurst Hidden Natural Histories: Herbs
Krymow Healing Plants of the Bible: History, Lore & Medi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