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618B1 -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 - Google Patents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618B1
KR100728618B1 KR1020060121167A KR20060121167A KR100728618B1 KR 100728618 B1 KR100728618 B1 KR 100728618B1 KR 1020060121167 A KR1020060121167 A KR 1020060121167A KR 20060121167 A KR20060121167 A KR 20060121167A KR 100728618 B1 KR100728618 B1 KR 100728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lten metal
gold
talisma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윤철
Original Assignee
안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윤철 filed Critical 안윤철
Priority to KR102006012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5Coating layers for jewellery
    • A44C27/006Metallic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금, 은, 동, 주석을 혼합한 금속용융물에 운모석, 장석, 석영, 경명주사, 맥반석, 귀사문석이 혼합된 비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용탕을 조성하는 1단계(S1); 상기 용탕을 주형에 주입한 후 탈형시켜, 소정 형상의 부적장신구(2)를 추출하는 2단계(S2); 상기 부적장신구(2)의 표면에 금박을 입히는 3단계(S3)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부적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다.
부적, 장신구, 혼합, 탈형, 금박

Description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manufacture method of talisman accessories and thereof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적장신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1 : 1단계 S2 : 2단계
S3 : 3단계 2 : 부적장신구
21 : 아교 22 : 금박
본 발명은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가공하는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적이란 종이에 글씨·그림·기호 등을 그린 것으로 악귀를 쫓 거나 복을 가져다 준다고 믿는 주술적 도구로써 일상적으로 쓰이는 글씨로부터 알 수 없는 그림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실로 다양하다.
부적은 그 사용목적과 기능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주력(呪力)으로써 좋은 것을 증가시켜 이를 성취할 수 있게 하는 부적이고, 다른 하나는 사(邪)나 액(厄)을 물리침으로써 소원을 이루는 부적이다. 대개 후자가 전자보다 많은 듯하다.
전자에 속하는 것으로는 수명 연장·재물·자손을 얻기 위한 부적, 관직을 얻고자 하는 목적, 또는 입학을 성취하는 부적, 가족의 안녕함을 위한 부적, 그리고 모든 것이 잘 되도록 하는 부적 등이 있다.
칠성부(七星符)·소망성취부·초재부(招財符)·재수대길부(財數大吉符)·대초관직부(大招官職符)·합격부(合格符)·생자부(生子符)·가택편안부(家宅便安符)·만사대길부(萬事大吉符) 등이 그러한 사례에 해당된다.
그리고, 가장 흔한 부적으로는 병을 물리치는 병부(病符)가 있다. 병부에는 모든 질병을 소멸시키는 부적도 있고, 질병 종류에 따르는 수많은 부적이 있어, 예컨대 두통부(頭痛符)·위통부(胃痛符)·복통부(腹痛符)·한기치료부(寒氣治療符)·소변통리부(小便通痢符)·악창치료부(惡瘡治療符) 등과 눈·코·귀 등의 질환, 치과·인후의 병, 부인병·소아과 등 질환을 치료하는 부적 등이 무수히 많다.
그러나, 종래 부적은 대개 종이에 글씨를 써넣은 것으로, 영구성이 없어 훼손이나 변색 등으로 폐기될 수 밖에 없고, 종이 재질이므로 인체에 이로운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과 원적외선 등을 방출하는 금속 및 비금속 재료를 혼합하여 패용 가능한 금속제 부적장신구를 제조함으로써, 오랜 기간 보존성이 뛰어나고, 재질 자체에서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한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 은, 동, 주석을 혼합한 금속용융물에 운모석, 장석, 석영, 경명주사, 맥반석, 귀사문석이 혼합된 비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용탕을 조성하는 1단계; 상기 용탕을 주형에 주입한 후 탈형시켜, 소정 형상의 장신구를 추출하는 2단계; 상기 장신구의 표면에 금박을 입히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적장신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은, 금, 은, 동, 주석을 혼합한 금속용융물에, 운모석, 장석, 석영, 경명주사, 맥반석, 귀 사문석이 혼합된 비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용탕을 조성하는 1단계(S1)와; 상기 용탕을 주형에 주입한 후 탈형시켜, 소정 형상의 부적장신구(2)를 추출하는 2단계(S2); 상기 부적장신구(2)의 표면에 금박을 입히는 3단계(S3)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1단계(S1)]
금, 은, 동, 주석을 혼합한 금속용융물 80 중량%에 운모석, 장석, 석영, 경명주사, 맥반석, 귀사문석이 혼합된 비금속 분말 20 중량%를 혼합하여 용탕을 조성한다.
상기 금속용융물의 조성비를 살펴보면, 동 20 ∼ 30 중량 %, 주석 10 ∼ 30 중량 %, 은 8 ∼ 23 중량 %, 금 0.5 ∼ 10 중량 %로 구성된다.
상기 비금속 분말의 조성비를 살펴보면, 운모석 3 ∼ 6 중량 %, 경명주사 3 ∼ 5 중량 %, 맥반석 2 ∼ 6 중량 %, 장석 1 ∼ 3.5 중량 %, 석영 1 ∼ 3.2 중량 %, 귀사문석 0.4 ∼ 1.8 중량 %로 구성된다.
자연상태에서 발생되는 수맥파는 동으로 차단될 수 있는데, 동은 수맥파를 방전시켜 수맥의 파괴력을 무력화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
상기 경명주사는 본래 경면주사(鏡面朱沙)이고 발음이 경명으로 들리기 때문에 편의상 경명이라 불리는 것으로, 성분은 황화합물로 황화수은(HgS)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석으로써, 수은과 유황이 합쳐진 물질인데, 한의학에서는 수은을 음기가 극도로 음축된 물질로 유황은 양기가 극도로 응축된 물질로 생각하는데 극양,극음의 두물질이 합하여 신비로운 음양변화를 낳게하는 물질로 알려져있다.
또한, 상기 맥반석 또는 귀사문석은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암석이다.
원적외선이란 5 ∼ 20μ의 파장대에 존재하는 적외선으로, 생체가 잘 흡수하는 전자파를 말한다. 따라서 동식물이 이를 흡수할 경우 대체로 생육이 촉진되거나 신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학계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든 동식물과 흙 등 광물질에서는 항상 원적외선을 흡수 또는 방사한다고 것이 밝혀졌으며, 그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원적외선은 중간매체가 필요없이 직접적이고 빛의 속도로 전달되고, 직진하며, 반사판을 사용하여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특정한 물질에서는 굴절하는 특징을 갖는 복사(방사)열을 갖는다.
또한, 원적외선은 피부의 약 4 ∼ 5 ㎝ 깊숙히 침투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성질은 도장, 건조, 질병치료 및 건강증진에 주로 이용되는 심달력(침투력)을 갖는다.
원적외선은 1분간 약 2,000번 정도 진동을 하며, 따라서 우리 몸속의 이온전류와 혼합되며, 흡수된 일부 에너지는 열에너지화 되어 자기발열 현상이 나타나고, 일부는 분자운동을 활성화 시키는 에너지로 작용하게 되는 공명(공진)흡수현상이 있다. 이 공명흡수 현상이 원적외선의 생체에 대한 효과의 기초가 된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인체의 경직된 근육의 이완, 혈행의 촉진, 젖산과 노폐물의 제거로 수면중 피로를 말끔히 풀어주는 피로회복 효과를 촉진시켜 준다.
또한, 원적외선은 온열작용에 의해 모세혈관 확충이 일어나고 땀으로 불필요 한 지방을 배설시켜 주므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인체의 자율신경에 영향을 주어 부드럽고 빠른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촉진시킨다.
[2단계(S2)]
상기 용탕을 주형에 주입한 후 탈형시켜 소정 형상의 부적장신구(2)를 제작한다.
즉, 사형주조법 또는 정밀주조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게 주조될 수 있다.
특히, 로스트 왁스법이라고도 하는 정밀주조법에 의하면 주물의 치수 정도와 표면 정도가 정밀하여 매우 뛰어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대략적인 공정을 살펴보면, 왁스 모형 제작용 금속주형에 왁스를 30kg/cm², 합성수지는 80kg/cm²의 압력으로 주입하여 모형을 만들거나, 절삭하여 제조한다.
이후, 왁스 모형에 알루미늄과 점결제인 에틸 실리케이트 등을 혼합한 내화재료를 도포한다.
이후, 상기 왁스 모형을 실온에서 건조하여 경화시킨 다음 이를 주형재에 매몰하고 다진다.
이후, 주형을 가열하여 모형을 용출시킨 후 주형을 500~1000℃정도로 가열하여 용탕의 유동성을 좋게한다.
이후, 용탕을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주형에서 제품을 꺼낸 다음 표면을 다듬질 하여 완성품, 즉 본 발명의 부적장신구(2)를 얻는다.
상기 부적장신구(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판형으로 형성되되, 그 외면에 문자 또는 문양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한 것으로, 금속재질이 주를 이루므로 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3단계(S3)]
상기 부적장신구(2)의 표면에 금박(22)을 입히는 과정, 일명 개금기법을 적용한 것으로써,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부적장신구(2)의 표면에 아교(21)를 도포한 후 금박(22)을 접착시키고, 다시 그 상면에 아교(21)를 도포한 후 다시 금박(22)을 접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1 내지 5 개층으로 금박(22)을 입혀 건조시켜 본 발명의 부적장신구(2)를 완성한다.
여기서, 금박(22)은 금을 두드려 종이처럼 아주 얇게 늘인 것으로, 1mm의 만분의 1의 두께에서부터 필요로 하는 다양한 두께의 것이 사용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을 방출하는 금속 및 비금속 재료를 혼합하여 패용 가능한 금속제 장신구를 제조함으로써, 오랜기간 보존성이 뛰어나고, 재질 자체에서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방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금, 은, 동, 주석을 혼합한 금속용융물에 운모석, 장석, 석영, 경명주사, 맥반석, 귀사문석이 혼합된 비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용탕을 조성하는 1단계(S1);
    상기 용탕을 주형에 주입한 후 탈형시켜, 소정 형상의 부적장신구(2)를 추출하는 2단계(S2);
    상기 부적장신구(2)의 표면에 금박을 입히는 3단계(S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S1)는, 금속용융물 80 중량%과 비금속 분말 20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용융물은, 동 20 ∼ 30 중량 %, 주석 10 ∼ 30 중량 %, 은 8 ∼ 23 중량 %, 금 0.5 ∼ 10중량 %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분말은, 운모석 3 ∼ 6 중량 %, 경명주사 3 ∼ 5 중량 %, 맥반석 2 ∼ 6 중량 %, 장석 1 ∼ 3.5 중량 %, 석영 1 ∼ 3.2 중량 %, 귀사문석 0.4 ∼ 1.8 중량 %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S3)는, 상기 부적장신구(2)의 표면에 아교(21)를 도포한 후 금박(22)을 접착시키고, 다시 그 상면에 아교(21)를 도포한 후 다시 금박(22)을 접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1 내지 5 개층으로 금박(22)을 입혀 건조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장신구.
KR1020060121167A 2006-12-04 2006-12-04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 KR100728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67A KR100728618B1 (ko) 2006-12-04 2006-12-04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67A KR100728618B1 (ko) 2006-12-04 2006-12-04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618B1 true KR100728618B1 (ko) 2007-06-15

Family

ID=3835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67A KR100728618B1 (ko) 2006-12-04 2006-12-04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18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재불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38616D1 (de) Verfahren zum training von nitinoldraht
CN106747401B (zh) 骨灰舍利子思亲牌的制作方法
CN103507547A (zh) 一种工艺字画
KR100728618B1 (ko) 부적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적장신구
CN108821725B (zh) 一种石膏仿玉制品及其制备方法
CN109316575A (zh) 一种中药芳香固体的备制方法
KR101670450B1 (ko) 숯 성형체를 포함하는 착용물
CN207252958U (zh) 一种芳香饰品
JP2008023077A (ja) パイプ形状パーツを使用したネックレスのような装飾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2255635A (ja) 装身具
KR200393782Y1 (ko)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장식용구
JP2007159771A (ja) 装身具用錫合金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KR200208238Y1 (ko) 물체가 삽입성형된 몰딩 악세사리
CN202923276U (zh) 一种工艺字画
CN205608408U (zh) 一种玉石表
JP2007089622A (ja) 装身具とその製造方法
KR100553829B1 (ko) 규화목 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패널, 이패널을 이용한 가구
CN106623803A (zh) 思亲牌的制作方法
JP2007313040A (ja) 遠赤外線やマイナスイオンを発するネックレス,イヤリング,ブレスレットのような装身具の製造方法
JP2006000263A (ja) 装身具
KR20100023471A (ko) 황토석 악세사리
KR101127091B1 (ko) 박지형 도자기 제조용 소지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지형 도자기 제조방법
KR20050072223A (ko) 원적외선, 음이온 및 波動 에너지가 방출되는 기능성 성형체 제조방법 및 기능성 성형체가 인입된 건강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
KR200386161Y1 (ko) 장신구용 소자
KR20020029452A (ko) 건강증진 기능을 갖춘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